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획 - 실패한 것은 게임기가 아니라 닌텐도였다, 닌텐도 64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ис 2023
  • 닌텐도에서 개발한 5세대 게임기인 닌텐도 64의 역사에 대한 기획영상입니다.
    영상의 소스는 각종 게임잡지와 신문기사, 잡지사의 홈페이지 기록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참고문헌
    Project Reality: Making the Nintendo 64 - Steve Shepard
    R4300i data sheet
    任天堂 - 社長が訊く / 罪と罰 ~地球の継承者~
    잡지 기사 관련해서는 어느정도 MSG가 가미된 부분도 있다고 생각되니 적절히 필터링을 하면서 들어주시면 더 좋습니다.
  • Ігри

КОМЕНТАРІ • 563

  • @jonghopark4274
    @jonghopark4274 7 місяців тому +31

    올드 콘솔게이머로서 진짜 최근 몇년간 최고의 유튜브 채널을 찾았네요.
    한동안 올리신 각 세대별 콘솔게임기에 대한 영상들 반복해서 보느라 시간 떼우기 너무 좋을거같네요 ㅋㅋ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소중한 후원 감사합니다! 그리고 영상을 재밌게 봐주셔서 또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 기획은 상당히 오래 준비했던 것이라 그만큼 보람차고 기쁘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32

    제가 제목을 고민하다가 뭔가 임팩트있게 하려다가 버추얼보이를 까먹고 있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섬네일과 제목을 변경했습니다.
    OST 정보
    0:00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Hyrule Field Battle
    0:37 오우거배틀 64 - Fortune Teller 2
    1:41 슈퍼마리오 64 - Title Theme
    2:49 반조 카주이 - Bubblegloop Swamp
    4:39 오우거배틀 64 - Overture
    6:28 마리오카트 64 - Bowser's Castle(쿠파의 성)
    7:43 슈퍼마리오 64 - Main Theme
    8:41 오우거배틀 64 - Premonition
    11:00 파일럿윙즈 64 - Gyrocopter
    13:22 슈퍼마리오 64 - Powerful Mario
    15:21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Ganon's Castle Underground
    17:13 반조 카주이 - Nabnut's House (All-In-One)
    17:52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Ocarina ~Song Of Time~
    18:02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Hyrule Field Main Theme
    18:53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 Hyrule Castle
    19:21 풍래의 시렌 2 - 鼻歌まじりで森を行く
    20:27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Title Theme

    • @Hell_Dust-Buhnerman
      @Hell_Dust-Buhnerman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 그러면 휴대형 기기들과 세턴 플스 닌텐도 64의 영역엔 다다르지 못한 네오지오.PC FX.슈퍼 32 X등. 나머치 콘솔도 한번 묶어 보시는 건 어떨까요? 해당 기기들도 나름의 매력 자체는 있었지만, 무엇이 장벽일지...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Hell_Dust-Buhnerman 실패한 기기들 특집으로 다루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sys5907
      @sys5907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버추얼보이 눈아퍼서 게임하긴 힘들긴한데 앞서 가긴 했죠 ㅋㅋㅋ 그리고 컨트롤러는 진짜 좋아요

  • @user-mf4pw6bn6v
    @user-mf4pw6bn6v 7 місяців тому +13

    싸움의 무대가 다음 스테이지로 옮겨졌을 뿐이라는 말은 참와닫고 라텔님이 이기획을 계속하게되는 윈동력이겠네요...늘재밌고 감사하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아마 이것은 게임이라는 매체가 아예 사라질 때 까지 계속되겠죠. 그리고, 아마 그럴 일은 드물것이라고 생각되기에 이 싸움은 앞으로도 쭉 계속될겁니다.
      그런 시대를 라이브로 볼 수 있다는 것도 굉장히 흥미로운 일이고, 또한 행운이죠.

  • @user-um2ym6te4x
    @user-um2ym6te4x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 시리즈 정말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어릴적 추억도 떠오르고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ns6ol8fg6v
    @user-ns6ol8fg6v 7 місяців тому

    정말 재밌게 봤어요 다음영상도 기대하겠습니다 ㅎㅎ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닌텐도 64는 드라마틱한 사건이 좀 적다보니 구성하는데 좀 애를 먹었네요.

  • @winggal1
    @winggal1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초 중고딩시절 인터넷도 없었는데도 올려주신 내용들중 상당가 기억이 납니다. 추억보정 직이네요. 감사합니다. 차세대겜을 누구보다 빨리 해보려고 3do를 질렀던 아픈 기억이 있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3DO는 정말 비쌌죠. 금성 3DO 얼라이브... 광고모델이 이정재였던게 생각나네요. 이야! 이거 영화야 게임이야?

  • @Wolftoon1
    @Wolftoon1 7 місяців тому

    늘 멋진 영상 감사드립니다. 과거의 정보를 이렇게 멋지게 편집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들었을지 상상도 되지 않네요. 멋집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워낙 옛날이야기라서 상황에 맞는 좋은 영상거리가 없으면 드립으로 때우곤 합니다... 그런 점이 가장 어려운 점이네요.
      많이들 좋아해주시기도 해서 제작과정이 아주 즐겁습니다.

    • @Wolftoon1
      @Wolftoon1 7 місяців тому

      @@rattel 겸손의 말씀이십니다
      . 잠시나마 게임숍 브라운관티비로 본 현대컴보이 64를 떠올리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ltrajune
    @ultrajun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요즘 참 귀한 컨텐츠 하시는거 감사드립니다. 이 시절 게임기는 진짜 뭔가 낭만이 있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이 시기가 이런저런 낭만과 스토리가 공존하는 재밌는 시대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거겠죠!

  • @user-fl4yu5pp5y
    @user-fl4yu5pp5y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최근 연재하시는 고전 게임기 역사가 궤도에 올라 많은 분들이 라텔님을 찾는 거 같아 기쁘네요
    계속해서 이후의 영상들도 많은 사랑을 받길 바라고
    추후에 연재하시던 고전 게임 공략도 다시 만나면 좋겠네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항상 더 열심히 하면서 하루하루 성장해가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토우마의 이야기를 또 이어나가야죠!

  • @hjlovehjlove
    @hjlovehjlove 7 місяців тому

    덕분에 추억에 잠겨서 잘 보고 있습니다
    몰랐던 사실도 많아서 흥미롭구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사실 이 이야기들이 워낙 유명한 이야기들이다보니 조금이라도 새로운 이야기가 있으면 재밌으실 것 같아서 최대한 면밀하게 자료들을 찾고, 검토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BoxStage
    @BoxStage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역대 최고의 컨텐츠, 25년전 게임라인을 한자 한자 소중히 읽어가던 학생 시절이 생각납니다.
    라텔님 정말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과거의 추억을 회상하실 수 있어서 다행이네요.

  • @lshalsha2
    @lshalsha2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잘봤습니다.
    지진사태로 개발중인 게임이 소실되었다니 정말 치명적이었겠네요 ㄷㄷ
    다음 특별기획 시리즈도 기대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3

      저 지진으로 그 지역의 피해가 상당히 컸고, 너무 유명한 사건이라 우리나라 뉴스에도 보도되곤 했었죠. 그야말로 하늘이 닌텐도를 벌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네요.

