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평 전원주택 한겨울 난방비 16만원 믿겨지시나요?한여름 냉방비도 다른집보다 4분의1만 낸답니다!!비법 같이 보시죠!!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79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36

    안녕하세요. 코어클 지열냉난방 시스템 입니다. ^^ 댓글 내용을 읽어보고 몇 가지 설명을 드리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댓글을 써봅니다.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최대한 적은 전력으로 난방과 냉방이 가능해야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전기 자동차가 개발 될 수 있게 된 것은 배터리 기술이 좋아졌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전기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먼 거리를 이동 할 수 있고
    토크가 좋으면서도 크기가 작은 브러쉬리스 모터의 기술이 좋아졌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히트펌프 시스템은 자연의 에너지를 가지고 와서 열원과 냉원을 만들어내는 기술인데 지열, 공기열, 수열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일반적으로 공기열과 지열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공기열의 COP는 2~2.5이고 지열의 COP는 3.5~4입니다. 공기열 보다 지열이 2배 가까이 효율이 좋은 것이지요.
    그리고 공기열은 겨울철 실외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그러나 지열은 계절과 상관없이 항상 15도 정도가 유지 됩니다. 안정적인 열원을 공급 할 수 가 있는 것입니다.
    정리를 하자면 현재 전기를 가장 조금 이용하면서 열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상용화된 시스템은 지열 시스템 입니다.
    그리고 지열 시스템으로 최대의 효율을 이용해서 열원을 만들어 내더라도 열원을 가지고 와서 실내에서 제어하는 기술이 없으면 효율이 안 나오며, 장비의 내구성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즉, 최소의 전기량으로 열원을 생산하고 생산한 열월을 최소한 사용으로 실내온도 제어를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좀 더 깊이 설명하려면 복사냉난방과, 대류 냉난방에 대한 내용, 한국 주택의 냉난방 형태, 사용 패턴, 주거 패턴 등 여러가지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해야 합니다만 너무 길어질 것 같이 이 정도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댓글 내용을 보면 지진 또는 지각변동으로 지하에 시공된 설비에 문제 발생을 말씀 주셨는데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아주 낮을 거라 생각합니다.
    지열 시스템은 20년 넘게 사용되어지고 있고 현재에도 관공서, 대형 건물 등에 많이 시공 되고 있으며, 잘 아시는 인천 국제공항, 롯데타워에도 지열시스템이 시공되어 있습니다.
    지열 시스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면 보급화 되지 않았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지열 발전으로 발생한 지진에 때문에 지열 냉난방도 걱정을 하시는데 지열 발전과 지열 냉난방은 전혀 다른 것이라 지진과는 무관합니다.
    더 궁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대표번호로 연락주시면 상세히 상담드리겠습니다. ^^

    • @tt44dg6eq1
      @tt44dg6eq1 2 роки тому

      이거 설치하면 온수도 같이 쓸수 있나요?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1

      @@tt44dg6eq1 네. 안녕하세요. 난방과 냉방을 모두 사용 할 경우 여름철에 난방수 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200리터 정도의 전기온수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합니다.

    • @정의로움-h4p
      @정의로움-h4p Рік тому

      가장중요한 as가 궁굼하네요.댓글에 as유지보수가 지열은 비싸다는 댓글이 많아요..궁굼합니다.

    • @corecle4054
      @corecle4054 Рік тому +1

      @@정의로움-h4p 네. 안녕하세요. 지열은 처음 시공이 잘 된 경우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5년~6년에 한 번 순환펌프 3대 교환 40만원, 15년 후에 지열 히트펌프 메인 부품인 압축기 교환 비용 150만원 정도 입니다. 지열 시스템 시공, 주택 내 제어시스템, 설비가 정확히 잘 시공이 되어 있다면 잔고장 없이 오래동안 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지열은 고장이 잦고 비싸다는 댓글 또는 후기가 많은 이유는 지열 시스템에 적합한 제어시스템과 설비가 주택에 전혀 반영이 안된 상태에서 지열 보일러만 시공이 되기 때문 입니다.

