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생각해 봐야 할 4가지 [60대 오히려 좋아_박희경] 방송대 | 북플레이 | 방송대 | 50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2월 책드림]
    댓글을 선정하여 박희경 작가님의
    도서 10권을 드립니다.
    발표: 2월 28일 본인 댓글의
    답글을 확인하세요!
    👉추천도서
    [60대 오히려 좋아_박희경]
    -YES24: www.yes24.com/P...
    -알라딘: www.aladin.co....
    00:17 가족에게 용서 구하기
    03:37 부모 공경(부양) 가르치기
    08:19 자녀들과 거리두기
    11:06 새로운 문화 배우기
    👉 출연 및 제작문의
    knoutube@gmail.com
    👉 강연자 프로필
    1962년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났다. 싱글맘으로 두 자녀를 키웠다. 삶이 늘 쉽지는 않았지만 나를 찾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오래전부터 공부와 독서, 산책을 즐겨왔다. 2022년에는 돌발적인 해외 여정을 통해 그간 살아온 날들을 돌아보고 60대를 맞을 준비를 마쳤다.
    #60대 #어학연수 #소개팅

КОМЕНТАРІ • 14

  • @namgardelcarlos5352
    @namgardelcarlos5352 Рік тому

    늘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는 가장 빠를 때라는 생각을 합니다. 화이팅입니다.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 @정하박-r1f
    @정하박-r1f Рік тому

    나날이 해야할 일들이 쌓여가는 느낌입니다.
    나이가 들 수록 어떻게 살아갈지 더 고민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현차장의마이컴
    @현차장의마이컴 Рік тому +1

    또 한번 삶의 지혜를 나누어 주심에 감사합니다.^

  • @프렌즈-q7t
    @프렌즈-q7t Рік тому +6

    젊은 사람들의 비연애, 비혼, 저출산의 원인이 뭔지 알게하는 강연입니다. 본인 하나도 챙기기 빠듯한 시대에 양가부모 부양의 압박과 양육비의 부담. 세상 변하는 속도는 빨라 40대만 되어도 은퇴압박. 결혼과 출산 모든 걸 포기하고 자기 생존에 집중해야하는 시대입니다.
    기성세대들은 이제 자녀들에게 기대하지 말고 놓아줘야할 때입니다. 출산과 양육은 내가 자식들에게 베푼 은혜가 아닌 업보입니다. 오죽하면 내가 전생에 빚진 사람이 자식으로 태어난다고 하겠습니까.

  • @WISHDOL777
    @WISHDOL777 Рік тому +1

    '인생은 육십부터’라는 진부한 말이 작가님에게는 너무나 절절하고 확실한 노래처럼 들리는거 같아요(*  ̄︿ ̄)

  • @Devikins2023
    @Devikins2023 Рік тому

    💌손주에게 정말 멋진 할머니일것 같습니다.
    나도 나이먹고 멋진 할머니가 되고 싶어요!!!

  • @Sigma79001
    @Sigma79001 Рік тому +1

    작가님의 삶은 언제나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그건 ‘인생의 황금기는 언제나 지금 이 순간’이라는 마음가짐을 작가님이 갖고 있어서?ㅎㅎ

  • @Redic1224
    @Redic1224 Рік тому +1

    자유롭고 철없는 할머니가 삶에 무게에 짓눌려있는 삶보다 훨씬 낫습니다.
    작가님의 행보를 응원합니다🔥🔥

  • @Filia7-m2f
    @Filia7-m2f Рік тому +1

    60대에 해야할 일이 있군요~경험에서 나온 말씀 미리 미리 생각해 두면 막상 닥쳐서 당황하지 않고 슬기롭게 잘 살아가는데 좋은 인사이트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 @becauseimworthit
    @becauseimworthit Рік тому

    강의가 아니라
    60대 노인 인증이네요

  • @captinpriceentarozeratul8114
    @captinpriceentarozeratul8114 Рік тому +1

    그렇군요

  • @꿀약과-d1w
    @꿀약과-d1w Рік тому

    아들 한테는 받아도 되지만 출가한 딸은
    아닌것 같아요. 아들 딸 차별 해서 그런것이
    아니라 자식이 장성해 가정을 이루었는데
    원가족과 금전으로 엮이는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딸이 자식을 낳고 기르면서 부모의 은혜를
    생각할 것이고 시간이 흐르면서 가계도
    안정되게 되면 귀하의 자녀는 반드시
    부모의 마음을 생각하며 자녀의 도리를
    다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Choihaekyoung
    @Choihaekyoung Рік тому +1

    60대에 사회에서나 가정에서 생의 전환 시점 같네요

  • @김태욱-p8s
    @김태욱-p8s Рік тому +2

    차분하게 생각한바를 이야기하시는게 정갈하네요. 다만, 10%이야기의 근거인 낀세대 이야기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우리는 부양했으나 부양받지못한다는건 일견 억울해보이나 생각해보면 간단한겁니다. 님세대 부모세대 자식세대
    삼대의 자산가치를 보면 됩니다. 부모님세대는 길만 닦고 돌아가셨으니 자산을 가지지못하셔서 부양받은거고 님세대는 길도닦고 자산가치상승분도 거의대부분을 독식했으니 부양받지못하는겁니다. 자식세대는 이미 큰길은 거진 닦였고 남은길은 ai와 경쟁하는 사잇길뿐이죠. 자산가치상승의 길도 코인같은 고리스크의 방법이 대부분이니 안정성이 떨어져 님세대를 부양하는건 힘들다고 봐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