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껐다 켜? 계속 켜?"…모르면 '요금 폭탄' / KBS 뉴스7 대전 세종 충남 [뉴스더하기] - 12월 20일 (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뉴스에 깊이를 더하는 시간 '뉴스더하기' 김현수입니다.
    "가스요금 이게 맞나요" 지난달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입니다.
    2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한 가스요금이었는데요.
    사용량은 줄었지만, 요금은 오히려 2만 5천 원 정도 더 나왔습니다.
    안 그래도 물가가 올라서 힘든데 올겨울 가스요금, 도대체 얼마나 나올지 걱정된다고 푸념했는데요.
    공감하는 댓글도 많았습니다.
    이렇게 평년과 비슷하게 썼다고 생각했지만, 가스요금 고지서를 받고 놀란 분들 많을 겁니다.
    에너지 공기업의 적자가 누적되면서, 지난해부터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수차례에 걸쳐 올랐기 때문인데요.
    오늘 밤부터는 '북극한파'라 불릴 정도로 강한 추위가 찾아오죠.
    난방을 하면서도 가스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하나씩 짚어드리겠습니다.
    먼저 기존에 알려져 있던 방법, 팩트체크를 해 보면, 물을 다 쓴 다음 수도꼭지를 잠글 때, 수도꼭지 방향을 냉수 방향으로 돌려놔야 한다는 정보가 많이 공유됐습니다.
    온수 방향으로 두면 보일러가 가동될 수 있다는 건데, 사실일까요?
    [유승훈/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 "물을 안 쓸 때는 수도꼭지를 어느 방향으로 놓느냐는 중요하지 않고요. 다만 물을 틀었을 때는 가볍게 손을 씻을 목적이라면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를 완전히 틀어서 꼭지를 돌리는 것이 보일러를 가동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외출할 때는 보일러를 꺼야 할까요, 아니면 켜 두는 게 좋을까요?
    상황에 따라서 조금 다른데요.
    만약 일주일 이상 집을 비워야 하는 상황이고, 그 기간 날씨가 많이 춥지 않다면 보일러를 끄는 게 가스요금 절약에는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해당 기간에 한파 예보가 들어있다면, 보일러가 동파될 위험도 있으니까요.
    이때는 '외출 모드'를 이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몇 시간 정도, 혹은 하루 이틀 정도 짧은 외출을 할 때는 '외출 모드'보다는 보일러를 그냥 틀어 놓는 게 좋은데요.
    온도는 평소보다 2~3도 정도 낮게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짧은 외출 시에도 보일러를 끄게 되면, 다시 켰을 때 따뜻해지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가스 소모량도 더 많기 때문입니다.
    사실 보일러에서 가스를 가장 많이 잡아먹는 건 난방보다 '온수'인데요.
    보일러에서 온수도 온도 조절이 가능하죠.
    최고 온도보다는 중간 정도로 맞춰두고 물을 틀 때는 수압을 약하게 해서 사용하면 가스와 물, 모두 아낄 수 있습니다.
    온수는 일 년 내내 사용하는 분들도 많으니까요.
    기억해 두시는 게 좋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단열입니다.
    보일러 절약 사용법을 숙지하고 실천하더라도, 집 자체의 단열이 좋지 않다면 말짱 도루묵이 될 수도 있는데요.
    벽면과 창문 쪽으로 단열재를 사용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승훈/서울과기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 : "단열 커튼을 설치하거나 겨울 한 철 동안 뽁뽁이를 창문에 붙이게 되면 한 2~3도 정도 실내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요. 보통 실내 온도가 1도 올라가게 되면 난방비가 한 7% 정도 절감되기 때문에 뽁뽁이나 단열 커튼을 이용하게 되면 난방비를 한 20%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
    가스를 절약하면 정부에서 주는 혜택도 있습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사용했던 가스양보다 이번 겨울 같은 기간 사용량이 3% 이상 줄었다면 장려금을 지급하는데요.
    'K-가스캐시백' 누리집에서 꼭 신청을 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추운 날씨에 얼어붙은 경제 상황까지, 냉랭한 현실이지만, 똑똑한 보일러 사용법으로 우리 생활에 조금이라도 온기를 더해보는 건 어떨까요?
    지금까지 '뉴스더하기'였습니다.
    #가스요금 #보일러 #온수 #난방비 #한파

КОМЕНТАРІ •

  • @빛과희망
    @빛과희망 Рік тому +804

    국민만 절약하면 뭐하냐.세금 도독들이 많은데.

    • @진짜공상당히싫어요
      @진짜공상당히싫어요 Рік тому +36

      온국민에게 대장동 같은 재테크를 알려줘야 한다.

    • @이선영-m1p8c
      @이선영-m1p8c Рік тому +1

      ​@@진짜공상당히싫어요 윤가지지자 수준

    • @youtubemonitoring337
      @youtubemonitoring337 Рік тому +3

      도둑 새끼들만 전부 잡아서 족치면....
      국민들이 겨울 내내 따듯하게 지내도..... 가스비 폭탄 안나오는데.......
      도둑 새끼들을 잡다가........ 나라를 태워야 잡을수도 있으니............

    • @justwantmo
      @justwantmo Рік тому +1

      50억 제테크​@@진짜공상당히싫어요

    • @명채-q4w
      @명채-q4w Рік тому +1

      대장동 재테크 국힘 검사나부랭이들 세금도둑 김건희 명품백 뇌물

  • @k_stock
    @k_stock 11 місяців тому +18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민영화하면 지금의 3~10배정도 오릅니다. 병원도 마찬가지로 민영화하면 감기에도 100만이상 들어감. 미국처럼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독감에도 몇만명씩 죽어나갑니다. 왜? 병원비 아끼려다가

  • @태연정-c2f
    @태연정-c2f Рік тому +866

    전기하고 가스는 절되로 민영화로 하면 안된다 이문제만큼 정부에서 운영해야됨 다시 정부로 돌려요

    • @sinfootball
      @sinfootball Рік тому +15

      정부가 하고 있잖ㅇ

    • @mineme3617
      @mineme3617 Рік тому +52

      @@sinfootball 에혀 민영화 됐습니다. 아닌척 하고 있어요.

    • @money-645
      @money-645 Рік тому +15

      절되로 => 절대로

    • @flyhack
      @flyhack Рік тому +22

      @@mineme3617 예. 한국은 이미 일본에 팔렸어요. 아닌척 하고 있어요

    • @cort4713
      @cort4713 Рік тому +30

      ​@@mineme3617네 발전부분을 민영화해서 한전에서 비싸게 사고있는걸로 알아요

  • @everlast3375
    @everlast3375 Рік тому +1053

    서민들은 돈 몇푼이라도 아낄라고 이렇게 힘들게사는데 돈 많은 고위공직자들은 1도 신경쓰지않는다는 게 팩트
    그러니 정치에서 서민 삶을 이해할리가 없다

    • @쵸릐
      @쵸릐 Рік тому +34

      근데 그들의 재산들도 우리 서민들이 국정에 힘쓰라고 십시일반으로 허리띠 졸라가며 모아준돈 이다

    • @BK-jk6cf
      @BK-jk6cf Рік тому +21

      이 말이 정답이네요. 정말 서글픕니다.

    • @Lucidream-mt1rb
      @Lucidream-mt1rb Рік тому +39

      대통령을 잘 뽑았어야지..

