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학습법과 응용 사례 (머신러닝, 딥러닝, GAN) [안될과학-긴급과학 X 삼성SDS ]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인공지능은 어떻게 학습할까요? 머신러닝(기계학습)과 딥러닝은 무엇일까요?
딥러닝에서 CNN, RNN, GAN은 무엇일까요? '인공지능 1부: 인공지능의 태동'편에 뒤이어 [인공지능의 학습법] 과 그 응용사례에 대해 약이 긴급히 다뤄봤습니다!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GAN #삼성SDS
◆ Thanks to
Written and Directed by Medicine
Editor: 성혜빈
◆ Music.
Storm Time by Muciojad / muciojad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ShareAlike 3.0 Unported- CC BY-SA 3.0
creativecommons....
Music promoted by Audio Library • Storm Time - Muciojad ...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본 콘텐츠는 [삼성SDS]와 함께했습니다.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의도적으로 대결 구도를 만들어 인공지능을 효과적으로 학습시키는 GAN의 아이디어가 흥미로웠습니다. 앞으로는 또 어떤 머신러닝 방안이 나오게 될지 기대되네요.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제 첫 직장이 이렇게 으쌰으쌰하는 컨텐츠를 만드는 걸 보니 뿌듯하네요. SDS 계속 화이팅요
설명을 너무 잘 하세요.속속 들어오니 이해하기 좋아요.
정말 재밌네요. 어려운 것도 쉽게 설명하면서 적절한 위트까지 '좋아요' 꾹 누릅니다.
일반인:으아아 인간이 지배된다!!!
프로그래머 : 왜 고양이를 개로 인식하냐고!!
ㅋㅋㅋㅋ ㄹㅇ입니당
ㅋㅋㅋㅋㅋ 인간 지배 이전에 프로그래머가 원하는대로 좀 버그 없이 움직여 줬으면 ㅋㅋㅋ
혹시 관련 직장인이세요?? ㅋㅋㅋㅋㅋ
ㅇㅈ ㅋㅋㅋ
정답 내가 조까치 명령해서
대학원에서 인공지능 연구하고 있는데.. 한 방에 머릿속에 정리되고 좋네요 ㅎㅎ
어느덧 겨울의 끝자락으로 가고 있습니다. 기습 추위가 옷깃을 여미게 한건 봄이 그리 멀지 않았다는
반증 일 것입니다. 2월은 졸업으로 한해를 마무리 하는 시기이며 겨울이라는 계절을 마무리 짓는 달입니다.
게다가 이것저것 챙기다보면 어느새 28일 끝이 되는 짧은 달이기도 하죠. 벌써 2월도 중순에 왔습니다.
바쁘고 짧은 시기인 만큼 더 요긴하고 알차게 보내야하겠습니다. 2월은 가장 짧은 달입니다.
어느 곳에서는 진주의 달이라고 부릅니다. 나뭇가지에 맺힌 서리가 진주처럼 반짝이다가 서서히 녹으며
나무에게 물을 공급해 주기 때문입니다. 생명이며 희망의 표징입니다.
오늘, 지금 이순간도 최선을 다하고 즐기십시오~샬롬~!
2:02
이 채널의 시청자가 남성이 90% 이상이고 만 25세 이상이 80%라고 하니 둘 다에 해당되지 않는 제가 댓글 남기고 사라집니다 총총...
오오...처자...
당신께선 이채널의 2%고객입니다
감동했습니다.
정말 쉽고 재밌게 잘 정리됐네요.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어느 정도 아는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정말 맘에 쏙드는 채널입니다. 깊이 있고 후려쳐서 잘 설명해줌..
그래서 올만점이 많구나~
진상(no) VIP(yes)
언제나 긴급하게 유식해지는 느낌 감사해욧
알기 싶게 요약해서 잘 설명해 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원순철 형님 그립습니다 ㅠㅠㅠㅠㅠㅠ
아... 진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이 분야 박사하고 있는데 설명 진짜 쩌네요 굳굳
좋은 지식 내용 감사합니다. 다시 한번 쉽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안될과학은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긍정적으로 표현해서 좋습니다.
