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섹시코만도 선수출신이고 현재는 직장인입니다. 얼마전부터 주짓수를 수련하고 있는데 항상 의문이 들던 부분이 동영상에 다 담겨있네요. 유색벨트들도 타격에 대해서 완전히 무방비였습니다. 스포츠주짓수와 실전주짓수가 나눠져있다는것도 이 채널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근대 좀 이해할수가 없네요. 그레이시에서 만든게 주짓수인데 '주짓수는 이렇게 수련하는게 맞습니다'라고 그레이시쪽에서 증명해야하는 입장이라니. 좀 웃긴 상황이네요.
@@행-h1b 왜 저렇게 쌈박질이라고 무시할까 인간은 본질적으로 동물이고 언제라도 주먹다짐이나 몸싸움 할 수 있는겁니다. 단순히 술집에서 허세부리며 드잡이질 뿐만아니라 세상에는 나쁜놈들이 많기때문에 힘으로 당신을 제압하려는 사람은 널려있어요. 정 운동이 하고 싶으면 헬스도 있고 축구도 있고 테니스도 있는데 상대방을 제압하기위한 격투기의 종류인 주짓수를 배우면서 격투나 싸움을 무시하고 천하게 생각한다? 마치 축구 배우면서 선수할것도 아니고 공 잘 차는데 무슨 의미냐 걍 재밌으면 되지? 하는거랑 똑같음 애초에 격투기의 본질은 상대방을 제압하는것 입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오픈 가드가 타격 방어에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려면 단 하나만 고려하면 됩니다. 상대방의 앞 골반을 발로 막고 있는지 없는지 입니다. 따라서 데라히바나 리버스 데라히바 가드에서 반대 다리로 모를 하던 상관이 없습니다. 타격 방어에 좋지 않은 가드인건 확실합니다. 물론 빨리해서 타격을 피할 수도 있죠. 하지만! 확률적으로 맞을 확률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추천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쉬운 실험을 보시려면 UFC 경기에서 하위 포지션에서 선수가 데라히바 가드를 얼만큼 자주 사용하는지 그리고 사용했을 때에 성공/실패 비율을 분석하면 대략적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graciegangnam 앞선 말씀은 이해했습니다. 요건 다른 궁금증인데, ufc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버터플리이의 경우, 상대 골반을 차단하거나 파운딩을 막기 위해 공간을 내주지 않아서 사용되는게 아니지 않나요? 상대가 파운딩을 위해 움직일때 즉각적으로 스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니쉴드가 포함된 하프가드의 경우도 상대가 파운딩을 시도하면 겨드랑이가 비기 때문에 들어갈 수 있는 것처럼요. 혹시 이런 상대가 파운딩을 고수했을시, 스윕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가드는 그레이시에서는 어떻게 보시나요?
저도 운동을 십년 가까이 했지만 운동을 안했던 사람을 쉽게 제압 할수 있죠 근데 제압 단계까지 가는데 손해가 크다고봐요. 우리나란 방위 인정 범위도 적고 메치기도 발목 받치기 안다리 정도면 모를까 상대방이 다치면 결국은 억울한 손해가 온다고 봐요.호신술 설명해주실때 강조 하실게 첫번째론 무조건 피하고 본다 어쩔수 없을때 최대한 간결하게 제압한다 이렇게 설명해주시겠지만 그래도 한번 말씀드립니다.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하프가드 유튜브 영상을 만들 예정입니다. 꼭 참조하세요! 쉽게 말해선 가능하고 안전합니다. 하프가드 포지션에서 언더훅 파고 일어나서 딥하프가드로 가려고하면 주먹으로 너무 많이 맞습니다... 따라서 아래 다리를 빼서 Dog Fight 포지션으로 가는 것이 실전 상황에서 가장 좋습니다!
시범영상이긴 하지만, 목적은 기술을 하더라도 주먹을 막을 수 있는 ‘거리 조절’을 하지 못하는 상황/기술을 보여주기 위해서 입니다. 이 영상에서 보여드리는 가드들은 주먹을 맞지 않고 할려면 답은 그냥 빨리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아니면 맞으면서 해야죠. 그렇지 않는 가드들도 있다하는 걸 보여드리게 위한 영상입니다 🙂
@@1234aas 클로즈 가드는 유리하게 타격 방어에 강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하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클로즈 가드에서 타격 방어 시스템을 배웠으면 상대방과 좁은 거리를 유지하면서 KO 펀치를 막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오픈 가드들은 상대방과 거리를 좁히거나 완전히 타격 거리에서 벗어나기가 힘들죠. 간단한 예를 들자면, 종합격투기 시합에서 무슨 가드를 압도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보면 됩니다.
