초보에게 정말 도움 되는 지식 공유네요 PBO관련 정보 검색하면, 거의 대부분 벤치마크 점수에 비례한 정보만 바글바글 해서 오히려 독이되는 설정으로 일반유저(단순 게이머)분들이 아 라이젠 5000시리즈는 원래 온도 높고, 기본적으로 수냉쿨러나 농협쿨러는 달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으셔서, 견적 문의 오면 그에 대한 설명 하느라 허비하는 시간이 많았는데..앞으론 설명보단 이 영상 보라고 해야겠네요. 예전엔 안 그랬는데 요즘은 왜 생각들을 안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데스크탑 PC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셋팅 하는게 정답이라는것을...
오래전 글에 문의 드려 다소 민망하고 죄송하지만... 혹시 확인하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PBO 수동 설정시 PPT , TDC, EDC 를 다 풀어준다는 개념으로 500씩 주고 부팅하는데 부팅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원복 시켰는데... 이게 설정값을 500씩 줬을때 보드 CPU 에 데미지가 입거나 그러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이방법을 보고 PBO를 설정 했으나, 42배수 밖에 안터져서 구글링을 통해 수동으로 PBO를 켰습니다. PPT 175w TDC 120a EDC 165a 이렇게 하고 이것 저것 건들이다 보니 46배수가 터지기는하나, 프라임95 스몰 기준으로 온도가 90도를 가볍게 올라갑니다. 온도를 어떻게 하면 온도를 조금 낮출수 있을까요? 보드는 B550 게이밍 엣지 램은 지스킬 3800 CL18 XMP적용 쿨러 에너맥스 3열 짭수 입니다. 아니면 원래 정상인가요? 걱정이 됩니다...
드디어 올라왔네요 ㅎㅎ 요즘 바뻐서 생방을 잘 못보는데 영상은 꼬박꼬박 보겠습니다!!! 영상 보다 보니 라이젠 마스터 그래프 두줄로 보이게 레이아웃 설정하셨네요 저도 저거 해보고 싶은데 창을 아무리 줄여도 안되요 설정하시는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그냥 줄이면 줄여져야하는게 맞는데 ㅠㅠ 전 안대네요
안녕하세요 신성조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영상을 보고 한가지 질문이 생겨 문의듭니다. 유튜버 체험판 님의 영상에서는 global c state를 disable로 설정하라고 하던데 뭐가 맞는걸까요??? 성조님 말씀듣고 enable로 설정했더니 블루투스 키보드가 끊기고 컴퓨터가 버벅이는 증상이 생기네요;; 그래서 다시 디스에이블로 설정했습니다. 이 부분 확인한번 부탁드러요~ 시스테 사양 5900x ,550게이밍엣지 ,3열수냉, 3466 32g 램, Dlx21, 3070갤럭시 oc, ssd 980pro 1t 입니다. 요즘 코로나 급증세가 심갇한데 항상 건강관리 잘하시길바래요~~
이번에 컴퓨터 조립하고 최근 채널을 계속 보게 되네요. 추후에 기가보드 편도 찾아보겠습니다. 노트북만 사용하다 처음 amd를 사용하는데 현재 5900 기가 b550i , KLEVV 3600 노오버 사용중입니다. 1. 바이오스에서 올 오토로 두고 라이젠 마스터에서 설정하는 것은 바이오스를 임시로 설정하는 것이랑 똑같은 것인가요? 2.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는 PBO를 킨것과 똑같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라이젠 마스터 ccx 하나만 켠상태로 (6코어) auto OC 설정에서 게임중에 블루스크린 발생 되던데 .... (12코어일때는 정상) (블루스크린 WHEA_UNCORRECTABEL_ERROR) _ 메모리? CPU? 보드?? 의심해볼수 있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ㅠㅠ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msi b550카본 사용중입니다. 저는 pbo enabled 까지 필요 없어서 pbo auto 로 하고 싶은데요. 영상에서 pss support, pbo, c-state 이 세가지 값을 다 auto 로 하면 되나요? 아님 pbo만 auto로 하고 나머지 두개를 enabled 로 해야하나요?