    • @진실에만동의
      @진실에만동의 Рік тому

      조금이나마 더 서민들편에 서는 정당 지지해야지~ 보수는 친기업 정책~ 진보는 친노동 정책으로 갈라져 있는데 민주노총 맘에 안든다고 공산당 취급하는 자들 그러니까 2찍들~ 그들은 무지성으로밖에 보여지지 않는다. 이면박이의료민영화시도한 것도 단지 대기업 위해서였고 윤석겨리가 추임하자마자 기업 법인세 깎인주면서 30대 재벌기업만 깎아준 것도 그들만의 리그가 펼쳐진다는 거 두눈 뜨고도 외면함. 왜냐면 민주당은 페미고 공산당 빨갱이고 범죄자라는 세뇌된 의식을 강화하면서 카타르시스 느끼려고

    • @쵸릐
      @쵸릐 Рік тому

      @@Lucidream-mt1rb 대통령 후보들이 다 썩어 빠진 국힘당, 민주당에서 쳐 나오는데 어떻게 잘뽑노 국민들 편갈라서 싸움시키면서 30년째 세금으로 지들 배쳐불리는
      개ㅅㄲ들

  • @JINSOMIN
    @JINSOMIN Рік тому +567

    건설사 놈들아 집좀 똑바로 지어라 단열을 개판으로 하니까 벽에서 냉기나오고 결로생기고 난리지 단열만 잘해 놔도 가스비 확 줄어든다

    • @untouchable9494
      @untouchable9494 Рік тому +15

      경기가 어려우면 건설경기가 제일 먼저 타격을 입음
      서울 삼표시멘트공장 없어지고 시멘트가격이 근 두배
      건물을 지으면 돈이 남아야하는데 자재값이 두배뛰어버리니
      제대로된 건물을 짓기 힘듬
      그냥 나라가 헬조선이 되어가는중

    • @oncej.3252
      @oncej.3252 Рік тому +27

      @@untouchable9494그건 걍 핑계임.

    • @skid631
      @skid631 Рік тому +25

      @@untouchable9494 그 타격을 입주자들 한테 전가 시킨다

    • @느낌매매
      @느낌매매 Рік тому

      ​@@untouchable9494 안남으묜 안지어야지 짓는게 문제라고 좀 모지라나?

    • @임화자-r2u
      @임화자-r2u Рік тому +2

      욕하지말고 니네집은 니가 짓어라

  • @lime2839-x3c
    @lime2839-x3c Рік тому +368

    전기.의료 .수도.교통 절대 민영화하면 안됨

    • @Shahryar-23rd
      @Shahryar-23rd Рік тому

      민영화되면 경쟁력으로 질도 좋아지고 가격도 인하되는걸 모르네.
      사고방식이 경쟁없이 서로가 평등하게 잘사자는 공산주의 ㅋㅋ

    • @이경애-c7z
      @이경애-c7z Рік тому +12

      레알

    • @김종성-s1t
      @김종성-s1t Рік тому +17

      외국인 의료보험 문제나해결해라 세금은 우리가내고 해택의 죄다 외국인

    •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Рік тому +1

      ​@@김종성-s1t외국인의료보험 흑자인데

    • @유츄브
      @유츄브 Рік тому

      의료 민영화때매 우리 병원 갈수있음 아니면 다쥬금 ㅋ.ㅋ 많이버는사람들이 연 5000씩 내서

  • @ParkHS-h2b
    @ParkHS-h2b Рік тому +1010

    단열 시공 기준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함 이것은 한국 전체 경제와도 관련된 문제임 모든연료를 수입하는 한국에선 모든 주택시공부터 철저하게 단열 관리를 감독을해서 모든 국민이 따뜻하게 생활하도록 노력해야함

    • @bastian71balthazare
      @bastian71balthazare Рік тому +41

      명료하고 정확한 시선입니다. 건축물 단열관리 기준이 아직도 너무 허술합니다. 신축 아파트들 좀 높아졌다해도 창호들 품질이나 시공수준 낮아서 단열 안되는 거 대부분이고 가정집보다 상가 사무실 건물들의 에너지 낭비가 더 심각하죠! 독일등 유럽은 주택들마다 에너지효율수준을 매겨서 집값하고도 연결되고 관리하고 있다. 제발 집 상가 건물 제대로 짓고 상가건물 여름 겨울 문열고 영업 좀 하지 말아라!!!

    • @iyfhcjvkhfd
      @iyfhcjvkhfd Рік тому +14

      명언임. 더불어 수입량도 줄일수 있겠지

    • @주호풍펄쩍맨
      @주호풍펄쩍맨 Рік тому +28

      단열부터 방음까지 너무 허술한곳이 많습니다.

    • @FactoryNo.592
      @FactoryNo.592 Рік тому +11

      단열시공기준이 있어도 대부분 아파트라 단열이 건전할 수 없음

    • @jujuworld76
      @jujuworld76 Рік тому +13

      살아보니까 단열이 최고더군요

  • @jeong7917
    @jeong7917 Рік тому +437

    건축시 단열시공 강력하게 정부에서 의무화 해야됨,,
    환경문제와 미래지구를 위하고
    수입가스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 @tt2821
      @tt2821 Рік тому +9

      단열기준은 이미 규제되고 있습니다 열저항 값계산하여 단열재 유리 규격등 정합니다 막쓰는게아닙니다

    • @air5210
      @air5210 Рік тому +1

      단열한다고.. 창문닫고살면... 집안실내 벽체 전기배선 구멍에서 방출되는 시멘트 라돈가스와 화학가스에 오염된 독성공기마시고..혈액독성유발되고 골로간다.

    • @방종원-o8c
      @방종원-o8c Рік тому +19

      @@tt2821작년에 대기업 건설사들 관리감독이 철저하고 감리도 까다로워서 부실시공은 쥐뿔도 모르는 음모론자들이나 우기는거라던 대기업 건설사다지는 직원글이 떠오르네 ㅎㅎ
      기준은 있지…. 안지켜서 맨날 결로현상이니 하자맞니 아니니로 논란이되서 문제지

    • @Akatora01
      @Akatora01 Рік тому

      정부는 개돼지들 신경 안씁니다 지들 배때지만 채우기 바쁨니다 국민이 정부를 들고 일어나야 하는데 사실상 불가능 하니까 그냥 좃같아도 본인만 잘먹고 잘사는 그냥 이기주의로 사는게 본인에게 이득인 세상입니다

    • @이종현-k2o
      @이종현-k2o Рік тому +1

      환경문제X 우리집가스비를 위하여 단열시공해야한다고 해라 ㅋㅋ 쥐ㅈ만한나라에서 무슨환경을생각함 ㅋㅋ

  • @preciousHaru
    @preciousHaru Рік тому +382

    모두 따뜻하게 겨울 지내시길 바랍니다. 가스비 아끼려다 그대로 폐렴 입원해서 병원 간 적 있어서 병원비낸다 생각하고 보일러 틀고 있어요. 오래된 보일러(7~10년)면 교체하세요. 확실히 난방비가 줄어요.

    • @jaeholee8959
      @jaeholee8959 Рік тому +8

      난방 안 틀면 폐렴 걸리나요??

    • @택다르태르르
      @택다르태르르 Рік тому +1

      ​@@jaeholee8959 안걸림

    • @preciousHaru
      @preciousHaru Рік тому +67

      @@jaeholee8959 기침 오래하니까 폐렴 되더라구요. 몸 따뜻하게 하셔요.