    • @redprisoner
      @redprisoner 7 місяців тому

      고베 대지진은 유명하더라고요.......

    • @djpark1355
      @djpark1355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그 지진 핑계는 말그대로 핑계였다는 설도 꽤 신빙성이 높습니다
      원래부터 런칭작이 적었는데 마침 핑계대기 좋았던거죠
      이전 편인 플레이스테이션 이야기를 보시면 닌텐도가 서드파티에게 민심을 많이 잃었는데
      그덕에 닌텐도 서드파티 자체도 적었고 개발난이도까지 높았으니
      런칭작 하겠다는 서드파티가 없는거죠 ㅎㅎ 다들 플스 쪽으로 개발중이라서요

  • @ejjustin8608
    @ejjustin8608 7 місяців тому

    중학생때 게임잡지 읽던 감성이 느껴졌어요. 재밌게 정주행 하고 구독하고 갑니다. 휴대용 게임기 및 마이너한 콘솔도 다뤄주시면 진짜 재밌을것 같아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마이너한 게임기들은 정보수집때문에 상대적으로 늦게 준비가 되겠지만, 휴대용 게임기는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제작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perfectacle
    @perfectacle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이번 편도 알차고 재미있는 정보들 잘 봤습니다! 한명의 개발자 입장에서 내가 저런 게임기에서 돌아가는 개발을 한다고 하면 지금에 비하면 난이도가 극악이었을 거 같다고 생각하니 요즘 세상이 참 발전이 많이 됐다는 걸 느끼네요. 다음에도 좋은 영상 기대하겠습니다 ^^
    아, 그리고 저는 아직까지도 팩에 대한 로망이 큰 것 같습니다, 씨디는 뭔가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어디서나 구할 수 있는 형태라서 크게 의미부여가 되지 않는데 닌텐도의 게임팩은 보기만 해도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 같거든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카트리지는 좋은 점도 있는데, 모아두면 되게 뭔가 있어보이죠. 제가 과거 슈퍼패미컴 시절에는 가격 문제로 알팩을 많이 샀는데, 닌텐도 64 게임들은 다 패키지로 가지고 있습니다!

  • @kang2814
    @kang2814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좋은 채널이네요!! 앞으로 애청자가 되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앞으로 다양한 주제의 영상이 올라올테니 재밌게 즐겨주세요!

  • @naivefilm
    @naivefilm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나도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도 김사합니다 :)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도 영상 제작하는게 너무 즐겁고 재밌습니다.

  • @brc1794
    @brc1794 7 місяців тому +9

    사실 이때 닌텐도의 최대 실수라면 다른 게임회사들은 닌텐도급의 개발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을 간과했다는점이죠. 그걸 증명하는게 이때 닌텐도가 만들어 낸 게임들이 지금도 게임 역사에 길이 남을 걸작들이 다수 있었다는 점입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다른 회사들은 서드파티들에게 게임 잘 만들어달라고 라이브러리라도 줬는데, 닌텐도는 그런 지원도 없었다는게 참 아쉽죠. 그야말로 배려가 부족한 부분...
      현재 닌텐도가 잘 나가고 있는건 자사 타이틀이 몇천만개씩 팔려나가니 과거와 달리 서드파티의 지원이 많지 않아도 된다는 점도 있다고 봅니다.

    • @chris-mina
      @chris-mina 7 місяців тому +3

      @@rattel 이말이 맞는게 스위치랑 플5 둘 다 가지고 있는데 스위치는 젤다 마리오 같이 퍼스트파티 게임 제외하곤 사실상 플5로 하게 됩니다 그럼에도 스위치로 발매되는 여러 킬러타이틀 때문에 스위치를 팔지는 않게 되죠 닌텐도가 그만큼 게임을 너무 잘 만든다는 말이니 게임기는 그냥 덤인듯 합니다ㅋㅋ

  • @jhjeong5587
    @jhjeong5587 7 місяців тому +5

    "배짱 장사하면 이렇게 된다" 의 교훈을 일깨워 준 고마운 닌텐도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의외로 이게 한 2년 빨리 나왔다면 승부가 어떻게 될 지 몰랐을텐데, 너무 나오는게 늦었죠.

  • @user-ki4re8qr9x
    @user-ki4re8qr9x 7 місяців тому +7

    언제나 겸손해야 된다는 교훈을 닌텐도에게 배웠습니다.ㅋ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3

      닌텐도가 이 시점에서 한번 쓴 맛을 본 것이 오히려 다행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실제 닌텐도가 재기하던 시기의 주요 소프트는 닌텐도 64시절부터 싹을 틔웠던 것이 많았기도 했으니까요.

    • @MrJyh371
      @MrJyh371 2 місяці тому

      그래도 스위치로 휴대용 왕좌의 자리를 차지하네요 ㅋㅋ

  • @user-jj4oj7ke4d
    @user-jj4oj7ke4d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잘 봤습니다.
    N64 후속작인 최애 콘솔인 게임큐브 편도 기대하고 있을께용~~♡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음 세대편도 열심히 준비해서 만들어오겠습니다.

  • @kentvturbo7091
    @kentvturbo7091 7 місяців тому

    잘봤습니다
    게임큐브 이야기도 매우 기다려지네요
    기대하겠습니다 🔥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게임큐브는 제가 안해본 게임기라서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 같네요. 다음은 드림캐스트편이 될 것 같습니다.

    • @kentvturbo7091
      @kentvturbo7091 7 місяців тому

      @@rattel
      그것도 기대하겠습니다!

    • @kentvturbo7091
      @kentvturbo7091 7 місяців тому

      @@rattel
      드림캐스트로 캡콤이 꽤 잘 밀어준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그에관한 일화도 궁금하네요

  • @user-kn8nr2lr6s
    @user-kn8nr2lr6s 7 місяців тому

    오~ 오늘도 잘 보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시면 좋겠네요!

  • @user-fw5be7jo5j
    @user-fw5be7jo5j 7 місяців тому +7

    한국업체들도 아닌데 속사정을 이리 해박하게 아시다니 대단하십니다 존경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사실 이 이야기들이 꽤나 유명한 이야기라 기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없었던 이야기들을 수집하는데 열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원래 알고 있던 것 보다 더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되었고, 여러분과 나누게 되어서 기쁘네요.

  • @kuwakeke
    @kuwakeke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열일 하시는거 아니십니까..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게 또 영감이 안오면 대본 하나 잡고 며칠동안 끙끙댈 때도 있거든요. 이번에는 대체로 막힘 없이 술술 써내려 갈 수 있었는데, 오랫동안 자료를 모은 덕인 것 같습니다.

  • @su_wei
    @su_wei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구독자 1만명 축하드립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으앗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해주신 덕분에 여기까지 오게 되었네요!

