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쉽게 이해하는 경쟁가설 | 18추리30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1 січ 2025

КОМЕНТАРІ • 14

  • @orandif
    @orandif  Рік тому +5

    이 문항 해설과 관련된 칼럼을 썼습니다. 콘텐츠 제작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재미있으실 겁니다!
    베스트셀러 수험서 저자의 '집필 철학' | (1) 어려운 것은 쉽게
    blog.naver.com/djsdjshsfl/223318214843

  • @해운대거주양군
    @해운대거주양군 Рік тому +7

    도구까지 제작해서 강의하시는 열정 ❤ 이건 잊을 수 없겠네요. 👍

  • @한상우-j5d
    @한상우-j5d 15 днів тому +1

    진짜 쉅게 이해했습니더

  • @catuniverse__
    @catuniverse__ Рік тому +8

    도구 만드느라 고생하신 만큼 머릿속으로만 그리던 걸 시각적으로 보면서 설명들으니까 헷갈리는 부분 하나도 없이 바로 이해됐어요!! 강의 감사합니다~~

    • @orandif
      @orandif  Рік тому +1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시간 들여서 만든 보람이 있네요! :)

  • @relaxable2193
    @relaxable2193 10 місяців тому +2

    고등학교때 로 공부하면서 선생님 설명에 많은 감명을 받았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국어와 전혀 관련없는 삶을 살고 있지만, 가끔 선생님 국어 강의가 듣고 싶어서 들어온답니다 ㅎㅎ 감사드립니다!
    그나저나 오늘 영상을 보면서 문득 느낀건데 선생님 강의도구가 너무 좋은 것 같아요. 화면에 연필 움직이는 대로 포인터도 같이 움직여서 선생님께서 어디 설명해주시는지 쉽게 파악 가능하고, 우측에는 선생님 얼굴도 나오시니까 집중력도 안떨어지고 좋네요. 다른 온라인 강의는 뭔가 조금만 봐도 금방 집중력이 떨어지던데 말이죠. 혹시 어떤 장비와 프로그램으로 수업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orandif
      @orandif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고맙습니다. 안 그래도 촬영 시스템에 대해 묻는 분들이 있어서 길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정리하는 대로 블로그에 공지하겠습니다!

  • @1치히로
    @1치히로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와 언어를 힘들어하는 저도 너무 이해잘되요 ㅎㅎ 쌤 감사해요

  • @쌈무요정채워니사랑해
    @쌈무요정채워니사랑해 8 місяців тому +1

    2번 선지 질문이 있습니다
    영상에서는 경쟁가설 집합이 2개로 상정해놓고 설명하셨는데, 이 경우 한 가설의 확률이 1이 되면, 다른 한 가설은 부정적 증거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
    하지만 경쟁가설이 3개라면 한 가설이 확률이 1이 되면, 다른 한 가설은 부정적 증거가 되고, 또 다른 나머지 하나는 중립적이 될 수 있지 않나요?
    4번 선지와 같은 맥락으로 설명을 하셨는데, 4번 선지에서는 경쟁가설을 3개로 놓고 설명하셨길래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이 경우에서도 3개로 놓는다면 한가지 가설의 확률이 1이 된다면 나머지 두개는 부정적이 되버릴테니 긍정 1, 부정 2가 되니깐 맞는 선지가 되는 것은 이해됩니다.

    • @orandif
      @orandif  8 місяц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열심히 공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간적 한계로 인해, 질문답변 서비스는 아래 멤버십을 통해서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blog.naver.com/djsdjshsfl/223443017050

    • @손지훈-c5z
      @손지훈-c5z 3 місяці тому

      음, 제가 답변하는 것이 적절한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같이 얘기해보고 싶어 남깁니다. 지문에서 "우리가 고려하는 경쟁가설의 확률은 모두 0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라고 하였으니, 경쟁가설이 세 개인 경우에도 각 경쟁가설의 확률은 적어도 0보다 큽니다. 이때 세 개 중 한 개의 확률이 1이 되게끔 하는 증거는 나머지 두 가설에 대해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하나에 대해서는 부정적이고, 하나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경우, 세 가설의 확률의 합이 1을 초과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 @__SummerMoon
    @__SummerMoon Рік тому +1

    선생님 혹시 18추리31(강화4.0 기준 T8 문5) 해설은 찍어주실 계획이 없으실까요? 직관적 이해가 잘 안됩니다ㅜㅜ

    • @orandif
      @orandif  Рік тому

      영상을 찍을 계획은 있지만 일단 해설을 곱씹어보길 바랍니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면, 공식해설서처럼 조합을 통해 말도 안 되는 계산을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 @__SummerMoon
      @__SummerMoon Рік тому +1

      @@orandif 최대한 곱씹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재부터 무료강의까지 독학 리트생에게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