성조님 영상보고 따라해봤는데 결과값을 보고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ㅠ 일단 기존에 쓰던 세팅은 바이오스 세팅에서 PBO 설정을 Manual로 두었고, 최대 오버 +200mhz 상태였습니다. (C-state, C&Q 등 기타 설정은 동일했습니다.) 이 세팅에서는 최대 부스트가 4850까지 잘 터져주었습니다. 성조님 영상보고 바이소스 셋팅에서 PBO 부분을 enabled로 바꾼 다음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가 아니라, PBO 세팅으로 바꿔주었더니 최대 부스트 클럭이 4650정도 밖에 안터져주네요ㅠ (*Auto OC에서 그냥 PBO 세팅으로 바꾼 이유는 Auto OC의 경우 +200mhz 탭이 존재하기에 수동 오버랑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해서 PBO로 바꾸어 주었습니다.) (**레데리에서 벤치마크 돌려서 측정한 값이라서 과부하 상황이라고 보기에 애매할 수 있는 것 같긴합니다... 점유율 30~50% 최대 80%를 왔다갔다 하네요...) (***cpu 쿨링은 2열 짭수라서 온도는 최대 56도 정도밖에 안됩니디...) 아무튼 최대 클럭이 4650 밖에 안되어서 다시 라이젠 마스터를 Auto Oc 세팅으로(+200mhz) 바꾸어주었더니 이번에는 4850mhz까지 잘 찍어줍니다. 다만 게임 프레임을 확인해보니 이전 세팅보다 최소 프레임은 상승한(+6프레임) 반면 최대 프레임은 떨어졌고(-10프레임), 평균 프레임은 오차범위(-0.5프레임) 이내였습니다. 최대 클럭은 상승해서 온도는 더 올랐고(+5도) 팬은 더 열심히 도는데 평균 프레임은 거의 똑같군요... 질문을 좀 정리해보면 1. 성조님이 제시해주신 설정을 따라한다고 했을 때 "라이젠 마스터"의 설정을 Auto OC(+200mhz)로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PBO로 적용해야 하는지요? 2. 마더보드에서 PBO를 Manual로 설정해두고 +200mhz을 주는 것과 마더보드에서는 PBO를 그냥 Enabled로 두고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 +200mhz를 주는 것이 무슨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둘이 같은 효과겠죠? 3. 핵심 질문은 세 번째 질문인데요, PBO 메뉴얼로 두었을 때에는 고부하 상황에서 오토보다 더 못하고 하셨는데, 정말 AAA급 게임 중에서는 PBO manual이 더 좋은지 아니면 PBO enabled가 더 좋은지 한번만 더 검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담으로 항상 뼛속까지 파고드는 비교 자료들 잘 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보드나 글픽 선택에 있어서 좋은 참고 자료가 됐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sinsungzo 말씀하신대로 게임마다 cpu 로드율이 달라서 클럭 오버에 의한 영향이 다른게 맞을 것 같습니다. 직접 해보고 뭐가 더 프레임 잘 뽑히고 안정적일지 실험 좀 해봐야겠네요... 다만, 요새 사펑 주로 하는데 cpu 로드율이 낮아서 그냥 +200mhz 안 주고 영상에서 하라는대로 PBO만 키고 돌릴까 생각중입니다 (프레임 상승 폭보다 온도, 소음 상승폭이 더 큰 것 같아서요) 아무튼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신성조님 우선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저는 기가바이트쪽 영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이 영상 보니까 궁금한 점이 하나 생겼습니다. 일단 제 사양은 5900X에 3080, X570 어로스 엘리트 입니다. 주로 고사양 AAA 급 게임 하는 것이 고작입니다만, PBO를 Enable 하는 것보다 AUTO로 하는 것이 좋나요?
요즘 라이젠으로 조립하는 분들을 위한 맞춤 영상이네요. 저는 5600x 처음에 PBO 켰다가 뭔가 좀 체감이 안되서..AMD에서 제공하는 라이젠 마스터로 자동 OC를 했는데, 그게 오히려 편하고 좋더군요. 라이젠 마스터로 OC한게 PBO 킨것보다 3DMARK하고 시네벤치도 더 높게 나오더라구요.. 혹시 라이젠 마스터 사용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동영상 끝에 백종원 광고..ㅋㅋ...신성조님 먼~친척이라던데...
동일보드에 5600x 쓰는데 거기에 추가로 커브 옵티마이져에서 올코어 네거티브 15정도 하면 언더볼팅이 되서 온도는 좀 더 낮아지고 올코어에 부하가 걸릴때도 성능은 좀 더 좋아지더군요. 저는 그리 쓰고있네요. 그리고 이게 재밌는게 어찌 만지면 올코어 4.8이 유지되게 할 수있는데 실제 벤치값은 이상하게 4.675~4.65 터질때보다 떨어지더군요...클럭만 보면 안되는거같습니다. 게다가 ai 트윅하고 어드밴스드 pbo 항목을 잘 만져야하더군요...둘이 같이 영향을 끼칩니다. 전 지금 cpu-z 벤치 기준으로 멀티 5100점 싱글 654점 정도 나오고있네요.(이거도 원래는 670 나왔는데 이거저거 만지다가 떨어졌네요;;) 특히 멀티부분은 cpu-z에서 벤치가 아닌 장시간 부하를 줘도 5080점 정도는 유지하고요. 그런데 이게 단순 pbo 오토만 걸면 4800점대까지 떨어지고 싱글도 630점정도밖에 안나오더군요....
