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기차 승용차의 무거운 유리를 오르내리는 동전만한 유리기어의 톱니크기는 1mm 도 안되는데.... 문제는 소재가 플라스틱 입니다. 제 k7 도 9월에 운행중 운전석 유리가 빠져버렸고 2개월 후 이번에는 운전석 뒷쪽 유리가 운행중 빠져버렸습니다. 소비자들은 창문 열린체로 주차가 안되니 무조건 a/s 센타가서 어셈블리 자체를 교환받는데... 빼낸 유리기어를 보니 손톱으로도 바스러지는 플라스틱 노화가 진행 되었더군요. 장난감 자동차도 기어는 청동으로 제작하는데 중형차의 유리기어를 5,6년 지나면 산화되어 부서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다니요? 이건 때되면 즉시 a/s 수입을 올려주는 제조사의 상술 아닌가요? 동전만한 플라스틱 기어가 삭아서 일 못하고 34만원의 a/s 비용을 물어야 하는 봉이 된것같아 같은 피해를 보신 분들을 찾습니다. 리콜 신고를 2번이나 했지만, 리콜센터가 소비자를 위해서 존재하는지 메이크를 비호하기 위해 존재하는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언론에 공개하고 단체 소송이 답입니다.
현기차 승용차의 무거운 유리를 오르내리는 동전만한 유리기어의 톱니크기는 1mm 도 안되는데....
문제는 소재가 플라스틱 입니다.
제 k7 도 9월에 운행중 운전석 유리가 빠져버렸고 2개월 후 이번에는 운전석 뒷쪽 유리가 운행중 빠져버렸습니다.
소비자들은 창문 열린체로 주차가 안되니 무조건 a/s 센타가서 어셈블리 자체를 교환받는데...
빼낸 유리기어를 보니 손톱으로도 바스러지는 플라스틱 노화가 진행 되었더군요.
장난감 자동차도 기어는 청동으로 제작하는데 중형차의 유리기어를 5,6년 지나면 산화되어 부서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다니요?
이건 때되면 즉시 a/s 수입을 올려주는 제조사의 상술 아닌가요?
동전만한 플라스틱 기어가 삭아서 일 못하고 34만원의 a/s 비용을 물어야 하는 봉이 된것같아 같은 피해를 보신 분들을 찾습니다.
리콜 신고를 2번이나 했지만, 리콜센터가 소비자를 위해서 존재하는지 메이크를 비호하기 위해 존재하는지 아직 모르겠습니다.
언론에 공개하고 단체 소송이 답입니다.
신차말씀이시죠?아직 접해보질 못했네요
13년식 모닝입니다 운전자쪽 창문이 탕 소리가 나더니 올라가지 않고 드르르륵 소리만 나는데 공업사나 카센타에 가면 비용이 얼마정도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