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고등어-Fish 축하드립니다, 스타센스 제품들이 앱지원도 되고해서 재미있게 가지고 놀기 좋으실거에요 ㅎ 달 보는 재미도 당연 크고, 아무래도 행성이나 딥스카이는 안시가 쉽지 않기때문에 달부터 즐겨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번들렌즈들은 퀄리티가 좀 부족하거나 배율종류가 제한되니 추가 구매해보시는것은 괜찮습니다 다만 최대배율에 근접하면 생각보다 상이 많이 떨어지기 시작하는걸 느낄수가 있습니다 구경의 한계이기도 하구요, 고배율에서는 대기의 일렁거림도 훨씬 크게 느껴집니다 80AZ모델이라면 최대 100배율 전후가 무난한걸로 생각합니다만 좀더 높게 시도해보셔도 좋습니다^^
@@ludalee6505 시청과 댓글 감사드립니다. 사실 어떤 목적의 관측을 하실것인가가 중요한데요 (촬영인지, 육안안시인지, 둘다 조금씩 할 것인지) 5인치급 반사망원경이라서 가볍고 저렴한 대신에 구경의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저정도로도 아이피스 배율에 따라서 좀 작더라도 목성 금성 등 행성관측도 충분히 가능하구요, 달은 당연히 기본적으로 관측하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다만 좀 걱정되는것은 반사망원경이 아무래도 광축을 한번씩 맞춰줘야하고 (광축조절용 레이저 콜리메이터도 사야함), 주경도 오염되면 아주 가끔이긴해도 분해세척이 필요할수가 있습니다 초보부터 반사망원경으로 해보시는것도 나쁜것은 아니고, 반사망원경이 구경대비 저렴한것도 사실입니다. 대부분 대구경망원경은 모두 반사망원경이니까요, 같은 금액에 무겁고 구경이 작고 상이 어둡지만 반사망원경보다 관리가 쉬운 (관리란게 거의 없는) 굴절망원경도 추천드립니다 셀레스트론사 제품은 당연히 추천드립니다 천체망원경 전문브랜드이니 최소한의 지킬것은 지키고 제작이 되어있고, 저렴한 보급형부터 고성능까지 다양하게 만들어냅니다 저제품도 괜찮아보입니다만 좀더 여유가 되시면 스타센스 라인업도 함 살펴보세요 스마트폰앱과 연동하여 도입을 쉽게 할수 있어 초보자가 쉽게 천체와 친해지도록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처음 망원경을 접하면 막상 달을 시야에 넣는것조차 제법 어렵거든요 행성은 초보자가 조준조차 어렵습니다 스타센스 제품은 이것을 많이 도와줍니다
@@바두기-u4l 댓글 감사드립니다 초심자로서, 어려운 지식이나 경험, 큰 도구없이 바로 즐기시기에는 구경이 작은 굴절망원경이 무난하실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인터넷 검색에 나오는 아무 제품이나 사진 마시구요, 셀레스트론 travel scope 80 sunphoto.co.kr/m2/goods/view.php?kw=travel&goodsno=9488 이나, 셀레스트론 스타센스 70 sunphoto.co.kr/m2/goods/view.php?kw=starsense&goodsno=7951 추천드립니다. 구경이 더 큰 트래블 스코프 80이 더 집광력이 뛰어나기는 하나, 구경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보니 삼각대 등 만듦새는 다소 조악하고 부족합니다. 백래시가 심해 미동조절도 어렵고 더군다나 천체망원경이 아니라서 접안렌즈로 본 시야가 우리가 보는것과 비슷합니다 (제 기억으로는 좌우만 반전) 스타센스는 천문용으로 나온 제품이어서 상하좌우가 다 반전되어 보이는것으로 알고(광로상에 빛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리즘 사용으로 인함, 이부분이 초심자는 다루기 어렵게 느낄수는 있습니다), 구경은 비슷한 가격에 70미리로 작지만 이정도로도 달이나 목성의 4대 위성들, 토성의 고리 존재정도 관측하기에는 무리가 없습니다. 스마트폰 전용앱도 지원되어 폰을 경통에 장착하면 바로 성도를 보고 도입하도록 잘 설계되어있습니다. 지인에게도 추천한다면 스타센스 제품군을 권할것 같습니다. 좀더 예산을 투자하셔서 100미리급 이상 구경으로 가시면 더 좋기는 한데, 저렴한 것도 수십만원 이상 줘야하니 말씀하신 금액대정도에서는 저정도 제품들 고려해보시고, 나중에 좀더 취미가 깊어지시게 되면 그때 업그레이드 하셔도 됩니다. 