    • @윤태진-z9b
      @윤태진-z9b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난방과 냉방을 모두 사용할 경우 여름철에 난방수 공급이 안된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냉방만 사용하면 난방수를 사용할수 있다는건지 궁금합니다
      전기 온수기가 필수적으로 설치를 해야하는건지 아니면 선택 사항인지 궁금합니다
      2400만원이 실내기 몇개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1층(거실+주방), 방1
      2층 방 3~4개
      다락(바닥은 안하고 대류난방만 가능한지 궁금)
      이렇게 하면 몇개를 설치해야하고 하나 추가될때 어느정도 금액이 늘어나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실내기 청소는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택티컬라이프
    @택티컬라이프 2 роки тому +6

    집이 참 예쁘네요. 생소한 난방 기술이라 유심히 봤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 @dbrudals22
    @dbrudals22 2 дні тому

    좋은 영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aaron524
    @aaron524 2 роки тому +13

    패시브 하우스에 이거까지 적용하면 냉난방비 극강으로 아낄 수 있겠는데요...? ㄷㄷ

  • @JaeM-t2j
    @JaeM-t2j 2 роки тому +1

    4:42
    ㅋㅋㅋㅋㅋ 이게 진짜 최고다

  • @오정원-g9g
    @오정원-g9g 2 роки тому +3

    충분히 메리트있다고 생각합니다
    냉난방기 전원주택에 하는경우도많은데 그냥 일반시스템냉난방기만 해도 1000만원 보일러 방통까지 들아가고 하는비용포함해서 저걸로한다치면 조금 더비싼정도일듯한데

  • @happy98s
    @happy98s 2 роки тому +11

    제가 주택 지을 때 코어클 지열냉난방시스템 꼭 설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요즘 같은 시기에 에너지 비용 걱정 없이 시원하고 따뜻하게 지낼 수 있다면 정말 좋겠어요.

  • @무천-e9w
    @무천-e9w 2 роки тому +12

    자부담 2500만이면 태양광 1800kw 이상 설치할 듯 한데 그 돈이면 태양광전기 마음껏 쓰고 남은거 팔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sobluebear
      @sobluebear 2 роки тому +1

      15kw아닌가요???
      1800kw이면
      1.8mw정도인데….
      18kw이야기 하시나요???
      아마 5천만원 투자하시면 에너지 자립 주택 가능 합니다…

    • @sobluebear
      @sobluebear 2 роки тому +1

      @@꿀재활 저분이 말하는 1800kw는 1.8메가와트입니다 그래서 다시 물어본 것이구요
      18kw를 2500만원 자부담으로 설치한다고 하시는 말인지 단위가 이상해서 물어본 것이죠
      ^^그렇지 않나요?

    • @이재상-u5d
      @이재상-u5d Рік тому

      글쵸~~ 그것이 진리죠~~

  • @바람을가르는그물
    @바람을가르는그물 2 роки тому +8

    코어클에서 태양광업체와 협업? 해서 주택 전기+냉난방+제로 시스템을 구축해서 사업하시면 시너지 효과가 클거 같네여~

  • @11HJ23H1K
    @11HJ23H1K Рік тому +2

    습도는 어떻게 조절 되나요?

  • @saulabi500
    @saulabi500 2 роки тому +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cse532
    @cse532 2 роки тому +7

    간만에 본 맘에드는 정보입니다.
    나중에 전원주택 지을때 패시브하우스 + 코어클 + 태양광 하면 아주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 @강민경-v7u
      @강민경-v7u 2 роки тому

      아주나쁜 선택같은데... 금액이 엄청커져요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2

      네. 안녕하세요. 요즘은 단열 기준이 많이 높아져서 일반적인 주택의 단열성능이 패시브 주택의 85~90%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영상의 주택도 패시브하우스는 아닙니다. 일반적인 수준의 단열시공을 하고 하자만 없다면 패시브하우스나 태양광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옵니다. ^^

  • @GOLD-jb5pw
    @GOLD-jb5pw 2 роки тому +2

    와....혁신이네요 진짜. 현재 귀촌을 했는데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기존 주택에 설치한다고하면 비용이 동일할지 더 비싼지 궁금하네요

  • @SkyLife4424
    @SkyLife4424 2 роки тому +3

    가신김에 주택 리뷰도 함 해주시지^^...

  • @이쁘미
    @이쁘미 2 роки тому +7

    지열보일러 설치비용이랑 수리비용이 어마어마 하다고 들었는데 비용도 알려주면 좋겠네요

    • @corecle4054
      @corecle4054 Рік тому

      네. 안녕하세요. 지열은 처음 시공이 잘 된 경우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5년~6년에 한 번 순환펌프 3대 교환 40만원, 15년 후에 지열 히트펌프 메인 부품인 압축기 교환 비용 150만원 정도 입니다. 지열 시스템 시공, 주택 내 제어시스템, 설비가 정확히 잘 시공이 되어 있다면 잔고장 없이 오래동안 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지열은 고장이 잦고 비싸다는 댓글 또는 후기가 많은 이유는 지열 시스템에 적합한 제어시스템과 설비가 주택에 전혀 반영이 안된 상태에서 지열 보일러만 시공이 되기 때문 입니다.