    • @서울-d6y
      @서울-d6y Рік тому +17

      보일러 평균 수명 10년이라죠

    • @yoonsook2497
      @yoonsook2497 Рік тому +58

      의료보험두 민영화 하면
      큰일 납니다

  • @java458
    @java458 Рік тому +462

    이모든게 처음부터 단열 잘 되게 만들었어야 하는건데 집을 날림으로 지으니..단열한다고 돈은 돈대로 들어가고

    • @dokdoiskorea856
      @dokdoiskorea856 Рік тому

      노태우때 200만채 공약 때문에 그걸 좋다고 뽑은 과거 개 돼지들 때문에^^... 노태우가 공약 지킬라고 건설사에게 면죄부 줬음

    • @홀가분-o9n
      @홀가분-o9n Рік тому +4

      오래된 집이라 그런거임..
      새아파트는 히나도 안춥고 난방비 적게 나와요 ㅡ.ㅡ

    • @ililili6600
      @ililili6600 Рік тому +39

      ​@@홀가분-o9n그렇구나 새아파트라서 하나도 안춥고 난방비 적게드는데 철근이 모잘라서 벽 흘러내리고 물새고 천장 바닥에 똥 심어져있고 그런거구나

    • @왕건-n6f
      @왕건-n6f Рік тому

      @@ililili6600 철근이 모자라고 물이 새는것과는 별개로 당연히 창틀이 새거니까 바람이 안들어와서 열 손실이 적지 이 빡대가리야!!!

    • @홀가분-o9n
      @홀가분-o9n Рік тому

      @@ililili6600 또 열등감 폭발하네;; 오래된 아파트 외풍맞고 사나보네 ㅋ

  • @Gusswx6b
    @Gusswx6b Рік тому +192

    전기,의료,까스,수도,다 민영화는 반대다.
    일본 자민당70년 넘게 집권하면서 전부 민영화시켜놓고 사고나면 나몰라라다.

  • @lol-e9o7c
    @lol-e9o7c Рік тому +190

    얼마전 봉사활동갔다가 충격받았다. 연탄쓸때만도 못한거같다.. 주변에 난방 한 번 못켜고 겨울 나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줄 몰랐다. 난방요금은 국가에서 좀 해결해줘라

    • @웜우드
      @웜우드 Рік тому +20

      맞아요. 난방도 못하는데 집 시설도 안좋아서 보일로 온도가 0도로 돼있는 곳이 허다합니다 ㅠㅠ

    • @windmill2004
      @windmill2004 Рік тому +14

      그럼 세금 폭탄 어떻게 할래?
      세금은 공짜인가

    • @윤춘식-j1d
      @윤춘식-j1d Рік тому +1

      민주주의를 외치는 만진당도 못했던것을 하루아침에 지난5년동안 나라빚을 천조를 올려놨는데

    • @윤춘식-j1d
      @윤춘식-j1d Рік тому +11

      ​@@windmill2004세금폭탄은 지난5년동안 겁나게 올려놨지

    • @windmill2004
      @windmill2004 Рік тому

      @@윤춘식-j1d ㅋㅋㅋ

  • @해처리-t6g
    @해처리-t6g Рік тому +233

    일단 가스공사 프로농구단부터 없애는게 정상 아니냐!
    만성적자라면서 요금 올리고 지들은 연말 성과급 챙겨가는데?
    적자 공기업이 프로농구단을 국민 피 빨아서 운영하는게 정상이냐!

    • @신홍수-j5r
      @신홍수-j5r Рік тому +13

      직원들은 모두 없어지기를 간절히 바람, 대구시 관련 정치인이 문제입니다

    • @attachnickname4404
      @attachnickname4404 Рік тому +19

      맞는 말임.한국가스공사는 없어도 되고 가스요금 인상의 원인중 하나인 프로농구단부터 없애라.중간 유통사도 없애고 국민한테 가스를 직접 공급해라.많은 돈이 다른곳으로 새지않게 해라.적자라고 하면서 가스요금 올려서 물가인상에 공공요금 인상등으로 서민들이 살아가는것을 힘들게 하지마라. 니놈들은 성과급이나 배당금 등 돈잔치하는 정신나간짓거리 하지마라.가스요금 내려라.

    • @Levis502tpd
      @Levis502tpd Рік тому +13

      와 이 말이 정답이네 공기업 적자나도 임원들 보너스는 항상 두둑하게 챙겨가더라고

    • @이인혁-u8q
      @이인혁-u8q Рік тому +2

      한전만 할까?

    • @BGM-ph9vf
      @BGM-ph9vf Рік тому

      성과급 의미도 모르는 개돼지새끼들이 이렇게 넘쳐나니 정치인들이 지지율 올리는 용도로 공기업 까대는거지ㅋㅋ

  • @친일청산-x9m
    @친일청산-x9m Рік тому +179

    가장중요한게 단열자체가 잘되있어야됨.....단열은 얼쩔수없다하면 샤시 바꾸는게 도움이되고...큰 돈들일수없다하면....크게 방법은 없고 그냥 옷두떱게 입고 사는거 밖에 없음..

    • @nodongza
      @nodongza Рік тому +2

      ㅋㅋㅋㅋㅋ 어디 뭐 비닐하우스에 사는것도 아니고 ㅋㅋㅋㅋㅋㅋ 24도로 해보세요 21도랑 차이 안나요 생각보다
      술한번 안먹는다 생각하면 오히려 겨울 편합니다

    • @qtwttete
      @qtwttete Місяць тому

  • @아자아-b6i
    @아자아-b6i Рік тому +91

    이런게 강조되는 요즘이 안타깝네 얼마나 물가도 오르고 내팽겨쳐졌으면 이런 걱정이 중요해진 시기가 되었나

    • @윤애니-c9q
      @윤애니-c9q Рік тому

      그러게요 문죄인이 이나라 다 망쳐났네요 월성원전은 왜 폐기했대? 전기 가스요금은 왜 안올렸대? 비겁한 ㄴㄴㄴ

    • @hofffnung
      @hofffnung Рік тому +13

      매년 겨울 나오는 뉴스인데 뭔 요즘 타령ㅋㅋㅋㅋ

    • @마리골드-w2d
      @마리골드-w2d Рік тому +7

      물가 오르는것 문씨라는 사람 최저시급 팍 올리는바람에 제품 원가가 올라서 그래요

    • @소중한사람-s2k
      @소중한사람-s2k Рік тому +15

      ​@@마리골드-w2d무역수지 18위에서 200위 만든건 윤기시다바리 입니다.

    • @Levis502tpd
      @Levis502tpd Рік тому

      @@마리골드-w2d 무식이 하늘을 찌르는구만 ㅋㅋ 너 갱상도태극기 부대지?

  • @user-no119
    @user-no119 Рік тому +129

    애초에 집 지을때 더 꼼꼼하고 빡시게 규제하면 단열이 잘되서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클건데 굳이 후처리로 다 개인들이 막아야 되는게 맞는거냐

  • @초보그림쟁이-c5x
    @초보그림쟁이-c5x Рік тому +3

    전년도보다도 적게 트는데도..ㅡㅡ배는 나와서..에휴,

  • @이하루-l6n
    @이하루-l6n Рік тому +3

    온수방향 상관없데

  • @ariah3128
    @ariah3128 Рік тому +303

    이사할때 단열과 샤시를 신경썼는데 확실히 외풍이 없으니 보일러 조금만켜도 집이따뜻하고 온기 유지가 잘되요

    • @뇌피셜을팩트인냥
      @뇌피셜을팩트인냥 Рік тому +42

      샷시는 무조건 최고 좋은거로 해야함 샷시 돈아끼는거는 멍청한짓

    • @와닝-y7j
      @와닝-y7j Рік тому +15

      근데 샷시가 존내비쌈ㅋㅋ

    • @juns6061
      @juns6061 Рік тому +19

      샷시가 몇천만원인께 문제지ㅋㅋ

    • @와닝-y7j
      @와닝-y7j Рік тому +7

      최고좋은건 진짜 가정집 몇천나오고 싼거해야 몇백임ㅋㅋ

    • @왕건-n6f
      @왕건-n6f Рік тому +17

      일반 가정집에서 샷시가 몇천만원? 도대체 창들이 몇개길래? 제일 좋다는 하우시스 기준 보통 가정집에서 몇천이 어떻게 나오지? 그리고 잘 모르는거 같은데 샷시 시공은 뭘 사용하는지가 중요한게 아니고 어떻게 시공하느냐에 따라 천지차이임.