저도 쌍안경부터 트래블스코프80 정도로 시작했었거든요. 은하와 같은 어둡고 희미한 딥스카이는 10인치가 훌쩍 넘는 대구경 돕소니안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통은 그정도 집광력 (구경에 비례)이 안되기때문에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처음 접하면 다소 실망하거나 목성도 시야에 넣기 어렵게 느낄수는 있습니다만 연습하면 잘하게 되실겁니다. 달부터 천천히 관측하고 연습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썬포토가 국내에 여러 천문용품을 파는 큰 회사중에 하나이고, 워런티도 해줍니다만 생각외로 AS받을일이 잘은 없습니다 (큰 충격을 받는다던가 습한데 방치한다던가 하지 않는 이상). 그만큼 좀더 비싸기도 해서, 가격이 저렴한 일반 네X버 등 오픈마켓이나, 알X익스프레스 등에서 동일 제품을 찾아보고 사시는것도 선택사항입니다. 다만 워런티가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소구경 굴절망원경은 잘 고장이 나지는 않아서 동일모델 저렴하게 구입하시는 것을 저는 좀더 추천드립니다 :)
@@Byulmung_Lab 와우 정말 감사합니다. ^^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너무감사드려요 ^^ 사실 스타센스70도 보고 있었는데 스타센스80이 더 좋다고 누가 그래서 고민도 하고 있었습니다. 헌데 누군가는 또 70과80은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구요 그냥 70이 무난 할까요?
@@바두기-u4l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처음에 입문할때 의외로 취미의 인구도 적고, 정보를 얻을 곳도 제한적인데다, 질문하면 그것도 모르냐 이런 좀 불친절한 답변하는 분들이 많아서 좀 애먹었습니다^^; 그래서 입문자분들의 답답함을 잘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같은 품질이면 구경이 클수록 좋습니다. 집광력이 좋아서 더 어두운 대상도 볼수 있고, 이에따라 관측가능한 유효배율 및 한계배율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은하, 성운 등 딥스카이 천체관측과는 달리, 소형망원경으로도 관측가능한 태양계 천체들은 굉장히 밝기때문에 집광력 자체는 그다지 중요하진 않습니다 (쌍안경으로만 봐도 보름달은 눈이 아플정도로 눈부십니다, 그래서 망원경은 접안렌즈에 필터를 끼워서 반달 이상-보름달은 좀더 어둡게 만들어서 보기도 합니다). 겉보기 크기가 큰 달이야 워낙 밝고 커서 잘 보이지만, 행성들은 멀어서 굉장히 작습니다. 맨눈으로도 잘보일정도로 밝지만 제법 고배율이어야 목성 토성의 표면 느낌도 느낄수 있기때문에 기왕이면 구경이 큰것이 좋기는 합니다. 70-80미리 구경이면 유효배율이 100배도 되지 않기때문에 사실 좀 아쉽습니다. 아무리 더 고배율을 위한 접안렌즈를 끼우더라도 경통의 한계로 상이 오히려 흐릿해집니다. 말씀드린대로 목성, 토성정도의 큰 행성조차도 목성의 4대위성, 토성의 큰 위성 (타이탄 정도), 행성의 표면의 제일 큰 줄무늬의 존재느낌, 토성의 고리의 존재정도만 느낄수 있을 것이고, 사진으로 보듯 크게 와닿기에는 구경이 부족합니다. 정리를 하면 여력이 되신다면 80미리는 무조건 추천입니다. 가격 크기 무게만 감당가능하다면 경통의 구경은 거거익선입니다. 정밀한 사진촬영에 있어서는 단순히 크기만의 문제는 아니고, 색수차 등을 보정하는 고급 렌즈셀이 들어갔느냐(ED급 이상 렌즈, APO triplet, APO quadreplet..), 내가 원하는 촬영 화각이 얼마냐 (보통 구경이 커지면 초점거리도 길어져서 너무 초점거리가 길면 어둡고 희미하지만 크기는 달보다도 큰 성운을 한화면에 못담아서 못찍기도 합니다) 등을 따져보아야하나, 십중팔구 입문자들은 전문적인 촬영까지 생각하고 시작하지 않습니다. 나중에는 전문적인 촬영을 원하게 되면 구경은 비슷한데도 가격은 몇배이상 비싼 경통을 사게 되구요, 딥스카이 육안 관측을 원하면 대구경 돕소니안 망원경을 사게 됩니다. 