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패권 흔든 딥시크…논란도 눈덩이 [따져보니] [뉴스9]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중국의 #딥시크 가 자신들이 개발한 #AI 모델을 공개한 여파가 오늘 우리 #증시 에도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딥시크 측이 발표한 개발비가 진짜냐는 등 논란도 계속되고 있는데, 김주영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김기자, 딥시크가 왜 이렇게 큰 충격을 준건가요?
    [TV조선 뉴스·시사 프로그램|유튜브 라이브 방송시간]
    📡 월~금 06:50 강스라이팅 (유튜브)
    📡 월~금 07:30 뉴스퍼레이드
    📡 월 08:40 네트워크 매거진
    📡 월~금 09:00 신통방통
    📡 월~금 10:20 류병수의 강펀치 (유튜브)
    📡 월~금 13:00 보도본부 핫라인
    📡 월~금 14:30 사건파일 24
    📡 월~금 17:20 시사쇼 정치다
    📡 월~금 21:00 뉴스9
    📡 월~목 21:50 윤정호의 뉴스 더 (유튜브)
    📡 토~일 14:00 뉴스현장
    📡 토~일 17:40 시사쇼 정치다
    📡 토~일 19:00 뉴스7
    [Ch.19] 사실을 보고 진실을 말합니다.
    👍🏻 공식 홈페이지 news.tvchosun.com/
    👍🏻 공식 페이스북 / tvchosunnews
    👍🏻 공식 트위터 / tvchosunnews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КОМЕНТАРІ • 32

  • @김주연-h8j6u
    @김주연-h8j6u 7 днів тому +14

    중국에 민감한것에 대답을 못한다는데 중국에서만 사용해야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중국에서 만들건 어떻게 믿고 쓰죠 ㅋㅋ

    • @prfgs-mq2zc
      @prfgs-mq2zc 7 днів тому +2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중국 걱정되면 로컬로 쓰시면 됩니다.

    • @나훈이
      @나훈이 6 днів тому +1

      너 안쓰도 대 😅

  • @I3ryce-D
    @I3ryce-D 7 днів тому +16

    중국을 믿나요

    • @슈퍼리치-w4i
      @슈퍼리치-w4i 6 днів тому +2

      그건 니들 직장도 못다니는애들 생각이고 엔비디아 개발자사이트 가봐라..어떤 평가를 했는지

    • @I3ryce-D
      @I3ryce-D 6 днів тому +2

      @@슈퍼리치-w4i 사회생할 가능?

    • @슈퍼리치-w4i
      @슈퍼리치-w4i 6 днів тому

      @ 무식하네 니가 직접 엔비디아 개발자 사이트 가서 봐라 어떤 평가를 했는지 .. 무식하면 답도 없다더만

    • @Quasi-stellarObject
      @Quasi-stellarObject 6 днів тому

      중국은 숨쉬는거 빼고 다 거짓말이다

    • @윤인수-r2d
      @윤인수-r2d 6 днів тому +1

      믿고 안믿고를 떠나 일단은 좋은 징조는 사실같읍니다 트럼프도 딥시크에 말했으니까요

  • @pnu1338
    @pnu1338 7 днів тому +9

    그냥 테무 버전이다.. 부실 조작, 구라

    • @슈퍼리치-w4i
      @슈퍼리치-w4i 6 днів тому +3

      그건 니들 직장도 못다니는애들 생각이고 엔비디아 개발자사이트 가봐라..어떤 평가를 했는지

  • @수호천사-u9j
    @수호천사-u9j 7 днів тому +5

    중국 정부 투자를 많이 받아 놓고서 우린 적은 금액으로 이정도 성과를 냈다고 과시 하는것 처럼 보이네요. 중국 말을 믿느니! 사기꾼이 난 사기꾼 아니요..라는 말을 믿겠다. 그리고 조심해야 할 프로그램 입니다.

    • @prfgs-mq2zc
      @prfgs-mq2zc 6 днів тому +2

      @@수호천사-u9j 학습 방법 등 연구 방식을 논문으로 공개해서 적은 비용으로 이정도의 ai를 만드는게 가능하다는게 밝혀짐. 그래서 딥시크가 이슈가 되고 그만큼 충격적인거에요. 지금까지는 ai를 개발할려면 어마어마한 돈을 투자해야한다고 생각했거든요. 그리고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로컬로도 돌릴 수 있어서 정보 넘어갈 것 같으면 로컬로 돌리면 됩니다.

  • @daeh3005
    @daeh3005 6 днів тому +3

    공산당.독재자 올리면 무응답? 역시 중국공산당 감시?

