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4호 고양상여. 회다지소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고양시 송포면 대화리 김녕김씨 집성촌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장례의식요로 경기도 서북부 지역의 전통성과 지역성, 예술성과 할술성 등을 인정받아 2017년 6월 경기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КОМЕНТАРІ • 44

  • @intokorea3017
    @intokorea3017 Рік тому +7

    선생님 정말 잘 보고 갑니다. 20년후에도 보존되기를 바랍니다

  • @진홍김-r5h
    @진홍김-r5h Рік тому +4

    우리에 격식에 전통 상여소리 참 감회
    가깊게 느낌니다 우리전통은 생존과
    일상 생활과 똑 같다는 것에 우리민족
    은 문화제를 중요시 하게 생각 하는
    우리 민족 임니다 고양군송포면대화리
    상여를 하시는 어르신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열여리 지켜주세요 송포면 상
    여 소리 여러 분 모두 사랑함니다

  • @taesimons3173
    @taesimons3173 3 роки тому +6

    52년전에 우리부모가 이런 꽃가마 타고 가셨는대 어러을때 아품고 그리웠던 그당시 이 영상을 보니 눈물이 나면서 부모님 얼굴이 다시 생생이 떠오르곤 하네요
    넘 슬퍼요 잘보고 옛날생각 그때 그시절 고생과 아프메 묻어사셨던 부모님들 생각 하면 아직도 눈물이 나요
    감사히 잘보고 모든분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 @김회장-t8s
    @김회장-t8s 2 роки тому +6

    너무나 큰 감동 아주 잘 복원 해주셔 감사합니다.

  • @최숙예-f1c
    @최숙예-f1c 4 роки тому +14

    귀한자료~~ 소중한 문화유산 잘~~ 계승시켜 주세요 훌륭하신 우리의 최장규 선생님^^

  • @김명자-e8z9v
    @김명자-e8z9v 2 роки тому +5

    저승가는 길에 이렇게 화려한 꽃상여를 타고 가시면. 마음편하게 가실수 있겠어요. 전통 장례 문화는 인간미가 살아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 @정희오-j9k
    @정희오-j9k 3 роки тому +7

    아~ 성함이 최장규 선생님 이시군요.
    선생님 구성진 가락에 눈물이나고 감동스럽기도하고, 무한 박수를 드립니다.

  • @터미널포터맨
    @터미널포터맨 4 роки тому +9

    방상씨 가. 나오네요!! 유구한역사.우리의
    장례문화....!! 73년도. 고양군지도면
    강매리. (매화정) 선씨 집성촌에서 세상떠난 먼친척 외당숙 ... 그때
    상여보고. 는. 못봤는데...
    어르신

  • @wa8514
    @wa8514 2 роки тому +6

    우리나라의 상여 문화 꼭 계승해서 후손들에게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 @ChickenDelivering
    @ChickenDelivering 3 роки тому +3

    좋은 자료입니다

  • @이승희-n3p
    @이승희-n3p Рік тому +1

    가슴이 뭉클 합니다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 @DG-jd8py
    @DG-jd8py 4 роки тому +5

    김 해정 교수님 건강히 잘 지내 시지요 저는 대구 달성다농악 6대상쇠 배 관호 입니다 좋은자료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 하시고 무탈 하시길 바랍니다

  • @bomsoopark1678
    @bomsoopark1678 4 роки тому +6

    이 문화가 경기도무형문화제인지 몰랐어요 ㅜㅜ우리나라의 전통이 느껴지네요~역시 무형문화제에 꼽일만했네요~

  • @NamuAmitabul6666
    @NamuAmitabul6666 4 роки тому +3

    나무아미타불 염불도 함께 하시면 고인에게 할 수 있는 최상의 공덕이 될 것입니다.
    고인께서 나무아미타불 염불소리를 듣게되어 나무아미타불 염불하시면 극락왕생하여 영원한 행복과 영원한 대자유인인 부처님이 되시니 이보다 더 수승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런 아름다운 문화로 승화시켜야겠습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daniellee9013
    @daniellee9013 4 місяці тому

    꼭 보고싶습니다. 가보고 싶어요.

  • @Hanheungho
    @Hanheungho 3 роки тому +5

    특이한 것이 이동네에선 요령을 잡지않고 북을 치네요. 우리나라 대부분에선 요령잡이라고 할 정도로 요령을 울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곳은 북과 나팔이 등장하네요..
    참 연구거리 많습니다.

  • @이봉순-t5f
    @이봉순-t5f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옷을지붕위로 던질때
    가슴이울컥했습니다😢🎉🎉🎉

  • @jingingoo
    @jingingoo 3 місяці тому

    소리가 구수하네요.
    할아버지 가실적에 달구 소리 같아요.