금전적으로나 크기 무게 등을 보았을 때, 그리고 육안관측 특성상 색수차 등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관측목적상 소형망원경도 분명 잇점은 있으니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70-80미리도 충분히 나쁘지 않습니다만, 역시 80미리가 더 유리하고, 100미리는 더 좋습니다. 고급렌즈셀이 들어간 고가의 경통 말고 스타센스정도 수준의 경통이면 육안관측은 충분합니다. 큰 가격차이는 아니니 여건이 되신다면 70미리 보다는 80미리를 더 권장할만 하구요, 그것보다도 좀더 투자해서 오래쓸 생각으로 하신다면 스타센스 102모델(초점비 F 6.5)도 좋지만, 더 구경이 크고 가격이 비슷한 초점비 F5.0의 반사망원경 130AZ도 좋아보입니다. 반사망원경 특성상 F값이 더 낮기때문에 더 밝고 구경까지 더 크기때문에 오리온 대성운도 육안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반사망원경은 광축을 조절하는 연습을 조금씩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연구소의 망원경이나 우주망원경은 모두 반사망원경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렌즈를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굴절망원경은 크게 만들기가 어렵고 매우 가격이 상승하며, 무게가 엄청나게 증가하기때문입니다. 나는 좀더 투자여력이 있고 공부하면서 광축도 맞춰가면서 관측하겠다하시면 사실 130AZ같은 반사망원경이 정답입니다. 아니면 나는 맞추고 하기는 귀찮고 편하게 그냥 달 행성정도만 보겠다하시면 70-80, 최대 100정도의 굴절망원경도 괜찮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언제든 필요한 정보가 있으시면 문의주시면 제가 아는선에서 답을 드리겠습니다 :)
@ 와~~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딥스카이 때문에 좀더 큰걸 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자금 사정도 그렇고 아이가 하다가 재미 없어 할 까봐 입문용으로 봐두고 있던 거거든요^^ 헌데 80짜리 실제 촬영 사진을 누가 올렸는데 딥스카이도 아주 자세히는 아니지만 찍은 사진이 있더라구요 일단 자금 사정에 맞춰80으로 결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잘하셨어요, 80구경으로도 전천후로 나쁘지 않으실거에요. 마음만 먹으면 다 둘러매고 어디든 가서 보셔도 됩니다. 천체촬영용 카메라나 적도의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드니, 휴대폰 어포컬로 촬영도 같이 가볍게 해보시고 내가 얼마나 깊이있게 할건지 니즈를 살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즐거운 별생활 되세요
잘 보고갑니다. 좋아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래서 다른 천체 유투버들( 망원경 팔이&광고)이 이걸 얘기 안해줬던거군요. 몇 일간 찾아봤던게 이제서야 딱 정리되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
시청 감사드립니다
역시 촬영이냐 육안관측이냐,
행성 등 고배율이냐 딥스카이냐 등
목적에 따라 종류와 특성이 다르므로
내가 무엇을 하고싶은가가 중요합니다
부족한 영상이지만 도움이 되셨다니 보람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았습니다~
셀레스트론 스타센스 80AZ를 구매했고 아직은 달정도만 안시관측 하는 재미로 놀고있었는데요! 제공된 렌즈보단 조금더 욕심이 생겨서 알리에서 파는 셀레스트론 12mm, 40mm , 2x바로우 렌즈를 구매했습니다!
최대배율이 189배라고 적혀있긴한 제품이지만 150배까지만 본다하면 그래도 너무 일그러지지 않게 밤하늘을 관측할수있겠지요?