  • @seo845
    @seo845 6 днів тому +1

    개인pc에 있는 모든 자료가 넘어감? 특히 기술자,예술가,연구 과학자는 조심해야 할듯. pc에 깐 자기 아이디어가 중국회사에 넘어갈테니.서방권에서는 이거 용납못하지.

  • @왕왕-t2r
    @왕왕-t2r 5 днів тому

    믿고 안믿고는 한국의 선택....강대한 중국은 그 누구의 험담도 아랑곳하지 않는다....그저 묵묵히 제갈길을 가고 있는것이다

  • @jaywalker11
    @jaywalker11 6 днів тому +2

    중국이니까 무조건 부족할 거다라는 생각보다는 이게 만약 진짜라면 중국이 엄청난 일을 해낸 거라는 것을 감안하고 봐야 함. 중국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지피지기가 중요하기 때문.
    ChatGPT와 DeepSeek의 차이점 (요약)
    1. 학습 방식
    • ChatGPT: 지도 학습(Supervised Fine-Tuning, SFT)과 강화 학습(특히 RLHF, Reinforcement Learning with Human Feedback)을 조합하여 훈련됨.
    • DeepSeek: 강화 학습(RL)을 중심으로 한 학습 방식을 채택하며, 특히 DeepSeek-R1-Zero는 지도 학습 없이 순수한 RL만으로 학습됨.
    2. 강화 학습 적용 방식
    • ChatGPT: RLHF를 사용하여 모델을 사용자 피드백과 인간 선호도에 맞게 최적화함.
    • DeepSeek: DeepSeek-R1-Zero는 순수 RL을 사용해 자율적으로 학습하며, DeepSeek-R1은 “Cold-Start Data”를 추가해 학습 효율을 높임.
    3. 모델의 목적과 초점
    • ChatGPT: 광범위한 문맥 이해, 자연스러운 대화 생성, 코딩, 창작, 지식 검색 등 다양한 용도를 위한 LLM.
    • DeepSeek: 논리적 사고(Reasoning) 능력을 극대화한 AI로, 수학, 코딩, 과학적 추론 등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에 특화됨.
    4. 모델 크기 및 공개 여부
    • ChatGPT: OpenAI의 독점 모델로, GPT-4o를 포함하여 모델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음.
    • DeepSeek: 오픈소스 모델로 1.5B70B(10억700억 개 파라미터)의 다양한 크기의 모델이 제공되며, 연구자들이 접근 가능.
    5. 성능 비교 (논리적 사고 및 문제 해결)
    • ChatGPT: 일반적인 대화와 생성 능력에서 뛰어나지만, 고난도 수학 문제나 복잡한 논리 추론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음.
    • DeepSeek: 수학(AIME, MATH-500), 코딩(Codeforces), 논리 추론(GPQA Diamond) 등의 벤치마크에서 높은 성능을 기록하며, 특히 수학적, 논리적 문제 해결에서 강점을 보임.
    결론
    • ChatGPT는 범용적인 AI 모델로 자연스러운 대화와 콘텐츠 생성에 강점이 있음.
    • DeepSeek은 강화 학습을 활용한 논리적 사고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최적화한 AI 모델로, 특히 수학 및 코딩 관련 작업에 강함.
    각 모델은 목적과 특성이 다르므로, 일반적인 AI 활용에는 ChatGPT가, 고급 논리 및 문제 해결에는 DeepSeek이 더 적합할 수 있음.

    • @somej9086
      @somej9086 6 днів тому +2

      늦었어요. 중국 2018년 최초 달 반대편 인공위성. 그때 모든 언론이 계속 ’정부 과학기술 인재육성 필요‘ 압박했어야.

  • @chl2779
    @chl2779 5 днів тому

    한국은 너무 배 아파하지 말고
    배울건 배우고 만들건 잘 만들어가면 됨.

  • @pc게임
    @pc게임 7 днів тому +3

    돈많은 사람도 가성비 좋아 좋아 좋아해

  • @anakynsky
    @anakynsky 7 днів тому +2

    중공이다 ㅉㅉ저거 쓰는순간 다 털린다

  • @정명신-w1n
    @정명신-w1n 6 днів тому

    사용하지 말자

  • @김영근-e2w
    @김영근-e2w 7 днів тому

    사회주의 AI로붓이라 편향된 사고를 가져서 인권적으로 문재의 소지가 많을겁니다

  • @paulhong3135
    @paulhong3135 7 днів тому

    대륙의 두 번째 실수인지 검증을 해봐야.

  • @한호김-h7q
    @한호김-h7q 6 днів тому

    AI도
    모르는것들이
    말이많네

  • @진재종-q1q
    @진재종-q1q 6 днів тому

    조선일보는 중국이 인수한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