  • @user-zk3ie5ti4n
    @user-zk3ie5ti4n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옛날 게임잡지 다시 보는 느낌도 나고 너무 좋네요 진짜 ㅠㅠ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러고보니 최근의 게임잡지는 예전과는 아예 다르죠. 게이머즈가 아직 남아있던가... 예전에는 게임 정보 외에도 순수하게 재밌어서 게임잡지를 사곤 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은 것 같아서 참 아쉽네요.

  • @07734anime
    @07734anime 7 місяців тому

    올라온거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다른 기기들도 해주시나요?? 너무 기대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자료를 모으는 시간이 좀 걸리고 하다보니 세대별로 끊어서 시리즈로 나가게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음 이야기는 다음 세대인 6세대로, PS2와 게임큐브, 엑박에 대해서 다루거나 휴대용 게임기에 대해서 다루게 될 수도 있겠네요.
      최종적으로는 모든 하드웨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싶습니다.

  • @user-ep3tk4gc2n
    @user-ep3tk4gc2n 7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배워갑니다 증말...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구성해봤습니다.

  • @wooyupapa-
    @wooyupapa-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만 봐도 추억에 잠드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제 추억을 다른 분들과 이렇게 공유할 수 있어서 너무 즐겁습니다.

  • @user-jj7qm5rc2f
    @user-jj7qm5rc2f 5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rattel
      @rattel  5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7세대, 8세대를 하고 나면 그 외의 게임기들을 다룰 수 있을 것 같네요.

  • @user-yn9vm9vx4m
    @user-yn9vm9vx4m 7 місяців тому

    너무 잼있어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닌텐도 64 이야기는 좀 더 드라마틱한 이야기가 많이 없어서 개발쪽에 무게가 많이 실린게 조금은 아쉽네요.

  • @sjyun5530
    @sjyun5530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만명 돌파 축하합니다 ~~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소중한 후원 감사드립니다! 제가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은 오랫동안 지켜봐주시면서 응원해주신 덕분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힘내겠습니다.

  • @shko376
    @shko37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캬~~ 왔다!!! 이런 영상을 기다려왔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앗... 이렇게 좋아해주시니 저도 기쁘네요. 준비한 보람이 있습니다.

  • @user-pm4my3vd3l
    @user-pm4my3vd3l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충 알던내용을 디테일 하게 알게 되니 좋네요
    드캐vs플2vs큐브vs엑박 편도 기대 됩니다.
    나중에 휴대용 기기 경쟁도 보고싶네요 닌텐도가 버틸수 있게 해준 시장이기도 한데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드림캐스트는 아쉽게도 저 4파전에 본격적으로 끼지도 못했다고 봐야하기때문에 5세대 콘솔과 함께 다루게 될 예정입니다.

    • @user-pm4my3vd3l
      @user-pm4my3vd3l 7 місяців тому

      @@rattel 드캐 ㅠㅠ
      슈로대 알파 나오고 다음해 생산 중단됐으니 경쟁에 끼지 못한게 맞네요

  • @user-lw7sm5qo1l
    @user-lw7sm5qo1l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올라오는 속도 장난아니네요 특별기획 하드웨어 시리즈 추억이고 너무 좋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영상을 만들면서 시간의 오카리나가 다시 하고싶어졌네요.

  • @razzit5696
    @razzit5696 7 місяців тому

    기다리고있었습니다ㅎ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 @user-js6ct8nn2d
    @user-js6ct8nn2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11:30...와일드 암즈...제 플스 리스트 중 아크더래드와 함께 가장 재미있게 했던 게임...공략집 보면서 스토리를 읽었지만 지금 봐도 너무 잘만들었습니다...파판 시리즈도 재밌었지만 전 저 두개 작품이 더 기억에 남네요ㅎㅎ
    아버지께서 당시 게임기 가게를 하셨기에 전 플새닌 3개 콘솔을 모두 접해서 해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소프트웨어도 그만큼 많이 접할 수 있었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기억하는 N64는 마리오64 말고 다른 타이틀의 기억은 더 이상 나질 않네요...(젤다는 못해봐서...ㅠㅠ 아쉽...) 제가 N64 게임을 많이 못본 이유에 저런 사정이 있었다니...전혀 몰랐던...하지만 영상에서 언급하신 바와 같이 보급성이나 대중성을 배제하고 게임성 관련해서는 플스에 전혀 밀리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마리오64는 아직도 제게 있어 역대급 게임입니다. 복붙이었던 플스의 여러 게임을 접하다가 마리오64를 처음 접했을때 전율은 아직도 잊혀지질 않습니다. (플스도 명작이 많은 만큼 쿠소도 많아서...) 마리오의 부드럽고 다양한 액션, 처음 들어보는 마리오의 경박한(??) 목소리, 컨트롤러 뒤에 달려있던 버튼까지 여러 측면에서 너무 충격이었던지라...이제는 아재가 되어서 사회에 찌들어가고 있었는데 모처럼 옛 생각이 나게되는 리뷰였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와서 영상 보며 응원하겠습니다.ㅎㅎ
    p.s. N64를 볼때마다 닌텐도의 장인정신이 느껴지는데 라텔님이 그 장인정신으로 리뷰를 만드셔서 업로드하는 느낌입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항상 최선을 다해서 만들고 있지만 이번 리뷰는 조금 더 오랫동안 준비했고 많이 좋아해주셔서 개인적으로도 애착이 갑니다. 좋게 봐주시고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cc4lu7wg1v
    @user-cc4lu7wg1v 7 місяців тому

    칩셋 크기를 줄인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설계를 잘해서 작은 다이안에 다 때려 넣는다는 건가요?... 일반적으로는 크기를 줄인다는게 미세공정으로 작업해서 더 작게 만든다는게 일반적인 생각이긴 한데...이렇게 하면 대량생산이 어려워질수도 있잖아요. 위에 칩을 작게 만들려고 노력했다는게 설계의 영역인지, 공정의 미세화 쪽인지 어떤 노력인건지 궁금하네요. 롬팩이 전에 슈패 영상에서도 나왔지만, 제작에 한계가 있고 생산기간이 길어서 디스크에비해 물량공급이 느린 단점도 있었죠.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설계의 영역이었고, 물리적인 크기가 2배로 컸다는 의미입니다.
      반도체의 경우 사이즈가 커지면 실리콘웨이퍼의 수율이 줄어들게 되므로 (한 장의 웨이퍼로 100개의 칩을 만들 것을 30~40개밖에 못만드는 셈이죠) 생산단가가 늘어나게 됩니다.
      설계를 한번 해놓으면 그걸 제조하는건 포토(각인)장비와 에칭(식각)장비가 알아서 해주기때문에 제조상의 어려움은 사실상 없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저 최초의 설계공정인 셈이죠.

  • @user-so6qq3ly6r
    @user-so6qq3ly6r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기획도 잘봤습니다 ㅎ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닌텐도 64가 굵직한 사건이 몇 개 없어서 개발파트에 너무 초점이 맞춰진 것 같아서 조금 아쉽긴 하네요.

