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 뉴스] "결혼기념일 새벽 3시 야근" 대기업 팀장 죽음에 '공분' (2023.05.22/MBC뉴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LG #블라인드 #야근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КОМЕНТАРІ • 3,7 тис.

  • @memorino
    @memorino Рік тому +936

    오은영 박사가 말했듯이 사람마다 감정주머니가 다 다르다 내가 힘들고 죽을것 같으면 죽을 만큼 힘든게 맞는거다. 다른사람들은 버티면서 다들 잘만 다니는데 왜 나만 이럴까? 자책하지 말아야한다. 죽을것 같으면 하는데까지 해보고 안되면 나와야 한다. 나중에 건강까지 잃게 되면 모든걸 잃게 된다.

    • @fulloption123
      @fulloption123 Рік тому +24

      근데 건강잃는 줄 모르고 있다가 더 곪아서 알게됨..... 좀 놓고 살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 @hc7062
      @hc7062 Рік тому +4

      좋은말씀감사합니다. 맞는 것 같아요

    • @Goodjazzwithcoffee
      @Goodjazzwithcoffee Рік тому

      명품 쇼핑하는 오은영 박사는 전쟁터를 모름.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 말은 패스.

    • @BBiyak00
      @BBiyak00 Рік тому +7

      진짜 맞는 말씀..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2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니하오유진
    @니하오유진 Рік тому +3812

    정말 책임감 넘치고 유능하신 팀장님이었다고 합니다. 팀장 다신지도 얼마 안되셨구요. 엘지이에서 일부러 나가라고 업무를 과도하게 지시하거나 그런거 아니었으니 고인을 욕되는 말씀은 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진상 조사를 명백히 하여 고인과 유가족들의 원한을 최대한 없애주시기를 바랍니다. 너무 마음이 아프네요... 열심히 살고 책임감을 다하는 분들은 이렇게 아프고 죽어나가고, 정작 윗대가리들은 의전만 잘하거나 의사결정할 감량이 안되니 아랫사람만 주구장창 후두려패며 보고에 재보고에 재재보고.. 분명히 바뀌어야합니다

    • @soundslike82
      @soundslike82 Рік тому +186

      그렇게 유능하시니 거지 같은 회사에서 어떻게 버틸수가 있겠어요 ㅠㅠ 멀쩡한 사람만 죽어나가네요. 저희 회사도 똑똑한 사람들은 다 퇴사했어요. 저도 퇴사각 보고 있습니다.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105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rl5952
      @rl5952 Рік тому +77

      @@soundslike82 회사일은 혼자하는게 아닙니다. 팀장달고 얼마 안되었을때 팀원에게 맡기면서 일을 시키고 진행을 해야하는데 자기 성격에 맞게 꼼꼼하게 하려고 하면 팀원들 그리고 주위사람은 퍼집니다. 그래서 조직생활이라는게 라인도 잘 타야하고 윗사람 샤바샤바도 잘해야함. 나도 그런거 잘 못하지만 해가 가면서 느끼는게 혼자 잘나면 결국 혼자 일하게 되고 자기 파벌 못만듬. 주위에서 아무리 좋은소리 하더라도 팀원들이 느끼기에는 피곤한 사람일 뿐입니다. 그러니 그런거 조절하면서 팀원들 으끌려면 뭔가 하나씩 쥐어줘야하고 분위기 같이 협업하게끔 하는 분위기나 한번씩 너무 처진다고 하면 분위기 전환해서 다른 방식으로 일을 하거나 윗선에 통대매고 새로운거 시도하거나도 해야함. 그래야 눈에띄고 진급하는거라.

    • @푸짐이-l2o
      @푸짐이-l2o Рік тому

      ​@@redarishem 진짜 별걸 다 대통령탓 하네 문때는 기업에서 자살자 없는줄 아나 정치충이 고인 모욕하는거 ㄹㅇ 역겹네

    • @it_c73
      @it_c73 Рік тому +67

      ​@@rl5952 현실인데 너무 가슴이 아프게 들리네요. 혼자 잘나면 결국 혼자 일해야 된다..리얼팩트

  • @mapl-w5s
    @mapl-w5s Рік тому +90

    LGD 6년 다니고 작년에 퇴사했는데 진짜 후회 1도 없음 나도 계속 다녔다면 정신과상담 받았을거같음... 의미없는 숫자놀이 보고문화, 저녁6시에 내일아침에 보고할 자료 만들라는 명령, 임원이 명확하게 말 안하고 원하는 대답 나올때까지 무한 장표보고, 설비 셋업 할때도 인원 공수 줄인다고 가성비로 하라는 임원...덕분에 공장 한층 셋업을 두명이서 하는 아주 멋진 회사, 밤새는 일 많지만 근태에올리면 전화와서 지우라고하는 회사 ㅋㅋ LGD에서 8~90시간 어케 일했는지 지금 생각하면 개끔찍하다

  • @whysolution
    @whysolution Рік тому +88

    뭔가 직장내 괴롭힘도 있었을 것 같음.. 거기 담당급 임원 뭐 없는지도 조사해봐야할듯.. 그리고 본사니까 당연히 L사 특유의 장표 문화가 더 심해서 윗사람이 다시! 다시! 외쳤을거라 워라밸 붕괴+팀장 포지션 압박감 컸을듯.. 저도 예전 헬지 출신이라 겪었어서 공감가고 가슴 아프네요..

  • @낭만일지매-w1t
    @낭만일지매-w1t Рік тому +1811

    일을 그만두는게 어려운 이유
    - 제품 테스트 중 이슈가 있으면 관련 팀원 모두 퇴근을 하기 힘이 듬
    - 이슈가 자신의 임무 또는 우리팀이라면 다른 모든 팀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죄책감이 듬(전체 CC 이메일)
    - 자신을 대신해서 임무를 맡아줄 사람을 구하기 힘들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
    - 퇴사를 한다해도 이직할 수 있는 회사가 대부분 정해져 있고 소문도 빠르게 퍼짐

    • @JK-cj9oe
      @JK-cj9oe Рік тому +158

      처자식이 제일 크죠... 그래서 우린 결혼을 안하고. 출산을 안하고.

    • @Iliillliiilill
      @Iliillliiilill Рік тому +139

      사실 아무리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가 많아도, 아무리 따져봐도 자기 목숨만큼 중요한 건 없잖아요. 저 정도로 힘들다면 진작에 그만두었어야 하는 건데 아마 우울증을 오래 앓고 계셨겠죠..ㅠ 기업문화도 바뀌어야 하겠지만 사회구조적인 문제도 있고 참 복잡하네요

    • @이웃집병아리
      @이웃집병아리 Рік тому +20

      해외로 가는 것이 유일한 출구

    • @옳은말만하는사람
      @옳은말만하는사람 Рік тому +48

      그니까 자살하기전에 쪼아대는 상사를 죽이고 자살하면 팀원들이 더 좋아했을텐데 아쉽긴함..

    • @God.bless.you..
      @God.bless.you.. Рік тому +71

      ❗윤석열 의 120시간의 노동설을 듣고도 뽑은 당신들의 책임입니다.

  • @user-dh9yi8ng9e
    @user-dh9yi8ng9e Рік тому +101

    저도 기본 주말 근무에 첫차타고 퇴근해서 씻고 바로 출근하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바닥이 좁은 업계라 어딜가도 똑같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하고 싶은 일이고, 노력해서 취업한 곳이라 샤워하다 현기증이 나서 쓰러질 정도로 고되어있었으나 이런 이유로 쉽게 퇴사를 결정하지 못했었습니다.
    도저히 못 버티겠어서 큰 맘먹고 퇴사는 했으나 그때 생긴 우울증으로 무기력함에 이력서 하나 쓰기조차 쉽지 않아요. 생계 유지를 위해선 돈을 벌어야하는데 이미 지칠대로 지친 상태에서 재취업을 준비한다는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닙니다.
    회사가 힘든데 퇴사를 왜 안하냐, 는 말이 쉽게 나온다면 본인이 겪어보지 않았기에 할 수 있는 안일한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상황 생각 안하고 퇴사하면, 내 커리어, 경력, 재취업은 누가 보장해주는데요? 상대방 인생에 보태준 거 하나 없으면서 굳이 안해도 될 말은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1인에게 과도한 업무를 맡긴 시스템을 탓해야지, 왜 회사로부터 인생을 포기하고 도망칠만큼 힘들었던 고인을 탓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sophie7013
      @sophie7013 Рік тому

      한국회사는 다 그모양입니다 탈조선만이 답이예요 물론 탈조선해서도 한국회사는 절대 가면 안됩니다

    • @karlsilberstein
      @karlsilberstein Рік тому

      ​@@sophie7013 탈조선하려고 해도 외국어와 이민조건이 충족되야하고 문화적 이질감도 극복해야해서 쉽지는 않습니다
      철두철미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안하느니만도 못한게 이민입니다

    • @양대현-j7x
      @양대현-j7x Рік тому

      다들 직장생활에 힘드시군요
      저도 요새 회사 내부사정과 과도한 업무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저도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어 제 스스로가 지쳐가는게 너무 느껴집니다. 작성자분도 다시 힘내시구 건강 회복하셔서 좋은 곳에 재취업하시기를 바라봅니다

  • @HowmuchMangGo
    @HowmuchMangGo Рік тому +3217

    현대자동차 제네시스 디자인팀장분도 그렇고 엘지 디스플레이팀장분도 그렇고 직위도있고 부하직원들도 있을텐데 얼마나 위에서 쪼아댔으면 그책임을 못이겨 자살을할까... 고인의 명복을빕니다

    • @JjJj-cj1bh
      @JjJj-cj1bh Рік тому +34

      어느 사회나 경쟁은 있죠... 사람마다 틀리니.... 가슴이 아프네여..

    • @hope-sx4ot
      @hope-sx4ot Рік тому +169

      모든 회사직급중에 제일 빡센자리가 팀장 부장 자리입니다. 직원들 관리책임 위에서 내려오는 지시 관리책임.

    • @끈기와의지
      @끈기와의지 Рік тому

      너는 근데 말하는 싸가지가 부하가 뭐냐 ㅋㅋㅋㅋㅋㅋㅋ그딴 어휘를 쓰는거 보니깐 너도 안타깝다.미래가 보이지만 말이다.

    • @Beje-M
      @Beje-M Рік тому +53

      나같으면 다른일 찾았어 죽긴 왜 죽어
      만약에 내가 시골로 가겠다고 했는데
      부인이 극구 반대 했다면... 글쎄
      그때는 퐁퐁남이었...어후... 어.. 너무 싫어...
      뭐 그래도 죽는 것보단 낫잖아 !!
      나같으면 내가 하고 싶은걸 하고 살았을꺼야

    • @GAP-314
      @GAP-314 Рік тому +2

      ​@@Beje-M 낫

  • @김효영-x1r
    @김효영-x1r Рік тому +112

    lg만의 일이 아닐꺼다. 한해 한해 건강검진표에 재검진 항목이 늘어가는거 보고 대기업 다니던 남편 그만두게 했다.(나는 전업주부) 소모품 정도로 생각하는 회사에 생명을 걸 필요는 없어보였다. 회사 다니면서는 도대체 미래를 생각할 시간도 없다. 대책 없이 그만뒀지만 또 그런대로 방법은 있더라. '우리아들 대기업다녀. 우리 사위 대기업다녀' 이런말 할 수 없게 된 것만 빼면 대만족이다. 1년만에 건강검진 모든 항목이 정상범위에 들어왔다. 그거 보면서 '아.. 남편 건강을 갈아 넣어 월급을 받았었구나' 싶어 울컥. 돌아가신분의 심정이 어땠을지.. 가족을 등지고 갈 만큼 힘들었을거다. 편히 쉬시길.