주린이 질문이 있습니다. 저렇게 가드를 하게되면 보통 상대방이 무게중심이나 기술에 걸리지 않기위해 상대방도 같이 그라운드로 가지 않나요?? 개인적인 의견이다만 저기서 타격을 하려고 하면 몇대 때리기야 할 순 있겠다만 득보다 실이 더 클 것 같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 감사합니다. 주짓수 블랙벨트를 “쓰레기” 취급을 하는 것음 전혀 아닙니다. 우선 저희 채널에 댓글을 남기실거면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이 개념 덕분에 블랙벨트를 받은 겁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지 않고서 블랙벨트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오히려 걱정스러운 점이죠. 타격이 들어간 상황에서, 과학적인 입장으로 판단하자면 매우 위험한 자세이고 얼굴을 너무 많이 노출 시킵니다. 이런 가드들보다 타격에 더 안전한 가드들이 있고 타격이 있는 상황에선 이런 가드들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타격에 취약한 가드들을 성공시킬 수 없다는 건 아닙니다. 다만, TKO 또는 KO 당할 확률이 크게 높아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주짓수의 근본적인 전략이 다른 무술들과 달리 살아남는 것이고 방어입니다. 따라서 이런 가드들은 타격없는 대련을 할 때 또는 주짓수 시합에서만 사용하는것을 권고하는 겁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하지만 몇가지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1. 일단 주짓수도 타격 방어를 포함한 수련을 합니다. 문제는 계열에 따라 하고 하지 않는 곳들이 있는거죠. 2. “스텐딩에 입식 유술이 먼저다”: 항상 그렇지 않습니다. 특히 상대방이 더 크고 강하고 운동신경이 더 우수할 경우, 타격으로 상대한다는 것은 사실 비효율적인 방법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유도라고 하시면, 스텐딩에서 도복을 서로 먼저 잡으려고 하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전략을 뜻하지만, 이것은 일단 스텐딩 타격 방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넘어뜨린다고 해서 싸움이 끝나는 것도 아니고, 가장 중요한 점은 유도를 효과적으로 더 강한 상대에게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운동신력이 주짓수에 좋아야 합니다. 그래서 성인분들이 유도를 취미로 삶지 않으려고 하는 겁니다. 유도가 약하다는 것은 전혀 아닙니다. 하지만 유도는 스포츠화가 많이 된 시점인건 현실이며, 주짓수가 탄생한 근본적인 이유가 유도 (정확하게 따지자면 일본 주짓수)의 대부분의 기술들이 더 큰 상대한테 성공시키기가 어려워서 입니다.
무술을 수련함에 있어서 선수할거 아니고, 싸움할거 아니니 실전 필요없다 하는 사람은 수영 배우면서 생존 필요없다는 것과 같은 우매한 사람이죠.
그냥 형식에 치우치는 수박 겉 핥기와 같은 것.
그냥 근력과 심신 기르고싶은걸수도있지 어차피 니가 무술챔피언이여봤다 총알 못막자나 ㅋㅋ
내가 주짓수 수련하는 이유도 남이 정해줘야 하는거임? ㅋㅋㅋ
맞긴하지
틀린 말은 아니지
스포츠하는데 무술을 왜 들이대노
그래서 에디브라보가 만든 컴뱃주짓수는 노기에 가드상황에서 따귀를 때릴수있죠
따귀하나 추가됬는데 하위플레이는 전멸하고 무조건 탑잡을려고 포지션싸움을 죽어라합니다
어찌보면 mma식 주짓수와 매우흡사해졌는데 이게진짜 주짓수가 지향해야하는 실전적인 무술이라 생각합니다
타격이 있는 상황에선 탑 포지션 점유가 굉장히 유리해지는 것 같아요 그래서 mma 무대에서 레슬링이 먹히는 것 같구요
레슬링이 MMA에 매우 중요하죠!!
mma에서 레슬링으로 탑 포지션 차지 할 수 있는 능력+주짓수로 탑 포지션에서 스윕이나 서브미션 당하지 않는 능력은 정말 필수라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서브미션 캐치 또한 있으면 강력한 무기가 되죠
그레이스 컴배티브 초반부에 더블렉 태클을 가르치는 것도 레슬링의 중요성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엄청 공감되는 영상임 다만 복싱도 글러브 꼈을때랑 베어너클일때 기술이나 양상이 달라지듯이 주짓수도 똑같은듯 스포츠 실전 둘 다 매력이 있음
어쨌든 하나만 배우면 약점이 있음.