  • @user-gq9pw5ku9j
    @user-gq9pw5ku9j 7 місяців тому +6

    90년대 학생시절을 체험한 세대로서 새턴, 플스1, 닌텐도64 용산에서 구경하고 구매하는 맛이 있었죠. 닌텐도64 잘 만들어진 게임기가 맞으나 고가의 저용량 카트리지가 큰 패착이었다고 봅니다. 스퀘어가 그래서 플스로 옮긴 이유였는데 파판 디렉터 사카구치 히로노부씨가 자신들이 표현하고 싶었던 영화 같은 감성의 게임을 플스에서 표현 가능했기에 선택했다고 했죠. 파판7 대성공 뒤로 에닉스도 드퀘를 플스로 내놓게 된 것도 엄청난 타격이었고.. 드퀘7, 4같은 경우 새턴이나 닌텐도64로 나왔었으면 게임질이 더 좋았을 수도 있었는데 회사 정책상 가장 많이 팔리는 하드에 드퀘를 내놓는다고 했었으니 플스 성공에 한 쪽 날개를 추가로 달아준 계기였죠. 90년대 다양한 선택지가 많아서 즐거움도 많아서 좋았지만 개발 비용이 낮고 저가인 cd 매체가 유행하며 로딩이 길고 게임 퀄리티들이 급격히 떨어지는 아쉬움도 많았고.. 닌텐도64가 처음부터 디스크드라이브로 나왔더라면 양상이 다르게 흘러가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이 부분에 동의합니다. 닌텐도 64도 다른 경쟁사들처럼 CD를 썼으면 아마 상황이 많이 달랐겠죠.
      플레이스테이션을 찍어누를 정도는 아니었겠지만, 비슷하게 경쟁하는 구도로 가게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 @CCIPC
      @CCIPC 4 місяці тому

      그래도 진출이 너무 늦고 주인장님 말씀처럼 개발난이도의 괴랄함때문에 망했을것같네요.. 명작 몇개 더 남기는 정도의 차이였을듯요.. 닌텐도는 차라리 슈패미 수명을 98~99년도까지 가져갔어야된다고봅니다.. SFC는 16비트로 32비트랑 끝까지 경쟁하기에 모자람이 없는 역대급 명기였어요..

  • @golice
    @golice 7 місяців тому

    중학교때 플스 건너뛰고 8비트 게임기에서 요놈으로 ㅋㅋㅋㅋ 압지께서 상당히 무리하셨었죠
    스타폭스64 하나가지고 동네형들 모아놓고 하루종일 4인대전하고 놀았던 기억이 있어요 새턴 플스 가지고 있던 형들인데 아주 정신이 나갈정도로 재밌어 하더군요
    ….단 스타폭스64 하나가지고 몇달간 버텨야 했다는 슬픈 전설…

  • @user-qm9yd7vh7d
    @user-qm9yd7vh7d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원한 왕은 없는 법이고, 없는 편이 시장과 소비자에게 유익하죠~
    단순히 성공하지 못한 게임기 정도로 인식했는데 여러 복합적인 요소가 있었군요.
    1등만 하던 사람이 처음 2등(이하)하게 되면 특별히 눈에 띄게 되는 경우일듯 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적당히 시장점유를 나눠먹으면서 돌아가면서 1등을 하는게 게이머에게는 가장 좋은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지금처럼 멀티플랫폼이 활성화되면 더더욱 그렇죠.

  • @Miles-io8rr
    @Miles-io8rr 7 місяців тому

    왔다 올라왔다! 기다렸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재밌게 봐주세요!

  • @thelarubix5266
    @thelarubix5266 7 місяців тому

    당시에 저 컨트롤러를 보며 플레이 하기 참 불편하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저 컨트롤러를 바탕으로 큐브 컨트롤러가 나올 수 있었던 것 같아요.
    큐브 컨트롤러는 정말 손에 착 감기는 인체공학적 설계였죠.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지금도 스매시 브라더스 하는 분들이 여전히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복각도 꾸준히 된다는걸 듣고 적잖이 놀랐습니다.

    • @brc1794
      @brc1794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듀얼쇼크보다 훨씬 인체공학적인 구조입니다. 익숙한 구조가 아니라서 독특하게 느끼는 것 뿐입니다.

  • @user-qy6di1fo4t
    @user-qy6di1fo4t 5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 큐브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rattel
      @rattel  5 місяців тому

      게임큐브 이야기는 현재 진행중인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다음차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dongkyukim5548
    @dongkyukim5548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음편도 빨리 올려주새여 현기증나여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자료조사도 하고 이것저것 하다보니 아무래도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드캐까지야 같은 시대라서 상대적으로 시간이 덜 걸리겠네요.

  • @oiu5159
    @oiu5159 7 місяців тому +36

    닌텐도64는 굉장했음.... 게임매장에서 볼떄마다 신기했는데 정작 저걸 산 친구들은 없었음... 대부분 플스 나혼자 새턴...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7

      그렇습니다. 바로 그 신기하지만, 내가 사기는 좀 그래... 그게 바로 닌텐도 64의 위치였던것이죠. 재밌는 게임도 있지만, 워낙 게임 숫자가 적었습니다.

    • @gguu.
      @gguu.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나도 나혼자 세턴 😢

    • @JW-7
      @JW-7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원래 네티즌들이나 게이머들 성향이 저럼. 나오면 당장 산다! 하지만 나오면 찬양만 하지 사지는 않음. 주머니가 가볍기 때문에 시장점유율 가장 높은 딱 한 대만 심사숙고해서 사기 때문.

    • @user-ct1fb4kf2r
      @user-ct1fb4kf2r 7 місяців тому +4

      나도 새턴

    • @antikimch1
      @antikimch1 7 місяців тому +2

      공감,
      다들 CD게임기인데
      카트리지를 고집함.
      한마디로 폴더폰에서
      다들 스마트폰 개발해서 넘어가는데
      혼자 용량 늘린 폴더폰 고집함.

  • @scottcho2613
    @scottcho2613 7 місяців тому

    N64 기기의 맘에 들었던 요소는 역시 아날로그 스틱이 달린 특유의 컨트롤러와 기본적으로 컨트롤러를 4개 꽂을수있는 점이였지요.
    스타폭스64를 아날로그 스틱으로 플레이했을때의 감각이 예전에 스타폭스1을 십자키로 플레이했을때와 전혀 다른 감각이라서 충격받았던 기억을 지금도 잊을수없습니다. 4인용 플레이가능한 마리오 카트64와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즈는 그야말로 접대용으로 적절했던 게임이였던 만큼, 말그대로 게이머가 아닌 사람들도 참여해서 웃으며 즐기기에 딱이였지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닌텐도 64의 조이패드는 3사의 조이패드 중에서 좀 비싼편이라서 (기본 패드 기준으로) 저는 접대용으로는 위닝을 꺼내들곤 했습니다. 축구나 해라!! 하면서요.