    • @Sarangchongman
      @Sarangchongman Рік тому +9

      가족은 특히 배우자라면 응당 이래야하지 않을까요? 남편 분이 배우자 복이 있으시네요😊

    • @강철-n2v
      @강철-n2v Рік тому +11

      지혜로우십니다.
      저 역시 직장과 돈은. 삶과 행복을 위한 수단일 뿐. 결코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없다 생각합니다.

    • @followTeslawithbros
      @followTeslawithbros Рік тому +8

      현명한 와이프분이시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하시느하시는일 잘되시길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유리몸-o1q
      @유리몸-o1q Рік тому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답은 이미 정해져 있는거죠. 맞고 틀리고가 중요한게 아닌 자기가 원해는걸 기다리는거고 만약 그게 잘못되었다 하면 꼬리자르기 할거고. 뭐 등등 정치쪽이지 않을까요

  • @행복을찾아서-c9l
    @행복을찾아서-c9l Рік тому +439

    저도 LG디스플레이 여의도 트윈 본사 작년까지 다니다가 야근에 폭언 갑질.. 수년간 견디다가 도저히 못버티겠어서 퇴사했습니다. 우울증 증상 생기고 하루하루가 끔찍하고 내가 너무 불행하다는 생각밖에 없었어요 고인이 되신 팀장님 마음 너무 이해갑니다. 제 주변 엘지디 전,현직분들 모두 다 이번 사건 크게 공감하고 슬퍼하며 탈출만 생각하고 있네요.

    • @용이-g1l
      @용이-g1l Рік тому +9

      너무 고생많으셨어요...

    • @조민형-b5q
      @조민형-b5q Рік тому +2

      꼭 하세요 탈출 다른곳은 다른줄 아세요 더 지옥입니다 제발 퇴사하세요 다른 사람 입사 하게요

    • @조민형-b5q
      @조민형-b5q Рік тому +2

      삼성 현대 다니는분에게 물어보세요 천국인가 거기는

    • @조민형-b5q
      @조민형-b5q Рік тому +5

      몸관리는 회사에서 않해줘요 본인이 하는거죠 회사문화 또한 본인 이 바꾸려고 노력해야지 지나가는 사람이 안해 줘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행복을찾아서-c9l
      @행복을찾아서-c9l Рік тому +33

      @@조민형-b5q 탈출한 사람들 중 삼성현대 간 동료들 이전 대비 아주 잘 지내고 있다고 하니 걱정 안 해 주셔도 됩니다^^; 그리고 그들의 빈자리를 새로 채운 신입/경력들도 얼마 못버티고 나가네요.

  • @Dododohh__
    @Dododohh__ Рік тому +1248

    공무원이나 대기업 직원들이 과중한 업무로 시달려서 결국엔 자살하고 그런걸 보면서 사람들은 누칼협이라고 하지만 힘들게 들어간 직장이고 그만두는게 그렇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본인 일 아니라고 그렇게 함부로 말씀하지들 마시길

    • @CrayonPop2
      @CrayonPop2 Рік тому +64

      누칼협 맞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면 때려치고 나올줄도 알아야지
      대기업 좋은직장 다니는거 엄청 좋은데요
      죽는것보다 그만두는게 훨씬 더 낫습니다
      회사 짤리면 인생 끝나는줄 아는데, 그런거 누가 정해놓은거 아닙니다

    • @Dododohh__
      @Dododohh__ Рік тому +225

      @@CrayonPop2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그만두면 되지 왜 극단적인 선택을 할까. 하지만 본인 일이 아니면 누칼협이라고 표현하면서 조롱할 필요는 없다는겁니다

    • @Mahs12
      @Mahs12 Рік тому +202

      나는 누칼협이 제일 나쁜거라봄 왜냐면 다들 그렇게 누컬협외치면서 회사 그만두면 어디다닐라고 그럼 ㅋ? 넷상에서나 니가 능력이부족해서~이러는데 사실상 능력좋은건 상위10프로고 나머진 다 거기서 거긴데 ㅋㅋㅋㅋㅋ

    •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Рік тому +180

      누칼협충들 특) 정작 지가 그상황 처하면 말 싹바꿈 ㅋㅋㅋ

    • @렏벨밥바나나
      @렏벨밥바나나 Рік тому +189

      누칼협ㅡ이 단어 진짜 피해자 전용 조롱어임. .
      전세 피해자든 회사 과업무 피해자든 댓글마다 누칼협 거리는 것들 있는데, 싸이코 패스가 아닐 수 없다;;
      누가 만들었냐 저 단어
      그리고 맨밑에 댓글, 자기 상황되면 절대 쿨하지 못하면서 누칼협 거린다는 말 ㅆㅇㅈ

  • @보물찾기-k1n
    @보물찾기-k1n Рік тому +138

    LG전자 다니고 있는데 진짜 쓸데없는 보고가 많고 윗사람들이 의사 결정을 못내리거나 그런 능력이 없어 쓸데없는 보고만 늘어남… 회장부터가 그런 능력이 없는데 그 밑에 임원들은 어떨까..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3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1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티라노댄스
      @티라노댄스 Рік тому +2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능력없으니까 돈 개같이 때려박고 휴대폰사업 접었자나 ㅋㅋㅋㅋㅋ

    • @보물찾기-k1n
      @보물찾기-k1n Рік тому +1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기본적으로 임원들이 지시만 하고 결정을 안합니다. 그러니까 보고서만 계속 올리죠..

    • @khp3300
      @khp3300 Рік тому

      ​@Gye Goo 걔네들이 천재일수도 있지만 보통 킹메이커와 보좌하는 능력자들이 있고 또 이미 대규모 집단화 된 조직은 아랫것들 희생으로 윗대가리가 능력없어도 잘굴러가는 경우가 있음 조직이 크니까 쓸데 없는 일을 위한 일로 개개인이 10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데 1밖에 못낸다해도 큰조직원을 다합치면 상당한 능력이 되니 그런거임

  • @g_e8727
    @g_e8727 Рік тому +12

    저희 남편도 최근들어 상사의 심한 가스라이팅과 일에 대한 스트레스로 이직생각하며 정말 힘들게 일다니고 있는데 정말 남일 같지 않아서 화나네요 😢
    회사에서의 야근 등 업무 누적에 대한 스트레스와 상사의 심한 욕설과 가스라이팅을 겪으면서
    남편의 힘듦과 어려움이 고스란히 저희 가정에도 영향이 오는데..
    이 일로 우리나라의 야근+(음주)회식 문화도 변하면 좋겠고 불만이나 어려움을 건의하거마 말하면 따돌림을 시키거나 더 궁지에 몰고 가는 어처구니가 없는 이런 문제점이 정말 개선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다이브-v7n
    @다이브-v7n Рік тому +251

    단순히 야근 때문에 저러겠나? 윗 놈들이 얼마나 사람 모멸감, 멸시 주고 괴롭히면 저러겠냐 이거야 이번 기회에 관련자들 싸그리 실형으로 엄벌에 처해야 한다

    • @n_i_a_j
      @n_i_a_j Рік тому +47

      이게 핵심인게, 본인이 일은 진짜 좋아해서 야근까지 하면 사실 몸은 힘들긴한데 나중을 생각하면 솔까 뿌듯해서 얼마 없는 수면시간도 개꿀잠을 자버림. 상사도 그렇게 압박 주는것도 별로 없고 팀원들도 크게 이슈없이 굴러가는 환경이면 야근 많아도 그렇게 안 힘들걸... 저건 분명 정신적인 고통이 신체적 고통을 넘어서서 그런거다.

    • @유잭슨-x9q
      @유잭슨-x9q Рік тому +1

      이게 맞다

    • @PainsMatrix
      @PainsMatrix Рік тому +1

      @@n_i_a_j 자기가 원해서 하는 야근과 시켜서 하는 야근. 몸의 피로도는 물론 결과물도 차이가 나죠....

    • @Sewdh23tgffh
      @Sewdh23tgffh Рік тому

      윤석열 야근 정책은 잘못 없구 상급자만 잡아서 책임 물고 끝??
      그럼해결돼냐??
      물타기하네 얘들 !!!
      그럼 야근 과로로 죽은 사람들 또 생겨나라고
      야근이 거절할수있냐 직장 바꿔서 또 실업자돼고 직장구하는게 얼마나 가장으로써 힘든지 아냐
      사회문제를 개인 회사 책임 물지??
      국가는 책임 없냐

    • @Sewdh23tgffh
      @Sewdh23tgffh Рік тому +1

      ​@@유잭슨-x9q회사상급자 조직문화도 문제지만 야근 노동문화정책 활성화시킨 국가도 잘못이지

  • @davidianain
    @davidianain Рік тому +169

    가슴이 너무 아프다! 가족을 위해서 끝까지 포기 하지 않고 그 많은 스트레스와 압박을 견디면서 아버지라는 단어의 무게감이 얼마나 컸을까??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fouryoungs7714
    @fouryoungs7714 Рік тому +74

    우리 가족도 새벽2,3시는 기본에 주말에도 나가서 일합니다. 정말 가족들까지 피가 마릅니다. 이런 문화가 없어졌음 좋겠습니다. 일이 많음 사람을 더 뽑아야 하는데 적은 인원으로 일을 그리 시키니 세상에 이게 말이 되냐구요

  • @youngjulee1295
    @youngjulee1295 Рік тому +723

    LG 디스플레이 사장 밑에 있는 핵심 부서들 몇년전부터 계속 밤샘 야근에 주말근무 일찍 퇴근하면 10시 12시.. 진짜 사람 죽어나가야 그만두냐며 친구랑 농담 삼아 이야기했는데..너무 안타깝네요~
    새벽 2시 40분에 업무 지시 했다던데.. 저기 진짜 문제 있어요.
    철저히 조사 해야됩니다.
    진급 안시키고 짜르려고 저러는거 아니에요..신입은 들어오면 바로 그만둔다더라구요 못 버티고..
    주 근로시간 제한있을때도 그딴거 신경안쓰고 밤샘 야근 몇일씩 시키고 했어요.. 물론 야근수당 많이 받지만 자의적으로 하는것도 아니고 하기싫다고 빠질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더군요~ 돌아가신 팀장님 윗분도 쓰러지셨다는데., 사람을 극한으로 몰아넣고 있는듯 했어요

    • @soundslike82
      @soundslike82 Рік тому +29

      근로기준이 약화되니 진짜 엉망진창이 되네요. 근로시간 줄이면 나라가 망할것처럼 굴더니…꼴좋네요.

    • @youngjulee1295
      @youngjulee1295 Рік тому +92

      ​@@soundslike82 저 엘지디스플레이는 근로시간 약화되기전부터 꾸준히 야근 주말근무 계~속 시켰어요.
      요즘 세상에 중소기업 하물며 알바도 저렇게 혹사 당하는곳 없겠다 할만큼 야근시키더군요..
      물론 전 부서가 다 그런건 아니고 몇몇 부서가 살인적인 야근 및 업무 시켜요

    • @누칼협-l7n
      @누칼협-l7n Рік тому +27

      야근수당이요? 포괄임금제라 그런거 없을건데요 ㅋㅋ 주말출근해야 특근수당으로 제법 돈이 나옵니다. 그리고 평일야근은.. 지원1,2 라는 이름으로 명목상 택시비 꼴랑 찔끔 쥐어주는게 답니다.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10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hfirm6872
      @hfirm6872 Рік тому

      돈 많이주잖아 윗사람 없어져야 취준생들이 편하지 엘지 디스플레이면 공대생들 선망하는 회사인데

  • @sunrisemr.5403
    @sunrisemr.5403 Рік тому +528

    LGD 12년도 퇴사자 인데 조직문화 개떡 같아서 퇴사했는데 아직도 그때같은 상황이 있다는것에 놀랍고 다시한번 그때 퇴사한게 100번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19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7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sunrisemr.5403
      @sunrisemr.5403 Рік тому +21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실제로 위에서부터 내려오는 지침이나 방침 , 현장에서의 안전수칙 의무사항 직원들간의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것들은 계속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간? 정도 해당하는 관리자 또는 책임자들이 그것을 묵과하고 지시 및 이행 해하지않으면 안되는 상명하복 관계의 부분과, 조직문화개선을 위한 설문에는 선임급 관리자가 대리 작성제출이 허다했습니다.
      윗사람이라고 하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만 , 재직당시 7~10년차 회사에선 한창 업무적 능률이 좋은 년차수 들이 말도 안되는 조직문화를 고착화 시키는게 큰 문제였던것 같네요 ~ 회장까지 언급할 필요도 없지요..