걍 싸움 잘하고 싶으면 종합격투기
배우면됨.
저는 섹시코만도 선수출신이고 현재는 직장인입니다. 얼마전부터 주짓수를 수련하고 있는데 항상 의문이 들던 부분이 동영상에 다 담겨있네요. 유색벨트들도 타격에 대해서 완전히 무방비였습니다.
스포츠주짓수와 실전주짓수가 나눠져있다는것도 이 채널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근대 좀 이해할수가 없네요. 그레이시에서 만든게 주짓수인데 '주짓수는 이렇게 수련하는게 맞습니다'라고 그레이시쪽에서 증명해야하는 입장이라니. 좀 웃긴 상황이네요.
쌈박질 할 것도 아니고 mma 선수 할 것도 아니고 그냥 취미로 다니는데 그런 것까지 신경써야할까요?
@@행-h1b 왜 저렇게 쌈박질이라고 무시할까 인간은 본질적으로 동물이고 언제라도 주먹다짐이나 몸싸움 할 수 있는겁니다. 단순히 술집에서 허세부리며 드잡이질 뿐만아니라 세상에는 나쁜놈들이 많기때문에 힘으로 당신을 제압하려는 사람은 널려있어요. 정 운동이 하고 싶으면 헬스도 있고 축구도 있고 테니스도 있는데 상대방을 제압하기위한 격투기의 종류인 주짓수를 배우면서 격투나 싸움을 무시하고 천하게 생각한다? 마치 축구 배우면서 선수할것도 아니고 공 잘 차는데 무슨 의미냐 걍 재밌으면 되지? 하는거랑 똑같음 애초에 격투기의 본질은 상대방을 제압하는것 입니다.
@@lovemio2300 네 많이 싸우고 다니세요~
@@행-h1b 내가 먼저 싸움거는것과 위기상황에서 괴한을 상대로 싸움을 이기는것과는 다른 개념인데 그것 조차 헷갈리시면 어릴때 부모 속 많이 썩히고 공부 못하셨겠네요...
@@lovemio2300 정신 아픈 것 같은데 병원 가보세요 ㅋㅋ
좋은영상입니다~
이래서 복싱 배우고 주짓수 가야됨
넌 복싱에서 파운딩 배우냐?
@@어아-f9p ㄹㅇㅋㅋㅋㅋ
데라히바든 리버스든 반대다리가 상대 골반을 견재하는게 기본인데, 남은 다리가 헛도는 상황을 연출하는건 좀 이상합니다. Z가드 등에서 니쉴드를 제거한 상황이면 당연히 처맞는거처럼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오픈 가드가 타격 방어에 효과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려면 단 하나만 고려하면 됩니다.
상대방의 앞 골반을 발로 막고 있는지 없는지 입니다.
따라서 데라히바나 리버스 데라히바 가드에서 반대 다리로 모를 하던 상관이 없습니다. 타격 방어에 좋지 않은 가드인건 확실합니다. 물론 빨리해서 타격을 피할 수도 있죠. 하지만! 확률적으로 맞을 확률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에 추천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쉬운 실험을 보시려면 UFC 경기에서 하위 포지션에서 선수가 데라히바 가드를 얼만큼 자주 사용하는지 그리고 사용했을 때에 성공/실패 비율을 분석하면 대략적인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graciegangnam 앞선 말씀은 이해했습니다. 요건 다른 궁금증인데, ufc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버터플리이의 경우, 상대 골반을 차단하거나 파운딩을 막기 위해 공간을 내주지 않아서 사용되는게 아니지 않나요? 상대가 파운딩을 위해 움직일때 즉각적으로 스윕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니쉴드가 포함된 하프가드의 경우도 상대가 파운딩을 시도하면 겨드랑이가 비기 때문에 들어갈 수 있는 것처럼요. 혹시 이런 상대가 파운딩을 고수했을시, 스윕으로 연결할 수 있는 가드는 그레이시에서는 어떻게 보시나요?