3600에 asus b450m-a 사용중입니다. 설명해주신대로 PBO enable, global C state enable로 설정하고, 리얼벤치 돌리면서 라이젠 마스터로 확인해본결과, ppt 20%미만, CPU power 55W미만, TDC 15 %, EDC 40% 미만으로 확인되고, 온도 70도 부스트 클럭 3.95정도밖에 안나오네요 ㅠㅠ 수율이 안좋은건가요 혹시 설정이 잘못된걸까요 ㅎㅎ 항상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에 하나 있어요. 1. 신성조님이 영상 설명해주신 PBO / 2. CTR2.0 프로그램 / 3. 직접 전력제한한 수동오버....이 세가지를 비교했을때 5600x 기준으로 어떤 방법이 가장 안전하고 좋을까요? 쿨링은 x73 사용합니다.
지스킬 cl16 트라이던트 3200 16gb(8x2)제품 16 21 21 21 43 1.38값로 3600오버 tm5 10주기 성공 했는데요 다른 사람들 오버 값 보면 16 18 18 18 36 3600오버 성공하던데 저는 아무리 해도 안됩니다 cl18 국민오버값으로 해야 안정화 성공 하더라구요. cl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건 아는데 뒤에 값들이 너무 높아져버려서 신경쓰여서 그러는데요,, 저는 16 21 21 31 43(3600오버)인데 이 값이 18 20 20 20 40(3600오버) 보다 배그 할때 프레임 더 잘나오는거 맞나요?
5600x에 msi b450보드 유저입니다. 4.2~4.5ghz나와서 설정해보니 cpu-z기준 싱글은 차이없구 멀티점수가 5%정도 상승하네요. 클럭도 멀티에서 0.2좀 안되게 상승하는데 온도상승은 최소 10도 이상이라 hts사용자 입장에서 필요 없어 보입니다. 겨울에 히터대신 사용하겠습니다. ㅎ
얼마전 처음으로 컴퓨터 조립할 때부품 구입부터
조립까지 신성조님 도움을 받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요즘 이리저리 어그로 끌리시는 것 같은데 너무 신경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도움 받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요
건승하시길!!!
ㅇㅈ
맞습니다. 언넝 실버버튼 받으시길
계속 너무 쉽다고 하시지만
초보들은 바이오스 화면 보는것부터가 이미 부담스럽고
뭘 어떻게 하는게 정확하게 맞는건지를 잘 모르니까
너무 좋은 자료일 것 같아영
앞으로 계속 너무 쉬운것들도 마니 올려주시길.. ㅎㅎ
12:30 아수스 PBO 18:55 므시 PBO
와 bios 에서 auto로 하는거랑 enable 하는거랑 차이 뭔지 궁금했는데 이분이 제일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네요. 추천합니다!
그리고 글로벌 c-state 도 왜 켜야되는지 모르고 켰는데 이번 영상에서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궁금증이 해소되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5600x pbo 매뉴얼로 200 주고 쓰고 있었는데 이 영상 보고 바꿨더니 클럭 훨씬 더 잘 터지네요 감사합니다.
최종결정을 할때 늘 챙겨보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됩니다. 세세함 이해가 쉽게 설명 해주셔서 감사 해요. 분석력도 좋으시고 교수님 같아요
아싸~~ 전에걸로 그냥 따라하긴 했는데 새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언제나 평온한 하루하루가 되길 바랍니다~~~
PSS 였던가요? 그 부분을 몰랐는데 덕분에 설정했습니다 . 왐빵 감사드립니다 ~
오버클럭 첫 실전입문입니다
오버클럭은 소수덕후들만의 친목놀이라 불릴만큼 정보가 공유되지 못하였는데 처음으로 바이오스들어가 설정하는거 구경?아니 강의들었습니다 시간가는줄 모르는 목소리패턴과내용으로 귀에 쏙쏙들어 옵니다 오버클럭강의가 절대 제대로된 강의가 없었는데 오버클럭을 섬세하게 설정방법알려주시네요 오버클럭이야말로 대한민국 컴퓨터생태계를 발전시킬. 대중회되지 않은ㅇ분야라고 봅니다 계속 상세하고 강의해주시면 제자들은 기꺼이 램과 시피유를 부수면서 새로운 컴퓨터산업발전을 위한 생태계로 두려움없이 진입할 자세가 되어있습니다 빨리 cou와 램을 갈아넣어보고 싶었던 그날이 제게도 오게될까요? 카페의 BGM으롬 켄신의 주제가를 나오게 하면 어떨까요
기가바이트 PBO 설정법 꼭 해주세요 ㅠㅠ 영상 항상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지금 저에게 너무 필요한 영상이네요ㅠㅠ
갓성조님 항상 영상 감사히 보고있습니다!!
컴맹에겐 그저 빛...
드디어 올려주시는건요 !! 궁금하긴 했었는데!
오토로 사용중이였는데 인애이블로 바꿨습니다
역시 성조형님 귀에 쏙쏙 박히는 설명!! 최고입니다
이거 진짜 완전 정수만 알려주는군요
몇번을 시행착오끝에 안정화시킨 과정들이 여기다 정리되있네요
역시 갓성조 👍
신성조 + PBO 정보 = 내가 원하던 내용.