    • @나는내로남불의민족
      @나는내로남불의민족 Рік тому

      역시 바뀌지않는 바뀌지않을 헬조센

    • @ddin_mu
      @ddin_mu Рік тому +5

      ​@@hsu0l1206 3등아닌가요

  • @ljm7985
    @ljm7985 Рік тому +19

    어떤 마음으로 버텼을지 그리고 그 버팀의 끝에선 얼마나 절망스러웠을지 생각하니 너무 맘이 아프네요.. 부디 남은 가족이 잘 추스리길 바랍니다

  • @RR-xh2xz
    @RR-xh2xz Рік тому +473

    그냐 관두면 된다고 쉽게 이야기 하지만 당사자가 느끼기에 사회적 위치 가족이 바라보는 시선 등을 생각 하면 어려웠겠지
    나이가 들어서 사람이 변하지 않는 것 처럼 스스로 그 얇은 막을 깨고 나오기도 힘듬.

    • @Kim-of9zy
      @Kim-of9zy Рік тому +20

      가족앞에서 자살할 용기는 있고 새로운 삶 살 용기는 없다는건 비겁한 겁쟁이일뿐. 당장 힘들어지겠지만 가족이면 다같이 안고 갈 작은 고난 정도임.

    • @RR-xh2xz
      @RR-xh2xz Рік тому +43

      ​@@Kim-of9zy 뉴스 내용에서 당사자는 범죄자가 아니고 성실한 직장인인데? 내일 아니라고 쉽게 이야기 하는 건 겁나 쉬움

    • @lomi3295
      @lomi3295 Рік тому +1

      @@Kim-of9zy 어휴 저 사람 범죄자 취급 하네 너 같은 하찮은 인생도 이리 덧글 다는데 나도 너를 쉽게 평가 해본다

    • @하헤호-m6o
      @하헤호-m6o Рік тому +5

      ​@@lomi3295 자기랑 생각하는 관점다르다고 함부로 남인생 판단하는 수준 잘봤습니다.

    • @lomi3295
      @lomi3295 Рік тому

      @@하헤호-m6o ??

  • @finalfestival4673
    @finalfestival4673 Рік тому +1140

    일을 그만두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죠......일단 벗어날 수 없다는 절망감이 전제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노예 생활을 하다 보면
    (그리고 가족들에게조차.....자신의 아픔을 나눌 수 없다면.......그들 모두 자신을 의지하고 있을 것이기에...)
    죽음을 생각할 정도로 힘들어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조영실-i2s
      @조영실-i2s Рік тому +8

      죽는거보다 그만두는게 힘들다구요?

    • @LibertyBT
      @LibertyBT Рік тому +55

      ​@@조영실-i2s 부양가족에 현실적으로 대출빚도 남아계실거고 쉽겠습니까... 이시대에 모든 가장들의 공통의 짐이라 모르실리가

    • @Chocolate_Macaron
      @Chocolate_Macaron Рік тому

      ​@@조영실-i2s 환경에 따라 다 다름

    • @O.R.T
      @O.R.T Рік тому +2

      한 쪽은 잘리기 싫어서 고생이고 한 쪽은 그만 못 두게 해서 고생이고

    • @minsnal
      @minsnal Рік тому +6

      힘들면 퇴사후 이직하는게 죽는거보다 쉽고 정상적인 행동입니다.

  • @오름이-t1s
    @오름이-t1s Рік тому +11

    전 버스기사인데요
    최근에 몸과 맘에 충격을 많이 받아서
    머리가 흰머리가 눈에 띨정도로 늘었습니다
    혼자있을때 자주울고요.
    그러다가 돈도없는데
    중고차 한대 850에 세금포함해서
    1050주고샀어요
    선루프있는 소형 suv차박하고
    미니여행하고싶어서요
    집대출이자 생활비땜에
    그만두지못하지만
    저 자신을위해 투자할려고요
    저도 살아야하니까요

    • @hohan4433
      @hohan4433 9 місяців тому

      넘 힘들게 고생하신거에요 ㅠㅠ 지금 행복하고 편안하게 사는것에만 집중하세요
      늘 안전하게 버스 태워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사님

  • @camijosh7028
    @camijosh7028 Рік тому +659

    10년 전에 대리까지 달고 퇴사한 사람입니다.
    조직문화.. 말해야 뭐하나요. 여전히 그 밥에 그 나물인 것 같네요.
    안 힘든 조직 어딨겠냐마는 팀장까지 가셨으면 정치질에 고과 평가에 시달리셨을텐데.
    조금만 내려놓으시지… 너무 회사 안에서 책임을 다 하려다 다른 생각 못 하시고 저리 되신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유족분들.. 힘드시겠지만 금방 기운차리시기를 바라봅니다.

    • @user-yongoo
      @user-yongoo Рік тому +32

      lg그룹 전체를 다 본건 아니지만
      lg는 조직문화가 무언가 개판이긴함...더러운 악습같은

    • @jungws1910
      @jungws1910 Рік тому +1

      @@user-yongoo 어떤 면에서 개판이죠? LG화학 연구직쪽 아는 사람들은 엘무원 소리 들으면서 되게 즐겁게 다니던데, 연구직과 영업쪽 많이 다른가요..

    • @ふゆしぐれ
      @ふゆしぐれ Рік тому +22

      @@jungws1910 엘지 헬지라는 말 많던데.. 학교 선배님들도 엘지는 대기업 중에 좀 기피하시는 분들 많으심

    • @wldnjs9402
      @wldnjs9402 Рік тому +7

      너무 슬프다ㅠ 퇴사하고 다른일 찾으시지ㅠㅠ 대기업 다니는데 뭐가 아쉽냐는 주변시선과 가족부양할 생각으로 내려놓기도 많이 힘드셨겠죠..?
      우울증이라는게 참 그렇다네요
      논리적인 생각, 현실을 이겨낼 방법보다 다 내려놓는 선택을 하게되는...

    • @doomslayer-gi6sp
      @doomslayer-gi6sp Рік тому +3

      울사촌누나 형부도 대기업다니다가
      지금은 개인회사 차려서 생활중입니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Рік тому +749

    참 마음 아프다..... 다들 잘 살려고 하는건데 이런 일들 발생하고....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qidjdn
      @qidjdn Рік тому

      다들 높은 직위를 시기하고 질투하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에서 국회의원, 재벌3세(경영참가X)정도 제외하고는 위로 쪼이고 아래로부터 스트레스 받죠.
      요즘 아이들의 마인드면 진짜 공무원이 적절함

    • @BOX-w2y
      @BOX-w2y Рік тому

      원시시대나 지금이나 진급하기 위해 과로사는 늘 있던것 이게 조직의 문제인것 같지만 원시시대때는 진급하려 더 위험하게 사냥하다 과로 과실로 가고 지금은 진급하려 더 실적부풀리려다 가는것일뿐 다 개개인의 문제가 모여 조직의 문제가 된것이지 조직의 문제가 개개인의 문제처럼 보이는것

    • @FIXMEBABI
      @FIXMEBABI Рік тому

      @@GyeGoo 0.01퍼는 씹ㅋㅋ오바쫌 싸지마라ㅋㅋㅋㅋㅋ우리나라 1프로부자정도되면 빛빼고 평균 30억정도되는데 집값포함하더라고 살만하지ㅋㅋㅋ0.01퍼면 ㅅㅂ 수백억대 자산가란다ㅋㅋㅋ

    • @qidjdn
      @qidjdn Рік тому

      @Gye Goo 책임을 못 지는 사람들은 공무원 하는게 맞음. 요즘 애들 맨날 워라벨, 고연봉 요구하는데 그만한 대우를 해주면 그만한 책임을 져야함. 책임은 안 지고 권리만 얻을려는 경우가 너무 많아

  • @keiko_suda_jp
    @keiko_suda_jp Рік тому +3

    무능하고 소심해서 수십 수백의 쓸데없는 보고서만 끝없이 요구하는 의사결정 능력 없는 사장 및 임원들… 책임 지고 사퇴하세요. 당신들의 무능함때문에 아까운 젊은이 목숨이 희생되었습니다. 보고서 작성시켜 수백번 수정시키고 윗사람의 예상질문까지 미리 다 예상하고 작성하게 합니다. 보고 들어간 임원이 ceo 앞에서 제대로 대답못하면 아래 사람들에게 화 풀고 난리… ㅁㅊ문화

  • @아카풀코
    @아카풀코 Рік тому +559

    너무 너무 가슴이 아프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CriticalBera
    @CriticalBera Рік тому +68

    디스플레이쪽은 진짜 문제임. 외주업무로 거기 가서 몇달간 오후 8시부터 작업했는데 새벽1시 마칠때까지 계속 야근하고 진짜..이사람들은 언제 퇴근하고 언제 출근하나 싶을정도였는데 결국 이 사단이 났군ㅠ...

  • @선정인-g8h
    @선정인-g8h Рік тому +9

    우리 애도 lg 다니는데 가슴아프네요 내 자식에 고충도 걱정되고 부디 다음 생엔 좋은 데서태어나길

  • @heartisplastic
    @heartisplastic Рік тому +631

    우리나라 회사 문화 자체가 비정상이에요. 진짜 제정신이 아님. 저도 몇년 전 맨날 야근이 팽배하던 업계에서 매일 빠르면 9-10시, 늦으면 새벽, 어쩌다 회사에서 밤새고 집에서 샤워만 하고 오는 경우도 있었는데, 그 와중에 회식은 또 오지게 하고 술도 맥임ㅋㅋ 포괄임금제라 노예처럼 일해도 야근 수당도 안 나옴. 진짜 죽을 것 같아서 퇴사했는데 이직해도 같은 업계라 하는 짓이 똑같음ㅋㅋ 답이 없어요. 나라 자체에서 포괄임금제 없애고 시간 오버되면 돈 따박따박 주고 어기면 벌금 때리고 규정을 세게 내려야지 안 그러면 이 나라 거지같은 직장문화 안 바뀌어요.

    • @skuu5361
      @skuu5361 Рік тому +10

      하는짓이똑같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7

      근데 미국은 성과주의라서 출근 시간도 마음대로 퇴근 시간도 마음대로. 그대신 프로젝트 맡은바에는 성실히 결과물을 내야하기에 밤새우는 친구들도 많아요. 실리콘 밸리쪽이 그렇고 그런데 컨설팅 펌도 장난 아니죠
      그리고 가장 다른 점은 해고 문화. 미국은 진짜 실제로 그냥 그날 바로 짤라버리더라구요…. 미국도 만만치 않아요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2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혜성-k5j
      @혜성-k5j Рік тому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ㅃㅂ

    • @chanran2574
      @chanran2574 Рік тому +8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미국은 일한만큼 그 만한 댓가를 주죠
      우리나라 대기업 임원자리랑 미국 대기업 자리 나면 다들 미국 대기업가는것만 봐도 알수 있음
      같은 업무, 둘다 먹고살려 하는거여도 업무를 자발적으로 하는것과 수동적으로 하는것은 스트레스 양이 다르죠

  • @better.k771
    @better.k771 Рік тому +275

    LG 보고문화는 정말 끔찍하다. 단순 보고업무량이 많다 이런게 아니라 윗사람의 기분과 인성에 따라 수정, 또 수정, 또또 수정...그 과정에서 인격적인 공격은 필수라서 사람을 미치게 만듦. 그 과정에서 용기내서 부당함을 얘기하면 능력없고 책임감없는 구성원으로 전락+동료들에게 피해주는 사람으로 가스라이팅함. 본인은 지금 LG생건다니고 있습니다. 정말 끔찍해...나도 임원한테 숱하게 인신공격당했어 감히 내 말에 거역해 이런 말을 아직도 쓰는 조직임

    • @fghhjj359
      @fghhjj359 Рік тому +27

      공무원하고 똑같네요 하... 사기업 공직 전부 이 나라 조직문화는 썩었음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1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인간적인 공격이 무슨뜻일까요?