오픈가드는 가만히 기다리고 있으면 안되고 움직이거나 탑포지션 선수의 중심을 흔들어야 하는군요.
오픈가드는 무조건 예외 없이 상대방의 앞 골반을 발로 막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조건 맞을 위험이 있습니다.
근데 주짓수는 기술들어가는게 빨리서 일반인이면 반격도 못하고 하나 부러질듯
이제는 일반 주짓수는 거의 스포츠화가 된 듯
네 대부분의 체육관에선 스포츠 만 한다는게 문제입니다. 둘 다 배워야 하는데… 그래서 그레이시 공인인증센터에선 둘 다 가르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먼저 배우는 것이 타격 포함 훈련이 돼야 된다는 것!
@@graciegangnam 그래서 저도 제가 생각했을 때 파운딩 맞을 자세인 거 같으면 배워만 두고 그 가드는 안 씁니다ㅎ.
MMA에 습관들이기 위해!
@@Cheonhacotul 이게 바로 '필터'라고 부릅니다. 이미 실전 필터를 적용하고 계십니다!^^ 너무 잘하고 계십니다!
@@graciegangnam 그게 왜 문제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사상 존나 뒤틀렸네 체육관에서 스포츠 주짓수만 하든 실전주짓수도 같이 하든 관장마음이지 니가 뭔데 ㅋㅋㅋㅋㅋ
@@어-o7r9q 어후 생각 짧네 스포츠 주짓수 배우면서 이게 실전(길거리파이트, 룰x)에서 먹힌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이런 영상을 만든거 같은데
호신술이니 실전성이니 따질거면 주짓수만 배울게 아니라 mma체육관가서 주짓수는 필요한 만큼만 배우면 됨.
데라이바는 아마추어에선 간간히 먹히긴함요
네 하지만 타격에 취약한 포지션입니다.
실전에선 튀세요 그게 최선입니다!
맞습니다! 하지만! 본인 의도와 다르게 누군가가 싸움을 걸 수 있습니다. 이럴때 내 자신을 지키고 살아남을 수 있는 자신감이 있으면 오히려 말로 상황을 침착하게 더 잘 풀 수 있습니다! 신기하죠? 싸움을 더 알수록 덜 하게됩니다.
저도 운동을 십년 가까이 했지만 운동을 안했던 사람을 쉽게 제압 할수 있죠 근데 제압 단계까지 가는데 손해가 크다고봐요. 우리나란 방위 인정 범위도 적고 메치기도 발목 받치기 안다리 정도면 모를까 상대방이 다치면 결국은 억울한 손해가 온다고 봐요.호신술 설명해주실때 강조 하실게 첫번째론 무조건 피하고 본다 어쩔수 없을때 최대한 간결하게 제압한다 이렇게 설명해주시겠지만 그래도 한번 말씀드립니다.
그럼 파쿠르가 짱인건가요?
@@KimGapHwan 총이 짱입니다
@@ungjeong9032 파쿠르로 다 피함
실전에서는 저렇게 체중이안실린 펀치는 치더라도. 상대제압할수없음 아래있는사람도 계속 가만히 있는것도아니고 그리고 위에있는 사람도 세게치려고 체중싫는 순간 중심무너져서 상대방쪽으로 기울어지기 다반사 그때 아래사람이 컨트롤하는거죠 저렇게 잔펀치를 계속 맞아주는게 이상한거
보여드리려고 하는 것은 그 포지션에선 타격에 무방비하다는 겁니다.
저는 실전에선 러버가드가 좋다봅니다 수직엘보우 그리고 상대방이 일어날때 옆에 다리도 잡을 수 있어서 수플렉스도 잘 안되고 굿
실전에 사용하기 좋은 기술입니다. 다만 유연성이 많이 필요해서 누구나 다 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닙니다.
@@graciegangnam 네 유연성이 중요하더라구요 그리고 각도상 무릎에도 무리가 많이 가기도 하지만 연마해두면 좋은 것 같아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그래도 고수들은 맞기 전에 기술을 걸더라구요
올드스쿨에 오픈가드가 없는 이유 근데 싱글렉은 허벅지 옆에 얼굴 붙이면 안전하지 않나요
괜찮습니다, 단지 마무리하기가 힘이 많이 들죠!
