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거 대부분 잘못된 정보에요', 와장창! 건축에 대한 몹쓸 편견들 (단감건축 감은희 대표)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5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4

  • @찍사홍
    @찍사홍  7 місяців тому +2

    ★단감건축그룹 홈페이지
    www.edangam.com/main
    ★단감건축그룹 상담전화
    02-6217-8754
    ─────
    ★딱 1분만에 수도권 단독/전원마을 주소, 실시간 가격, 도시가스, 배송 등 필수정보 체크! (찍사홍의 주거독립할지도)
    cafe.naver.com/filmhong/162
    ★국내 유일! 수도권 핵심 단독/전원마을 72곳 답사기 (책)
    bit.ly/48lrOq6

  • @JAN_BEER
    @JAN_BEER 4 місяці тому +2

    건축사,시공사 고르는 제일 좋은 방법은 숫자로 설명하는 곳을 찾아라~~
    설계,시공함에 있어...
    잘하면,정밀하게,정성을 다해,믿고 맞겨주시면... 이딴소리하는 업체는 거르는게 답입니다.
    언제봤다고 믿나요? 평생모은 피같은 돈이 들어가는데 믿음이 뭐가 중요할것이며 성실하게가 왜 중요할까요? 숫자로 설계,평가할수 있는집을 지읍시다.

  • @MKimID
    @MKimID 8 місяців тому +6

    설계하시는 분은 가격보다는 좀더 이상적인 집을 지으려고 하고, 시공하시는 분은 최대한 저렴하게 지으려고 하고, 건축주는 이상적이면서 저렴하게 지으려고 하고.. 입장의 차이가 너무나 다르네요...
    그리고 플랫폼에 바라는 것은 자기가 살고 싶은 집을 짓지 말고, 건축주가 살고 싶은 집을 지어야 겠죠.
    사실 '무조건', '절대', '불가능' 이런 용어를 쓰는 것들은 그냥 무시하는게 해답이죠, 상식적인 세상에 그런것은 거의 없습니다,
    단지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적게 걸리거나, 어렵거나 쉽거나, 아니면 싸거나 비싸거나 하는 그런 것이 존재할 뿐이죠.
    그러한 범위에서 선택해야 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dowpark4347
    @dowpark4347 3 місяці тому

    평당단가를 왜 시공사중심으로 계산하는거죠? 거기부터가 건축시장이 글러먹은 판이라는 소리입니다.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의도도 그럼으로써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하려는 의지도 전혀 없으니 통수가 당연하고 난무하는 시장이 된거죠.

  • @미경서-e5e
    @미경서-e5e Рік тому +5

    요즘 유튜브에 건축에 대한 정보는 많지만
    감대표님처럼 실질적인 도움내용은
    별로 없는데 오늘 강의보니. 많이 도움이 됩디다
    집을 짓는다면 꼭 의뢰하고 싶네요

  • @jongwoongwoo9005
    @jongwoongwoo9005 Рік тому +3

    감대표님 재밌는 건축이야기 잘 보았네요~~

  • @Swgk1r
    @Swgk1r Рік тому +6

    단감 대표님 너무 멋지셔요 🤎🤎🤎🤎🤎🤎

  • @streamclean5472
    @streamclean5472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도대체 주장하는게 뭔가요?
    상황에 따라 다르다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다
    다 비용과 직결된다.
    설계에 따라 다르다.
    이런 말은 아무나 다 할 수 있는게 아닌가요?

    • @시우-r8e
      @시우-r8e 11 місяців тому

      님이 말씀하신 주제 자체는 일반인들도 다 말할 수 있죠 근데 그 주제에 대해 깊게 들어가서 전문적으로 말씀하실 수 있으신가요? 그리고 이건 주장을 말하는 영상이 아닌 것 같은데… 주어진 주제와 질문에 대해 말을 하는 영상 같은데요.. 핀트를 잘못 잡으신 듯해요 무슨 말씀을 하고 싶으신 건가요?

    • @streamclean5472
      @streamclean5472 11 місяців тому

      @@시우-r8e 예를 들면 벽돌은 제대로 하면 물이 안샌다 . 그렇게 주장하시려면 어떻게 하는게 제대로 한건지 설명을 해야지, 물샌건 제대로 건축을 안해서 그런거다.....이런말하고 그냥 넘어갈 거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 @박상욱-t5j
    @박상욱-t5j Рік тому +3

    감소장님 ^^
    진솔하게 여유있는 모습으로 인터뷰
    하시는게 전문 방송인으로 진출 하셔도
    되시겠어요 ㅎㅎ

  • @이기석-i4t
    @이기석-i4t Рік тому +3

    좋은 내용으로 가득 채워져 있네요.
    이런 정보는 많은 사람들이 알아서 단독주택을 소유하는 사람이 많아 졌으면 좋겠습니다.!!!