    • @youbang2
      @youbang2 Рік тому

      저도생건인데 마찬가지아닌가요...?

    • @youbang2
      @youbang2 Рік тому

      내용을잘못이해했었네요.. 공감합니다~

    • @greenthumbk
      @greenthumbk Рік тому

      공기업인가? 공기업의 완벽한 루틴인디...

  • @sk-iy7we
    @sk-iy7we Рік тому +3

    한국조직문화 뿌리부터 뽑아야됨. 정치질 잘하는새기랑 일잘해서 매출에 기여하는새기랑 인사고과보면 차이가없음. 일잘하는게 무기인사람은 미친듯이 본인갈아대는데 정치잘하는놈은 업무한답시고 임원회식 시다바리하러감. 이게 동일고과가 말이되냐?
    저 팀장도 본인이 빠지면 프로젝트가 어그러지게 생겨서 결혼기념일 새벽3시까지 버틴걸꺼다. 저런 대체불가능한 인재는, 갈아야지 회사가 살려면. 대신 성과급으로 2억쯤 줘야 바람직하다. 임원진 밑에서 엉덩이빠는 새기들은 임원들 회사다니기 즐겁게만드는 기쁨조 아니냐고? 걔네보다 저런사람 한명 한명 챙기고 갈더라도 돈으로 보상해주는게 훨씬 득된다는거 왜 모름? 알면서도 모르는척 하는거 아닐까?

  • @아카디아-q6v
    @아카디아-q6v Рік тому +70

    대기업 : 40전에 임원 안될 직원은 짜름, 그걸 아는 직원들도 40전까지 최대한 이득 챙기고 나갈 준비함, 그걸 안 기업은 일 존나 시킴
    중소기업 : 열정 페이 시대 사장이 즐비함, 탕비실 컵라면 채워 놓는게 복지라고 생각, 풀 알바보다 조금 더 나은 급여, 대신 의무는 알바랑은 차원이 다름
    공무원 : 철밥통이라 한때 인기,쥐꼬리 급여 지만 연금 보며 버팀, 일 안하고 버티는 상사들 때문에 업무 폭탄, 나중에 짬 되면 자기도 똑같이 아래 직원에 업무 폭탄 던짐, 최근엔 서비스직처럼 인식이 바뀌어 민원 정신 노동 강도가 쎄짐, 인구 나락으로 공무원 연금도 불안해짐
    자영업 : 정글에 뛰어드는격, 좀 된다 싶으면 동종 업 득달같이 들어옴, 끝없는 치킨 게임, 거의 100프로에 가까운 프랜차이즈 사기꾼들 도처에 득실
    20년전부터 일본에는 순수 아르바이트 만 뛰면서 사는 중년들이 있었다.
    그때는 일본은 참 신기한 나라고, 그렇게 사는 일본인이 특이한 사람들인줄 알았다.
    얼마 안가 우리나라도 이럴거 같다. 이젠 아르바이트가 20대 젊은 대학생들의 용돈 벌이 수단만이 아니게 된 것이다.
    이런 고통을 결혼해서 배우자랑 같이 느끼고,
    그걸 내 자식에게까지 물려 주라고?
    그냥 이 고통 내 대에서 끝내는게 맞다라고 생각하니 결혼율, 출산율이 바닥이지.
    루저의 변명이라고? 세상이 그렇게 성공한 상위 몇프로들로만 움직이나?

    • @CEO-mr3hl
      @CEO-mr3hl Рік тому +10

      참 통찰력 있는 글...

    • @kimatm6035
      @kimatm6035 Рік тому +4

      명쾌

    • @iilliillill
      @iilliillill Рік тому +2

      굿

    • @janghanil9820
      @janghanil9820 Рік тому +4

      하…레알임 본질이 이거.. 어떻게 해결하는냐가 과제다 정치인 대통령아!!!

    • @DAY-LEE-00
      @DAY-LEE-00 Рік тому +2

      대박

  • @timy0905
    @timy0905 Рік тому +61

    한국 대기업들 조직 문화가 대동소이 할 수 있겠으나 LG다녀본 경험자로서 LG는 조직 문화가 여전히 군대처럼 경직되어있고 top down의 일방적인 소통과 의사 결정이 일어나는 조직이라 윗 사람에 따라 정말 악몽같은 회사 생활을 해야 하는 경우가 비일 비재함. 겉으로는 워라밸을 중시하니 유연 출퇴근제니 하지만 실상은 조직문화가 딱 1980~90년대에 머물러 있음.

    • @도토리-n9u
      @도토리-n9u Рік тому +10

      정확하신 듯 육아휴직 간 선배 새벽 4시에 회식 자리 불려오는거 보고 기겁 했음 곧 육아휴직 끝나는 시점이였음 그후 복귀하고 승진도 하긴 했는데 참.. 지금도 막연하겠지 함 회식자리 잡히면 자리 배치도 해줌^^ 팀장 반장 계장님 옆으로 여자사원 배치해주고 2.3차는 도우미 나오는 곧으로 감 거기서 못 버틴 남사원 동기들 두명인가 퇴사도 했었음

    • @스피노자-p6q
      @스피노자-p6q Рік тому +4

      ​@@도토리-n9u​헐 미쳤군. 그게 사실이라면 없어져야할 회사네요 엘지가 다그런지 엘지디스플레이만 그런문화인지 궁금하네요

    • @도토리-n9u
      @도토리-n9u Рік тому

      @@스피노자-p6q 제가 다녔을 때는 그랬네요 ㅎㅎ 구미 같은 경우는 그랬어요 파주에서는 안그렇다고 듣기 했는데 (회식 같은 경우) 외 사내 분위기는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하더군요 부서별 차이도 있겠지만 그런곳은 있겠다 싶습니다

  • @맴맴계절
    @맴맴계절 Рік тому +8

    엘지디 .. 10년전에 퇴사했는데 그당시에도 새벽 3시퇴근이었어요ㅠ 바쁠땐 아침7시퇴근하고 3시간자고 다시출근하고.. 몸 급격히안좋아져서 퇴사하고 이직했는데 빠져나와서 너무 다행ㅜㅜ 진짜 개선되야할텐데 안타깝네요

  • @키다리아저씨-t9o
    @키다리아저씨-t9o Рік тому +18

    IT쪽 종사자인데 전에 LG쪽 프로젝트 하는데 매일 새벽1시에 택시타고 퇴근하고 그 날 오전 10시에 출근하고 또 그담날 새벽1시에 퇴근하고 이짓을 한달 넘게 한적있었다..
    물론 2010년도 경이라 나이가 30대 여서 젊은혈기로 버텼지만 다시하라면 못할거 같다. 진짜 사람 미치게 하더라.
    요즘 얘들은 그렇게 하면 절대 붙어있을놈없다. 전부 다 나가버릴거 같더라.
    그 뒤로는 LG쪽이랑은 일 안한다. 건너건너 들은 얘기로는 그 프로젝트 말고 다른 LG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매니저가 LG 정직원 여성차장이었는데
    매일 새벽3시쯤에 퇴근 하는걸 몇달을 했다고 하더라. 근데 그 차장이 40대 초반에 늦게 결혼한 신혼이라서
    남자가 이럴거면 이혼하자고 했다고 그래서 결국 가정 지키려고 퇴사했다고 하더라.
    진짜 비용 줄이려고 기간 짧게 잡고 사람 피말리게 하는건 LG랑 신X은행이 최고더라.
    아무리 중요한 프로젝트이고 업무더라도 사람 목숨보다 귀한건 없다. ㅈ 같으면 퇴사들 해라. 본인들 건강은 스스로 챙겨야 한다.
    도망쳐서 도착한곳에 낙원은 없다고는 하지만 도망치면 살수는 있다.

    • @nowlyh
      @nowlyh Рік тому

      피할수 없으면 즐기는게 아니라 도망쳐야죠. 맞는 말씀입니다.

  • @Annieshblue0719
    @Annieshblue0719 Рік тому +835

    그렇게 힘들고 고됨에도 불구하고, 가장의 무게와 책임감으로서, 오늘도 묵묵히 자신의자리에서 피땀흘리고 노력하시는 세상의 모든 가장분들에게 응원과 위안을 보냅니다. (남녀노소 누구나 될수 있겠죠, 집집마다 사정이 다 다를것이기 때문에...)또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으면 좋겠습니다...ㅠㅠ

    • @dnejsjdjnd
      @dnejsjdjnd Рік тому +6

      많이 변하고는 있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가장의 무게를 지는건 남자분들이 대부분이죠.. 실제로 남성은 40,50대 부터 자살율이 기하급수적으로 폭증합니다 남자들은 일을 그만두고 가정에서 쓸모없는 존재가 된다고 느끼느니 차라리 일하다 죽는게 낫다고 생각할 정도로 부담감이 엄청난거 같아요ㅜ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1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명수-i1s
      @명수-i1s Рік тому

      결혼을 피하는 이유기도 하죠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_Danzi
    @_Danzi Рік тому +10

    저도요즘 밤낮없는 업무에 회사에서는 더쪼아대기만하니 살아서 뭐하나 부질없다는 생각만 들더군요..지금다니는곳보다 좋은곳 들어갈수 있다는 보장도 자신도 없는데 회사는 바뀌지않을거같고..선택지가 그길밖에 안보인다고 느꼈는데 팀장님의 심정이 저와 비슷했을까요..삼가고인의 명복을빕니다

  • @KL-bn5lb
    @KL-bn5lb Рік тому +112

    이런 일들이 다 저출산과 관련되어 있는데 정치인이고 기업인이고 윗분들은 아직도 심각한걸 모르네요. 가정이 1순위가 되어야 합니다...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snowdrop-76
    @snowdrop-76 Рік тому +2473

    학생때부터 공부와 일의 경계를 나누는 법과 그리고 휴식시간에 자신의 삶을 즐길수있도록 교육시켜야한다. 그리고 저정도 힘들면 제발 일 그만두고 좀 쉬어라....

    • @김희망-y9y
      @김희망-y9y Рік тому +391

      근데 본인이 제일 쉬고 싶었을꺼예요. 결혼기념일인데야근할 정도면 본인이 미쳐서 쉬지못했다는게 아니라 상황에 몰린거라서 이 경우는 꽤 오랜동안 쉬지못하고 쉴수없는 상황 극한으로 몰아부쳐서 죽음에 이른거라고 보시면 되요. 고인이 누구보다 후식이 더 간절했을꺼예요. 고인이보면 너무 너무 속상할 멘트

    • @Sunny-uv9uu
      @Sunny-uv9uu Рік тому +101

      대학병원 수간호사급은 박사출신이던데 4년은 훨 넘지요. 인서울 간호대학도 들어가기 쉽지 않아요. 학벌차별하시면 곤란하지요. 부끄럽게 살지 맙시다.

    • @modemopamp
      @modemopamp Рік тому +17

      ​@@Sunny-uv9uu 학벌 인정 안하는게 역차별아님?

    • @멧콜
      @멧콜 Рік тому +140

      ​@@modemopamp 간호사가 기어오른다고 표현하는건 차별이 아니고 모독인데요?