감사합니다. ㅠㅠ
B450m박격포인데
바이오스 업데이트하고
영상보고 램오버 다시하고 PBO다시 설정했어요
영상 잘복고 갑니다...고생하셨구요...일요일입니다...쉬셔야 됩니다...^()^
항상 자세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성조님 항상 영상 감사합니다.
와 씨 진짜 적당한 타이밍에 좋은 자료다 ㅋㅋㅋㅋㅋㅋㅋ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ㅎㅎ 살까말까 할까 말까 고민할때는 항상 들어와서 배우고 갑니다.
오오 기다렸던 영상이네요! 현재 수동오버 사용중이지만 pbo도 제대로 써먹어보고 싶습니다 ㅎㅎ
안찍으실 줄 알았는데 찍으셨네요. ㅎㅎ 모르시는 분들 스킵 하지마시고 잘보세요!
초보에게 정말 도움 되는 지식 공유네요
PBO관련 정보 검색하면, 거의 대부분 벤치마크 점수에 비례한 정보만 바글바글 해서 오히려 독이되는 설정으로 일반유저(단순 게이머)분들이
아 라이젠 5000시리즈는 원래 온도 높고, 기본적으로 수냉쿨러나 농협쿨러는 달아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으셔서, 견적 문의 오면 그에 대한 설명 하느라 허비하는 시간이 많았는데..앞으론 설명보단 이 영상 보라고 해야겠네요.
예전엔 안 그랬는데 요즘은 왜 생각들을 안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데스크탑 PC는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셋팅 하는게 정답이라는것을...
정말 감사합니다 컴맹의 예수같은 존재...!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보일러5800인데 pbo꺼야겠습니다 ㅋㅋㅋ 게임도 않하고 서핑유저라....성조님 항상응원합니다..
형 항상 잘보구 있어!! 애즈락편 기대할게!!
pbo enable로 할지 수동으로 해야되는건지 궁금했는데 확실하게 알고가네요 굿굿
역시 신성조 유튜브야
성능 확실한데!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지금까지 인텔만 쓰다 5900x를 구해놓고 막막하게 바라만 보던 찰라 정말 소중한 정보를 알려주시네요.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예전꺼랑 다른게 있어서 못하고 있었는데 이거보고 따라해볼께요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신성조님 ^^
굉장히 도움 도움됨 램오버편도 기다려용
이걸기다렸다구!!!!
질문있습니다. 영상내에선 PBO Enable로 바꾸는 모습을 보여주시는데
영상 초반부 설명처럼 PBO AUTO로 사용한다면 그냥 메인보드설정 들어갈 필요없이 냅두면 되나요?
13:58 에서보면 기본값이 Auto로 나와있는데 이게 pbo auto인거죠?
뭐지 예전에 성조형님 영상 봤었는데 최근 날짜길래 다시 눌러봄 ㅋㅋ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 기가바이트 편도 해주세요 ㅎㅎㅎ
전 방금 설정햇는데 기본 0.5가 올라갓네요!! 대박;;
아수스 12:40
MSI 18:50
오래전 글에 문의 드려 다소 민망하고 죄송하지만... 혹시 확인하신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PBO 수동 설정시 PPT , TDC, EDC 를 다 풀어준다는 개념으로 500씩 주고 부팅하는데 부팅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다시 원복 시켰는데... 이게 설정값을 500씩 줬을때 보드 CPU 에 데미지가 입거나 그러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장해놨다 AMD 보드로 바꾼뒤 다시 봐야지..
저도 저렇게 설정했는데 ㅎㅎ cppc랑 cppc preferrsd cores이것만 켜고
기본 pbo에 오프셋만 마이너스 0.05 주고 4.6이상 잘뜨네요 전압도 덜먹어서 온도도 착한거 같구요 ㅎㅎ
이거 보고 cppc랑 cppc preferrsd cores랑 오토로 둬야겠네요 ㅎㅎ
5600X 사용시 auto 해놓고 4.65 터지면 걍 그렇게 쓰는게 젤 좋습니다~~~
역시 배워야 하는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이방법을 보고 PBO를 설정 했으나, 42배수 밖에 안터져서 구글링을 통해 수동으로 PBO를 켰습니다.
PPT 175w
TDC 120a
EDC 165a
이렇게 하고 이것 저것 건들이다 보니 46배수가 터지기는하나, 프라임95 스몰 기준으로 온도가 90도를 가볍게 올라갑니다.
온도를 어떻게 하면 온도를 조금 낮출수 있을까요?
보드는 B550 게이밍 엣지 램은 지스킬 3800 CL18 XMP적용 쿨러 에너맥스 3열 짭수 입니다.
아니면 원래 정상인가요? 걱정이 됩니다...
Asus 보드의 경우 Advanced 메뉴 밑에 AMD Overclocking 안에 들어가면 PBO 메뉴가 또 있던데 거기는 안건드려도 되는건가요? 왜 같은 PBO 설정이 2군데 있는지 궁금했던 사람입니다.
ㅅ..사랑해요 성조형
마지막에 보여주시는 설정시연은 PBO 이너블로 뒀을 때 설정인것이죠? 오토로 둘거면 굳이 손 댈 필요 없는 걸로 알고 있어서요.