  • @찍사홍
    @찍사홍  Рік тому +5

    사운드가 좀 그렇죠?^^; 녹음에 에러가 있었네요. 다음부터 주의하겠습니다^^;;; (정 거슬리시면 자막을 꼼꼼히 넣었으니 음소거 하셔도 될 듯 합니다)

  • @rucars4538
    @rucars4538 Рік тому +3

    유용한 정보였습니다 ^^

  • @헤비뷰
    @헤비뷰 Рік тому +4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YouTube동동-r5m
    @YouTube동동-r5m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탄소중립의 선두주자 되어주시길~
    평당 단가 건축비가 궁금해지네요
    막상 집은 짓고싶은데 까마득하네요

  • @라이언하트
    @라이언하트 Рік тому +10

    단층이 2층 보다 싸지 않죠. 지붕과 기초 합하면 벽 보다 비싸니까. 게다가 단층 30평 지을 만큼 건폐율이 나오는 계획관리지역은 생산관리지역 보다 비싸니까 토지대도 더 비싸다고 봐야죠.
    경량목구조 검증된 시공사는 한국패시브건축협회 회원사 목록을 보시면 됩니다.

    • @찍사홍
      @찍사홍  Рік тому

      크... 여윽시~!!! 항상 감사합니다~^^

  • @missgorealty
    @missgorealty Рік тому +2

    안녕하세요 미스고부동산입니다 :)
    영상 너무 재미있게 시청하고 있어, 협업 제안드리고 싶어 메일로 제안서 송부드렸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englishmusicbicycle-6580
    @englishmusicbicycle-6580 Рік тому

    30년 전에 집 두체를 제가 설계하고 직접 참여해서 건축을 했는데, 지금은 간단한 집 설계도 업체에서 해서 허가를 받아야 하는 강제 법규가 있어서ㅠㅜㅠㅠ

  • @subwoofer6804
    @subwoofer6804 Рік тому +4

    와..영상에 나오는 집..정말 제 취향이네요..새솔동에 저정도 규모면 만약 저집이 매물로 나오면 12억 넘을것같네요..ㅜ.ㅜ

  • @하울-v9j
    @하울-v9j Рік тому +2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 @kwl4506
    @kwl4506 Рік тому +3

    너무 좋은 정보인데 이어폰으로는 못듣겠어요 ㅠㅠ

  • @dfgadg
    @dfgadg Рік тому

    어디서 자꾸 딸깍딸깍 하는 소리가 나나 한참을 찾았더만 영상에서 나오고 있었넼ㅋㅋㅋㅋㅋㅋㅋ

  • @tktop11
    @tktop11 Рік тому +2

    어저기 새솔동 아닌가요? 새솔동 118-? 매입은 해놨는데 ㅠ.ㅠ

  • @CAPTAIN-NEMO-MSG
    @CAPTAIN-NEMO-MSG Рік тому

    중목구조가 자유롭다는건 모듈화 생각하지않고 막 디자인했다는건데 그러니까 엄청비싸죠. 중목은 모듈이 생명인데 오히려 모듈지키면서 설계하면 결코 자유롭지 않습니다. 층고 부분에서 솔직히 좀 어쳐구니가 없네요. 경량도 공학목재 섞어서 시공하고 있고 둘다 비슷합니다. 오히려 중목하는 이유는 다른곳에있네요. 그리고 목조한정 2층이 더 쌀수도 있다고하는데 2층 바닥슬라브(방통포함)와 2층으로인한 내부벽시공 인테리어 설비 전기와 창호면적 늘어나고 제일중요한 공사기간증가에 따른 비용늘어나는건 고려안하시나봐요. 공기 늘어나는것 고려하면 아직까지 1층이 저렴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요즘 인건비 겁나게 비싸서 공기가 곧 돈을 의미합니다.

  • @Like-the-sky
    @Like-the-sky Рік тому +4

    마이크 장착위치가…에러인듯합니다.
    너무 너무 너므 딸깍거려요..ㅠㅠ

    • @찍사홍
      @찍사홍  Рік тому

      죄송합니다. 저도 인지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다음부터 주의하겠습니다. (자막을 꼼꼼히 넣었으니 음소거 하셔도 될 듯 합니다)

  • @barkeelee
    @barkeelee Рік тому +2

    건축사 이신건가요?

    • @단감-i4w
      @단감-i4w Рік тому

      건축사는 아닙니다. 현재 홍대에서 건축학 박사과정 중입니다.

  • @00-en2vi
    @00-en2vi Рік тому

    건설업자는 사기꾼들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