    • @1dfyijvsghj8v9
      @1dfyijvsghj8v9 Рік тому +79

      인턴,레지들도 수간호사 한테 일배우고 꼼짝도 못한다. 어디서 헛소리를....
      하다못해 정맥주사는 간호사들이 기똥차게 잘 놓는데 의사들 주사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각자 본인 위치에서 잘하는 업무들이 있는거지 권위가 높다고 그 사람 개인이득으로 움직이는건 공동체가 무너지게 되어있지. 수술방에서 고생하는 간호사들 진짜 대단한거임.

  • @hellostranger__a
    @hellostranger__a Рік тому +10

    하루가 멀다하고 연이어 나오는 젊은 직원들의 생을 마감하는 소식에 가슴이 아픕니다...한창 일할 나이이고 귀중한 인적자원인데.. 이런 사회와 조직문화를 만들고 악습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고 있는 기성세대는 반성해야 될것입니다.

  • @r54e66l___
    @r54e66l___ Рік тому +16

    lg 디스플레이 연구소 인턴했는데 8시 출근이라 7시반까지 갔는데 맨날 10시 넘어 퇴근 인턴인데ㅋㄱ 오죽하면 직원들이 왜 ㅅㅅ안가고 여기왔냐고 거긴 돈이라도 많이 주지 하며 썪은 표정으로 날 격려해줘서 도저히 이런데는 못다닌다 싶어 정규 전환시점에 증권사로 탈출했는데 거긴 돈을 많이 주지만 개같은 직장문화를 가진 금융권이었음ㅋㅋㄱㅋㅋㅋ ㅅㅂ 진짜 우리나라 노동환경의 악랄함때문에 결혼해서 애낳을 신체적 정신적 여유 없다는 거 알면서 모른척 마라 아버지세대 전부 직장에서 착취당하듯 노동하고 집은 후순위로 미려두고 인생 갈아서 바치고 애들 훌쩍 크면 아빠 모른척하고 와이프하고도 멀어져있단거 그거 개그아니고 다 회사때문이야

  • @user-hk8px4bt8r
    @user-hk8px4bt8r Рік тому +393

    능력없는 것 들이 고위직에 올라 있으니 경영판단을 못해 아래 직원들이 세상을 떠나지 사장,이사들은 책임져야 한다

    • @오고있나요
      @오고있나요 Рік тому

      개소리하고 자빠졋네 ㅋㅋㅋㅋㅋ잘몰라서 그러시는데 대기업 같은 곳은 실력 없으면 바로 짤리는곳이에요 ㅋㅋㅋㅋ무슨 공무원인줄 아시나본데 ㅋㅋㅋ철밥통이 아니라고여
      능력이 있어야 고위직 부장 팀장까지 올라가는거고 대기업이 얼마나 빡센줄 모르시죠? 일 못하면 쌍욕 날라오고 멘탈 약하면 하루도 못버티는곳입니다. 참고로 대기업 현재 7년차

    • @Walululu
      @Walululu Рік тому +22

      맞음
      일해봤지만 위로갈수록 일 못함.. 자기 업무도 할 줄 몰라서 계약직 사원들이 다 해줌

    • @jabcdjaa5595
      @jabcdjaa5595 Рік тому +3

      모 기업이 윗대가리 일 못하기로 유명하지

    • @김현우-j8r5u
      @김현우-j8r5u Рік тому +4

      어차피 임원 다는 경우는 두가지 중 하나 능력으로 올라가거나 정치질이나 아부잘해서 올라가거나요 후자인 경우가 문제가 일을 못하죠 일할 시간에 아부하고 정치질해서 올라간거니까요

    • @yesguide
      @yesguide Рік тому +3

      LG가 휴대폰 사업 접은 이유

  • @아기다람쥐-f2k
    @아기다람쥐-f2k Рік тому +5

    얼마나 힘들었으면 처자식두고 이런결정을 했을까요.. 분명 엄청 성실하고 책임감있는 분이었기때문에 이런일도 생겼을거라 생각합니다 몸과 맘이 다쳐도 그만둘생각을 못하셨을거에요 생각을 하기 힘들만큼 스트레스를 받으며 버텨왔겠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runt0you
    @runt0you Рік тому +110

    돈만 벌면 누가 죽든가 말든가 상관도 안하는 개노답들이 윗자리를 차지하고 앉아 있으니 무한반복될수밖에 어짜피 판사가 감형콤보 써서 풀어줄꺼잖냐?

    • @띠옹쓰
      @띠옹쓰 Рік тому +1

      반성문콤보 심신미약콤보 초범콤보 형또머잏지 ? 요렇게 쓰리콤보지 형😍

    • @rokmc708ki
      @rokmc708ki Рік тому +1

      쓰리콤보 구독과좋아요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호비-b6m
    @호비-b6m Рік тому +223

    대기업팀장직을 내려놓자니 처자식이 걸리고 계속하자니 죽겠고...
    저정도 되면 멘탈나갑니다
    쉽게 얘기하지마세요

    • @구민수-e4b
      @구민수-e4b Рік тому +37

      @임성규 세상 모든 사람이 성규처럼 여기서 댓글 알바질 하면서 먹고 사는건 아니야

    • @아카풀코
      @아카풀코 Рік тому

      공감합니다

    • @구민수-e4b
      @구민수-e4b Рік тому

      @N_ 꼬우면 꺼지시지 왜 여기서 댓글달고있음? 의대갔냐?

    • @minsnal
      @minsnal Рік тому +2

      깊게생각해도 남은가족두고 혼자 떠나는게 최선은 아니죠

    • @soundslike82
      @soundslike82 Рік тому

      @임성규 중소기업은 거지 같지 않은줄 아세요?

  • @박상현-m7u
    @박상현-m7u Рік тому +7

    엘지가 직장내괴롭힘 심한것같아요 저도 계열사있었었는데 소리지르고 강요 압박 진짜 심하고.아무리시대가 유행을 탄다지만 언제적....방식으로 대응하는지 겉만보고 가는건 정말 ...

  • @sinerariaazure2219
    @sinerariaazure2219 Рік тому +815

    밤낮없이 직장에 마치 살고있었던게 5년전인데 아직도 살아있는 것이 깨어있는 것이 너무 힘이 듭니다... 저도 포기할까 무섭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SH-en1pu
      @SH-en1pu Рік тому +21

      힘내세요!!!

    • @gaga6703
      @gaga6703 Рік тому +44

      생명보다 중요한건 없습니다. 돈 죽어서 가지고 갈거 아니잖아요 힘내봅시다

    • @g.2004
      @g.2004 Рік тому +22

      일보다 삶이 중요합니다❤ 힘내세요😊

    • @summertree2183
      @summertree2183 Рік тому +12

      소중한 당신에게 평범한 일상이 날마다 찾아오기를 기원합니다.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5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니가뭔데내마음을흔들
    @니가뭔데내마음을흔들 Рік тому +30

    돈보다 건강이 최고,,,,, 스트레스 두통으로 응급실에 몇번 실려가고 해서 마누라하고 상의 후 퇴사 귀촌한지 7년됨 .
    월급은 적어 졌지만 여행도 자주 다니고 아들 딸 마눌하고 소소하게 잘 살고 있음.

  • @성공-s5c
    @성공-s5c Рік тому +19

    저도 너무 힘들어서 살이 쭉쭉 빠지고 괴로웠던 경험이 있는 회사라 더욱 공감됩니다.ㅠㅠ
    인사팀에 말해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던 그 회사...
    직원들의 고충을 들어주었다면 이런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텐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uji4510
    @uji4510 Рік тому +194

    예전에 대기업 자회사에서 근무할때 그들의 회의에 참석한번 한적 있었는데 스트레스 장난아니다 옆에서 듣는데 진짜 주먹이 울더가 그들은 참고 있었어

    • @우주나무-i8p
      @우주나무-i8p Рік тому +1

      뭐때문에 스트레스였음?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khs3213
    @khs3213 Рік тому +102

    옛날생각나네.. ㅎ
    평일 밤 11시 넘어서 퇴근은 기본이고 주말 출근은 당연한거고 새벽에 라인에서 전화오고...
    팀장이 부를때마다 심장이 바운스바운스~
    어느날 퇴근 후 잠자다가 새벽에 심장 통증과 함께 호흡이 되질않아
    월차내고 병원에 갔던 경험이 있음.
    협심증 판정받았고 정말 일하다 죽을 수도 있겠구나 생각함.
    엄청난 압박과 스트레스로 인해 심적이나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었음.

    • @SirCardogan
      @SirCardogan Рік тому

      새벽 4시에도 전화 오더라구여 ㅋㅋㅋㅋㅋ 못받으니 한국 본사에 개지랄 떨던 씨바알놈 생각이 나내요 ^^

    • @돈절래-z2u
      @돈절래-z2u Рік тому +6

      옛날이시면 구미 겠군요 선배님 전 파주입니다 ㅠ

    • @냥냥이-z6u
      @냥냥이-z6u Рік тому

      미안합니다 ㅠㅠ 기능직인데 라인 맛탱이가서 새벽이가 전화안하고 아침까지 기다리면 별 쌩난리를 다 칩니다.. 진짜 엘지는 한국 제일 쓰레기 기업이에요.

    • @이사랑-s3h
      @이사랑-s3h Рік тому +2

      읽기만해도 압박이요ㅠㅠ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김현민-x4c4v
    @김현민-x4c4v Рік тому +6

    착하게 살 필요까진 없지만, 다른 사람들을 괴롭게는 하지 말고 삽시다.. 세상엔 카르마라는게 존재해서 내가 누군가를 괴롭게 하면, 그에대한 반작용으로 나 또한 괴로움을 돌려받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Reel_Cake
    @Reel_Cake Рік тому +31

    저거 거짓말같죠? 진짜저래요. 심지어 우리나라 모 대기업 디스플레이도 일하다 사람쓰러져서 링갤맞으러가는데 웃기는건 괜찮냐가 아니라 왜 쓰러지냐로 물어보더군요. 그래서 전 바로 그만뒀어요. 우리나라 출산률이 떨어지는건 다른이유가아닙니다. 지나친 경쟁과 살인적인 업무강도 그리고 그걸 당연하게여기는문화가 개선되지않으면 절대 대한민국 발전없습니다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iilliillill
      @iilliillill Рік тому +3

      웃프네ㅋㅋ 사람이 쓰러졌는데 왜 쓰러지냐?ㅋㅋ 나같으면 왜 쓰러지긴 ㅅㅂㄹㅁ라고 욕 했을듯

    • @공포의쓴맛-n5w
      @공포의쓴맛-n5w Рік тому +2

      @@iilliillill 저도 눈깔돌아서 쌍욕박을듯 ㅋㅋㅋ

    • @user-fuckingyoutubemanager
      @user-fuckingyoutubemanager Рік тому

      왜 쓰러지냐고 한놈이 일떠넘기기해서 그리된거 쓰러진 사람이 피해자 그리고 아닌척하는 가해자도 많음 다 잡아야 됌

  • @landonorris2567
    @landonorris2567 Рік тому +72

    “너만 힘든게 아니다. 모두가 그렇게 하고 있다” 대다수의 회사(대기업)는 이렇게 가스라이팅한다. 인당 생산성을 따지지만 정확한 직무분석과 업무효율화에 따른 인력배정(충원 및 조정)에 적극적인 곳은 없다.
    거기에 실적에 따른 무한 나래비, 주변 동료들과의 무한 경쟁과 비교..쉽지 않지..
    저 팀장도 잘해왔으니 팀장까지 달았고 앞으로 더 잘하고 싶었겠지..안타깝네
    일의 절대량 자체가 많은 곳, 그러면서 인력충원 내지 업무재분배에 대한 피드백은 없는 곳, 긍정의 피드백 보단 부정의 피드백에 열심인 곳, 가스라이팅 하며 무한 나래비 세우는 곳.. 경쟁을 즐기는 자가 아니면 금세 시들어 버린다..사회는 또 그런 사람들을 부적응자라 하겠지

    • @refrigerate_after_opening
      @refrigerate_after_opening Рік тому +2

      오 정확합니다... 가스라이팅 멘트가 진짜 똑같아요

    • @user-fuckingyoutubemanager
      @user-fuckingyoutubemanager Рік тому

      군대에서 그런 놈 봤음 회사원이었음 그 쓰레기 그런놈들이 지 승무원 따먹어봤다고 떠벌리고 다님 자랑질 잘난척 허세 ㅈㄴ 심하든데

    • @user-fuckingyoutubemanager
      @user-fuckingyoutubemanager Рік тому +3

      그리고 또 한놈은 내 직속 선임 이었는데 그런놈들 멘트가 “백번잘해도 한번 잘못하면 욕먹는다” “야 그거 내가 해봤는데 그거 안돼~” ㅇㅈㄹ 하길래 그때 죽였어야 했는데 에효

    • @ymkye9184
      @ymkye9184 Рік тому

      팩폭하지마 형

  • @배추-z8g
    @배추-z8g Рік тому +4

    예전에는 퇴사를 하지 왜 죽나..라는 생각을 했는데 나도 이제 회사에서 10년 가량 근무하고 결혼도 하다 보니, 고인께서 어떤 심정이었을지 조금이나마 이해가되네요.
    도망칠 곳도 없고 얼마나 괴롭고 힘드셨을까요 하늘에서는 부디 편해지셨으면 좋겠습니다.