  • @박기우-r9f
    @박기우-r9f Рік тому +118

    90년대 지은 아파트는 단열이 잘돼있어 결로현상이 안생기는데 10년전에 지은 원룸은 개판으로 지어놔서 겨울만 되면 결로현상으로 곰팡이가 생김. 개짜증남. 빨리 이사가던가 해야지

    • @이종현-k2o
      @이종현-k2o Рік тому +7

      원룸은 6개월사는용이지 눌러살으라고 있는 곳이 아닌데

    • @파이팅-q6q
      @파이팅-q6q Рік тому +5

      자꾸 곰팡이 생기면 짜증나죠
      호흡기 건강에도 안좋아요
      전문가님이 그러는데
      단열이 잘돼있고 실내온도가 높으면 창문쪽에 습기가 많아 (결로수) 곰팡이 생긴답니다
      샷시 전문가가 자주 환기하는 방법밖엔 없답니다
      실내온도를 봄가을 온도만큼만 유지해 보세요

    • @파이팅-q6q
      @파이팅-q6q Рік тому +2

      저도 예전에 방의 유리창 외벽쪽에 곰팡이 많이 생겼었어요
      낮에 문 활짝 열어놓고 마스크하고 난 후에 곰팡이 핀 곳에 락스 묻혀놓고 화장지로 덮어씌운 후 한참있다가 마르고나서 단열벽지했었는데 곰팡이 안생긴지 몇년됐어요
      호흡기건강 챙기시길 바래요

    • @sanmicheal6754
      @sanmicheal6754 Рік тому +11

      나 1992년 건축된 복도식 아파트 사는 빈민인데.. 층간 소음은 있어도 결로는 구경도 못해봄

    • @Love4ever-OnMe
      @Love4ever-OnMe Рік тому +7

      ​@@sanmicheal6754 맞아요 어릴 때 부터 다커서 까지 살았던 복도식 아파트는 90년대 아파트였는데 결로없음 층간소음도 많이 없었음 오히려 더 튼튼함

  • @NIKOLA-m4l
    @NIKOLA-m4l Рік тому +65

    1. 외출시 낮은 온도로 틀어두기
    2. 온수 적정한 온도로 조절

    • @김명환-e6r
      @김명환-e6r Рік тому +2

      지금 아니 오랜전부터 그렇게 해왔습다 차암 살기어렵네요

  • @제이케이-k2y
    @제이케이-k2y Рік тому +57

    공기업들 개혁해야지 그들이 운영을 잘못한걸 왜 일반 국민이 피해를 봐야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각종 성과금에 혜택들을 누리고 사는 자들까지 국민이 책임져야 합니까~~탐관들 때문에 국민만 힘들어지는 세상이 왔나 봅니다. 일반 국민들이 대우받고 잘사는 나라로 이끌어 줄 사람을 뽑아야 합니다.

    • @최성진-n4f
      @최성진-n4f Рік тому +3

      공기업 개혁이라니요... 국제 에너지 가격이 올라서 가스비 인상은 어쩔 수 없는겁니다. 요즘 우•러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등등... 국제정세가 너무 불안해서

    • @래나-t9m
      @래나-t9m Рік тому

      원전 폐기한 문재인이 원인

    • @alexkim516
      @alexkim516 Рік тому +1

      ​@@최성진-n4f뭔 소리?
      공기업들 국민세금으로 돈잔치 그리고 적자는 국민들 세금으로.
      그래서 민영화 경쟁체재로 바꿔야 함ㅂ!!

  • @김용현-x7v
    @김용현-x7v Рік тому +178

    서민들은 다 죽으라는거지 진짜 국민을 위한게 맞냐?

    • @써니찌
      @써니찌 Рік тому +1

      징징거리지좀마라

  • @qU_xp
    @qU_xp Рік тому +23

    4시간에 한번 돌아가게 예약해놔서 손시려울 정도로 추워서 이불밖에 못나가는데 가스요금12만원...ㅠ춥지않게 틀고 살으면 억울하지나 않지..

    • @sy-yu5ji
      @sy-yu5ji Рік тому +1

      아이고 따숩게 사세요~~저흰애들방은
      따뜻하게 온도켜놓고 거실은
      안켜는데 손시럽지 않는데??
      전기매트깔아보세요~~~

    • @qU_xp
      @qU_xp Рік тому +2

      @@sy-yu5ji 아파트가 아니라서 추운가봐요ㅠ 화장실 창문 없는데도 춥고 거실도 창문 두곳에 있고 오늘은 너무 추워서 3시간에 한번 돌아가게 해놨네요...

    • @TY--
      @TY-- Рік тому +1

      동감입니다ㅋ

    • @솔아-m1v
      @솔아-m1v Рік тому +1

      진짜욬ㅋㅋㅋ저희집도 춥지않게 틀고 살면 억울하지도 않지...오래된 단독이라 단열도 별로고..어휴..땅에다 돈 버리는기분이예요..

    • @user-jt3zm1rv9l
      @user-jt3zm1rv9l Рік тому

      난방수온도나 온돌로 한시간쯤 돌린다음 4시간으로 돌려보세요

  • @salomej9948쉼터
    @salomej9948쉼터 Рік тому +26

    ㆍ대한민국에 적자 아닌곳 있나? 공공요금을 앞서 올려버리니 소득은 제자린데 안오른게 없으니 어찌 살겠나?

  • @TV-ey6kn
    @TV-ey6kn Рік тому +87

    보일러에 대한 정보 감사합니다.👏

  • @tabithazhao3317
    @tabithazhao3317 Рік тому +45

    미국은 온수와 난방이 분리돼 있어서 진짜 좋음, 한국도 분리해서 쓰는 정책이 필요함

    • @applefanfi
      @applefanfi Рік тому

      지금 많이 바꼈나보죠?
      온풍기문화에서 보일러는 온수용으로만 쓰던게 엊그제 같은데..

    • @GNG45
      @GNG45 Рік тому +3

      미국은 한국같은 온수보일러가 아니잖아요

    • @user-im3fk9id6l
      @user-im3fk9id6l Рік тому

      55ㆍㄱㅅㄴ​@@GNG45

  • @4-hw6sr
    @4-hw6sr Рік тому +3

    글쎄 껐다 켰다 했는데 사만원 나온건 뭐지?

    • @김선옥-t5t
      @김선옥-t5t Рік тому

      저도 11월달에 아침일찍 보일러 끄고 저녁에 켜고 했더니 가스 요금이 조금 나왔어요
      한파로 보일러가 얼지 않는다면 꺼놓는게 가스비 절약 하는데는 최고 인것 같습니다

  • @odororo
    @odororo Рік тому +1

    나는 예약해두고 몇 시간에 한 번씩 돌아가게 해놨는데 얼마 나오려나

    • @김선옥-t5t
      @김선옥-t5t Рік тому

      같은 양을 써는데 몆만원 더 나왔어요

  • @cutehoring
    @cutehoring Рік тому +215

    핵심은 유지력 외풍막는게 0순위입니다

    • @wjdeotjd2
      @wjdeotjd2 Рік тому +9

      외풍만 막으니까 보일러 안틀어도 별로 안추움. 보일러 함 켜볼까 했는데 실내온도가 이미24도.