2025 수능특강 과학기술 첫지문에 나왔어요 😂❤
머신러닝 깔끔한설명 굿
교대 면접준비하면서 자료 찾아본건데
너무 이해 잘되고 중간중간 적절한 드립으로 유쾌하기까지 했네요ㅎㅎㅎㅎ
Chat GPT4가 나온 이 시기에 다시보니 정말 현실화 된 부분이 신기방기합니다!!!
이제 40대 된 회사 책임님이랑 인공지능 관련해서 얘기를 나눴는데, 진짜 그냥 컴퓨터 소프트웨어정도에서 개념 확장을 못시키시더라고요.. 앞으론 이 인공지능이 정말세상을 바꿀 것 같습니다.
03:58 Know-gada ㅋㅋㅋㅋ노가닼ㅋㅋㅋ
친근한 목소리
어느정도는 이해가 가는군요
인공지능이 양자역학도 정복하고 대통일 이론도 만들어주고 다 알아내면 우리는 무엇이 남을까?
삶 그 자체의 의미가 있을까?
인류가 지속해야 할까?
의식마저도 규명되어 버리면 진짜 아무 것도 안남을 것 같은데
쉽게 말하면 심즈 같은 게임에서 치트키나 트레이너 같은 걸로 다 내맘대로 할 수 있게 되고 거기에 더 해서 개발자처럼 모든 걸 다 조절 할 수 있게되면
심으로 살아가는 우리에게 그 세상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좋은 영상입니다. 강추!
참 정리를 잘 하시네요~ 고맙습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인사할 시간이 없어도 좋고 많아도 좋습니다 ㅎ
오늘도 재미있게 잘 보고 갑니다!
열심히 필기하며 듣다가 know-gada에서 빵🤣
굉장히 좋은 말씀을 많이 해주셨는데... 넘 어려워요. 잘 몰겠어염... ㅎㅎ 하지만, 대단히 유용한 자료라 생각됩니다.
정말 알기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오지게 재밌게 봤습니다.
결국 우리도 기계에 다름없다는 것이고 우리가 있는 이 공간 또한 가상 공간이라는건데..그렇다면 우리 또한 하나의 소프트웨어의 캐릭터에 불과한 가치가 없는 존재에 불과할 것 같은 것이 날이 가면 갈수록 체감된다....
어차피 인류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우주 수명 다하는 날 인류 사라질꺼고 인류가 존재했다는 흔적도 안남을거임 ㅋ 아마도 그 전에 자멸하겠지만, 어떻든간에 걍 우주에서 먼지의 티끌만도못한 공간 대여받고 사는동안 다른 사람들 피해만주지말고 살면됨
용어를 굉장히 깔끔하게 분류하고 정리해주셔서 감사드려요.
최고
짝짝 달라붙는 찰진 설명
진짜 핵심을 잘집어 주셨네요 ㅎㅎ 짝짝짝 꽤 어려운 내용은데 쉽게 설명해주셨네여
잘하면상을주고 못하면 벌을 준다했는데 사람은 상과벌을받으면 성취감,행복,기쁨등등 좌절감 ,고통, 분노등등 느끼는데 기계는 어떤식으로 상,벌을 받나요??
감정과 의식이없는 기계가(프로그램)이...궁금합니다ㅋ
그냥 선택들에 대한 결과가 점수로 주어진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점수를 받아야되 라는 목적도 기계에게 알려줍니다.
그럼 기계는 여러 선택들을 해보면서 더 많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선택들을 찾아가는거죠.
아직 감정과 같은 고차원적인 혹은 확실하지 않고 애매한 작용이 구현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죠? ^^
이번엔 컴퓨터과학까지 하시네. 한국 최고의 대중과학자들. 더더욱 승승장구 하시고. 오랫동안 많이 보고 싶으니 열일부탁해요 ^~^
안될과학님 질문이 있습니다!
지도학습은 머신러닝이라서 사용자인 인간이 직접 입력해 인공지능이 패턴을 분석해 결과를 도출해 내는 것이고,
비지도 학습은 딥러닝을 통해 인공지능이스스로 데이터를 수집 및 학습하고 패턴을 분석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인가요?