  • @닉네임계속중복이래
    @닉네임계속중복이래 Рік тому +28

    취준생들에게 대기업에 대한 환상이 얼마나 큰지 모르겠지만 내가 일했던 기억은 돈 주는만큼 일시키고 나만큼의 능력을 가진 사람은 넘쳐나도록 많기 때문에 그들 안에서 위로 올라가려면 독해지던지 돋보이던지였다.
    대기업에서 살아남는것 자체가 쉽지 않았고 밀려드는 일과 경쟁 압박 때문에 대리까지만 하고 그만두고 나왔지만 중견가도 일의 레벨이 좀 쉬워진것 빼곤 직급 댈고 관리자 되니 큰 차이 없더라...
    이번 사건은 LG디스플레이만의 문제가 아니라 피라미드 구조 경쟁사회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직장인들 모두의 문제가 아닐까 싶다...

    • @nobrand4976
      @nobrand4976 Рік тому +1

      저는 반대로 중소에서 갈리다가 자살충동까지 느끼고 대기업으로 왔는데 너무 만족하고 있네요.. 단순히 기업 규모의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문제는 중소는 돈도 안 준다는..

    • @asap5147
      @asap5147 Рік тому

      우리나라 대부분의 조직이 수직적인 구조이죠...
      조직이 선진적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군대식 문화를 탈피해야 하는데... 아직도 이를 답습하는 경우가 많다는 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 @하-u1r
      @하-u1r Рік тому

      @@asap5147 이게 아이러니 수평적이라고 마냥 좋은거도 아님 일에 책임지는 사람이 없는거고 프로젝크 성과에 도달하기엔 어려움.
      스타트업들이 요즘 수평문화라고 하는데 기업문화 보면 오히려 회사가 아니니
      부서별 책임자만두는 소조직 수평부서 개념으로 도입하는 신세계가 부서바이부서지만 그래도 엄청 괜찮은듯

  • @timy0905
    @timy0905 Рік тому +21

    신입사원도 아니고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그리고 조직의 팀장으로서 (40대이셨다면 그룹장 정도 되셨겠네요) 힘들다고 쉽게 퇴사하거나 바로 이직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경제적 여건 등이 1년 혹은 이직시까지 적어도 반년 정도라도 견딜 수 있는 상황이라면 모를까 대부분의 직장인들은(임원급 아닌 팀장 포함) 매달의 월급으로 생활을 하는데 힘들다고 바로 퇴사? 거의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울분을 속으로 삼키고 절치부심하며 보다 나은 직장으로 이직을 꾀하며 계속 다니게 되는데... 이 분은 너무 안타깝게도 울분을 속으로 참을 수도 없었을 만큼 너무 고통스러웠었나 봅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가족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 @초코소라빵-k3e
      @초코소라빵-k3e Рік тому +3

      엘지급 대기업 팀장이면 그래도 억대연봉일텐데..
      아이들까지 있으신 분이 저런 선택을 하실 정도면 얼마나 스트레스였을지 감이 안 오네요 ㅜㅜ

  • @skyblue_cocktail
    @skyblue_cocktail Рік тому +2

    역시 LG답네요~ ^^ LG에서 말하는 정도경영이란 게 언제나 직원들 고충 따윈 신경 쓰지 않고 회사 마음대로 하는 거란 걸 소비자들은 모르는 게 늘 안타까워요...20대 시절 LG디스플레이에서 근무 했을 때 모 과장님 술마시면 모르는 사람 자동차 본넷위에 올라가서 방방 뛰던게 아직도 기억납니다 ㅋㅋ 그 당시 신입 엔지니어들은 퇴근도 못하고 회사에서 살던데..지금은 사람 대우 해주는 괜찮은 곳으로 이직해서 잘 살고 있으면 좋겠네요 ~

  • @슝슝-v6k
    @슝슝-v6k Рік тому +97

    직장 상사를 보면 내 미래를 보는거 같아 암담하다.. 업계에서 다른곳으로 가도 다 비슷한곳이고 썩은 고인물들을 처벌할수 있도록 법을 강화시켜야한다..

  • @리데이비드-u4g
    @리데이비드-u4g Рік тому +466

    시대가 변했는데 아직도 8,90년대 처럼 저렇게 힘들게 근무한다니 믿겨지지가 않는다..... 도저히 힘들어 나쁜 생각 들면 아무것도 생각하지 말고 사표쓰고 자기자신만 생각하시길... 그리고 지금 아무리 힘들어도 욕심 좀 내려놓고 아무 일이라도 하면 가족 충분히 먹고 살수 있음... 인생 한번이데 고통 그만 받고 편하게 살다 갑시다...

    • @user-99hgcx457hg
      @user-99hgcx457hg Рік тому +28

      먹여살려야할 부양가족이 있으면 그 책임때문에 함부로 이직을 못합니다
      특히 이직이 어렵거나 이직해도 연봉이 줄어드는 입장에선 더욱 더 버티게 돼요
      "몇년만 더 참으면 애들 다 대학 졸업해.. 그때까지만 참고 버티자 애들 대학은 졸업 시켜야지" 하다가 저렇게 됨..

    • @seok00009
      @seok00009 Рік тому

      아직도 8,90년대 사회 생활 시작한 틀딱들이 윗자리를 먹고있으니.. 똑같지

    • @고성우-n6k
      @고성우-n6k Рік тому +26

      4인 가족 가장인데요..
      어떤 아무일을 해야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나요?
      제발 알려주세요..
      전 지금 택배기사로 14시간씩 일하는데도 (와이프는 일반 경리직 맞벌이입니다.) 빠듯해요.

    • @노폐인노게인
      @노폐인노게인 Рік тому +10

      힘드시면 집 평수를 줄이시고 씀씀이를 줄이세요. 더 벌기 힘드시면 나가는 거 줄이시고 쉬면서 일하셔야지 건강 나빠지는 거 한 순간입니다.

    • @고성우-n6k
      @고성우-n6k Рік тому +12

      @@leelee681 지방에 있는 택배회사인데 14시간 일해도 세후 300좀 넘어요.
      연차비도 포함해서요.
      왜 그런곳 다니냐 싶으시겠지만 저희 지역에선 이런곳이 부지기수에요..
      그나마 다른자리는 이렇게 주는곳도 없구요..
      일찍에 결혼해서 아이를 낳은 이유로 많이 배우지 못한 이유도 있겠지만요.

  • @mangood2962
    @mangood2962 Рік тому +1

    직장생활을 할땐 우린 3가지정도의 길을 걷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첫째 그냥 평범한 상태, 둘째 일이 안되고 꼬이고 미칠것같이 힘든 상태, 셋째 모든일이 잘풀리고 승진하고 뽀너스도 많이 받는 상태, 이걸기억하세요 내가 지금 어딜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제일중요한것 저 세가지상태는 일정주기로 오가며 살아가게 된다는거.. 그러니 내가 지금 진짜 힘들고 죽을거 같은 상황이 왔고 그길을 걷고 있어서 너무 힘들어도 언젠간 첫번째와 세번째 길로 다시 돌아간다는거.. 그러니 힘들때도 희마을 놓지말고 기쁠때도 자만하지말고 평범할땐 안일함에 빠지지말고 그렇게 내려놓고 사세요

    • @mangood2962
      @mangood2962 Рік тому

      두번째 길이 영원할거 같을때 사람은 좌절하고 극단적 선택을 하기도 하는데 제 경험상 두번째 길은 절대 영원하지 않습니다. 그건 내 노력여부와 상관없이 상황은 계속 변합니다. 이건 제가 확실하게 말할수 있습니다

  • @남악고부캐
    @남악고부캐 Рік тому +128

    이렇게 힘들고 고된 삶에서도 가장의 무게를 견디기 위해 묵묵히 자신의 위치를 지키며 피땀 흘리셨던분..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그외에도 고생하시는 분들 화이팅입니다.

  • @FOOD-wz4hr
    @FOOD-wz4hr Рік тому +627

    사람답게 살려면면 하루에 6시간 7시간 근무가 적당함.. 국민이 불만을 표출해서 바꿀수 밖에 없음..

    • @CrayonPop2
      @CrayonPop2 Рік тому +27

      8시간 근무가 적당하다
      아침 9시출근 6시퇴근이면 충분하지

    • @bluecamel77
      @bluecamel77 Рік тому +18

      @@CrayonPop2 느검

    • @CrayonPop2
      @CrayonPop2 Рік тому +12

      @@bluecamel77 뻐큐

    • @박시영-t2s
      @박시영-t2s Рік тому +23

      @@bluecamel77 레전드다 얘는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7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tak.222
    @tak.222 Рік тому +3

    가정이 있으면 참 회사 때려치고 싶어도 쉽지가 않은거임 이직할래도 페이 후려쳐서 옮기는거면 처자식 돈 들어가는 입장에서 쉽지 않은 고민일테고 가정없고 혼자면 '에라 모르겠다 때려치고 드러눕자'가 가능한데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이 워낙 막중하다 보니

  • @K혼라이프
    @K혼라이프 Рік тому +15

    여기 댓글에 퇴사하면 되지라고 쉽게 말하는 사람들 보면 웃기네ㅋㅋ
    애가 둘인데다가 팀장급이면 나이가 40초일텐데 나이가 있고 직급이 팀장 포지션이면 이직이 쉽지가 않음.. 그리고 애가 있는 가장이 자살까지 할 정도면 퇴사가 문제가 아니라 정신적으로 이미 무너진 상태라는 거임..

  • @nugu5555
    @nugu5555 Рік тому +42

    대인관계에 지치게 만드는 회사생활을 접고 행복한 곳으로 가셨군요. 그곳에서는 사람때문에 힘든일이 없기를 명복을 빕니다.

  • @timy0905
    @timy0905 Рік тому +2

    10여년전 LG모 주력 계열사 재직시 실제 경험담. 부사장이란 작자가 점심시간 끝난 1시 (1시 5분도 아닌 1시를 막 지난 시간)가 되어서 사무실 둘러보고는 그룹장들(부장급) 불러서 이런 얘길 함 "점심시간 끝났는데도 아직 빈자리가 보여.."