기가바이트 PBO설정 방법 영상은 언제쯤 올려주시나요?? b550m pro-p 쓰고 있는 유저로서 기다리고 있어요.
5800x pbo 설정했는데 하기전보다 값이 낮게나오는건 왜그런건가요? 오차범위인지아닌지.. 원래는 오토였거든요. 그때보다 점수가 낮아요. 제어판에서 잡히는 클럭도 기존처럼 4.6입니다. 하기전에는 4.8까지도 찍혔던거같은데... 램 문제인가요? 램을 시금치 3200 16 두개 쓰고있습니다. 그래픽은 3070이요
말씀하신대로 하엿는데 5800x는 라이젠마스터에서 tdc가 160a가 끝이네요 수율문제인가요?
드디어 올라왔네요 ㅎㅎ 요즘 바뻐서 생방을 잘 못보는데 영상은 꼬박꼬박 보겠습니다!!! 영상 보다 보니 라이젠 마스터 그래프 두줄로 보이게 레이아웃 설정하셨네요 저도 저거 해보고 싶은데 창을 아무리 줄여도 안되요 설정하시는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그냥 줄이면 줄여져야하는게 맞는데 ㅠㅠ 전 안대네요
@@sinsungzo 악.... 그게 맞는건데 ㅠㅠ 저도 한번 그렇게 썻는데 너무 편해서 다시 하려고 하니까 죽어도 안줄어들더라구요 ㅋㅋㅋ 왜 그런지 모르는게 함정 ㅠㅠ;;;; 여기저기 사이트 뒤져도 안나오고 -__- 사건은 또 미궁으로 빠지는군요 ㅋㅋㅋ
5950X에 X570갓라이크 리안리 3열수냉 사용중인데 벤치 제외하고 실사용시 게임할땐 PBO 킨거보다 오토가 프레임 미세하게 잘나오고 작업시엔 PBO켠게 조금 더 빠르더라구요
그냥 오토로 두고 사용중입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잘적용했습니다
B550m 박격포 메인보드를 쓰고 있는데요.
애초에 바이오스 화면상 pbo가 아예 선택 안되게 되어 있는 건 왜 그런걸까요? ㅠㅠ
아무리 검색을 해도 해결방법을 못 찾아서 질문 드립니다
혹시 이미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으신가요
바이오스 업데이트
Pbo 안키고 쓰고있었는데 이거보고 적용해야겠네요ㅎ
와 궁굼한걸 전부 다 다뤄주셨네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빨리 에즈락편도 올려줘요유ㅠㅠ
신성조님 혹시 시소닉 파워 이슈에대해서도 영상다뤄주실수있나요?ㅠㅠ
시소닉 파워말고 다른거사려니까 막상 고민되죽겠습니다ᆢ
파워 성능비교표좀 올려주세요 제발 ㅠㅠ
죽지 마세요.ㅋ 쉽게 델타 850 플레티넘 사면 됩니다. (델타 GPS-850HB 80PLUS PLATINUM)품절 안되면 16만원대 일겁니다. 근데..품절..ㅋㅋ 다시 들어오는데로 낚으세요..
어제 생방에서 얘기햇어요
안녕하세요 신성조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영상을 보고 한가지 질문이 생겨 문의듭니다.
유튜버 체험판 님의 영상에서는 global c state를 disable로 설정하라고 하던데 뭐가 맞는걸까요??? 성조님 말씀듣고 enable로 설정했더니 블루투스 키보드가 끊기고 컴퓨터가 버벅이는 증상이 생기네요;; 그래서 다시 디스에이블로 설정했습니다. 이 부분 확인한번 부탁드러요~
시스테 사양 5900x ,550게이밍엣지 ,3열수냉, 3466 32g 램, Dlx21, 3070갤럭시 oc, ssd 980pro 1t 입니다.
요즘 코로나 급증세가 심갇한데 항상 건강관리 잘하시길바래요~~
안녕하세요 이거 해결 되셨나요?
@@시크한놈 메인보드 바꿧어요 ^^; pro-p는 답이 없습니다
@@박새로이-o7n 메인보드 뭐로 바꾸셨나여?
@@시크한놈 성조님이 추천했던 b550 게이밍엣지 와이파이 모델 강추입니다. 인기제품이라 금방 품절나는데, 최근 재 입고된것같네요. 네이버스토어 최저가 25.9에 판매중으로 확인됩니다.
하루빨리 지옥에서 벗어나시길 바래요 ^^
@@시크한놈 그리고 pro-p는 서비스센터에서 불량확인서 받은 후 구매처로부터 환불받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진짜 신성조님이 최고 아닙니까??
이번에 컴퓨터 조립하고 최근 채널을 계속 보게 되네요. 추후에 기가보드 편도 찾아보겠습니다.
노트북만 사용하다 처음 amd를 사용하는데 현재 5900 기가 b550i , KLEVV 3600 노오버 사용중입니다.
