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한 달 후 "이런 대접을 받을 줄 몰랐습니다" - 퇴직과 은퇴 사이 이기훈 작가 #1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대한민국 평균 퇴직 나이 약 50세!
    100세 시대에 남은 50년
    어떻게 지내실 건가요?
    집에선 눈칫밥 먹고
    밖으로 나가고 싶어도 갈 곳 없는
    대한민국 퇴직자들의 현실
    행복한 노후를 위해
    퇴직 전부터 준비해야 합니다
    '퇴직과 은퇴사이'의 이기훈 작가를 모시고
    대한민국 퇴직자의 현실에 대해 이야기 나눠 봅니다
    ‘45플러스+’ -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 오전 9시 업로드
    -영상이 유익하셨다면 구독, 좋아요, 알림 설정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출연 신청 및 비즈니스 문의 : seniorclass.k@gmail.com
    #퇴직 #죽음 #청춘

КОМЕНТАРІ • 33

  • @subinkids
    @subinkids Місяць тому +4

    은퇴를 했다고 아무것도 안하고 집에만 있으면 얼마 못가서 저세상으로 가게 될거다.
    은퇴이후에는 먹고 살기 위해서 일하는게 아니고 나를 위해서 일을 하는것이다.
    하루종일 시간이 남는다는것보다 고통 스러운게 없다는것을 은퇴이후 아무것도 안하고 있으면 알게 된다.
    자기가 하고 싶어도 그동안 먹고 살기 위해서 못했던 돈이 안되는 일을 찾아서 하는것이 최고의 은퇴후 생활이다.

  • @별사옹
    @별사옹 Місяць тому +4

    스포츠시설(특히 수영장)이 단지내 혹은 가까이 살면서 하루 한끼만 제대로 챙겨먹고 욕심부리지 않으면 은퇴 후라도 삶이 편합니다.

  • @jk1299
    @jk1299 Місяць тому +12

    노후의 가장 큰 고통은 한가함이다! 일 없는 인생을 살아본 적이 없어서 아직은 실감이 잘 안 됩니다

    • @rabbit-1004-o6h
      @rabbit-1004-o6h Місяць тому +2

      인생의 가장 큰 축복은 한가함이 있는 삶입니다.

  • @VAMOS-o7k
    @VAMOS-o7k Місяць тому +11

    푹 쉬면 마냥 좋을 것 같은데 그게 한없이 이어지면 고통이 되는군요

  • @joonkim5863
    @joonkim5863 Місяць тому +3

    노년에 행복해지려면 생각을 바꾸어야 합니다. 저는 퇴직후 외국에 살고 있는데 느낀점이 많아요.
    1. 자식이 독립적으로 살수 있도록 어렸을때부터 교육이 되어야 하고 자식에 대한 기대는 하지 말아야 되요.
    2. 퇴직후에 과거의 지식으로 일할수 없으므로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을 키워서 일자리를 찾아야 해요.
    3. 자산이 많으면 자산감소에 대한 걱정하거나 자식에게 넘겨줄 생각만 하는 것은 잘못된 욕심 같아요.

  • @깐시기
    @깐시기 Місяць тому +6

    정말 노후 준비는 미리미리 해야겠네요..

  • @정현신-j6m
    @정현신-j6m Місяць тому +4

    마음 비우고 아껴쓰고 건강관리하며 혼자생활에 익숙해지면 다 극복됨

  • @Gfdshkhgdth
    @Gfdshkhgdth 29 днів тому +2

    머리를 굴리시오 . . 머리를 굴리는 연습을 하면 행복하게 지낼수있소 . . 머리 굴랴서 소액을 벌고 자기관리를 열심히 하고 . .죽기전까지 살만하오 . . 잔머리 굴릴 필요 없고 . .

  • @smartretirelife
    @smartretirelife Місяць тому +21

    은퇴하고 노니 세상이 편하다..뭔소리여

    • @rabbit-1004-o6h
      @rabbit-1004-o6h Місяць тому +6

      공감 100%

    • @WhySoSerious77777
      @WhySoSerious77777 Місяць тому

      1.평생 쓸 파이프라인을 만들어놓고 소소한 행복을 느낄줄 아는 이
      2.은퇴한지 얼마되지 않은 이
      3.원래부터 미래 그딴거 모르겠고 그냥 싸지르고 은퇴한 이
      중 하나

  • @효풍
    @효풍 27 днів тому +2

    참 한가한 소리들 합니다.
    난 혹시나 나중에. 손주들 찾아오면 도움 줄수 있을까 해서. 초등학생과정부터, 국,영,수 공부하고 있네요.
    밖에 나가면 돈이고..,
    집콕 곰부만 하고, 가끔 운동,산 책.. 시간 잘 갑니다.

  • @user-ty8yv9ns4j
    @user-ty8yv9ns4j Місяць тому +2

    이작가님 이제 강의 목소리 톤이 많이 정화가 되어 부드럽고 듣기도 좋습니다
    욱하는 톤 은 가급적 사용하지 마세요

  • @bca2454
    @bca2454 Місяць тому +15

    나는 돈 벌잖아! 하고 평소에 돈으로 생색냈는데 돈 못벌면 당연한 결과. 젊었을때부터 자녀들 아내와 좋은 시간을 많이 가졌으면 안저럴텐데. 젊었을때 놀거 다 놀다가 다 늙어서 이제야 가족이 중요하다 어쩐다 하면 누가 좋아할까? 심지어 맞벌이면? 팽 당하는건 시간문제.