  • @LL_SIPS
    @LL_SIPS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 시절의 역사가 쓰여지는 시기에 태어난 사람이라서 자세한 경위를 몰랐으나 게임사의 역사를 정확히 다루는 정보 수집력에 감탄하였습니다. 제가 어린 시절에는 시간의 오카리나를 처음 인터넷에서 그 존재를 깨닫고 찾아냈을때는 이미 국내 게임 시장에서 유통되지도 않았기 때문에 에뮬로 할수 밖에 없었던 환경이였으나 라텔님 덕분에 닌텐도 64의 게임 개발 프로그램이 상당히 형편없었다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이 충격적으로 다가오네요. 양질의 영상 감사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당시에는 이런 정보를 얻는게 거의 불가능했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죠. 그로부터 시간이 25년이나 지나고,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과거에 그 일에 종사했던 사람들이 라떼는~ 하면서 슬슬 썰들을 풀기 시작하면서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온게 이번 영상을 만드는데 굉장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wd7ut6qr4i
    @user-wd7ut6qr4i 7 місяців тому +6

    지금은 당연하게 되었지만 발매 당시 N64의 아날로그스틱과 진동은 진짜 혁신이었음!! 손맛이 크~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진동팩이 다 좋은데 별도로 사야하는 것과 건전지 따로 넣어줘야하는건 좀...
      게다가 컨트롤러 팩 쓰고있으면 빼야한다는 것도 좀 아쉬웠습니다.

  • @hurjae_luck_kobe
    @hurjae_luck_kobe 3 місяці тому

    네오지오 같이 마이너한 콘솔도 다뤄주실 계획이 있으신가요..? 메인 콘솔 현 세대까지 다 다뤄주시고 시간이 되시면 천천히라도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rattel
      @rattel  3 місяці тому

      아마 8세대 진입하기 전에 몇개, 그리고 그 이후에도 따로 다루게 될 예정입니다. 그냥 넘어가기엔 아쉬운 기기들이 많죠.

  • @hyung-junelee3959
    @hyung-junelee3959 6 місяців тому

    재미있게 잘 봤어요! 닌텐도64 이후 닌텐도 행보와 어떻게 재기하게 되었는지도 궁금하네요!

    • @rattel
      @rattel  6 місяців тому

      몇 번의 빌드업을 통해 관련 이야기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dreamer2knew770
    @dreamer2knew770 7 місяців тому +3

    그 당시 플스 대신 샀던 닌텐도64였지만 후회는 없었습니다. 마리오랑 젤다의 첫 3D화로 엄청난 경험을 했으니까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닌텐도 64로 가장 오래 즐겼던 타이틀이 슈퍼로봇대전 64와 오우거배틀 64, 그리고 시간의 오카리나였습니다. 이 세 타이틀은 몇 번을 해도 참 즐거웠죠.

  • @user-th3vs9sv5j
    @user-th3vs9sv5j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후의 게임큐브 이야기도 듣고 싶습니다 ♡♡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6세대 콘솔 관련 이야기는 준비기간이 좀 필요할 것 같네요! 충분히 자료를 모은 뒤에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kyukim5337
    @kyukim5337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영상에서 시간의 오카리나 나올때 소름이 .. 당시 운좋게도 n64를 가진 친구가 있어 극찬 받던 그 시대에 내 손으로 직접 플레이 했다는게 자랑일 정도의 게임이였습니다 정말이지 말씀 하신 그대로 역사에 길이 남을.

    • @rattel
      @rattel  6 місяців тому

      시간의 오카리나 파트는 이 영상을 기획하던 단계에서부터 플레이해보셨던 분들이라면 바로 생각날만한 음악과 함께 편성했었습니다. 제 의도와 잘 맞아떨어졌던 것 같아서 다행이네요.

  • @zjelukjsxhr
    @zjelukjsxhr 7 місяців тому

    두 번째 실패는 게임큐브인가요? ㅋㅋㅋ 잘 보고있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생각해보니 첫 실패는 이미 버추얼보이에서 했었죠. 그래서 머쓱해서 제목을 바꿔봤습니다.(...)

  • @ojc4465
    @ojc4465 7 місяців тому

    구독자수 10000명 돌파 축하드립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열심히 했더니 이런 날이 찾아오네요.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user-nl2mm3fl2h
    @user-nl2mm3fl2h 4 місяці тому

    이 채널 솔직히 너무 잼있음 최고

    • @rattel
      @rattel  4 місяці тому +1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당시의 이야기들이 워낙 흥미진진했다보니 보시는 분들의 추억스위치를 자극할 수 있어서 좋게 봐주시는 것 같네요.

  • @user-ct1fb4kf2r
    @user-ct1fb4kf2r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친구들이 ps1 파판7을할때
    유일하게 n64와 아주비싼 오카리나를 했던사람으로써 가슴이 벅찹니다. 영상 중반부에 젤다가 나올때 진짜 가슴이 벅찹니다..ㅜ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젤다 이야기 도입부에 일부러 오카리나 연주 파트를 삽입했습니다. 시간의 오카리나를 즐기셨던 분들은 오카리나 소리만 들으셔도 바로 알아채실 수 있게요.

  • @chaudvin2683
    @chaudvin2683 7 місяців тому

    제목 봤을땐 실패한 게임기는 게임기 취급도 못받는다는 말인줄 알았는데 영상 보고나니 실패한 건 게임기가 아니었다,라는 의미였네요ㅋㅋ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앗, 그렇게 해석할 수도 있었네요. 역시 타이틀을 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 @yuhasora
    @yuhasora 7 місяців тому

    16비트 시절까지의 영광이 순식간에 무너져버린 순간이였던것 같습니다;; 어린시절 닌텐도 64를 가진 친구를 본적이 드물정도로 한국에서는 매니악한 게임기가 아니였나 생각합니다. 현재 일본에서 와서 살고 있는데 신기한것은 20대후반 30대 초반 일본 친구들이 은근히 64(일본에선 로쿠욘이라고 많이 부르더라구요)에대한 추억이 많았는지 어렸을때 많이 했다고 하더라구요... 반조 카주이라던가...이런 상세한 내막은 몰랐는데 6개월간 6타이틀은 충격이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초반에 잘 나가는 게임기는 보통 초반 1년 안에 히트작이 얼마나 나오느냐로 결정나곤 하죠. 이후로도 한달에 게임이 하나정도 나왔기때문에 소수정예라곤 해도, 너무 적긴 했죠.

  • @su_wei
    @su_wei 7 місяців тому

    15:23 BGM이 이렇게 깔리니, 쇼기로 지기라도 하면 어디 으슥한 폐병원에 끌려가서 무서운 최후를 당할 거 같은 느낌이...
    이 게임기 시리즈가 사람들에게 저마다의 추억이 담긴 좋은 반응을 얻는 건, 지금 한국 콘솔 시장의 주류를 차지하는 30~40대 게이머들이 부모님들이 생일이나 크리스마스 날 사주시던 16비트 시대를 거쳐서, 처음으로 용돈이나 세뱃돈 등을 열심히 모아 장만한 거금으로 어떤 게임기를 사야 최대한 오래 즐길 수 있는지 자신이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최대한 모아서 고민에 고민을 거듭한 끝에 신중한 선택을 했고, 그 선택의 결과로 울고 웃었던 시절의 기억이 기저에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한국 콘솔 시장이 부모님들의 손을 떠나 처음으로 게임의 즐기는 유저들의 간택을 받게 된 시작점인 셈이죠. 잘 봤습니다. 그리고 다시 한 번 구독자 1만명 축하드립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말씀하신대로, 어린시절이나 청소년기같이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기를 보내셨던 추억과 겹쳐져서 이렇게 좋아해주시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앞으로도 더 공감할 수 있는 주제로 이야기할 수 있다면 좋겠네요.
      제가 여기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Cosmoplaytown
    @Cosmoplaytown Місяць тому

    20:06 닌텐도64 게임 중 어느 마리오파티에서 나오는 게임인 지 알 수 있을까요? 찾아봐도 모르겠네요.