@그레이시 주짓수 코리아 HQ agreed! There was open guard, but it was meant as a quick transition, not a static position to work from unless no other options. 💮
The most realistic BJJ I have seen in a while👍
대신 방심하면 가는거지...
관장님께서 잘하시는 시팅하프가드패스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ㅜㅜ
네 👍 굉장히 좋은 포지션이며 성공률이 높은 패스입니다! 영상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온라인으로도 배울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저희 기초과정을 온라인으로 구매하셔서 배울 수 있습니다. 다만 트레이닝 파트너가 필요합니다 -> www.gracieuniversity.com/graciecombativeskorean
그냥 도장가자..
아니 대처방법을 알려주셔야죠 선생님;;
타격이 있는 상황에선 보여드린 모든 오픈 가드를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통하는 가드를 내일 풀 영상에 알려드리겠습니다!
@@graciegangnam 넵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데미안 마이아가 mma에서 하프가드 dog fight, coyote sweep 등을 많이 쓰는데
덩치 큰 상대에게 깔렸을 때 타격상황에서 상대를 껴안고, lockdown으로 기다리다 dog fight, coyote sweep 등을 시도하는 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매우 중요한 질문입니다! 하프가드 유튜브 영상을 만들 예정입니다. 꼭 참조하세요! 쉽게 말해선 가능하고 안전합니다. 하프가드 포지션에서 언더훅 파고 일어나서 딥하프가드로 가려고하면 주먹으로 너무 많이 맞습니다... 따라서 아래 다리를 빼서 Dog Fight 포지션으로 가는 것이 실전 상황에서 가장 좋습니다!
주짓수의 본질은 저렇게 가드세팅하고 가만히 있는게 아닌데. . .
네 맞습니다. 보여드린 가드들의 시작 자세일 뿐입니다. 하지만 머리의 위치를 보시면 너무 가깝끼 때문에 타격에 취약합니다. 풀 영상을 꼭 보세요! 오늘 저녁에 공개됩니다.
할말하않 ㅋㅋ
가만이 안있어도 바닥에있으면 무조건적으로 불리함 그냥 맞아버리니까
물론 빈틈을 줘도(약점을 줘도)상대가 어버버하면 당연히 기술이 잘 걸리지. 근데 날 죽이겠다고 마음먹은 사람은 어떻게서든 부랄차고 얼굴때리려고 하는데 스포츠 주짓수는 그 빈틈이 많이 존재힌다는게 이 영상 취지임
ㄲㅊ때리는건 반칙아닌교...
싸커킥있으면 끝난다ㅋ
그러면 차라리 mma체육관을 가. 뭔 그레이시인지 뭔지는 왜배워
mma도 주짓수 해야되지않아요?
그냥 실전생각하면 가드로 가는순간 뒤지는겨
가드잡고 가만히있으니까 맞지 영상이잘못된듯
시범영상이긴 하지만, 목적은 기술을 하더라도 주먹을 막을 수 있는 ‘거리 조절’을 하지 못하는 상황/기술을 보여주기 위해서 입니다. 이 영상에서 보여드리는 가드들은 주먹을 맞지 않고 할려면 답은 그냥 빨리하는 것 밖에 없습니다. 아니면 맞으면서 해야죠. 그렇지 않는 가드들도 있다하는 걸 보여드리게 위한 영상입니다 🙂
@@graciegangnam 주짓수에 틀린건 없다는 생각이네요 클로즈가드도 가만히있으면 맞고 하프도가만히있음 맞고ㅋ
올드스쿨이 중심이고 훌륭하지만
저 모던주짓수 스타일에서도
충분히 타격허용안하고 얼마든지
좋은포지션 잡을 수 있을거같아요
@@1234aas 클로즈 가드는 유리하게 타격 방어에 강합니다. 하지만 어떻게 하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클로즈 가드에서 타격 방어 시스템을 배웠으면 상대방과 좁은 거리를 유지하면서 KO 펀치를 막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오픈 가드들은 상대방과 거리를 좁히거나 완전히 타격 거리에서 벗어나기가 힘들죠.
간단한 예를 들자면, 종합격투기 시합에서 무슨 가드를 압도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보면 됩니다.
주린이 질문이 있습니다.