    • @WhySoSerious77777
      @WhySoSerious77777 Місяць тому

      돈으로 생색내는 부모 밑에서 자란 이들의 매우 흔한 사고방식.
      안타까울 뿐입니다ㅠㅠ

  • @ppssjj8715
    @ppssjj8715 22 дні тому

    수명이 늘어나니까 무위의 고통의 기간이 길어지는 거죠... 그렇다면 수명이 너무 길어지지 않게 해야하는데...

  • @성수강-o5r
    @성수강-o5r 25 днів тому +5

    본인의 의견을 피력해 봅니다. 본인은 58년 개띠생입니다. 나이들어 깨달은 것이 하나 있답니다. 내가 이세상의
    주인공이자 주인이란 것을요... 인생은 영화속의 드라마라고도 하지요.. 내가 이 세상의 주인공일진데... 내가
    당당하게 못살아 갈 이유가 있을 런지요... 내 인생은 내가 책임지는 것이라. 죽는 그날까지 나는 주인공답게 살다
    가렵니다. 그러자면 건강이 우선이라. 헬스크럽에 나가 내 몸을 만들다 보니 건강에 자신이 생겼읍니다.
    아울러 영화속의 주인공은 누구에게도 의지하여 살아 갈 수는 없다란 생각이 강하다 보니 이 나이에도 자신감이
    넘치고 마누라 구박은 스스로 용인하지 않고 삽니다. 나는 당당히 죽는 그날까지 그렇게 살다 가렵니다. 왜 마누라에게
    자식에게 의지하여 남은 인생을 산단 말인가요... 나 외에 그 누가 나를 위하여 헌신한단 말인가요? 자신의 인생에서
    당당히 못살아갈 이유가 있을까요? 이세상의 주인공은 바로 나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죽는 그날까지.....

  • @오영도-n7n
    @오영도-n7n Місяць тому +1

    안녕하세요 에스포럼 대표 경영 컨설턴트 저자이신 🍒이기훈 작가님 🙏
    > 퇴직 후 맞이하는 5가지 리스크
    창업 실패
    금융 사기
    중대 질병
    황혼 이혼
    자녀 리스크
    말씀 하나하나가 너무 와닿네요.
    단톡방에 공유할게요.
    고맙습니다 🙏 💗

  • @kmh2207
    @kmh2207 Місяць тому +4

    아무리 그래도 저정도 취급할까요?😮‍💨

  • @정용훈-c4y
    @정용훈-c4y Місяць тому +3

    No country for old men.

  • @심종수-y7p
    @심종수-y7p Місяць тому +2

    직장43년근무퇴직하고나니답답하네요

  • @미진나
    @미진나 Місяць тому +2

    태어날때부터 삶은 어느정도는 정해진것 같아요.
    우리냥이는 하루종일 침대에서 누워 있다가 날 보면 밥주라고 발 물고.
    화장실에 가면 따라 와 똥싸면 치워주고.
    영감은 하루 종일 컴퓨터에 앉아서 이거 먹고 싶다. 저거 머고 싶다.
    몇십년 삼식이는 기본.
    쓰고 있는 내자신이 쪽팔리기는 한데.
    내자신은 나한텐 충실 했고. 나 스스로 위로해주고. 날소중히 생각하니. 서글픈 마음은 없다.
    오랫동안 고생하니 능력이 생기고. 자산이 부러 나더라.

  • @aminophen65649
    @aminophen65649 Місяць тому +3

    영식이가 되고 싶어요

  • @고로짱-x3h
    @고로짱-x3h Місяць тому +3

    어느날 갑자기 짤립니다

  • @박정현-x6h
    @박정현-x6h Місяць тому +5

    전국의 모든 아파트와 건물 오피스텔 상가에는 법적으로 자격증 있는 전기 기사가 근무를 하도록 되어 있지요 ~~? 직장시에 미리 전기기능장 기사 산업기사를 따 놓으면 좋은 방법 이겠지요 ~~? 퇴직 고령자도 전기기사는 곳곳에 일자리가 철철 철철 넘쳐나고 있지요 ~~?

    • @이정환-o6k
      @이정환-o6k Місяць тому +1

      전기기사가 그 정도 까지는 아닙니다...

    • @이정환-o6k
      @이정환-o6k Місяць тому +3

      전기기사가 그 정도 까지는 아니에요..

    • @cho7273
      @cho7273 Місяць тому +3

      전기기사 자격증 배출인원이 너무 많고, 건물에서 경력자 위주로 뽑습니다. 전기기사 취득후 최소2년 이상 경력 쌓아야 합니다.

    • @WhySoSerious77777
      @WhySoSerious77777 Місяць тому +1

      피식.

  • @soo-bu5dj
    @soo-bu5dj 5 днів тому

    자식들 국민연금 못받는데 머하로 가입시킴

  • @베가스-t8j
    @베가스-t8j Місяць тому +3

    40여년 먹 여 살렸는데 구박! 그게 마누라냐? 이혼을 하던지 별거 해야지

  • @jalee9828
    @jalee9828 Місяць тому

    그래서 우짜면 좋노 , 봉급쟁이가 뭘준비하노 , 그것도 여유가있어야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