    • @쿠마곰-j8q
      @쿠마곰-j8q Рік тому +17

      외풍이미친듯. 옛날집이라외풍막는데불가능한데 ㅋㅋㅋㅋㅋ 개추움

    • @user-cobaltblue
      @user-cobaltblue Рік тому +5

      맞아요
      구축살다가 신축 시스템창호 비싼거 들어간집 왔는데 보일러 안틀어도 거실은 24도이고 안방은 25도네요.
      판상형 남동향에 뻥뷰라서 일출부터 오후1시까지 해드니 춥지않아요
      정남향이면 더 따뜻할듯 합니다

    • @싹뚝뿌
      @싹뚝뿌 Рік тому +7

      와..구축사는데 뽁뾱이 다붙이고 틈 다막아고 방금 퇴근해서 집오니 온도계 12도 찍히네요
      아직은 덜추워서 난방 안트는데 난방비무섭다

    • @ChaCha-pr4gl
      @ChaCha-pr4gl Рік тому +7

      실내12도가 안 추우신가요?와우..

  • @김옥자-h2o
    @김옥자-h2o Рік тому +2

    70대 입데요 오래된집
    달세 살고 있습니다
    실내온도3도 내의 입고
    보온잠옷 양말두개신고
    생활 합니다
    고위층 생각이나 해 보시게 는지요

  • @둥둥-z6b
    @둥둥-z6b Рік тому +16

    기업들 돈좀 더받아라 전기 쓰는거보면 ㅡㅡ 왜 가정집에서만 절약해야되는지...

    • @hofffnung
      @hofffnung Рік тому

      가정집은 한번도 제값 주고 쓴 적이 없으니까 그렇지 무식아. 가정용은 항상 적자임 한전 흑자일 때는 산업용에서 남겨 먹는거고 한전 적자일 때는 산업용에서도 적자인거. 당장 이번에 추가로 올린 거도 대기업 전기요금만 올렸는데 왜케 불만임? OECD에서 제일 싼 가정용 전기 쓰면서 양심도 없네 ㅋㅋㅋㅋㅋㅋㅋ

  • @user-o7nt5ws3pz
    @user-o7nt5ws3pz Рік тому +48

    오래된 건축물은 솔직히 난방비보다 화장실이 더 문제임
    오래된 집에 사시는 어르신들 집에 가보면 화장실이 진짜 겨울철에 무슨 냉장고 수준임;;; 화장실 바깥쪽 벽에 단열이 하나도 안 되어 있음

  • @아쿠-m7f
    @아쿠-m7f Рік тому +2

    아무리예기해도 별차이없음 100원차이

  • @DariAlbes
    @DariAlbes Рік тому +79

    바닥 난방이 안깔린 보일러실 다용도실 발코니같은 공간이 겨울에 영하로 내려가면 그집은 잘못만든겁니다
    단열제를 제대로 쓴 집은 보일러를 안틀어도 실내공간이 얼지 않아요.
    보일러 어는집은 집 자체가 문제

  • @루카토니-n6g
    @루카토니-n6g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전기 가스비 토나옴 ㅎㄷㄷ
    진짜 최소한으로 틀고 춥게지냈는데도 돈이 ....

  • @catsabba
    @catsabba Рік тому +21

    그냥 돈을 많이벌꺼야

  • @뿌이로그-n2n
    @뿌이로그-n2n Рік тому +1

    요새는 그냥안틀고지냅니다

  • @구름-q8l
    @구름-q8l Рік тому +53

    적자라면서 성과금 잔치하는 놈들!

  • @해피라이프-l1i
    @해피라이프-l1i Рік тому +1

    서민들의 실내온도 설정이 24ㅡ27도 인가요?
    겨울에 너무 헐벗고 지내는건 아닌지???

  • @user-WONJAE
    @user-WONJAE Рік тому +18

    가스비자체가 비싸 답이없다 ㅠ

    • @k_soo513
      @k_soo513 Рік тому +2

      맞습니다ㅠ 좀 불편해도 예전 연탄 보일러나 온수 보일러때까지가 따뜻하게 지냈어요ㅠ
      가스 보일러 아후부터 서민들은 항상 추운 겨울을 보내서 삶의 질이 떨어지고 겨울 나기가 너무 힘드네요ㅠ

  • @궁궁궁-c9r
    @궁궁궁-c9r Рік тому +2

    올릴떄 못올린 대가

  • @노성숙-k8k
    @노성숙-k8k Рік тому +53

    가스공사 임원들 과. 하청업체 임원들 몇억씩 연봉. 챙기면서. 적자운운. 가스비 매년. 인상해서. 전국민. 등골빼먹는게 말이되나?

  • @yuhanez
    @yuhanez Рік тому +51

    귀찮아. 그냥 켜두고 지냄.. 추워서 몸 아파져서 병원가면 병원비가 더 드니까 차라리 그냥 켜둠. 그 정도는 감당해야지.

    • @2분과학3분과학
      @2분과학3분과학 Рік тому +4

      춥게 지내야 건강해진단다 신생아 있어도 춥게 지내면 아기가 감기에 잘 안걸림

    • @yokagoboni_sugujuapaminjoodang
      @yokagoboni_sugujuapaminjoodang Рік тому

      ​@@2분과학3분과학ㅈㄹ마 ㅂㅅ아 1도 떨어지면 면역력 확 낮아져. 쥐뿔도 모르는 게

    • @user-centered
      @user-centered Рік тому +1

      수명 줄음 춥게 지내면 춥다 덥다 해야 면역력 모름

    • @yuhanez
      @yuhanez Рік тому +9

      @@2분과학3분과학 왜 이래.. 작년에 난방 안켜고 춥게 지내다가 병원 간게 몇번인데.. 우리가 푸틴처럼 얼음물 들어가는 러시아 민족도 아니고..

    • @2분과학3분과학
      @2분과학3분과학 Рік тому +1

      @@yuhanez 난방 켰으면 닌 벌써 죽었어

  • @봄여름가을겨울-v4m
    @봄여름가을겨울-v4m Рік тому +2

    계속 켜! 설정온도는20~24도

  • @게임만-e3e
    @게임만-e3e Рік тому +39

    조금 아낀다고 감기걸리면 더힘듬 따뜻하게 겨울 나시길.

  • @Buruma2011
    @Buruma2011 Рік тому +2

    난 심야 전기 쓰는데 이번달 39만원 나왔음 이렇게 비싼데 심야전기를 왜 쓰는건지 .. 내가 주인이 아니라 그냥 쓰고 있는데 이건 아닌듯. 심야. 전기가 예전에는 싸서 깔았다던데 지금은 심야 전기가 제일 비쌈. 심지어 난 열이 많아서 영상 10도로 해 놨음.
    우리집 오면 다들 춥다고 하지만 난 추운걸 좋아해서 최하인 10도인데 39만원 이라니 ...
    가스는 비싼것도 아님.

  • @jhl7738
    @jhl7738 Рік тому +113

    혜택 받으려면 항상 인증하고 신청하고.. 정작 세금 내거나 불이익 받는건 가만히 있어도 다가오고...ㅎ 통계를 내서 적게 사용한 가정에 혜택 주는게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 싶네요 뭘 항상 신청하래

    • @user-qd60msbq
      @user-qd60msbq Рік тому +5

      불만이면 신청하지마. 남의돈 받는게 그렇게 쉽냐? 알아서 뭐 다 갖다줘야함?