  • @난리-l2m
    @난리-l2m 2 роки тому +13

    이 시스템은 조금만 알면 대단한 시스템 인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은 단열이나 집 구조 지역에 따라서 난방비 냉방비는 천차만별이지만 그래도 보통 평균적으로 겨울철에는 50이상은 무조건 나올 거고 여름철에도 못해도 20~30만원은 나올 것 같은데 이 시스템을 하면 냉방,난방은 누진세가 안 붙는 전기를 사용하고 한 달에 여름철은 6~10만원 겨울철에는 12~16만원에 따듯하게 시원하게 살수있다는게 말도 안되게 대단한 시스템이라는겁니다 저기 인터뷰하신 사모님 말씀처럼 몰라서 못 하는 거지 알면 무조건 해야죠 설치 비용 측면에서도 보일러+시스템에어컨+태양광+벌크탱크+각방제어기 등등 따져보면 오히려 이 시스템이 더 저렴할수도 있겠네요

  • @16zkskek43
    @16zkskek43 2 роки тому +4

    몇년전 지열난방과 태양광으로 아주 만족스럽게 생활하다 지열난방 묻은관에 파손 어쩌구하면서
    누수로 못쓴다고 하더군요 천여만원들어서 완공하고 6년만에 못쓰게되니 지열난방에 대한 불안감이 생겼는데
    보일러가 아닌 지하에 묻힌 관에서 문제가 생기는것은 없나요?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네. 안녕하세요. 지하에 매립되는 배관의 경우 시공 후 압력계를 설치하고 5키로 이상의 수압을 가하여 누수가 없는지, 압력을 유지하는지 확인을 합니다.
      이 과정을 정상적으로 한 경우에는 차 후에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 @숭류-y4q
    @숭류-y4q 2 роки тому +5

    전원 주택이라도 양파 고구마... 인간미가 넘칩니다 ㅎㅎㅎㅎㅎ

  • @박지희-o2p
    @박지희-o2p Рік тому

    좋은정보 감사~~

  • @tinahyon6001
    @tinahyon6001 Рік тому

    공기가 나올 때 소음이 있나요?
    바람 나오는소리

  • @ic802
    @ic802 2 роки тому +6

    지열난방설비 고장시 수리비가 엄청나다고 들었어서요...

    • @corecle4054
      @corecle4054 Рік тому

      네. 안녕하세요. 지열은 처음 시공이 잘 된 경우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은 5년~6년에 한 번 순환펌프 3대 교환 40만원, 15년 후에 지열 히트펌프 메인 부품인 압축기 교환 비용 150만원 정도 입니다. 지열 시스템 시공, 주택 내 제어시스템, 설비가 정확히 잘 시공이 되어 있다면 잔고장 없이 오래동안 잘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지열은 고장이 잦고 비싸다는 댓글 또는 후기가 많은 이유는 지열 시스템에 적합한 제어시스템과 설비가 주택에 전혀 반영이 안된 상태에서 지열 보일러만 시공이 되기 때문 입니다.

  • @lulukim1724
    @lulukim1724 2 роки тому +3

    지열보일러 만드는데 초기비용이 꽤 많이 들어 갈텐데..

  • @voninctrl
    @voninctrl Рік тому

    이거 정부 지원 받아도 설치비가 꽤 비싸서 대략 절약하는 금액으로 17~18년 정도 운영을 해야 본전뽑는 수준이던데.

  • @kim-nz3zv
    @kim-nz3zv 2 роки тому

    온수는 잘 나오나요? 물이 뜨겁게 잘 나와야 할텐데

  • @chulyi7815
    @chulyi7815 2 роки тому

    일반지열 공사로도 냉난방 할수있음.
    냉방을 추가로 200여만원 정도면 동일하게 할수있음!!

  • @제7함대
    @제7함대 Рік тому

    패시브 + 지열 + 태양열 = ㄷㄷㄷ

  • @띠밭늘
    @띠밭늘 2 роки тому

    모듈러주택도 설치 가능하나요?