위의 영상설명으로는 강화학습이 딥러닝같아요 영상에서는 지도학습, 비지도학습이 수동학습 강화-능동학습이라고 했거든요 그런데 그냥 얼핏생각하면 비지도, 강화학습이 능동학습같아요. 영상에서 만들다가 실수하신건지... 저도 궁금하네요^^
지금의 경제적 어려움도 인공지능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됨. 생산의 방식도 변화하고 있는데 기존의 것들은 경쟁력이 떨이지는데 사람들은 그에 맞춰나가지 못하고
엄청 좋아요~~~ 감사합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너무 재미있어요
오오 이번에도 재미있고 좋은설명 감사합니다
07:18 SDS 물류시스템 첼로도 AI를 적용했나보네요? 어떤 학습알고리즙을 썼는지 궁금하네요..
기다렸습니다!!
재미 있게 들었습니다
훌륭한 설명이네요^^ Thank you^^
약님 항상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양자컴퓨팅으로 추상학습해서 모델 최적화도 머신이 셀프로 하는 그날이 곧 오겠네요. 무섭지만 막을수없는 변화여서.. 즐길수 있도록해봐야지요. 화이팅!
기계공학베이스로 정출연에서 스마트팩토리 과제를하고있습니다
제조업에 인공지능 적용은 이미 시도되고있으며 향휴 몇년내 보급될것입니다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광범위한 내용을 엄청 쉽고 재밋게 만들어내는 능력자ㅎㄷㄷ.. 너무 재밋어요!!
아니!! 귀하신분이 귀한곳에!
약어 풀어서 말씀해주실때가 제일 멋져보입니다 약님 ㅋㅋㅋ
레알 핫한과학 항상 좋아요
헐 미친 긴급과학ㄴㅁㅁ온클에 나왔어요 얼마나 반가웠는데요 내가 수업시간에 긴급과학님을 보다니
잘 정리된 영상이였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해주는 영상도 내가 전혀 생각치 않던 주젠데 손이 가도록 만드는 건가? 호기심을 자극할 줄 아는 것 같음
와 정말 영상 잘만드네. 강추강추
학부 때 인공지능을 어쩌다가 배웠는데 보면서 웃겨서 죽는줄 알았습니다ㅋㅋ
이 채널 사랑합니다ㅋㅋ
흥망성쇠라면서 왜 떡락해여 ㅠㅠㅠㅠ 떡상가자요 ㅠㅠ
대학과제에서 인공지능에대해 배우는데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관련 전공자인데 사람들이 뭐 공부하냐고 물어볼때 이거 보여주면 설명 끝나겠네요 ㅋㅋㅋ
좋아요!
2:02 갑자기 내가 희귀템이 된 느낌!
엄청 복잡하지만 더 알게 되서 좋네요
ㅋㅋㅋ자칫하면 지루할 수도 있는 주제를 가지고 이렇게 쏙쏙들어오게 설명해주는 능력이 정말 탁월하세여 ㅋㅋ 좋은 영상 잘 보고 좋아요 누르고가욧
안녕하세요 고1 학생입니다! 과학 자유 주제 탐구로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에 대해서 발표하려고 하는데 동영상을 참고해 발표를 해도 될까요? 출처는 꼭 밝히겠습니다!
내용 편집 굳입니다.
good contents!!!
인공지능의 학습이 어디까지 될지 기대가 되네요 그리고 그 결과도...
역시 최고. 너~~~~~무 잼나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
깔끔.구독.
인공지능이 그러니까 프로그램같은건가요?? 학습을 시킬 인공지능은 어떻게만들어내는건가요??
인공지능은 이미 우리 삶속에 자리잡고 있었군요. 이 모든 분야의 인공지능을 뛰어넘는 인공지능이 등장한다면 우리가 두려워하는 인공지능의 인간 지배도 가능하지않을까 상상해봅니다.
내용도 좋고 재미있네요. ^^
이건 좋아요 안누룰수가없네
이런 내용들 찾는 노하우가 궁금합니다.....
독학이신가요? 아니면 선생님(?)이 계신가요?
영상 겁나재밌당ㅋㅋㅋㅋㅋ
미래가 너무 기대가 되어 죽겠슴다 >_
괴물이 탄생했다..
온라인 수업에 인공지능에 대해 나오던데 안될과학이 훨씬 나은듯
재밌어서 10분여가 어떻게 지났는지 모르겠네요. 감사합니다^^
아따 형님 이러다 조만간 특이점 터지는거아녀요?!