    • @sansaraishu
      @sansaraishu Рік тому +8

      눈먼돈꿀꺽해야되니까그렇지ㅋㅋ

    • @kmnbvcxz-dl3dn
      @kmnbvcxz-dl3dn Рік тому

      ㅋㅋ. 그러게 말야.
      잼나게 시청합시다ㅎㅎ

  • @차갑고뜨겁게-i5g
    @차갑고뜨겁게-i5g Рік тому +31

    에어컨은 걱정없이 틀었는데 가스는 아끼며 씀 요금이 진짜 무섭게 올라감

    • @최혜진-q9j
      @최혜진-q9j Рік тому +1

      저는 따뜻하게 사는편인데..크게 차이 없던데요ㅡㅡ

  • @천상신조
    @천상신조 Рік тому +17

    멀쩡한 에너지 공기업이 왜 왜 왜 적자로 전환 됐는지 이유 철저히 조사해서 책임자 처벌하라!!한전은 흑자 기업이였다

    • @joypraythanks
      @joypraythanks Рік тому +2

      산업용 상업용 공업용 전기요금이 원가에 못미칠 걸요. 그러면서 30%도 안 쓰는 가정용 전기요금만 올림. 전기 생산 원자재 가격이 인상되기도 했지만 외주를 줘서 직접 생산할 때보다 비싸게 매입함. 이 두 문제 꽤나 오래됐는데 손을 안 댐

    • @이나-w1c
      @이나-w1c Рік тому

      한전 20프로 민영화됐어요

  • @Dan-pd9lh
    @Dan-pd9lh Рік тому +1

    간떨어지기 싫어서 이번 겨울 보일러 한번도 틀지않음.

  • @jacobin1632
    @jacobin1632 Рік тому +61

    가스 요금 2배 올렸으니 할말이 있냐? 그나저나 러시아 전쟁 이후 국제 가스, 유가 가격 다시 제자리로 돌아왔는데, 요금 왜 안내리냐😮

    • @정인철-q2q
      @정인철-q2q Рік тому +4

      1. 환율이 올랐잖아요
      2. 전쟁기간 적자났던것 메꾸어야죠

    • @D.Y0426
      @D.Y0426 Рік тому +1

      에휴 답이없다 이런글쓰는ㄱ

    • @DoC_Kim
      @DoC_Kim Рік тому +1

      구매계약을 몇년치를 한번에 해서 그렇대요.

    • @jacobin1632
      @jacobin1632 Рік тому +1

      @@D.Y0426 개돼지가 여기있네 멍꿀멍꿀

    • @jacobin1632
      @jacobin1632 Рік тому

      @@정인철-q2q 적자 메꾸면 다시 내리냐?

  • @전대미문
    @전대미문 Рік тому +1

    실내온도 20도

  • @큰형-s5s
    @큰형-s5s Рік тому +186

    얼마전에 새 보일러 교체했는데~
    요즘 보일러 너무 좋더라.
    기본 온도 설정해놓으니 알아서 척척~
    적당하게 실내온도 유지하는게 예전보일러와는 완전 다르더라

    • @후쿠오
      @후쿠오 Рік тому +4

      교체비용 얼마나들어요?

    • @봉돌맨
      @봉돌맨 Рік тому +29

      귀뚜라미 직원이냐

    • @ipmanyeolmyeungura
      @ipmanyeolmyeungura Рік тому

      ​@@후쿠오평수에 따라다르죠
      견적받을때 11평이하는 60 이상은 80 이고 그이상은 모르겠어요 보일러회사에 물어보셔요

    • @nobunagaoda30
      @nobunagaoda30 Рік тому

      @@봉돌맨 어치피 10년이면 바꿔야되는데

    • @조필연-e5c
      @조필연-e5c Рік тому +5

      ㅋㅋ

  • @밍밍-v8h5t
    @밍밍-v8h5t Рік тому +1

    이런데 돈써야되는데 해외여행 다니느라;

  • @coffee_love999
    @coffee_love999 Рік тому +36

    작년보다 가스를 덜 사용하면 장려금이라니 그것도 신청도 개인이하고

    • @ihatethishandlething
      @ihatethishandlething Рік тому +3

      준다해도 난리네

    • @coffee_love999
      @coffee_love999 Рік тому +8

      @@ihatethishandlething 작년보다 덜 사용했으니 신청하시오 연락이나 아니면 고지서에 이런 정책이 있다 고지를 하던지 이걸 뉴스에서 알아서 찾아가라가 맞아? 준다고 해도 뭐라하내가 아냐 ㅉㅉ

    • @ihatethishandlething
      @ihatethishandlething Рік тому

      @@coffee_love999 그게 준다고 해도
      징징 거린거지
      전형적인 해줘충 이네ㅋㅋ

    • @coffee_love999
      @coffee_love999 Рік тому

      @@ihatethishandlething 댓글 썼다 지웠니? 이기적인 새끼 지혼자 사는 세상인가 인터넷 모르는 어른이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은 생각안하고 단순무식하게

    • @SaharaMoon
      @SaharaMoon Рік тому +2

      창문 샤시 밑으로 고래바람 들어옴
      면내의같은 헝겊을 손바닥 반만한 폭으로 길게 잘라서 나무젓가락으로 다져 끼우면 됩니다.
      그렇게 바람이 줄줄 새는 샤시를 만드는걸 보면 샤시 제작 회사는 아이큐 0로 보임.

  • @강미옥-w3c
    @강미옥-w3c Рік тому +1

    0:17

  • @daffodil2624
    @daffodil2624 Рік тому +58

    전기요금 가스요금만 올리지말고 공기업 급여 조정이 필요할것 같습니다.

    • @overtherainbow3425
      @overtherainbow3425 Рік тому +2

      그럼 민영화 시켜 ㅋㅋㅋ 지는 싸게 쓰고 싶고 직원들 월급은 깎아야겠고 ㅋㅋ 다 누구의 가족인데 지 하나만 살겠다고 ㅋㅋㅋㅋㅋㅋ 기가 막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승민정-o8r
      @승민정-o8r Рік тому

      요금 상승이 직원들 탓 인가요? 헐..
      요금 상승이랑 직원들 월급이랑 무슨 상관?

  • @tommy1027
    @tommy1027 Рік тому +1

    전기요금, 가스요금 안올린다고 했던것 같은데

  • @주현태-m9n
    @주현태-m9n Рік тому +3

    가스가격 안정됬는데 가스비 그대로 받네? 도둑이냐 ㅋㅋ

  • @주주파더-f5c
    @주주파더-f5c Рік тому +1

    외출은 동파방지기능이 아닙니다. 최소연소기능입니다. 한파시 절대외출 틀지마시고 온도를 낮게든..아님예약설정해주세요. 한파시 급속도록 온도가 떨어지기때문에 동파로 보일러교체에 돈백만원우습게 깨집니다.

  • @rance5832
    @rance5832 Рік тому +80

    지난달 가스요금 생각보다 20~30%는 더 나온듯

    • @라썰남TV
      @라썰남TV Рік тому +2

      난 기름보일러다 ㅠ

    • @ekw2432
      @ekw2432 Рік тому +4

      단가가 30%정도 올랐어요

    • @홍자-t1j
      @홍자-t1j Рік тому

      장작패러 갔다 올께요 21세기 미래님아​@@라썰남TV

    • @Soonsu_hyeoltong
      @Soonsu_hyeoltong Рік тому

      연평균 가스비를 매달 모아놓자

    • @김수환-b5q
      @김수환-b5q Рік тому

      잘때 따끈하게 틀고 15만원 나오던데
      이정도면 혜자

  • @이영택-c1o
    @이영택-c1o Рік тому +1

    전기세도.다른곳에새는것일반가정집에서부담하는겁니다.고압선근처.저온저장고쓰는집.농사용전기.사업장전기.활인돼는전기세.일반가정집에서다내주는겁니다

  • @reich-558
    @reich-558 Рік тому +7

    부모님 집이라 다행이다

  • @sani5893
    @sani5893 Рік тому +1

    외출모드가 없는디

  • @구독홀릭
    @구독홀릭 Рік тому +8

    전기세보다 가스비가 더 나오는것 같음.