    • @rattel
      @rattel  Місяць тому +1

      영상에서 사용된건 1998년에 발매되었던 초대 마리오파티입니다!

    • @Cosmoplaytown
      @Cosmoplaytown Місяць тому

      @@rattel 슈퍼 마리오 파티의 리버 서바이벌의 원조인 줄 알았는데 미니게임이었네요. 덕분에 알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 @user-uj3qc1hn4b
    @user-uj3qc1hn4b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64가 아날로그 패드 시대를 열었죠 게다가 패드에 진동 기능 들어간 것도 스타폭스64 발매하면서 진동팩(닌64 컨트롤러는 뒤에 팩을 끼울 수 있는 구조) 들어간게 최초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처음에 정말 신기했던 기억이 나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는 이게 신기하긴 한데 끼우고 나면 디지게 무겁고 건전지를 넣어야한다는게 참 불편했습니다. 이것만 어떻게 됐다면...

    • @user-uj3qc1hn4b
      @user-uj3qc1hn4b 7 місяців тому

      @@rattel 알림 와서 다시 왔는데 스타폭스를 파이어폭스라고 써놨었네요;; 저는 마냥 신기해서 불편한건 잘 몰랐던거 같아요 ㅋㅋ

  • @segasaturn6800
    @segasaturn6800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 스토리가 있었군요..닌텐도64가 새롭게 느껴집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 64가 국내에선 좀 인기가 없어서 상대적으로 안 유명하긴 하지만, 서양권에서는 꽤 인기가 있어서 관련 이야기들이 좀 많았습니다. 덕분에 정보를 많이 얻을 수 있었네요!

  • @nostalgiatube40
    @nostalgiatube40 7 місяців тому +2

    96년에 슈퍼마리오64를 보고 뻑가서 보자마자 바로 사가지고 와서 그 뒤로 당시 가지고 있었건 플스 새턴을 거의 잊고 2년을 닌텐도64만하고 살았음.
    딱 이 게임기로는 슈퍼마리오64, 마리오카트64, 스타폭스64, 에프제로64, 시간의 오카리나, 대난투 스매쉬 브라더스, 007골든아이, 동키콩64, 무쥬라의 가면, 별의커비64, 요시스토리 ,밴죠 카주이1,2 이외에 이
    게임기의 게임을 해본적이 없지만 그 게임만 주구장창 미친듯이했는데
    전부 뽕을 뽑을 정도로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 64를 직접 플레이하신분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몇몇 게임들을 집중적으로 재밌게 하셨지만, 다수의 타이틀을 가진 분이 적다는 점을 꼽을 수 있겠죠. 결국 이런 것들이 다양한 유저를 품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고, 북미 외 시장에서 실패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 @Drive_Nature
    @Drive_Nature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처음 본 괴상하게 생긴 컨트롤러가 신기했었죠...
    잡아보니 이건 머지?가 아니라 이게 머지?로 바뀌더군요 ㅎ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처음 볼 때는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직접 사용해보니까 생각보다 편했습니다.

  • @bigvirus8917
    @bigvirus8917 7 місяців тому

    Nds와 3ds, wii, wiiu, ns도 기대하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열심히 자료를 좀 모아서 차례차례 진행해보겠습니다!

  • @yongwookche8261
    @yongwookche8261 7 місяців тому

    Rpg덕후였던지라 쳐다보지도 않았던 닌텐도64네요. 파판7이 플스로 결정된 이상 살 이유가 없었죠. 유일하게 아까웠던게 오우거배틀64였는데, 그거 하나하려고 사기엔 아까웠죠. 마리오와 젤다를 싫어하기도 했구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그 몇 안되는 소프트를 위해서 샀던 흔치 않은 케이스였습니다. 젤다와 오우거배틀 64, 슈퍼로봇대전과 시렌 2를 하기 위해서였죠. 그 과정에서 다른 게임들도 이것저것 재밌게 즐겼습니다.

  • @user-mp9ls2lv6q
    @user-mp9ls2lv6q 7 місяців тому

    시간의 오카리나 라는 명작이 있었음에도 성공을 못한 닌텐도64가 놀라운걸까요? 아니면 닌텐도64로 나왔음에도 성공을 거둔 시간의 오카리나가 대단한걸까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 부분은 개개인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지만, 저는 후자쪽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브레스 오브 와일드가 나오기 전에도 760만장으로 역대 젤다시리즈 중에서 판매순위 2위였고, 3DS로 나온 버전도 620만장 이상을 팔았으니까요.

  • @mrr5919
    @mrr5919 7 місяців тому

    대부분 닌텐도 64면 닌텥도 씩쓰틔포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밖에 모르지만 이런 뒷이야기 듣는것도 역시 좋아보이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 64관련해선 뭔가 좀 재밌는 이야기가 적어서 개발 이야기가 많이 길어졌네요. 이건 좀 아쉽습니다.

  • @KH-hb9mv
    @KH-hb9mv 7 місяців тому

    당시 플스1을 게임챔프 잡지책 장터에 팔고 매장에서 구입했었습니다.마리오64 마카 실황월드사커3와 같이 정말 3개타이틀로 놀라움을 금치못하며 뽕을 뽑았고 그후 기억에 남는 명작은 007골든아이 디디콩레이싱이였고 마지막으로 시오와 뮤쥬라까지 엔딩보고 플2로 넘어갔네요. 아직도 저 컨트롤러를 보면 설레입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세 콘솔 중에서 이 닌텐도 64를 가장 나중에 샀습니다. 저한테 맞는 소프트가 그렇게 많지는 않아서 10여개 정도의 타이틀을 즐겼지만, 하나같이 굉장히 재미있었죠.
      세 콘솔 모두 명확한 장점이 있고, 매력이 있어서 즐거웠던 시기였다고 생각합니다.