  • @jw-sh1cv
    @jw-sh1cv Рік тому

    문제점도 보이네요 냉수와 온수를 겸용해서 사용하는 투웨이방식 배관은 부식이나 슬러지 쌓임이 포웨이배관보다 빠릅니다 순환모터역시 1년내내 사용하기에 주기적교체가 있을듯하고요

    • @corecle4054
      @corecle4054 Рік тому +1

      네. 안녕하세요. 냉수의 온도는 10~12도, 난방수의 온도는 50도 정도로 비교적 낮은 온도 입니다. 슬러지 또는 스케일이 발생하는 조건은 온도와 압력인데 50도 정도의 온도에서는 스케일 발생이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순환 모터는 오히려 난방과 냉방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오히려 고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난방만 하는 경우 7~8개월 동안 순환펌프가 작동하지 않는 데 그 동안 순환펌프가 고착이 되어 순환펌프 고장이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 @리트리버봄이
    @리트리버봄이 8 місяців тому

    봄여름가을 난방을 사용안할때도 전기 기본료를 4만원씩 납부해야 한다는데 사실인가요

  • @hmkim5319
    @hmkim5319 2 роки тому +11

    주문제작되는 모듈러 방식 주택에도 코어클 지열 냉난방 시스템 적용이 가능한지 궁금하네요??? 혹시 현재 안된다면... 모듈러주택 업체랑 코어클지열냉난방 업체랑 협업해서 솔루션을 내는 것도 구매자 입장에선 좋은 옵션이 될듯...

  • @JSA1228
    @JSA1228 Рік тому

    오천만원이면 독립할수 잇나요?가스비?한전?

  • @김은중-w4k
    @김은중-w4k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럼 에어컨도 필요 없는거네요.

  • @가이아-p5u
    @가이아-p5u 2 роки тому +7

    지하수를 이용하려 뚫었다가 방치돼 지하수 오염이 심각합니다.
    지열을 이용하려 150미터 뚫는다면 관리가 문제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에관한 대책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2

      네. 안녕하세요. ^^ 지열은 지하수와는 공법이 전혀 달라서 지하수 오염과는 무관합니다.

  • @YangYANG-vx9st
    @YangYANG-vx9st 2 роки тому +3

    패시브하우스 기준으로 집을 건설하게 된다면 매우 큰 이득이 존재합니다 .
    사실상 저런 건물 지붕에 태양광을 설치하여 (마당에 따로 배터리 보관 시설을 설치 (화재 위험 대비))
    배터리를 충전하고 보일러를 가동 시키며 전력이 필요 하다면 전력을 끌어와서 쓰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제품을 설치 한다면
    더 내려가는 마법을 보여 주겠죠.... 머 ..본전 뽑을 거면 10년은 넘어야 곘지만...
    패시브하우스 국내 기준보다 좀더 5cm 10cm 두께만 늘려도 어마어마 하니...

  • @완전합격
    @완전합격 Рік тому

    신축만 된다고 하니 뒤로..... ㅠㅠ

  • @세사리빙구
    @세사리빙구 2 роки тому +2

    왜 보일러실에 오븐이랑 다른 가전제품이 거기 있나햇네..ㅎㅎㅎㅎ누진세 없는 일반전기 사용가능이라서 그렇구나...ㅎㅎㅎ

    • @이재상-u5d
      @이재상-u5d Рік тому

      편법이군요~~ 문제가 심각하네요~~`

  • @임태영-y4m
    @임태영-y4m 2 роки тому +1

    코어클에서 지하 150미터 배관부터 실내제어까지 모두 코어클에서 시공하는건지...
    지열냉난방은 지하배관 누수나면 답이없던데...

    • @corecle4054
      @corecle4054 2 роки тому +1

      네. 안녕하세요. 지하에 매립되는 배관의 경우 시공 후 압력계를 설치하고 5키로 이상의 수압을 가하여 누수가 없는지, 압력을 유지하는지 확인을 합니다.
      이 과정을 정상적으로 한 경우에는 차 후에 배관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 @sjj6314
    @sjj6314 2 роки тому +1

    부럽다~

  • @이순신-v2s
    @이순신-v2s Рік тому

    50에서55도? 40도 정도 됨 뜨거운물은 사용할수 없고 어찌됐건 2천 들여서 지열시스템 사용하면 됨 가스나경유보다는 낫다 인정

  • @minogod8504
    @minogod8504 2 роки тому +3

    비싸긴 하네 ;;

  • @alljusticedefined3058
    @alljusticedefined3058 8 місяців тому

    에어컨과 비교에서도 그렇고
    아파트 44평의 단열비용과 비교도 그렇고
    Fact와 맞지 않는 내용이 너무 많고
    40평대라지만 지열 발전기 사용에서 전기소모량이 너무 많음
    에어컨은 장시간 사용하면 건조해지지 않습니다.
    너무 내용이 Fact가 맞지 않고
    특정 지열발전 제작사 바이럴 같음.

  • @vls1900
    @vls1900 7 місяців тому

    엄청 싸다고 말하는 난방비 16만원 ...... 어마어마 하네...