1. 바이오스에서 올 오토로 두고 라이젠 마스터에서 설정하는 것은 바이오스를 임시로 설정하는 것이랑 똑같은 것인가요?
2.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는 PBO를 킨것과 똑같은 것인지 궁금합니다.
3. 라이젠 마스터 ccx 하나만 켠상태로 (6코어) auto OC 설정에서 게임중에 블루스크린 발생 되던데 .... (12코어일때는 정상)
(블루스크린 WHEA_UNCORRECTABEL_ERROR) _ 메모리? CPU? 보드?? 의심해볼수 있는게 무엇이 있을까요.. ㅠㅠ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msi b550카본 사용중입니다. 저는 pbo enabled 까지 필요 없어서 pbo auto 로 하고 싶은데요. 영상에서 pss support, pbo, c-state 이 세가지 값을 다 auto 로 하면 되나요? 아님 pbo만 auto로 하고 나머지 두개를 enabled 로 해야하나요?
5900x에 크라켄 x73 수냉 쓰는데 pbo 키고 씨네벤치 돌리면 82도까지 찍히는데 정상인가요?? Pbo를 끄고 램오버만 해야할까요... 너무 유익한 자료들이 많아 잘보고 있습니다!
Asus보드 어드벤스목록에서 amd cbs바로위에 오버클러킹목록에 accept누르고 들어가면 pbo목록이 또 나오는데요 여기는 인에이블로 안바꿔도 되나요?? 여긴 auto로 되어있어서요~
5600x에 짭수를 달아야 할 이유
rc400이나rc410 해도 충분
그냥 pbo낮은폭으로 즐겨도 됨
성조님 영상보고 따라해봤는데 결과값을 보고 다소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ㅠ
일단 기존에 쓰던 세팅은 바이오스 세팅에서 PBO 설정을 Manual로 두었고, 최대 오버 +200mhz 상태였습니다.
(C-state, C&Q 등 기타 설정은 동일했습니다.)
이 세팅에서는 최대 부스트가 4850까지 잘 터져주었습니다.
성조님 영상보고 바이소스 셋팅에서 PBO 부분을 enabled로 바꾼 다음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가 아니라, PBO 세팅으로 바꿔주었더니 최대 부스트 클럭이 4650정도 밖에 안터져주네요ㅠ
(*Auto OC에서 그냥 PBO 세팅으로 바꾼 이유는 Auto OC의 경우 +200mhz 탭이 존재하기에 수동 오버랑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해서 PBO로 바꾸어 주었습니다.)
(**레데리에서 벤치마크 돌려서 측정한 값이라서 과부하 상황이라고 보기에 애매할 수 있는 것 같긴합니다... 점유율 30~50% 최대 80%를 왔다갔다 하네요...)
(***cpu 쿨링은 2열 짭수라서 온도는 최대 56도 정도밖에 안됩니디...)
아무튼 최대 클럭이 4650 밖에 안되어서 다시 라이젠 마스터를 Auto Oc 세팅으로(+200mhz) 바꾸어주었더니 이번에는 4850mhz까지 잘 찍어줍니다.
다만 게임 프레임을 확인해보니 이전 세팅보다 최소 프레임은 상승한(+6프레임) 반면 최대 프레임은 떨어졌고(-10프레임), 평균 프레임은 오차범위(-0.5프레임) 이내였습니다.
최대 클럭은 상승해서 온도는 더 올랐고(+5도) 팬은 더 열심히 도는데 평균 프레임은 거의 똑같군요...
질문을 좀 정리해보면
1. 성조님이 제시해주신 설정을 따라한다고 했을 때 "라이젠 마스터"의 설정을 Auto OC(+200mhz)로 적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PBO로 적용해야 하는지요?
2. 마더보드에서 PBO를 Manual로 설정해두고 +200mhz을 주는 것과 마더보드에서는 PBO를 그냥 Enabled로 두고 라이젠 마스터에서 Auto Oc +200mhz를 주는 것이 무슨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둘이 같은 효과겠죠?
3. 핵심 질문은 세 번째 질문인데요, PBO 메뉴얼로 두었을 때에는 고부하 상황에서 오토보다 더 못하고 하셨는데, 정말 AAA급 게임 중에서는 PBO manual이 더 좋은지 아니면 PBO enabled가 더 좋은지 한번만 더 검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담으로 항상 뼛속까지 파고드는 비교 자료들 잘 보고 있습니다. 덕분에 보드나 글픽 선택에 있어서 좋은 참고 자료가 됐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sinsungzo 말씀하신대로 게임마다 cpu 로드율이 달라서 클럭 오버에 의한 영향이 다른게 맞을 것 같습니다.
직접 해보고 뭐가 더 프레임 잘 뽑히고 안정적일지 실험 좀 해봐야겠네요...