  • @jonice3216
    @jonice3216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성우 못지 않게 목소리가 워낙 좋으셔서 공중파 다큐 느낌이 나네요..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개인적으로 견해로는 콘솔 왕좌에서 내려온 상징적인 이미지가 워낙 충격적이고 플스1의 엄청난 성공에 비해서 는 너무 망삘낙인이 찍혀서 그렇지.. 닌텐도 64자체는 3천5백만대 이상 팔리고 전체적으로 사업 자체는 흑자라고 하니 상업적인 실패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닌텐도 64에 대한 인식이 좀 엉망이긴 하지만 위유와 게임큐브 이전에는 그렇게 닌텐도가 실패하지는 않았죠. 저도 1위만 하던 기업이 미끄러진게 인상이 깊이 남았기 때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eternalmr1054
    @eternalmr1054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실패를 격어봐야 성공할수 있다는게 콘솔계의 교훈 이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업계에서 2위를 차지하는게 실패라고 여겨질 정도로, 닌텐도가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도 잘 알 수 있죠. 이 시기에 닌텐도가 쓴맛을 본 덕에 현재의 닌텐도가 만들어졌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 @bigvirus8917
    @bigvirus8917 7 місяців тому +2

    N64는 개인적으로 가장 애착이 가는 게임기였습니다. 젤다가 발매되기 1년을 꼬박 기다리고 출시되던날 용산에서 현금 9만원을 주고 구매한 추억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97년도 크리스마스 밤을 지새우게 만들던 젤다의 전설. 비록 닌텐도가 사업영역, 콘솔 전쟁 영역에서는 당시 참패했지만 그들의 게임제작에는 철학이 있고 다른 게임업체와는 다르게 고집하고 타협하지 않는 그 무언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지금의 스위치가 탄생하고 슈퍼마리오 오디세이, 젤다 야숨 등이 고티를 먹으며 플레이어들에게 인정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당시의 승자였던 소니와 패자였던 닌텐도가 서로 완전히 포지션이 바뀌어버린 것도 굉장히 재밌죠. 온 가족의 플레이스테이션을 지향하던 소니는 헤비한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닌텐도는 오히려 지금 게이머가 아닌 사람도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만들고 있죠.
      참 재미있네요.

    • @seamnuri0614
      @seamnuri0614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64용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는 1998년에 발매되었답니다, 98년 크리스마스 밤을 지새우셨을 듯요 ㅎㅎ

  • @user-gk4nx9yt9u
    @user-gk4nx9yt9u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현대컴보이64로 나왓을때 아버지가 사주셧던 기억도 있고
    아직도 소장중입니다.
    갓겜인 시오와 마리오64
    007골든아이까지 재밌게햇어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골든아이 의외로 명작인데 국내에선 잘 모르셔서 안타깝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이런 게임이 당시에 좀 인기가 없긴했죠. PS로 나왔던 사이폰필터같은 게임도 상대적으로 평가가 낮았고요.

    • @cyonanycall2
      @cyonanycall2 2 місяці тому

      아! 저도 현대 컴보이64를 소유했던 유저네요. 반갑습니다

  • @j.c.s7762
    @j.c.s7762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지금의 닌텐도는 시장 노선이 타사에비해 좀 다르죠 그 노선이 양날의 검으로 대박이 될수도 있고 그 반대가 될수도있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야마우치 사장이 말했던 것 처럼 내일은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것이죠. 그래서 더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 @katelisa9255
      @katelisa9255 7 місяців тому

      근대 그 갑질 북미에사 안해서 다행인거죠 미쓰비시도 대응 개판으로 하다가 미국에서 찍혀서 망햇죠 미국 독점법이 무서운게 지금 구글 아마존 보다 잘나가던 록펠러 가문기업도 망하게 한거죠

  • @ptc20022
    @ptc20022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닌텐도64 아날로그 스틱 조작감이 너무 신기하고 좋았던 기억이... ㅎㅎ

    • @rattel
      @rattel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저도 이 아날로그 스틱을 처음 경험할 때 적잖이 놀랐습니다. 이후에 플스로도 듀얼쇼크가 나오고 다양한 아날로그기기가 나왔는데, 제가 경험했던 것 중에서 이거만큼이나 좋았던건 몇 개 없었습니다.

  • @JJun_sama
    @JJun_sama 7 місяців тому

    롬팩고집이었는지는 몰라도 스퀘어라는 서드파티 파판이라는 프랜차이즈를 잃은게 꽤 큰데미지였다 생각합니다 콘솔보급이 활성화 되지않은 국내조차도 파판7 출시와 함께 플스를 가졌냐 안가졌냐 학급에서 자랑거리가 될정도였으니까요ㅎ 영상에서 말씀하신대로 국내 잡지들은 일본매거진을 그대로 베껴오는 수준이니 닌64의 반응은 느낄새도 없었죠. 그렇다해도 슈퍼마리오64를 위시로 대난투, 특히 젤다 시간의 오카리나는 여전히 충격으로 기억됩니다. 무튼 여러가지 비하인드 스토리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이 시기의 스퀘어라는 서드파티의 무게감은 지금과는 상당히 달랐죠. 게임을 만들어서 내면 2~3개에 한번씩 밀리언셀러를 뽑아내던 괴물같은 회사였으니까요.

  • @grimgrim3840
    @grimgrim3840 7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근데 너무 무리하시는거 아닌지 싶을정도의 업로드 속도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사실 더 빠르게 하고싶은데 일부러 오늘은 조금 더 여유롭게 하루 늦게 올렸습니다. 걱정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ud1qp8dx4n
    @user-ud1qp8dx4n 7 місяців тому

    쿠다라기켄 사장님은 몇수 앞을 내다 보신겁니까?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쿠타라기 켄이 참 이런저런 말이 많지만 플레이스테이션 2까지는 엄청난 활약을 했죠.
      물론 그 뒤에 벌어놓은 명성을 다 까먹게 되긴 하지만요. 너무 앞까지 내다보는 것은 역시 위험한 것 같습니다. 세가가 그랬듯이요...

  • @demianpark8081
    @demianpark8081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청룡오락실" 알팩의 정수 끝판왕은 닌텐도 64아입니꽈~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슈퍼패미컴은 알팩 한개 만원이면 샀는데 닌텐도 64는 알팩도 꽤 비쌌던게 이상했습니다. 게임값도 더 싸면서...!

  • @user-ev8vr3vi7k
    @user-ev8vr3vi7k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닌텐도가 왕좌에서 추락한 주요요인이 패미콤 시절부터 이어져온 서드파티 갑질이라는게 아이러니하네요...
    게임기 제작업체한테도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해서 발매시기가 지연 되어 버렸고, 서브파티가 게임을 제작할 수 없는 환경까지 만들어 버려서 게임타이틀 발매까지 답이 없게 되었으니...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사람의 생각이 항상 변하지 않고 고인 채로 있으면 언젠가 멸망하게 된다는걸 잘 보여주는 예이죠. 역사상 영원한 강자는 존재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겠네요.

    • @katelisa9255
      @katelisa9255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만 북미는 예외인듯여 갑질 방지법 땜에 록펠러가 그짓하다가 기업 망함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katelisa9255 맞습니다. 북미에서는 독점방지법때문에 이런걸 못했었습니다.