저렇게 가드를 하게되면 보통 상대방이 무게중심이나 기술에 걸리지 않기위해 상대방도 같이 그라운드로 가지 않나요??
개인적인 의견이다만 저기서 타격을 하려고 하면 몇대 때리기야 할 순 있겠다만 득보다 실이 더 클 것 같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ㅋㅋ 맨주먹으로 얼굴에 맞아봄?
제대로 턱에 안맞아도 바로 정신 아득해진다
이거저거 하려고 생각했던거 그대로 리셋당하고 안맞는데 급급해진다고 ㅋㅋㅋㅋㅋㅋㅋㅋ
길거리에선 도복도아니라 깃도없는데 ㅎ
괜히 mma에서 주짓수보다 레슬링이 훨씬 활용도가 높은게 아님
ufc같은 프로무대에서야 워낙 실력이 수준급이고 몇대 맞는거는 그냥 버티니까 같이 대처하는거지
일반인끼리다? 얼굴 맞으면 바로 풀릴듯
글러브로 맞아도 정신 못차리는디 뭔 ㅋㅋ
타격을 염두하면서 수련하라는거지 ㅋ이정도타격을 무슨 복싱장가서 배우냐 손가락이아니라 달을좀봐라
주짓수를 쓰레기 🗑 😎 취급하네 그런 개념으로 검은띠는 어케 딴노
의견 감사합니다. 주짓수 블랙벨트를 “쓰레기” 취급을 하는 것음 전혀 아닙니다. 우선 저희 채널에 댓글을 남기실거면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이 개념 덕분에 블랙벨트를 받은 겁니다. 이 개념을 이해하지 않고서 블랙벨트를 받는다는 것 자체가 오히려 걱정스러운 점이죠.
타격이 들어간 상황에서, 과학적인 입장으로 판단하자면 매우 위험한 자세이고 얼굴을 너무 많이 노출 시킵니다.
이런 가드들보다 타격에 더 안전한 가드들이 있고 타격이 있는 상황에선 이런 가드들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타격에 취약한 가드들을 성공시킬 수 없다는 건 아닙니다. 다만, TKO 또는 KO 당할 확률이 크게 높아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주짓수의 근본적인 전략이 다른 무술들과 달리 살아남는 것이고 방어입니다. 따라서 이런 가드들은 타격없는 대련을 할 때 또는 주짓수 시합에서만 사용하는것을 권고하는 겁니다.
@@graciegangnam 그렇군요 내 생각도 그래요 😄
넘어진 사람 공격은 특수폭행 입니다
ㅈㄹ그딴거없어요
@@장광남-q9u 넘어진사람 공격시 정당방위 인정안되면 가중처벌됩니다
꼭 모든 싸움이 법정판결을 받는건 아니에요.
그냥 일반 폭행이에요..
그래서 합기도 와기는 치기가 먼저다
타격없는 유술은 실전에 한게가 있다
바닥까지 가기전에 입식 유술이 먼저다
그레이시 유술 계통에 유술은 유도 한테 안되는 이유다
의견 감사합니다. 하지만 몇가지 오해가 있는 것 같습니다.
1. 일단 주짓수도 타격 방어를 포함한 수련을 합니다. 문제는 계열에 따라 하고 하지 않는 곳들이 있는거죠.
2. “스텐딩에 입식 유술이 먼저다”: 항상 그렇지 않습니다. 특히 상대방이 더 크고 강하고 운동신경이 더 우수할 경우, 타격으로 상대한다는 것은 사실 비효율적인 방법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3. 유도라고 하시면, 스텐딩에서 도복을 서로 먼저 잡으려고 하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넘어뜨리는 전략을 뜻하지만, 이것은 일단 스텐딩 타격 방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넘어뜨린다고 해서 싸움이 끝나는 것도 아니고, 가장 중요한 점은 유도를 효과적으로 더 강한 상대에게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운동신력이 주짓수에 좋아야 합니다. 그래서 성인분들이 유도를 취미로 삶지 않으려고 하는 겁니다. 유도가 약하다는 것은 전혀 아닙니다. 하지만 유도는 스포츠화가 많이 된 시점인건 현실이며, 주짓수가 탄생한 근본적인 이유가 유도 (정확하게 따지자면 일본 주짓수)의 대부분의 기술들이 더 큰 상대한테 성공시키기가 어려워서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