다만, 요새 사펑 주로 하는데 cpu 로드율이 낮아서 그냥 +200mhz 안 주고 영상에서 하라는대로 PBO만 키고 돌릴까 생각중입니다
(프레임 상승 폭보다 온도, 소음 상승폭이 더 큰 것 같아서요)
아무튼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잘봤습니다 msi 시금치램 오버법동영상도부탁드려요
잘 보고 가요~
5600x인데 시금치 램오버 3600+ pbo만 enabled해서 사용중입니다.
별개로 성조님 질문이 있는데요. 제가 지금 18 21 21 21 42에 cr 1t 넣어놨는데 서칭해보니 cr을 1t로 두면 msi보드는 gdm이 자동으로 off되어 오버클럭 불안정성이 커져서 부팅안되거나 블루스크린 뜨는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고 하던데... 성조님 말씀처럼 cr을 auto나 2t로 바꿔주는 것이 나을까요..?? 지금은 일단 ct 1t로 tm5 20주기랑 hci 1200%는 오류 없이 통과했고 실사용은 아직 안해본 상태입니다. 주용도는 게임(배그,D2R) 돌리구요. 오버클럭 한번 해놓고 더이상 안조이고 안정적으로 오래쓰고 싶은데 어떻게하면 좋을까요..??
쉬워도 컴린이는 정말 유용한 최신 정보 여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따라했습니다
혹시 PBO 설정 후 안정화 테스트 리얼벤치 시간은 얼마에서 몇 번을 해주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신성조님 우선 감사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저는 기가바이트쪽 영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이 영상 보니까 궁금한 점이 하나 생겼습니다.
일단 제 사양은 5900X에 3080, X570 어로스 엘리트 입니다.
주로 고사양 AAA 급 게임 하는 것이 고작입니다만, PBO를 Enable 하는 것보다 AUTO로 하는 것이 좋나요?
혹시 신성조님 정말 영상 잘보면서 배워가고있는데 제가5600x에 에즈락 팬텀550m 팬텀을 사용중인데 바오이스화면이 하나도안보여소요 혹시 제메인보드 바이오스화면으로 전력제하는영상은없나요?
요즘 라이젠으로 조립하는 분들을 위한 맞춤 영상이네요.
저는 5600x 처음에 PBO 켰다가 뭔가 좀 체감이 안되서..AMD에서 제공하는 라이젠 마스터로 자동 OC를 했는데, 그게 오히려 편하고 좋더군요.
라이젠 마스터로 OC한게 PBO 킨것보다 3DMARK하고 시네벤치도 더 높게 나오더라구요..
혹시 라이젠 마스터 사용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어....동영상 끝에 백종원 광고..ㅋㅋ...신성조님 먼~친척이라던데...
@@sinsungzo 감사합니다.현재까진 아무 문제없이 잘 사용중입니다.
신성조님 asus 보드에서 GLOBAL C-STATE 를 활성화시 nvme ssd 쓰기속도가 저하된다는데, 혹시 알아봐주실수 있으세요?^^ 예전엔 pbo 때 해당옵션 무조건 끄라고 배워서...^^
잘봤습니다. 쿨콰랑 씨스를 켜야하는건 몰랐네요! 클럭 떨어져서 항상꺼놨는데~
최근 아수스 터프기준으로 1401이나 그 이하 젠3지원용 베타부터는 옵션들 위치가 좀 달라지긴 해서...cppc는 어디로 갔는지 안보여서 검색으로 찾곤 했는데...ctr쓸때 켜놓으라고 했던거라...
음... MSI B550 보드는 Pbo 오토는 그냥 그대로 두면 되는건지 아님 pbo 를 영상 설명대로해야 pbo오토설정인지??
ASUS ROG STRIX B550-A 쓰고 있는데, Override +200 주면 가벼운 작업에서는 모든 코어가 번갈아 가면서 48.5배수 찍어주고 시네벤치 같은거 돌릴때는 46-46.5배수 터지면서 잘쓰고 있어요!
동일보드에 5600x 쓰는데 거기에 추가로 커브 옵티마이져에서 올코어 네거티브 15정도 하면 언더볼팅이 되서 온도는 좀 더 낮아지고 올코어에 부하가 걸릴때도 성능은 좀 더 좋아지더군요. 저는 그리 쓰고있네요. 그리고 이게 재밌는게 어찌 만지면 올코어 4.8이 유지되게 할 수있는데 실제 벤치값은 이상하게 4.675~4.65 터질때보다 떨어지더군요...클럭만 보면 안되는거같습니다. 게다가 ai 트윅하고 어드밴스드 pbo 항목을 잘 만져야하더군요...둘이 같이 영향을 끼칩니다. 전 지금 cpu-z 벤치 기준으로 멀티 5100점 싱글 654점 정도 나오고있네요.(이거도 원래는 670 나왔는데 이거저거 만지다가 떨어졌네요;;) 특히 멀티부분은 cpu-z에서 벤치가 아닌 장시간 부하를 줘도 5080점 정도는 유지하고요. 그런데 이게 단순 pbo 오토만 걸면 4800점대까지 떨어지고 싱글도 630점정도밖에 안나오더군요....