  • @blessteddy
    @blessteddy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딱 영상속에서 n64 포장지 뜯던 아이가 저였는데...미국에서 맞이 하던 클스마스에 시간의 오카리나 + n64 기기 패키지 선물받고 환호성을 질렀습니다. 25 년전 기기가 아직도 장롱속에 잘 보관되어 있네요ㅋㅋㅋ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크.. 좋으셨겠네요. 저도 플레이스테이션때 딱 한번 부모님께 받아봤습니다. 같이 게임샵에 가서 구매했는데, 정말 집에 가는 길이 너무나도 멀게 느껴졌었네요.

    • @user-pk7jc5eu7d
      @user-pk7jc5eu7d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니 미국인이 한국말을 잘하시네 ㅋㅋ
      농담입니다 ㅋㅋ

  • @huun3233
    @huun3233 7 місяців тому

    다음은 드림캐스트인가요? ㅋ 유일하게 못만져본 게임기가 닌텐도64라서 더욱더 흥미로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드림캐스트는 사실 다음 세대를 논할 때 따로 하는게 맞을 수도 있지만 시대상... 이쪽에 더 가깝다고 판단해서 이번에 같이 다루게 되었습니다.

  • @user-bj1mr4ig9x
    @user-bj1mr4ig9x 7 місяців тому

    라텔님 쉬엄쉬엄 올려주세요 너무 잘보고 있지만 업로드 속도가 ㅡㅡ...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번 시리즈 영상 제작은 저도 굉장히 재밌게 즐기고 있습니다. 건강에 유의하면서 차근차근 하겠습니다!

  • @billiej3152
    @billiej3152 7 місяців тому

    젤다 시간의 오카리나는 정말충격자체였죠 ㅜㅜ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닌텐도 64로 가장 재밌게 즐겼던 게임은 오우거배틀 64지만, 가장 충격을 받았던 게임은 시간의 오카리나였습니다. 게임을 이렇게 만들 수 있구나... 하고 생각했었죠.

  • @user-qp3uh7cl1s
    @user-qp3uh7cl1s 7 місяців тому

    오오 닌텐도식스티포 잘보겠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 씪쓰티포! 는 꼭 넣고싶었습니다. 이 친구가 이제는 어른이 되었네요.

  • @user-bl4oh8yt1i
    @user-bl4oh8yt1i 7 місяців тому

    말씀처럼 이때의 실패로 겜보이 포켓몬스터등으로 미니콘솔과 북미시장개척으로 오늘날 의 포지션을 가지게 된것같아요.저야 그때 위닝이랑 파판등을 플스로 하느라 닌텐도가 망한줄알았거든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실제 게임잡지에서도 그런 뉘앙스로 계속 말하고 있었고 국내에서는 일본 외 게임시장의 정보를 얻을 방법이 없었으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었을겁니다. 저도 그랬죠.

  • @Razor2028
    @Razor2028 7 місяців тому

    크리스마스 선물 밈으로 유명했지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처음 볼 때 너무 웃겨서 몇 번이나 돌려본 기억이 있어서 영상에 꼭 넣고싶었습니다.

  • @user-eo6ce7du5x
    @user-eo6ce7du5x 7 місяців тому

    아 정말 멋져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slrspdladjqtdj
    @slrspdladjqtdj 7 місяців тому

    파판7이 떠나지 않았으면 어떻게 되었을지 모르지만..... 그무렵부터 동영상이 이미 유행을 해버려서 어느 정도 예상되었던 일이죠.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 시기의 제작사들이 자사의 기술력을 뽐내고싶었던 심리도 있었기때문에 많은 제작사가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새턴으로 가는 경우도 많았던 것 같습니다.

  • @Kiseki9019
    @Kiseki9019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저는 라이트유저라 그런지 cd게임기 cg나 애니메 동영상 빵빵하게 넣은 플스나 새턴이 좋았죠 남들이 칭송하는 마리오64는 당시에 구경했을때 멀미가 날 지경이었고 요즘 해봐도 멀미가 나고 화가날정도로 어려워서 가지고 싶은 생각조차 안든 게임기 였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솔직히 저도 CD나 동영상 이쁘게 나오는 게임이 좋았습니다. 게임의 질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기왕이면 다홍치마 아니겠습니까.

  • @user-ei9ei5wh8c
    @user-ei9ei5wh8c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발매초: 할게 뭐있나요? 마리오64
    중반부: 재미있는거 뭐있나요? 마리오64
    후반기: 시간의 오카리나 패미통 만점이라니까요??
    ???: 서드파티는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닌텐도 64의 수명이 끝날 때 까지 서드파티 숫자가 100개도 안되는걸 보고 이게 진짜 닌텐도인가 싶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유독 닌텐도 64의 서드파티 게임들이 질이 안좋기도 했고요. 이게 다 거지같은 개발환경때문에...

  • @oddysey99
    @oddysey99 7 місяців тому

    이런 영상 공짜로 보는게 죄송해서 구독 안하고 안하고 버티다가 결국 구독했습니다😮 진짜 대단하시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영상 재밌게 봐주시고 구독까지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상 조금 더 나아지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앞으로도 지켜봐주세요!

  • @user-qn6hp9zp6q
    @user-qn6hp9zp6q 7 місяців тому

    닌텐도의 저력은 자사의 케릭터 소프트파워인거같습니다 소재가 고갈될법도 한데 현재까지도 잘나가는걸보면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항상 보면 닌텐도의 소프트는 나오는 캐릭터들은 다 비슷하죠. 하지만 그걸 어떻게 활용해야 잘 팔리는지를 잘 연구해서 내는 것 같습니다.

  • @user-tn7wk2kx6g
    @user-tn7wk2kx6g 7 місяців тому

    2004년 중순쯤에 국전에서 마리오64 포함 중고기기를 3만원에 구입했었습니다
    싼맛에 별기대 안했었는데 그당시 제가 갖고있던 게임기들중에서 마리오64를 제일 재밌게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ㅋㅋㅋ 그때 게임큐브도 가지고있었는데 말이죠 ....암튼 좋은기억으로 남은 게임기였네요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닌텐도 64를 상대적으로 늦게 구입했고, 싸게 구입했다는 이유로 더 너그러운 눈으로 이 게임기를 보게 된 걸지도 모르겠네요. 그래도, 재밌는 게임들은 상당히 재밌었습니다.

  • @teeth8461
    @teeth8461 7 місяців тому

    최고로 비쌀때 젤다시오와 함께 구매했던 기억이 나네요..
    아..추억 돋습니다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저는 중고를 구입했기에 나름 부담없이 재밌게 즐겼습니다. 롬 카트리지 게임기라는 점이 중고 사는 데에는 큰 부담이 없다는게 참 좋았어요.

  • @Seung_ho_99
    @Seung_ho_99 7 місяців тому +1

    흥망성쇠는 있었지만 결국 지금도 잘 나가는 건 닌텐도와 소니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 두 기업은 중간중간 삽질도 했지만, 다시 귀신같이 살아나는걸 보면 참 대단한 기업인 것 같습니다.

  • @Chorus_man
    @Chorus_man 7 місяців тому

    3:25에 사용된 브금알수있을까용

    • @rattel
      @rattel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반조 카주이의 OST인 Bubblegloop Swamp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