  • @불짜장-h2j
    @불짜장-h2j 2 роки тому

    이제 아파트는 탈피해야죠.

  • @이준-p4g
    @이준-p4g 2 роки тому +6

    이런 시스템이 있는데 왜 여태 설치를 안했을까.
    전원주택에서는 모두 설치하면 되겠는데. 거기에 태양광까지 설치하면 맘껏 사용.............그런데 궁금한게 음식은 어떻게 해드시는지...가스도 없고 전기로만?

    • @kimkoo87
      @kimkoo87 2 роки тому

      요즘은 인덕션으로 애초에 시공들어가서 가스자체를 안쓰는 경우도 많습니다~아파트도 난방때문에 보일러쓰는거지 인덕션놓으면 조리하는데 문제없어요 ^^

  • @서울깍쟁이-g1x
    @서울깍쟁이-g1x 2 роки тому +1

    몇일전 도시가스비 나왔는데 20평정도 방2 거실인데 290000원 나왔어요~
    난방이 무섭네요
    전원주택 관심이 많은데 유지비 줄이는 방법이 있다면 생각해 볼만 하네요
    관심갖고 공부 해야겠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정의로움-h4p
      @정의로움-h4p Рік тому +1

      진짜지옥입니다..장난없이 나오고 있어요 굥정과 상식이 없는 무식한 난방비에 쏘맥에 템버린치며 웃고있을 두놈을 생각하니 미쳐버릴거같아요.

    • @the8tontruck
      @the8tontruck Рік тому

      20평에 도시가스가 그 정도면 집이 문제임

  • @iamyahoho
    @iamyahoho 2 роки тому +3

    에어컨은 공기중의 수분이 에어컨에 모여 배출이 되어서
    습도가 낮아져서 쾌적하다 느끼는 것도 있지만
    그반대로 에어컨 내는 습기가 항상 있어 곰팡이 등 단점도 확실함
    그래서 열교환기라고 하나요
    이런 열교환기에 습도도 배출하는 걸로 온도자체를 낮추기 보다는
    여름이라도 집의 습도를 낮춰 나름 쾌적한 상황을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게 습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나무밑 그늘이라도 덥고, 습도가 낮은데 온도만 높은 나라에서
    나무 그늘에 있으면 그래도 참을만한 그런 차이랄까
    에어컨으로 제습도 할수 있지만 이건 어차피 냉방 과 비슷한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의미 없음.
    암튼 이런 지열을 이용하는 방법도 점점 진화하고 있는거 같네요.
    추가로 태양전기 시설까지 하면 장기적으로 괜찮아 보이긴 합니다.
    물론 정부 지원 받았을때가 극대화 되는거지만.

  • @ktbs0815
    @ktbs0815 2 роки тому

    16만원이면 많이 나오네요 저희 집은 단돈 1만원도 안 나오는데ㅋ

  • @다화-d2c
    @다화-d2c 2 роки тому +4

    전기요금이 어마어마 할거 같은데....

    • @mola8690
      @mola8690 2 роки тому +2

      영상에 나오는게 전기요금밖에 안나와요...ㅎ 가스비가 아니잖아요

    • @정의로움-h4p
      @정의로움-h4p Рік тому +1

      16만원나왔다고하는구만요뭘...ㅋㅋㅋㅋ

  • @jun1866
    @jun1866 2 роки тому +6

    예~ 전기세도 오름니다. 어마무시하게 많이.......

    • @최우람미
      @최우람미 2 роки тому +6

      @@항상깨사장 누진세 안붙는다고해도 기본 전기세가 오르기시작하면 이것도 요금이 만만치 않다는 말같은데요.

    • @이윤재-r5o
      @이윤재-r5o 2 роки тому +4

      JuN 님 집에도 전기요금 올라요~

    • @Z9in
      @Z9in 2 роки тому +2

      시기질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noodles9194
      @noodles9194 2 роки тому +2

      누진제가 적용되지 않아 저렴하다고?
      설치비는 몇년만에 뽑을수 있을까요?
      그리고 as비용 죽도록 많이 들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kimkoo87
      @kimkoo87 2 роки тому +2

      @@noodles9194 누진세 적용안되니 누진세 적용되는 구간까지 사용해도 다른집보다 저렴한건 맞죠.
      설치비는 전원주택생활상 평생살집이다 생각하고 들어가니 감가는...일반 아파트보다 길게 봐도 되지않을까요?
      as비용은...죽도록 많이 들수 도 있지만 의외로 안들수 도 있지요?이건 뚜껑까봐야알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