@@DavidLee-ph2je 저도 똑같이 설정하고 쓰고 있습니다! -15보다 더 주면 한두번씩 게임이나 사진 export할때 꺼지거나 깨져서 여기서 만족하고 있네요.
3600에 asus b450m-a 사용중입니다. 설명해주신대로 PBO enable, global C state enable로 설정하고, 리얼벤치 돌리면서 라이젠 마스터로 확인해본결과, ppt 20%미만, CPU power 55W미만, TDC 15 %, EDC 40% 미만으로 확인되고, 온도 70도 부스트 클럭 3.95정도밖에 안나오네요 ㅠㅠ 수율이 안좋은건가요 혹시 설정이 잘못된걸까요 ㅎㅎ 항상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
@@sinsungzo 답글 감사합니다. 초기수율 폭망인 제품인가보네요 ㅎㅎ 5600x 가격 안정화되면 업그레이드 고려해봐야겠네요 ㅎㅎ 항상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asus 정식바이오스 12/08 업데이트 기준 램오버빼고 신성조님처럼 최소만 설정변경하는게 클럭은 덜터져도 벤치점수는 더 잘나오네요.
5600x Asus b550 tuf plus 입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질문에 하나 있어요. 1. 신성조님이 영상 설명해주신 PBO / 2. CTR2.0 프로그램 / 3. 직접 전력제한한 수동오버....이 세가지를 비교했을때 5600x 기준으로 어떤 방법이 가장 안전하고 좋을까요? 쿨링은 x73 사용합니다.
지스킬 cl16 트라이던트 3200 16gb(8x2)제품
16 21 21 21 43 1.38값로 3600오버
tm5 10주기 성공 했는데요
다른 사람들 오버 값 보면 16 18 18 18 36
3600오버 성공하던데 저는 아무리 해도 안됩니다 cl18 국민오버값으로 해야 안정화 성공 하더라구요. cl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좋은 건 아는데
뒤에 값들이 너무 높아져버려서 신경쓰여서 그러는데요,,
저는 16 21 21 31 43(3600오버)인데 이 값이
18 20 20 20 40(3600오버) 보다
배그 할때 프레임 더 잘나오는거 맞나요?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 숙제를 하나주셨네요.. Enable vs Auto // 그리고, 질문 하나 드립니다. 라이젠 마스터의 Peak Speed 와 HWinfo의 CPU 클럭과 다릅니다. 왜? 그런건가요? 2개 다른 건가요?
@@sinsungzo 답변 감사합니다.
9800x3D PBO 설정할 때도 똑같이 따라하면 될까요? asus 보드입니다.
18:53 msi
신성조님 영상 보고 pbo 설정했습니다. 그런데 msi 화면에서 게임부스트 라는 아이콘은 건드리는게 아닌가여? 그것도 pbo 설정하면서 누르고 저장했어요
성조님 pbo 키고 배필5 하면 로드율 97%이상되면서 툉기는데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너무 잘터져서 프레임 유지가 잘되서 계속 쓰고싶은데 고민이네요
Msi 이대로 했는데 화면이ㅜ안나오네요ㅠ.ㅠ 어찌해야하나요?
영상보고 pbo설정을 했는데 5600x인데 라이젠마스터 돌렸는데 peak speed 에 수치가 왜 신성조님처럼 안나오고 671mhz 이런식으로만 나올까요?
5600x에 msi b450보드 유저입니다. 4.2~4.5ghz나와서 설정해보니 cpu-z기준 싱글은 차이없구 멀티점수가 5%정도 상승하네요. 클럭도 멀티에서 0.2좀 안되게 상승하는데 온도상승은 최소 10도 이상이라 hts사용자 입장에서 필요 없어 보입니다. 겨울에 히터대신 사용하겠습니다. ㅎ
다크 X570 보드에 이영상보고 똑같이 pbo만 설정했습니다 xmp하고 3200MHz CL14 32GB 5950x라서 그런지? 부팅하면 72x 비행기소리가 나요
전압이 많이들어가는것같습니다 온도는
50도가 넘어가다가 다시조용해지면서 35도을 유지합니다 가끔 또 올라가고 내려가고;; 암튼 영상이 도움이되습니다
램주파수 질문인데 5600x x570 터프 3600 cl16 팀그룹 쓰는데 신성조님 영상처럼 바이오스에서 주파수가 2400떠여.. 왜일까요 라이젠 3600 램오버는 배우긴했는데 똑같이 하면되나여??
음...! 예전에 올려주신 오버클럭 보고 했었는데 바꿔야겠군요! 오버 설정된거 리셋하려면 어떻게 해야되나요?
영상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2700X 씨피유에 X470 MSI 게이밍 프로 카본 보드 사용자인데요. OC에서 어드밴스드 씨피유 컨피그레이션이 없는데 이것은 원래 없나요?
msi보드에서
oc첫화면에 익스플로어모드가있는데
노멀로 그냥둬도되나요??
익스퍼트로바꾸라는글이 많이 있어서요ㅎㅎ
asrock gigabyte영상도 꼭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