  • @qkfka63
    @qkfka63 Рік тому +60

    대기업 직원이나 하청업체 직원이나 살기 힘드네요.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현원규-c1r
    @현원규-c1r Рік тому +24

    솔직히 요즘 위에 관리자들 본인들이 월급 주는것 처럼 착각의늪 빠져 사는 사람들 많습니다. 대체 보고서는 써도써도 다시 쓰고 어차피 끝에는 처음 걸로 보고 하면서 괜히 시비 걸려고 몇 번 이고 수정 하는 사람이 100명 중 90명은 되는듯

  • @ljljljlj601
    @ljljljlj601 Рік тому +1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저도 이런 걸 보면 죽을 용기로 다 그만두고 이직하거나 다른 일을 시작하는게 더 낫지 않나 이런 생각을 하고 살았는데 요즘 여러 일들이 있고 난 후에 느끼는 바는 죽음을 택하는건 죽을 용기를 내는게 아니라 포기하는 거더라구요 삶이 너무 버거워서 새 선택을 할 수있음에도 다 내려놓고 싶은거죠 저 분이 님과 같은 생각을 못해서 이런 선택을하신 건 아닐거에요..

  • @pilimilisister
    @pilimilisister Рік тому +21

    저 트윈타워 건물에서 오래 일하다가 10년 채우고 나왔는데.. 정말 현실이 저렇습니다... 문제가 하도 많아서 글로 적기도 벅차네요.. (LG가 겉으로 보기에는 좋아보이지만 실상은..)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2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jayjayjang8725
    @jayjayjang8725 Рік тому +9

    엘지가 아직도 저 모양이냐. 나도 10년전에 MC사업부에서 이러다가 죽을까봐 그만둠. 맨날 해외출장 나가는데 출장가면 법인에서 칼퇴근함. 왜냐면 거긴 야근 너무 자주하면 옆에 다른 회사 근로자들이 신고함. 퇴근하고 호텔에서 한방에 모여서 또 다시 시작함. 출장은 항상 비상 근무 체제다 이런 말도 안되는 논리로 새벽까지 일하고 주말 없이 일하고 그러다가 출장 복귀하면 쉬는 것도 없이 또 강행군. 신입으로 들어가서 4년 버티고 나옴. 윤씨가 주69시간 개소리할때 회사와 노조가 협의할 수 있다 이런 소리하는데 대기업조차도 주40시간도 콧방귀도 안뀌는데 퍽이나 일할때 일하고 긴 휴가를 가겠다. 삼성도 엘지도 대기업이라 특근비. 야근비는 그래도 꼬박꼬박 받지. 중소기업은 저런 살인적인 일정 플러스 온갖 꼼수로 특근비 야근비 안줌.

    • @97board
      @97board Рік тому +1

      세상에 mc사업부라니 선생님 ㄷㄷ... mc가 진짜 시스템 개꼰대 그 자체라고 들었는데.. 결국 해체되는 걸로 대가는 치렀지만..

  • @황재진-i6r
    @황재진-i6r Рік тому +2

    나두 대기업당기면서 퇴사하는데
    진짜 힘들었음 근데 막상 나와보니 왜그렇게
    대기업에 집착했었는지 지금은 주5일에
    칼퇴에 만족함 대기업 타이틀에 너무얽매이지
    마세요 같은 돈입니다.

  • @user-uh9zq2pp9r
    @user-uh9zq2pp9r Рік тому +67

    LG는 참 신기해
    밖에서 보는 이미지는 괜찮아
    그런데 안에서 보는 이미지는 군대 그자체거든 수직적인구조라

    • @goggle02
      @goggle02 Рік тому

      대중들에게 언더도그마의 오류를 유도시키면서 먹고사는 기업. SNS에서 교묘하게 선행을 연출하면서 마치 제3자가 찍은양 조잡하게 업로드하고 영상조회한 사람들은 엘지홍보팀은 이런거 홍보안하고 뭐하냐고 욕하지만, 실제로는 엘지홍보팀이 연출하고 사주된 댓글 선발대가 여론을 유도하는 짓거리를 2010년대에 존나했지.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LG디스플레이가 1등인 이유가 있었군요
      많은 희생이 있었기에 ㄷㄷ
      다른 직장을 못 찾을 정도로 좋지만 힘든 딜레마였나봐...

    • @JK-iu1oy
      @JK-iu1oy Рік тому +2

      원래 고객에게 평이 좋을 수록 내부에서는 갈려나가는 사람이 많은 경우가 많죠

    • @goggle02
      @goggle02 Рік тому

      @@hsu0l1206 삼디가1등이지

    • @hsu0l1206
      @hsu0l1206 Рік тому

      @@goggle02
      글로벌 통틀어서 폰같은 소형은 삼디플이 우세 맞음
      모니터 티비 등 대형은디스플레이, 화학(배터리), 가전은 엘지

  • @hjjung32
    @hjjung32 Рік тому +382

    가정에서의 가장의 무게와 책임 조직내에서 팀장의 위치에서 내야할 성과
    이 모든게 한 남성의 처진 어깨로 떠받치기에는 너무나 무겁고
    이상황을 견뎌 내기에는 탈출구가 없는 상황의 절망감
    참 힘든생활 견뎌내고 자신의 자리에 묵묵히 지켜왔을 한 가정의 가장의 선택 안타깝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3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JB-gs8rb
    @JB-gs8rb Рік тому +3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ㅜㅜ
    명복을 빌겠습니다

  • @timy0905
    @timy0905 Рік тому +19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LG 조직 문화가 어땠냐 하면 2010년 중반까지만 해도 전사적으로 겉으로는 워라밸 챙겨라 그러면서도 게시판에 팀원들 이름 리스트 해 놓고 매일 매일 본인 출퇴근 해당 시간에 자석이 부착된 바둑알 붙이도록 강제된 팀도 있었음. 그러면서 팀장은 게시판 빤히 쳐다본 뒤 팀원들 둘러보면서 "아무개 과장 요즘 일이 한가 한가봐 일찍 퇴근하네"...이러구 있었음. 그러다 보니 팀장은 칼퇴 하고 팀원들은 괜히 야근 한답시고 정규 일과 시간 후 6시 즈음 나가서 저녁을 2시간씩 먹고(종종 반주를 곁들여) 8시나 되어 사무실 복귀해서 두어시간 일하는 척 하다 10~11시에 퇴근 바둑알 게시판에 붙이고 퇴근함..... 지금도 그 생각하면 LG 라는 조직은 치가 떨림. 그러니 지금껏 회사가 의미 있는 발전은 못하고 직원들만 쥐어 짜내어 겨우 명맥만 유지 하고 있는 듯.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강동우-v3r
      @강동우-v3r Рік тому

      엘무원이라는 말은 익히 들었는데... 이런 문화까지 공무원이랑 꼭 닮을줄이야...

  • @곰이-n8k
    @곰이-n8k Рік тому +385

    저도 20년도 트윈타워 입성 후 9개월다니고 퇴사했는데 회사 분위기가 참..... 말도안되는 업무도 많고 야근도많고 심지어 보고서 매일만들어도 2차3차보고서는 일상이고 출근은 1시간먼저와서 자리에있어야하고 퇴근은 블꺼지고도 버스지하철 끊기는시간까지 근무하고도 주말에도 나와서 업무해야되고 아주 악질이였습니다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13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 @곰이-n8k
      @곰이-n8k Рік тому +42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1. 사원이 판단할 수 있는 결정사항이 아닐 수 있지만 이방법이 효율이 가장좋은데 주먹구구식방식으로 하자는 식으로 나감
      2.말그대로 보고서 보는거 좋아하는지 말로 전달하는게 때로는 편하고 정리도 잘되는데 굳이 보고서 양식으로 작성해달라고 함 읽어보고 계속수정 또 작성 또 수정 또 작성 반복
      3. 입사하고 한번봄 굳이 회장실 근처를 지나갈일 이없음 근데 소문은 진짜 주변에 사람이없다 라는 얘기 엄청나옴
      4. 곧 퇴직앞둔 60초반들 컴퓨터 타자칠줄몰라서 한참걸림 그리고 비서가 업무 다함 비서가 임원임

    • @rfuuhfdtsdf7528
      @rfuuhfdtsdf7528 Рік тому +5

      퇴직을 앞둔 60대 초반은 누구지?
      임원이야? 정년이 60인데 뭔소리하는거냐
      글고 9개월 다니고 뭘 안다고ㅎㅎ

    • @주먹지고일어나-d2p
      @주먹지고일어나-d2p Рік тому +21

      @@rfuuhfdtsdf7528 글쓴 분 말이 다 맞을뜻....
      거기 다닌 사람에게 저말 똑 같이 들어봤음.

    • @rfuuhfdtsdf7528
      @rfuuhfdtsdf7528 Рік тому +1

      @@주먹지고일어나-d2p 내가 훨씬 오래 다녔으니 하는말이지요ㅋㅋ

  • @srutsrut47
    @srutsrut47 Рік тому +3

    겉만 번지르르한 사무직보다 몸쓰는 직업이 더 낫다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지... 사무직은 직장내 조직생활에서 스트레스가 심한 곳은 진짜 사람 죽이지... 차라리 기술배워서 몸쓰는 기술자로 현장근무하는게 맘 편하지...

  • @Grom48
    @Grom48 Рік тому +30

    우리나라는 아직도 신분제도가 있다
    부모 잘만나서 회장 사장 그냥 물려받는 놈들이랑 뼈빠지게 공부해서 취업하고도 그들보다 돈 훨씬 못받고 힘든 일을 하는 사람이 태어날때부터 구분된다는게 올바른 사회구조인가 싶다

    • @pakxungwoo7478
      @pakxungwoo7478 Рік тому

      그런건 우리나라가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잘사는 사람들은 잘 먹고 잘 삽니다.

    • @진정-n9z
      @진정-n9z Рік тому

      자본주의가 이런 거긴 한데.. 개천에서 용 못나오게 막아 버리고 꼭대기에서 못 올라오게 사다리 밀어 버리고.. 앞에 9로 시작하는 세대들은 잘 모르겠는데 7~8들만 생각해도 끝물이라 좀 아쉽긴함.. 그때만 해도 개발붐이다 뭐다 정권도 바뀌고 돈벌 기회 많았지.. 근데 또 5~6들은 지금처럼 정보가 많지도 않았고.. 결국 소수만 헤쳐먹고 되물려 주는거 같음..

    • @pakxungwoo7478
      @pakxungwoo7478 Рік тому +1

      @@user-fuckingyoutubemanager 물론 그런 사람들도 있겠지만 진짜 노력으로 버신분들도 많으니 일반화는 안하는게 좋을거 같음

    • @EORD-1_SKETCHER
      @EORD-1_SKETCHER Рік тому

      세상이 원래 불공평하고, 자본주의 아래 계급이 있습니다. 더럽지만 현실이죠.

  • @dwkim716
    @dwkim716 Рік тому +30

    팀장이라는 위치가 참 외로운 위치죠.. 새로운 쫄병의 시작이라고나 할까.. 거기에 더해 믿었던 후배들한테 등에 칼 몇번 맞으면 정말 외롭습니다. ㅜㅜ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iik6882
      @iik6882 Рік тому

      새로운 쫄병의 시작이라는 말이 와닿네요

  • @바비집사-x3w
    @바비집사-x3w Рік тому +1

    ㄹㅇ 저희 부서도 회의 들어가면 한시간동안 데이터 보고 발표식으로 회의 하는데 반장 마음에 안들게
    자료를 준비하거나 그러면 바로 소리지르고 말 중간에 자르고 주눅들고 위화감 느끼고 일반 사원으로써 너무 일하기 스트래스 받습니다 자료 준비하는거에 윗분들 마음에 들기 자료준비 하기가 쉽지 않은데 조직문화 정말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하루하루감사속에서
    @하루하루감사속에서 Рік тому +69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누구보다도 살고 싶어했을꺼임. 남은 가족들 생각하면....그럼에도 너무나 힘드니깐....멘탈이 나간거겠지. 그곳에선 부디 행복하시길

  • @커피마법사
    @커피마법사 Рік тому +15

    일산에서 커피숍 할때 파주 LG디스플레이 팀장님들 직원님들 많이 방문했는데,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진짜 대단한 엘리트 분들이신데 상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Bookjob
    @Bookjob Рік тому +1

    아직도 이런 일이 일어나다니 슬프네요

  • @이이-j9k8v
    @이이-j9k8v Рік тому +22

    돌아가신분의 명복을 빕니다. 지금도 이런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분들 수도 없이 많겠죠. 부디 그냥 퇴사하시길 바라요.
    집 대출 이자는 어떡하지?, 가족들 생활비는 어떡하지? 모든 걱정 다 뒤로하시고 퇴사하십시요. 그런 걱정은 퇴사 후에 몸과 마음의 휴식을 충분히 취하시고 하셔도 늦지않습니다.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김승현-j4t
      @김승현-j4t Рік тому

      이래서 아내를 잘 만나야됨… 퇴사=이혼인 집안이 허다함

  • @user-b9c3f5e2a
    @user-b9c3f5e2a Рік тому +19

    사안을 중대하게 보고 있다. => 비슷하게 고통 받는 사원이 더 이상 나오지 않게 입 막고 매출 떨어지는 일 없도록 즉, 회사에 피해가 안가도록 보고 있다.