  • @김창희-r1l
    @김창희-r1l Рік тому +1

    저희집은 아예 안킵니다

  • @Kim_JinHwan
    @Kim_JinHwan Рік тому +28

    그냥 가스비를 좀 내리면안되냐?

    • @햄먹자
      @햄먹자 Рік тому +3

      윤석열 찍었음 그런말 하지마요

    • @Kim_JinHwan
      @Kim_JinHwan Рік тому

      @@햄먹자 니가찍었겠지

  • @강백호-y2r
    @강백호-y2r Рік тому +17

    보일러를 켜지 않으면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

  • @삥뿌-kr
    @삥뿌-kr Рік тому +2

    개꿀팁 알랴드림
    창문틈 다막고 현관문틀 다막고 25도로 맞춰놓고 25도 되면 15도로 내리고 유지하고 이걸 3일에 한번씩만 희망온도 올려주면댐 집 뜨듯한데 가스비 3만원나옴

  • @CO0C0O
    @CO0C0O Рік тому +135

    심야보일러 21년 12월 전기요금 40만원, 22년 12월 전기요금 70만원 , 23년 12월 얼마나올지 걱정이네요..
    진짜 지옥이 따로없네오.. 어떻게 전국민을 대상으로 전기를 공급판매하는 기관이 적자일수 있는거죠? 납득이 가질 않네요...
    진짜 한전은 개쓰래기 기업입니다..

    • @user-ud1yd1fz7s
      @user-ud1yd1fz7s Рік тому +19

      그럼 민영화할까요? 공기업이라 적자가 나는거고 우리가 저렴하게 쓸수있는건데?

    • @윤태은-v6t
      @윤태은-v6t Рік тому

      전기요금 년도별 인상폭보면 민자발전사나올때 가장큰폭으로상승
      그리고 1달전 뉴스였나 4년간 민자발전사에 발전 외 명목으로 32조원 줬다는 뉴스있음
      검색어 "발전 외 명목" "민자발전사 이익" 해보세요...흑자나도 적자로 바뀔수밖에 없는 구조

    • @김종인-c3m
      @김종인-c3m Рік тому +7

      아무리 시청률 올리기 위함이라지만 모르면 요금 폭탄이라고 으름장 놓잖어요. 그 근원인
      민영화는 정치적목적이고 영미식 민영화는 대영제국시절 착취와 폭리등 당초 나쁜짓이 근원.

    • @a2788201
      @a2788201 Рік тому

      @@user-ud1yd1fz7s 뭔 개소리를 적어놨어... 한전 쓰레기기업이라는데 왠 민영화헛소리를 하냐??
      공기업인 한전이 불과 몇년전에 4~5조씩 수익났던건 모르냐?? 정신나간놈

    • @아그리고-h8r
      @아그리고-h8r Рік тому

      원래 한전은 흑자만 내던 기업이라 욕처먹었는데 니들이 모자란 문재앙 뽑아놔서 개헛짓거리 하고 바로 적자기업됨. 문재앙 뽑고 민주당 뽑은 니들 때문에 안뽑은 국민들도 고통받고 있으니까 감히 징징대지 마라

  • @cokerzero
    @cokerzero Рік тому +2

    물 안 쓸 때 수도꼭지 차가운 방향으로 해두라는 건 진짜 지능이 어떻게 된거냐,,

    • @jbna851
      @jbna851 Рік тому +1

      저렇게 하라는 의도를 이해 못하노. 사람들이 수돗물을 이용할때 온수사용 목적이 아닌 잠깐씩 사용할때 의식하고 수도레바를 냉수쪽으로 돌려쓰는게 아닌 그냥 그 상태로 수도레바를 들어올려 사용하게 되는데 수도레바 위치가 가운데에 있는 상태로 물을 틀면 그때 본인이 의도하지 않아도 보일러가 돌아가니까 그걸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냉수로 미리 돌려놓고 사용하라는건데..

  • @강운심-n4k
    @강운심-n4k Рік тому +1

    보일러배관청소하기

  • @러블리-h9e
    @러블리-h9e Рік тому +33

    아니 지들이 운영을 잘못해서 적자내고서 그걸 우리더러 메꾸라고 하다니 도둑넘들이 따로없네

    • @윤지송-s2n
      @윤지송-s2n Рік тому

      투표 잘하세요.. 매국힘당은 뭐든 돈 되는 게 보이면 뜯어서 팔 궁리하는데... 그걸 사는 건 누굴까요?
      mb를 보면 해외로 돌려서 자기 뒷주머니에... 매국힘당 놈들 하는 짓들이 끼리 끼리... 마르지 않는 샘물처럼 공기업 쪼개서 팔아 주머니 뒤에 꽂아넣어버리는데...
      에휴..

    • @nb2jf
      @nb2jf Рік тому

      한국관료의 특징입니다. 국민들에게 떠넘기기. 국민탓. 특히 서민들

  • @nana28599
    @nana28599 Рік тому +1

    온수보다 난방이 훨 더 먹음요 여름에 맨날 온수샤워해도 얼마 나오지도 않는. 난방은 얼마 돌리지도 않는데 사용량 엄청 증가

  • @youngflower23
    @youngflower23 Рік тому +6

    벌써부터 고지서 걱정이 됩니다

  • @동이-e9j
    @동이-e9j Рік тому +1

    원룸. 하루 12시간씩 돌려도 4만원이 안나오는데...
    10만원씩 나온다는 사람들은 도대체 머지...
    아무리 투룸 쓰리룸이라고 해도.. 10만원이 넘진 않을텐데..
    백수인가!!!????!?!?!?!?!?!!?
    한달 내내 24시간 풀로 돌리는건가!!?!?!?!?!?!??
    여름에는 한달 5천원도 안나오는 가스비....
    여름에 제일 적게 낸 가스비가 500원인디...
    겨울에 제일 많이 낸 가스비가 3만 5천원 정도인데....
    집안 온도를 좀 내리고 옷을 껴 입으세요.
    배달일 하면서 돌아다니다 보면.. 한겨울에 집안에서 반팔 반바지 입고 있는 사람들 엄청 많음 ㅡㅡ;;;;
    자기들이 온도 엄청 올려놓고 지내면서.. 왜 많이 나오지??? 이렇게 물어보면.. 할말이 없음...

  • @듀란-h8o
    @듀란-h8o Рік тому +11

    보일러 출근할때 항상 끄고 갔는데 어디에서 차가워진 방을 데우는데 난방비가 더든다길래 제일 낮은온도로 항상 켜두었더니 난방비가 2배넘게나옴 -_-

  • @sksdksckddn
    @sksdksckddn Рік тому +1

    외부 온도차이때문에
    가스소비량이 정해지는겁니다

  • @제임스-y5v
    @제임스-y5v Рік тому +34

    그냥 장기간 외출할때도 틀어놓고감 .. 21도정도로. 18년도에 보일러 끄고 살았다가 동파되서 70만원 수리비 나와서 ....

    • @성이름-j7r2d
      @성이름-j7r2d Рік тому +1

      저희도 18년도 한파때 2시간에 한번도는 예약모드 해놨다가
      보일러터져서 교체했어요 ㅠㅠ 79만원날렸어요.

    • @AAC13580
      @AAC13580 Рік тому +1

      저는 3시간에 한번 돌아가는 예약해놓고 출근해요 근데 요즘 날씨엔 그것도 불안함 ㅠ 동파되면 거금나가니까요 ㅠ 😂

    • @rglz9024
      @rglz9024 Рік тому +1

      잘 아시네. 내가 세입자 분들한테 항상 안내하는 내용임. 동파 수리하려면 겨울에 기사분 올 때까지 벌벌 떨고 불편하고 목돈 나가고 모르는 사람 집안에 드나들고 뭐 좋음? 몇 만원 더 쓰면 막을 수 있는 일.

