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대응 위한 '생활인구' 도입[목포MBC 뉴스투데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목포MBC 뉴스]
    ◀ANC▶
    최근 심각한 지방소멸 위기 속에
    정부와 지자체가 모색하고 있는 중장기 대안은
    생활인구 개념의 도입입니다.
    저마다 특색있는 전략을 세워
    인구수는 적어도 생활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는
    지원 근거를 마련한다는 것인데,
    벌써부터 지자체들의 관심이 아주 높습니다.
    최우식 기자가 보도합니다.
    ◀VCR▶
    지난달 말 현재, 순천시 인구는 27만 8천 712명으로,
    도내 22개 시.군 중에 가장 많습니다.
    하지만, 지난 15년 간 순천시 인구변화추이를 보면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최근 몇년새 감소세가 두드러집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수도권 인구집중이 심화되면서
    지방소멸 위기감이 커지는 이유인데,
    정부와 지자체가 생활인구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됐습니다.
    각종 예산 투자의 지표였던 주민등록인구가
    사실상 절벽에 다다른 상황에서
    인구가 적은 지방도 살기좋게 만들어야 한다는 구상입니다.
    순천시의 경우, 그동안 생태와 정원을 강조해온 덕에
    다행히 이런 여건을 갖추기에 적합할 뿐 더러,
    이번 정원박람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도입된 인구 개념이 생활인구인데,
    현재 순천시의 생활인구가 몇 명인지,
    아직까지 통계 수치는 물론, 산출 기준도 없습니다.
    ◀INT▶
    "저희 순천시 같은 경우는 지금 환경여건이나
    이런 부분들은 생활인구가 체류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 생활인구에 대해서
    어느 정도 기본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최근, 순천시를 비롯해 일선 시.군에서
    생활인구 개념을 도입한 조례 제정을 서두르는 이유입니다.
    특히 생활인구 늘리기 시책으로는
    일과 휴가를 융합한 워케이션과 장기여행, 로컬 유학,
    귀농.귀촌과 은퇴자 마을 등이 추진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보육과 창업, 관광에 대한 투자를 늘려
    지역의 활력을 되찾겠다는 계획입니다.
    ◀INT▶
    "생활인구가 저희 순천에 와서 느끼고 공유하고
    머물다 보면 인구가 어느 정도, 많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겠지만,
    소소한 변화가 있을 거라고 기대를 갖고..."
    수십년 이어온 주민등록인구에서
    새롭게 생활인구 개념이 도입되면서
    지방소멸에 직면한 자치단체들이
    저마다의 전략 구상에 바빠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최우식입니다. ◀END▶

КОМЕНТАРІ • 6

  • @Dododohh__
    @Dododohh__ 2 роки тому +6

    버스나 운행하고 인구가 없네 마네 해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버스도 안 다니는 시에 누가 살고 싶어하겠ㅅ음?

  • @지옥행특급열차
    @지옥행특급열차 2 роки тому +4

    카~~~~~~~~~~~~살기 좋은 동네 만들기 좋치~!! 버스 몇개월째 안다니고 시장 이하 공무원들은 옛 경기장 없에고 아파트 지어서 어떻게든 돈쳐먹고 이한철이랑 짜고 혈세 팍팍 낭비 하고 서민들은 죽어라 죽어라 하는 목포 좋습니다 조쿠요~~!!! 가즈아 빨랑 목포 떠나즈앙

    • @아치-i2v
      @아치-i2v 2 роки тому

      한철이가 한참 전부터 물밑작업 다 맥여놨을듯

  • @아치-i2v
    @아치-i2v 2 роки тому +3

    목포시청 무능하고 무례한 인간들아
    조만간 목포군으로 격하되는 날이 올거다

  • @jihankim1093
    @jihankim1093 2 роки тому

    요즘 해외여행 경험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데…
    순천 정원박람회 사실 실망스러운 수준이었어요. 사실 국내에 가드닝에 대한 문화나 전문가가 없어서 그런지 국가별로 조성해 놓은 것도 누구에게 추천하기에 민망한 수준.

  • @드라고노비
    @드라고노비 2 роки тому

    1.정부에서 관심을 안가짐
    2.전반적인 사회 사스템이 저출산으로 갈 수밖에 없는 시스템임
    쉽게 말하면 무한 경쟁 속에서 포기하는 젊은이들 속출하고 입에 겨우 풀칠하는 청년들이 너무너무 많음
    사회가 생 신입사원 을 원하지 않고 중고 신입 사회 물 좀 먹은 신입을 원하는 것도 좀 있구요
    3.정부에선 늘 몆조 썼다 올해 예산 몆조다 말은 하지만 줬다는 뉴스만 있고 정작 그 돈을 받았다는 사람은 없는 상황
    이걸 다시 말하면 근 수년간 아무것도 안 해줬다는 것임 아무것도 안 해주는대 바뀌길 바라면 안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