  • @Me_with_summer
    @Me_with_summer Рік тому +3

    마음이 너무 아프다.. 과로로 인한 스트레스.. 사람 어떻게 되는 건 정말 한 순간인듯.. 아직까지 이런 뉴스가 나오는게 씁쓸하다

  • @kdj1412
    @kdj1412 Рік тому +89

    그니까 무조건 대기업이라고 좋은 것도 아님;;;
    대기업이 월급을 많이 준다고는 하지만 반드시 그만큼 뽑아 내는 집단임.
    적당히 벌고 적당히 퇴근하는, 그런 적당한 삶이 행복한 삶이 아닐까 싶은데...

    • @LeeSeoungSu
      @LeeSeoungSu Рік тому +2

      쿠팡 알바나 하자~

    • @민석강-l3g
      @민석강-l3g Рік тому

      자연인이 그래서 인기 많은듯..

    • @rokmc708ki
      @rokmc708ki Рік тому +2

      쿠팡은 회개하라 여자들은 바코드찍고 340만주고 남자들은 상하차 노가대 뛰는데 260만은머냐? 이게 남여 평등일거야 그치?

    • @진정여-w8x
      @진정여-w8x Рік тому

      ​@@rokmc708ki세상에 꽁짜가 없습니다 분명히 이유가 있죠

  • @SeoEunTan
    @SeoEunTan Рік тому +150

    안타까운 일입니다.
    다른 얘기지만, 우리나라 공무원과 군인 중에는 저 정도로 일 시키거나 더 후려치면서도 봉급은 최저시급만 주는 경우도 허다하다는…
    저도 위관장교로 복무할 때, 24시간 근로 후 퇴근, 36시간 근로 후 퇴근, 심할 땐 48시간 근로 후 퇴근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시간외 근로 수당은 4시간만 인정되었다는 점… 지금은 군대 자발적으로 전역 신청한 게 가장 자랑스러운 선택 같네요.
    특정 기업이나 대기업의 문제가 아니고, 우리나라 조직 전체의 뿌리 깊은 문제라 생각이 되네요.
    외국계 기업도 국내 로컬라이징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인 자랑스러운 우리나라 근로문화 아니겠습니까..😢

    • @borasack0_092
      @borasack0_092 Рік тому +15

      일반 회사만 인권이 있는 게 아니죠.
      군 병력이 줄면 남은 사람 갈아 넣을 생각말고
      무기,장비,교육,훈련등을 좀 더 체계적이고 선진화해서
      직업 군인들 인권도 챙기고 국방력도 강화해야한다고 봅니다.

    • @allwayshapppyminjae
      @allwayshapppyminjae Рік тому +15

      ​@so so 쭝꿔;;

    • @hana-new
      @hana-new Рік тому +1

      @@allwayshapppyminjae 한녀일수도있음

    • @구민수-e4b
      @구민수-e4b Рік тому +2

      @so so 그럼 북한가 ㅋㅋㅋ

    • @leehong981
      @leehong981 Рік тому

      @so so 너나 댓글 더럽히지말고 꺼져

  • @sojeong108
    @sojeong108 Рік тому +2

    우리팀장님도 진짜 진짜 무섭긴한데..일하는거보면 진짜 똑똑하시고 책임감 넘치심.. 정말 무섭지만 또 존경하기도 함. 팀장님 제가 잘할게유 너무 혼내진 말아줘요

  • @보이굿-h5u
    @보이굿-h5u Рік тому +23

    직장에 쓰레기 상사들이 있긴 있음.
    직장의 문제라기 보다는 상사가 쓰레기냐 아니냐가 제일 중요함.
    윗대가리 돈만 받아 쳐먹고 밑에서 고생한거 본인이 한것처럼 생색내는 쓰레기들이 아직도 있을거라고 생각됨.
    어쨌뜬 쓰레기들이 없어지는 그날까지 화이팅 합시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나는명량핫도그가무척 Рік тому

      궁금한게 있습니다. 윗 임원들이 진짜 의사결정 못할만큼 통찰력이나 결단력이 없나요?
      보고서만 계속 써서 올린다는게 무슨뜻인가요?
      회장 별명이 구팡모라고 들었는데 그렇게 능력이 없나요?
      흔히 말하는 윗대가리가 현명해야 조직이 산다라고 하는데 이말은 무슨 의미 일까요?
      그런 쓰레기를 기업내에서 거를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해고를 시킨다던지

    • @봄바람-m3s
      @봄바람-m3s Рік тому

      쓰레기 상사들은 넘쳐나죠 지구가 멸망할때까지

  • @HiddenCard01
    @HiddenCard01 Рік тому +46

    대한민국 근로 문화가 굉장히 문제 입니다.
    이렇게 죽을만큼 과중한 업무 어디 회사나 다 있지 않나요?
    근로 문화 자체를 법적으로 바꿔야 합니다.
    근로 시간도 마찬가지

  • @S_djk-u7t
    @S_djk-u7t Рік тому +1

    같은 계열사 직원으로 마음이 너무 아픕니다,, LG 그룹만의 전형적인 장표, 보고문화 그리고 임원들만을 위한 업무체계 직원들은 다 아는데 윗 사람들은 모르는척,,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밝혀주면 좋겠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아슬아슬-c2n
    @아슬아슬-c2n Рік тому +308

    관계자 엄중 처벌 해야 합니다. 사람이 죽었는데 그냥 넘어가면 안돼지요.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웅해-h6n
      @웅해-h6n Рік тому +1

      관계자 다른지역으로 파견보낼거임 짜르진못하겠지 지들끼리 해먹으니

    • @hooni1119
      @hooni1119 Рік тому +7

      그 관계자가 ceo입니다

    • @Beck8110
      @Beck8110 Рік тому

      구씨 가나요~

    • @hooni1119
      @hooni1119 Рік тому +2

      @@웅해-h6n ㅇㅇㅇ 맞음
      사람 괴롭히는거 별거 아닙니다.
      예를 들어 당근을 구매해야해서
      A급 당근 최저가 100원에 구매 진행 예정입니다.
      라고 1차 보고를 하면
      왜 s급과 b급 당근 가격이랑 정보는 없지?
      그러면 중국산 당근과 국산 당근은 어떻게 돼?
      국산당근의 정의는 어떻게 돼?
      당근하고 연근하고 무슨 차이야??
      한가지라도 대답못하면 보고 안받고,
      2,3차 보고 들어가고 농수산물 총조사 하는식이죠
      한달 두달 밤새는거 나오는겁니다.
      당근 살지 안살지는 중요하지 않죠.

    • @670gh7
      @670gh7 Рік тому

      ​@@웅해-h6n 팀장급 보고 결제 ceo가 하겠냐ㅋㅋ

  • @SoLaireVip
    @SoLaireVip Рік тому +52

    상급자 불러와 조사 해봐야 ..우리는 그런적 없다 . 모르쇠 일관일텐데..뻔하지 뭐

  • @정인옥-i1w
    @정인옥-i1w Рік тому +4

    삶의 무게감이 한없이 느껴집니다.
    슬프고 너무나 참으로 안타까워요...
    법에 규정된 업무 시간을 지켜주십시요...

  • @DJ-KOREA
    @DJ-KOREA Рік тому +8

    엘지 연구원 업무강도는 엄청 빡신것 같더라.
    에너지 솔루션 연구원 하던 말이 생각나네...
    다음에 태어나면 절대로 공부 열심히 안한다고...
    남들 놀고 잘 시간에 공부해서 들어온 회사인데 일만 하다가 죽게생겼다고...
    그에 반해서 현장직 직원들은 핸드폰하면서 거의 놀면서 일하는 수준이라고 거래처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앞으로 엘지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망할거라고...

    • @끈기와의지
      @끈기와의지 Рік тому

      엘지 자체가 공부 못해서 들어가는 곳이에여.공대중에서요.뭐 사회경험 하나도 없는 분같고만요.정신차려

    • @soundslike82
      @soundslike82 Рік тому +2

      @@끈기와의지 뭔 개소리인지…

    • @DJ-KOREA
      @DJ-KOREA Рік тому

      @@끈기와의지 스카이 나온분이 공부 못한사람이라고 해도 되나?
      그 연구원 스카이 나온분인데...
      댁은 얼마나 공부 잘한 사람인지?

  • @김씨-m1u
    @김씨-m1u Рік тому +60

    울오빠가 엘지연구원이었는데 승진하고 지방 외근도 많고 너무 스트레스 받아서 관두던데..이랬나 봄. 관둘때 가족들이 아깝다고 다들 말렸었는데..😢

    • @나몰라텐션
      @나몰라텐션 Рік тому +11

      한 생명이 죽을뻔했네요..

    • @redarishem
      @redarishem Рік тому +1

      ............윤석열 정부 들어오고 1주일에 휴식/밥시간 빼고 69시간 일은 기본이고
      윤석열이 노동부장관과 이야기할때 말한 74시간은 해야죠?라는 언급에 맞추려는 기업들................

    • @김씨-m1u
      @김씨-m1u Рік тому +1

      @@redarishem 10년 전이고 근무시간이 문제가 아니라 승진 할수록 위아래로 누르는스트레스가 문제인듯. 해외근무 안나가니 당일치기 지방 외근이 많아져서 관뒀음.
      단순히 근무시간이 문제는 아님.

  • @솨이먼도미닉
    @솨이먼도미닉 Рік тому +37

    저희 아버지가 엘지전자 상무신데 맨날 사장님 비위맞추고 부하직원들 보고서 하나하나 다 고쳐주시고.. 지난 5월 어린이날 휴가 때도 금 토일 다 회사에 불러가시고 ㅜㅜ 고생조금만 덜하셨으면 좋겠네요...

    • @배태곤-m9w
      @배태곤-m9w Рік тому +4

      그런걸 알면 본인은 부모님 속 안썩히고 잘 살면 되는거임

    • @솨이먼도미닉
      @솨이먼도미닉 Рік тому

      @@kimryon 님이 뭘 아는데 말을 그따구로 함

    • @kyleleal7325
      @kyleleal7325 Рік тому

      @@kimryon 상무가 논다? 회사생활 해본적 없네. 상무부터는 실적 딸리면 바로 모가지 날리는데?

    • @kyleleal7325
      @kyleleal7325 Рік тому +1

      @@kimryon 응 더하면 더했지 덜한거 없음. 모든게 잘돌아가면 야근없지. 근데 모든게 잘돌아가면 그 아래 부장급들도 별 야근없어. 상무급되면 모든게 잘돌아가는 경우는 절대 없다

  • @불여우한걸음
    @불여우한걸음 Рік тому +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런 힘든시간을 보낸 남편생각이 나서 마음이 아픕니다. 뭐라고 쓸지도 먹먹한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