  • @꿀빠는인생-p9c
    @꿀빠는인생-p9c Рік тому +15

    겨울엔 가스비
    여름엔 전기
    물가가 조졌네

  • @MI-fq3tq
    @MI-fq3tq Рік тому +1

    내 가스주식은 왜안오르지ㅡㅡ

  • @MINMIN-lj3sy
    @MINMIN-lj3sy Рік тому +6

    보일러의 사용방법의 문제로 난방비를 아끼는게 아니라. 사용량이 작아도 돈을 더 내야 한다는게 문제라니까! 좀 깍아줘!! 자영업자 살려주세요~

  • @고명곤
    @고명곤 Рік тому +1

    가스,전기,의료보험 등등 계속 올리네요 어디까지 올리나 두고 봅시다

  • @windows0470
    @windows0470 Рік тому +6

    수전은 옛날수전중에 온수에서 냉수로 수압차에의해 이동되면서 그런말이 나온겁니다 특히 지역난방 중앙난방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그외 집에 보일러가있고 온수가 보일러통해서 나간다면 수전방향 무시하면됩니다
    보일러는 바닥 난방을하는건데 아이러니하게 온도는 공기온도를 보니깐 꺼놓고있다 방이 냉골상태서 그냥 난방을하면 난방비 폭탄이되는겁니다.
    실내공기온도가 올라가야지 보일러가 가동이 멈추는데 바닥에 이불이라던지 카페트같은것들 층간소음차단한다고 충격완화 같은것들이 있음 바닥에서 공기랑 열교환이 이뤄지지 않기에 보일러는 계속 가동되는겁니다 이걸생각해서 보일러를 켰다 껐다하셔야되고
    가정집에도 냉난방기 설치해서 같이 돌리고 따듯해지면 그때는 보일러만돌리는게 효율적입니다

  • @Esteban_Cho
    @Esteban_Cho Рік тому +1

    그래서 보일러 안켜고 삽니다ㅎㅎㅎㅎ

  • @공주님-j4g
    @공주님-j4g Рік тому +26

    건강상 몸이좋지않아 24시간 난방을 해야하는데 난방비생각에 걱정이많네요 방안 사방을 온통 막았는데도 바람은 여기저기서 새어들어오고😢올겨울은 유난히 더추운탓에 이제 겨울시작인데 앞으로 나올 난방비 걱정에 한숨만나오네요😢

    • @qaz14725
      @qaz14725 Рік тому +10

      그래도 힘내세요
      새해에는 완쾌하시기를 빕니다

    • @공주님-j4g
      @공주님-j4g Рік тому +4

      @@qaz14725 감사합니다~건강하세요♡

  • @ckk9368
    @ckk9368 Рік тому +2

    치매걸린 어머니 88. 저는64살입니다 어머니요령연금30제연금 30. 밤에알바30. 한달백만원안팎입니다 요번에느닷없이 의료보험로 20만원으로올랐는데 깨스비 10 보험료20. 전기세수돗세 합한요금10. 요양보험사 10 관리비8 한달30으로 거지처럼사는데 이게맞는건지 누구에게 따져야되는건지요?의료보험공단에선 한달100수입하면 보험료20내는건당연하다고하고 ..

    • @hyejjang8116
      @hyejjang8116 Рік тому

      한달에 60시간이상 일하시고 4대보험 되는곳으로 가세요 그럼 건보료는 확 줍니다.

  • @1824Hebe4everyoung
    @1824Hebe4everyoung Рік тому +7

    탈원전하면서부터 전기세가 엄청오름. 탈원전하기전엔 전기세가 젤 싼 나라였는데 ....

  • @sjstkguddlakEkdgkek
    @sjstkguddlakEkdgkek Рік тому +1

    온수를 종일 쓰는 사람이라면 모를까 온수 사용 보다 난방비가 훨씬 많이 나옵니다.

  • @ll-cl8jg
    @ll-cl8jg Рік тому +11

    겨울철에 집안 공기가 더러워 창문을 살짝 열고 지내는데(5mm) 요즘 보일러 계속 돌아감. 그래도 신선한 공기를 포기할순 없음.

  • @두둠칫둔두루누
    @두둠칫둔두루누 Рік тому +1

    냉수방향으로 돌리는 습관은 나중에 좋아요 실수로 물 틀고 가도 보일러 작동안되니까

  • @ikk9715
    @ikk9715 Рік тому +131

    엊그제 그렇게 추운데도 우리집은 단열에 신경 써서 자기 1시간 전에 보일러 온도를 27도로 높여서 틀고 자기 바로 전에 꺼 놓고 자도 아침 10시까지 바닥에 온기가 남아 있어 긴팔 티셔츠 하나 입고 있어도 춥다고 느껴지질 않아요.
    그래서 보일러 비가 다른 가구에 비해 많이 안 나온답니다.

    • @sdfhd56
      @sdfhd56 Рік тому +7

      온돌모드신가봐요.

    • @희망-s9e
      @희망-s9e Рік тому +2

      어디사세요? 아파트?단독? 빌라?

    • @user-nh765tfg5cx
      @user-nh765tfg5cx Рік тому

      ​온돌은 시작온도가40도부터에요

    • @raykimceramic
      @raykimceramic Рік тому +2

      안물안궁

    • @neoperfect
      @neoperfect Рік тому +16

      이게 일반적인 커뮤니티 대화법...
      정상적인 사람들은...
      어떻게 단열했냐?고 노하우를 물어보는게 정상인데 ...
      안물어 봤다~~~
      자랑하는거냐 .. 이렇고 있슴 ㅡ_ㅡ;;

  • @요요구르트-t8s
    @요요구르트-t8s Рік тому +2

    물가도오르고 전기가스다오르고 이좁은세상에서 어떻게살라는건지...

  • @차현희-y1v
    @차현희-y1v Рік тому +8

    팩트는 가스나 전기 가격이 폭등한건데
    난방절약이 무슨 소용이냐
    작년보다 적게 쓰고 돈은 훨씬 더 내는데
    이건 안 밝히고 아껴쓰라고만 나오네

  • @이경연-n9m
    @이경연-n9m Рік тому +1

    0:18

  • @riddler8772
    @riddler8772 Рік тому +28

    절약방법 , 요금이 오를수 밖에.없는 이유
    설명하거나 알려주는건 좋은데
    장작 중요한걸 안 알려주네요.
    왜 정부는 본인들 회식이나 접대비,
    이전 망해버린 잼버리 같은 행사에 들어간 수십억 비용 , 그리고 여가부 같은 불필요한 기관이 집아먹는 유지비, 쓸모없는 미술 작품 설치 한다고 들어간 비용등
    이런 쓸데없는 곳에 들어갈 돈들은 있고
    정작 필요한 곳엔 투자할 돈이 없는것인지
    이걸 알아야 합니다.

  • @두치와뿌구
    @두치와뿌구 Рік тому +1

    등유 값 30만원 나온다 ㅜㅜ

  • @야랑-z1c
    @야랑-z1c Рік тому +19

    기자 분이 정장을 입지 않고 평상복을 입고 보도하는 건 처음 보네요

    • @바둑눈이
      @바둑눈이 Рік тому +8

      이젠 복장도 태클거네

    • @kwonminsu6956
      @kwonminsu6956 Рік тому +11

      난 좋아요.

    • @animo144000
      @animo144000 Рік тому +13

      저도괸찮아요

    • @rem0228
      @rem0228 Рік тому +8

      뭔 쌍팔년도도 아니고 자유롭고 보기좋고만

  • @thankyou205
    @thankyou205 Рік тому +1

    물가올랐으니 난방비도 올랐지 당연한거 아니냐 니월급만 오르고 남월급 남이 파는건 안오를거라 생각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