@@간고등어-Fish 축하드립니다, 스타센스 제품들이 앱지원도 되고해서 재미있게 가지고 놀기 좋으실거에요 ㅎ
달 보는 재미도 당연 크고, 아무래도 행성이나 딥스카이는 안시가 쉽지 않기때문에 달부터 즐겨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번들렌즈들은 퀄리티가 좀 부족하거나 배율종류가 제한되니 추가 구매해보시는것은 괜찮습니다
다만 최대배율에 근접하면 생각보다 상이 많이 떨어지기 시작하는걸 느낄수가 있습니다
구경의 한계이기도 하구요, 고배율에서는 대기의 일렁거림도 훨씬 크게 느껴집니다
80AZ모델이라면 최대 100배율 전후가 무난한걸로 생각합니다만 좀더 높게 시도해보셔도 좋습니다^^
@@Byulmung_Lab답변 감사드립니다 ㅎ.ㅎ!!! 한번 관측해보고 궁금한점이 생기면 종종 여쭤보러 오겠습니다~~
@ 예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언제든 궁금하신점 아는선에서 답변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완전 초보자인데요, celestron 130EQ 살려고 생각중인데.. 괜찮을까요?? 40만원 안으로 예산을 잡고 있습니다.
@@ludalee6505 시청과 댓글 감사드립니다.
사실 어떤 목적의 관측을 하실것인가가 중요한데요 (촬영인지, 육안안시인지, 둘다 조금씩 할 것인지)
5인치급 반사망원경이라서 가볍고 저렴한 대신에 구경의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저정도로도 아이피스 배율에 따라서 좀 작더라도 목성 금성 등 행성관측도 충분히 가능하구요, 달은 당연히 기본적으로 관측하기에 손색이 없습니다.
다만 좀 걱정되는것은 반사망원경이 아무래도 광축을 한번씩 맞춰줘야하고 (광축조절용 레이저 콜리메이터도 사야함), 주경도 오염되면 아주 가끔이긴해도 분해세척이 필요할수가 있습니다
초보부터 반사망원경으로 해보시는것도 나쁜것은 아니고, 반사망원경이 구경대비 저렴한것도 사실입니다.
대부분 대구경망원경은 모두 반사망원경이니까요,
같은 금액에 무겁고 구경이 작고 상이 어둡지만 반사망원경보다 관리가 쉬운 (관리란게 거의 없는) 굴절망원경도 추천드립니다
셀레스트론사 제품은 당연히 추천드립니다
천체망원경 전문브랜드이니 최소한의 지킬것은 지키고 제작이 되어있고,
저렴한 보급형부터 고성능까지 다양하게 만들어냅니다
저제품도 괜찮아보입니다만 좀더 여유가 되시면 스타센스 라인업도 함 살펴보세요
스마트폰앱과 연동하여 도입을 쉽게 할수 있어 초보자가 쉽게 천체와 친해지도록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처음 망원경을 접하면 막상 달을 시야에 넣는것조차 제법 어렵거든요
행성은 초보자가 조준조차 어렵습니다
스타센스 제품은 이것을 많이 도와줍니다
첫 화면에는 Seestar S50이 있는데 언급이 없네요
@@ktggyn 시청 감사드립니다, 씨스타 S50 영상이 따로 있습니다 :)
스마트 천체망원경 | 모든게 하나에 다 들었습니다 Smart telescope, Seestar S50 | 우주, 별, 별멍 | feat. CLOVA Dubbing
ua-cam.com/video/VgqHRgyCUBg/v-deo.html
@@Byulmung_Lab 감사합니다~
저는 이번에 입문하려고 하는데요 아이를 보여주고 싶어서요 10만원 중후반의 제품 추천좀 해주실수 있을 까요?
@@바두기-u4l 댓글 감사드립니다
초심자로서, 어려운 지식이나 경험, 큰 도구없이 바로 즐기시기에는 구경이 작은 굴절망원경이 무난하실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인터넷 검색에 나오는 아무 제품이나 사진 마시구요,
셀레스트론 travel scope 80
sunphoto.co.kr/m2/goods/view.php?kw=travel&goodsno=9488
이나,
셀레스트론 스타센스 70
sunphoto.co.kr/m2/goods/view.php?kw=starsense&goodsno=7951
추천드립니다.