  • @안재헌-f5p
    @안재헌-f5p Рік тому +2

    우리의 매장문화에서
    화장문화로 바뀌면서 사라지는 장례문화 또한 사라지는 효사상
    안타갑구나~~

  • @주환김-q2b
    @주환김-q2b Рік тому

    공유합니다 용기가납니다 🌄 🕊 현75세기축생 할랠루야 🌄🕊🔥💥🕊🌅🌅💀💀💀🫰💀🌅💀🕊🌅💀🌅🕊🌅

  • @사계절김익열
    @사계절김익열 2 місяці тому

    전수자들에게 좋은 자료입니다~
    고양상여 ~🎉

  • @하늘소리-z6t
    @하늘소리-z6t 2 роки тому +4

    흙으로 가는길에 꽃가마타고 가는구나 생노병사 슬픈인생

  • @이춘훈-r1z
    @이춘훈-r1z 8 місяців тому

    고양시 회다지 소리는 잊혀가는 마지막 장례절차 로 길이 보전하였으면합니다

  • @태권브이-m6w
    @태권브이-m6w 2 роки тому +3

    이건 보존 해야해.

  • @주환김-q2b
    @주환김-q2b Рік тому

    25년후까지 본존하시길 현75세이니까 25년후 100세 🌄🕊🦋🤩 할랠루야 ! 화이팅 입니다 감사합니다 공유합니다 🔥🌅🌅 (((👍🏻))) (((🇰🇷)))

  • @모데라토-l2j
    @모데라토-l2j Рік тому +1

    옛날 화성고향에서 보던모습이네요 상여소리 좋아하는데

  • @김정임-l3x
    @김정임-l3x 3 роки тому

    지금은 그렇 상혀하는모습을 어디서란도 볼수없는 상혀가 새롭넸요 울아버님도 생전에 동네 어린신들이 돌아가시면 앞에서 뿡댕이 치시면 본인한이나, 자식들에 한을 을프면서 하셔던 옛생각에 잠시 잠겨봤넸요 그유에 풍습이 다없어져서 좀아쉽네요 👍🏻👍🏻👍🏻👍🏻🎎🎎

  • @정희오-j9k
    @정희오-j9k 3 роки тому +2

    최선생님의 달구지소리는 없나요? 봉분을 다지면서 하는 달구지소리요?

  • @광교산-n3v
    @광교산-n3v 3 роки тому +2

    창하시는 분 성함좀 알려주세요
    감동깁게 잘들었습니다^^

    • @정희오-j9k
      @정희오-j9k 3 роки тому

      저도 선소리 하시는 분 성함이 궁금하네요.

  • @은하수-b6p7m
    @은하수-b6p7m 2 роки тому

    그러고 보니 시골 고향에도 상여소리가 끊어진지 20년이 넘었군요

  • @광진이-u2n
    @광진이-u2n 2 роки тому +2

    회심곡

  • @진홍김-r5h
    @진홍김-r5h Рік тому

    옛날에 논김 멜때 농학 소리 할때가 많
    앗어는되 농학소리가 듣고 싶어요
    그 소리가 참 듣기 좋아서 어린시절 농악 소리 들으면서 덩실 덩실 춤도
    추고 그렛는되 그 추억이 그림네요
    송포면 대화리 농학 소리

  • @user-egoyou1400
    @user-egoyou1400 Рік тому

    우리의 문화가 사라졌다.
    두발 문화 상투가 사라 짐 , 의상 문화가 크게 변화가 왔다.
    다음으로 결혼 문화가 아쉽게도 사라지고 말았다.
    서양의 결혼 문화가 들어오면서 우리의 결혼 문화가 사라 진 것이다.
    끝으로 장례 문화가 없어졌다. 상여가 나갈 때 그 모습 앞서 소리 하는 애절한 모습을 볼 수 없다.

  • @kissomewoe
    @kissomewoe 3 роки тому +1

    혹시 배경음악이 안깔린 버젼으로도 소리를 들어볼 수 있을까요?

  • @임혜진-k6c
    @임혜진-k6c 3 роки тому +2

    명복을빕니다
    하늘에서행복하세요

  • @stevenH3427
    @stevenH3427 11 місяців тому

    16:23

  • @冬松木
    @冬松木 7 місяців тому

    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앞으로가 걱정일세
    여자들도 상여메는날이 오려는지 걱정이네

  • @이영구-s6f
    @이영구-s6f 3 роки тому +1

    그러나 이런 일이

  • @joncert4844
    @joncert4844 2 роки тому +1

    유교랑 관계 없음
    관혼상제 중에 가장 안변하는 것이
    초상 즉 장례문화임
    장례절차는 수천년 샤머니즘적 풍속의 축적으로 완성된
    미풍양속임 봉분도 조선시대
    만들어졋다 말할 사람이네
    자기문화의 뿌리도 모르고
    장례절차만 공부하면
    유교 드립만 ㅉㅉ 에효

  • @여공파-l3r
    @여공파-l3r 4 роки тому +1

    사자밥이 주먹밥이 뭔가 개밥도 않이고 부모님 데리고 가는대 상을 더 거창하게 차려주어야지 술도 고급술로 대접하고 이치에 않맞음

  • @他人が生きようか死のうが関係

    朝鮮半島葬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