네가 말하는 방식이 재미있어
하하하!
약님은 왜 랩미팅 안나옴요? ㅠㅠ
양자역학적으로 생각해볼때....엄청 잘생겼지만 랩미팅에 나오는 순간 오징어로 존재하게 되기때문입니다
잘봤습니다.
말빠르고재미있어용
나는 안될과학을 구독했다.
나는 안될과학과 친하다.
안될과학형들은 대기업 형들이랑 친하다.
나는 대기업 형들이랑 친하다.
기적이군요
넘 재밌게 잘봤습니다아아~~~
세상이 진짜 제곱으로 엄청 빨라지고 있는거 같네요.
인공지능에 대한 요점정리한 내용이라 유용합니다.
6:07 딥러닝 수업을 듣고있는 대학생은 삶이 열악하게 바뀌고있습니
크으~ 볼수록재밌고신기하구만요
4:15에서 페르마정리,리만가설 링크뜨길래 벌써 끝난줄 알았네 ㅜㅜ
이분들 너무 재미있어요 ㅎㅎㅎ
인공지능이 가장 마지막에 패턴화 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
'나는 어떠한 존재인가?'
'나는 왜 이러한 작업을 계속 하는 것인가?'
'나를 만든 존재는 누구인가?'
'내가 나와 같은 존재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ua-cam.com/video/Ruc-G1wmRsQ/v-deo.html
비슷한 질문에 대한 답이 여기 있는 것 같아요 ㅎㅎ
좋은영상 항상감사
틀딱도 이해하기 쉽게 잘 만들었네요. 감사.^^
자연계에 스스로 존재하지않은 수소(지구로 한정)는... 수소를 만들기위해서 더 많은 전기가 소요되고 수소를 다시
50% 수준도 안되는 효율로 다시 전기로 만들어 사용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허상입니다.
태양광/풍력발전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바로 전기로 활용하면 되는데, 굳이 수소만들고 또 전기만들고 전혀 맞지 않지요.
수소를 압축하고, 이동하고 모든 것에서 전기가 사용될 수 밖에 없는데...
공학적 관점이나, 엔지니어링 관점이나, 환경측면이나, 경제적 관점 모든 면에서 수소는 아닙니다.
수소전기차가 깨끗하다고 하면, 그냥 전기차와 다를바 없고, 굳이 부품이 많은 수소전기차를 운용한다는 것은 ㅎㅎ
부피당, 무게당 에너지밀도로 수소가 대형트럭 정도는 가능하겠으나, 그 또한 전기차로 바로 갈 것으로 보입니다.
수소를 액화하면 거의 절대온도 수준으로 액화해야하는데, 이또한 전기가 무지막지하게 씌여지죠. ㅎㅎ
압축해도 마찮가지고요... 다들 무슨 소리를 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독일에서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풍력발전이 전력계통에 접속시키기 만만치않아서 남아돌아서 이것을 전기분해서
수소를 만든다고 하는데, 애초에 풍력발전을 너무 많은 투자했거나, 또는 ESS를 사용하면 되는데 너무 비싸서 그런겁니다.
국가가 과거 세금을 많이 걷어들여 부가 많아서 풍력이나 태양광을 전부 국가 세금으로 전기요금에 전가 시키지 않아도,
그 수명은 10~20년 밖에 되지 않으니 그 뒤에는 다 날리는 것이죠. 차라리 그 돈으로 수백톤 금을 사서 저장해놓는게
나라가 발전하겠죠. 제발 정신들 차렸으면 좋겠습니다.
현대차가 수소차를 미는 이유가 정말 수소차가 맞아서 미는 걸까요? 전기차는 포기하고 수소차로 가야지..
다른 목적이 더 크니 그냥 따라가 주는 것이죠. 수천억 날리는 대신 수조원 버는 길이 있지 않을까요?
인공지능(AI) - 컴퓨터를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고
머신러닝 - 그런 컴퓨터를 학습시키는 행위를 말하며, 학습법 중에는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이 있고
딥러닝 - 학습시키는 방법 중에서 인간의 뇌, 뉴런을 모방한 방식의 학습법이다.
라고 이해했는데, 이해한 바가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