구경이 더 큰 트래블 스코프 80이 더 집광력이 뛰어나기는 하나, 구경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보니 삼각대 등 만듦새는 다소 조악하고 부족합니다. 백래시가 심해 미동조절도 어렵고 더군다나 천체망원경이 아니라서 접안렌즈로 본 시야가 우리가 보는것과 비슷합니다 (제 기억으로는 좌우만 반전)
스타센스는 천문용으로 나온 제품이어서 상하좌우가 다 반전되어 보이는것으로 알고(광로상에 빛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프리즘 사용으로 인함, 이부분이 초심자는 다루기 어렵게 느낄수는 있습니다), 구경은 비슷한 가격에 70미리로 작지만 이정도로도 달이나 목성의 4대 위성들, 토성의 고리 존재정도 관측하기에는 무리가 없습니다. 스마트폰 전용앱도 지원되어 폰을 경통에 장착하면 바로 성도를 보고 도입하도록 잘 설계되어있습니다.
지인에게도 추천한다면 스타센스 제품군을 권할것 같습니다.
좀더 예산을 투자하셔서 100미리급 이상 구경으로 가시면 더 좋기는 한데, 저렴한 것도 수십만원 이상 줘야하니
말씀하신 금액대정도에서는 저정도 제품들 고려해보시고, 나중에 좀더 취미가 깊어지시게 되면 그때 업그레이드 하셔도 됩니다. 저도 쌍안경부터 트래블스코프80 정도로 시작했었거든요.
은하와 같은 어둡고 희미한 딥스카이는 10인치가 훌쩍 넘는 대구경 돕소니안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통은 그정도 집광력 (구경에 비례)이 안되기때문에 한계는 분명히 있습니다, 처음 접하면 다소 실망하거나 목성도 시야에 넣기 어렵게 느낄수는 있습니다만 연습하면 잘하게 되실겁니다. 달부터 천천히 관측하고 연습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썬포토가 국내에 여러 천문용품을 파는 큰 회사중에 하나이고, 워런티도 해줍니다만 생각외로 AS받을일이 잘은 없습니다 (큰 충격을 받는다던가 습한데 방치한다던가 하지 않는 이상). 그만큼 좀더 비싸기도 해서, 가격이 저렴한 일반 네X버 등 오픈마켓이나, 알X익스프레스 등에서 동일 제품을 찾아보고 사시는것도 선택사항입니다. 다만 워런티가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지만 소구경 굴절망원경은 잘 고장이 나지는 않아서 동일모델 저렴하게 구입하시는 것을 저는 좀더 추천드립니다 :)
@@Byulmung_Lab 와우 정말 감사합니다. ^^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셔서 너무감사드려요 ^^ 사실 스타센스70도 보고 있었는데 스타센스80이 더 좋다고 누가 그래서 고민도 하고 있었습니다. 헌데 누군가는 또 70과80은 별반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구요 그냥 70이 무난 할까요?
@@바두기-u4l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저도 처음에 입문할때 의외로 취미의 인구도 적고, 정보를 얻을 곳도 제한적인데다, 질문하면 그것도 모르냐 이런 좀 불친절한 답변하는 분들이 많아서 좀 애먹었습니다^^; 그래서 입문자분들의 답답함을 잘 알고 있습니다.
당연히 같은 품질이면 구경이 클수록 좋습니다. 집광력이 좋아서 더 어두운 대상도 볼수 있고, 이에따라 관측가능한 유효배율 및 한계배율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은하, 성운 등 딥스카이 천체관측과는 달리, 소형망원경으로도 관측가능한 태양계 천체들은 굉장히 밝기때문에 집광력 자체는 그다지 중요하진 않습니다 (쌍안경으로만 봐도 보름달은 눈이 아플정도로 눈부십니다, 그래서 망원경은 접안렌즈에 필터를 끼워서 반달 이상-보름달은 좀더 어둡게 만들어서 보기도 합니다). 겉보기 크기가 큰 달이야 워낙 밝고 커서 잘 보이지만, 행성들은 멀어서 굉장히 작습니다. 맨눈으로도 잘보일정도로 밝지만 제법 고배율이어야 목성 토성의 표면 느낌도 느낄수 있기때문에 기왕이면 구경이 큰것이 좋기는 합니다. 70-80미리 구경이면 유효배율이 100배도 되지 않기때문에 사실 좀 아쉽습니다. 아무리 더 고배율을 위한 접안렌즈를 끼우더라도 경통의 한계로 상이 오히려 흐릿해집니다. 말씀드린대로 목성, 토성정도의 큰 행성조차도 목성의 4대위성, 토성의 큰 위성 (타이탄 정도), 행성의 표면의 제일 큰 줄무늬의 존재느낌, 토성의 고리의 존재정도만 느낄수 있을 것이고, 사진으로 보듯 크게 와닿기에는 구경이 부족합니다.
정리를 하면
여력이 되신다면 80미리는 무조건 추천입니다. 가격 크기 무게만 감당가능하다면 경통의 구경은 거거익선입니다. 정밀한 사진촬영에 있어서는 단순히 크기만의 문제는 아니고, 색수차 등을 보정하는 고급 렌즈셀이 들어갔느냐(ED급 이상 렌즈, APO triplet, APO quadreplet..), 내가 원하는 촬영 화각이 얼마냐 (보통 구경이 커지면 초점거리도 길어져서 너무 초점거리가 길면 어둡고 희미하지만 크기는 달보다도 큰 성운을 한화면에 못담아서 못찍기도 합니다) 등을 따져보아야하나,
십중팔구 입문자들은 전문적인 촬영까지 생각하고 시작하지 않습니다.
나중에는 전문적인 촬영을 원하게 되면 구경은 비슷한데도 가격은 몇배이상 비싼 경통을 사게 되구요,
딥스카이 육안 관측을 원하면 대구경 돕소니안 망원경을 사게 됩니다.
금전적으로나 크기 무게 등을 보았을 때, 그리고 육안관측 특성상 색수차 등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관측목적상 소형망원경도 분명 잇점은 있으니 시작하는 입장에서는 70-80미리도 충분히 나쁘지 않습니다만, 역시 80미리가 더 유리하고, 100미리는 더 좋습니다.
고급렌즈셀이 들어간 고가의 경통 말고 스타센스정도 수준의 경통이면 육안관측은 충분합니다. 큰 가격차이는 아니니 여건이 되신다면 70미리 보다는 80미리를 더 권장할만 하구요,
그것보다도 좀더 투자해서 오래쓸 생각으로 하신다면 스타센스 102모델(초점비 F 6.5)도 좋지만, 더 구경이 크고 가격이 비슷한 초점비 F5.0의 반사망원경 130AZ도 좋아보입니다. 반사망원경 특성상 F값이 더 낮기때문에 더 밝고 구경까지 더 크기때문에 오리온 대성운도 육안관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반사망원경은 광축을 조절하는 연습을 조금씩 해줘야하는 번거로움은 있지만, 연구소의 망원경이나 우주망원경은 모두 반사망원경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렌즈를 사용해서 빛을 모으는 굴절망원경은 크게 만들기가 어렵고 매우 가격이 상승하며, 무게가 엄청나게 증가하기때문입니다.
나는 좀더 투자여력이 있고 공부하면서 광축도 맞춰가면서 관측하겠다하시면 사실 130AZ같은 반사망원경이 정답입니다. 아니면 나는 맞추고 하기는 귀찮고 편하게 그냥 달 행성정도만 보겠다하시면 70-80, 최대 100정도의 굴절망원경도 괜찮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언제든 필요한 정보가 있으시면 문의주시면 제가 아는선에서 답을 드리겠습니다 :)
@ 와~~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딥스카이 때문에 좀더 큰걸 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자금 사정도 그렇고 아이가 하다가 재미 없어 할 까봐 입문용으로 봐두고 있던 거거든요^^ 헌데 80짜리 실제 촬영 사진을 누가 올렸는데 딥스카이도 아주 자세히는 아니지만 찍은 사진이 있더라구요 일단 자금 사정에 맞춰80으로 결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잘하셨어요, 80구경으로도 전천후로 나쁘지 않으실거에요. 마음만 먹으면 다 둘러매고 어디든 가서 보셔도 됩니다.
천체촬영용 카메라나 적도의는 너무 비용이 많이 드니, 휴대폰 어포컬로 촬영도 같이 가볍게 해보시고 내가 얼마나 깊이있게 할건지 니즈를 살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즐거운 별생활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