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은 안전과 경호문제 때문입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라는 말도 있죠, 그리고 예절, 인성, 등등의 교육상으로도 잇점이 있고, 주변에 친구가 많으면 좋은 점도 많죠, 외로울 틈이 없겟죠, '각인효과'라는게 있어요, 어린시절 기억은 평생 각인이 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어린시절 대가족에서 살면 모두가 가족처럼 정이 들지만 , 그 시기를 놓치면 가족같은 정이 생기기 힘들다고 해요, 어른들의 세상이야기를 아이에게 들려줄 기회가 많아서 좋은 가치관과 지혜가 전수 될 기회도 많고요, 그래서 국가를 해체하려면 먼저 가족부터 해체하라는 말이 있는 것이고, 자연스럽게 그럴려면 신조어를 만들어서 드라마로 보여주면 끝나죠, 핵가족 문화
@@user-dm6tj8iq8k 테이트는 보니까 한국문화(동양)를 공부한 사람이에요, 태극기이론인 주역과 논어 중용도 공부한 사람이구요,우리나라 사람들은 테이트에 열광할게 아니라 테이트의 뿌리인 대학 중용 논어 주역을 공부하는게 더 좋아요, 그게 더 원본이니까 더 심오하고 가치 있어요
헬스장에 갈 때 물론 혼자가는 것도 좋지만, 친구와 함께 가면 운동을 더 열정적으로 하게되고 운동 후 기분도 더 좋은 이유가 앤드류테이트가 영상에서 말한 남성적 경쟁의 일종이겠네요. 벤치프레스를 할때 친구는 8개 했으면 나는 경쟁심이 생겨서 9개나 10개 하고 싶은 마음
2:18 내용이 너무 공감이 되네요. 저도 중1 때 친구한테 플랭크 1분 한 걸 자랑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친구는 1분 20초를 하는 걸 자랑했죠. 그 때 저는 지기 싫어서 플랭크 자세를 1분 30초를 버텨내는 데 성공하게 되고, 친구한테 자랑합니다. 그러자 친구는 1분 45초로 응수합니다. 저는 이에 지고 싶지 않아서 더 높은 기록을 세워서 자랑하게 되고 제 친구도 저한테 지고 싶지 않아서 서로 조금 더 높은 기록을 세워가며 자랑하게 됩니다. 그 결과 1주일만에 플랭크를 3분대를 찍게 됩니다. 1분을 찍던 저가 3분을 찍게 된 것입니다. 지금 현재 고1이 된 지금은 안 한지 오래되서 다시 1분이 나오겠지만 그 때 "제가 배운건 인간의 한계는 무한하다.", "선의의 경쟁은 정말 좋은 영향을 끼친다" 였습니다. 그랬던 경험 이후로 무언가를 시도할 때 플랭크를 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내가 이것도 했는데 이것도 되겠지." 라는 생각을 하게되며 좀 더 도전적이게 된 것 같습니다.
저 방식의 장점이 뭔지 아냐? 현대 사회처럼 소외되고 버려지는 사람이 없다는거다. 현대 사회는 부족한 사람이면 가차없이 도태되지. 개인들이 경쟁하니까. 심지어 잘나가다가도 한번 삐끗하면 그대로 끝장남. 내가 위급할때 도와줄 사람이 없음. 친구는 어디까지나 친구다 혈족이 아니야.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가족 수준으로 자신의 모든걸 내던져줄 정도로 도와주지 못함. 저 방식은 한명이 못나가면 다른 식구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도와줌. 대신 이 방식은 전제조건이 하나 있는데, 부계 중심의 권위가 확실하게 서있어야 한다는거다. 클랜 전체의 중심이 아버지고, 각 가정도 그 가정의 아버지들 중심으로 질서가 잡혀있어야 한다는 얘기야. 여자가 리더면 편애와 차별 비교 편가르기가 패시브라서 똘똘 뭉치기 어려워진다. 홀어머니 밑에서 큰 대가족이 형제 사이가 막장인게 바로 이 이유다. 홀어머니 밑에서 형제애가 좋은 경우도 드물게 있는데, 이 경우는 그 집안의 장남이 아버지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야. 어머니는 사실상 명예직 우두머리고 모든 주도권이 장남한테 있음. 더구나 장남이 장성하면 자연스럽게 장남이 클랜 전체의 우두머리가 됨. 그리고 형제들도 장남을 따르고. 이 경우는 그 집안 장남이 누가 봐도 존경받을 만한 사회인인 경우다.
@@user-1z2xk7ki3s 워룸 멤버는 뭔데?? 중요한건 하나님은 종교가 아니라 인간삶의 총체임 하나님을 부정하는 건 공산주의자들이랑 한국인들 밖에 없는 것 같음 하나님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없더라도 신으로써 알고있거나 다신론적으로 이해를 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유독 한국인만 이유가 없이 하나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들이 많음 그사람들히 딱히 과학적이지도 않음 세계의 문명들이 하나님사람들이 세운건데 말이지 하나님을 믿는것은 피를 넘어선 사랑을 가능케한다. 피를 나눈 형제라도 싸우고 못잡아먹고 재산다툼이 일어나는데 말이지
@@hawellpoem2497 그런가? 원래 인간의 본모습이겠지? 저게 더 효율적이긴 하니까 다만 마냥 받아들이기엔 한국은 그렇게 살지가 않았어서 와닿지가 않음.. 정론을 내세워본들 언제부터 저렇게 모여살음 한국이.. 다들 명절때 큰집으로 돌아와서 지내고 다시 돌아가잖어.. 님이 백지인간을 찾는거라면 유감임 ㅅㄱ
앤드류 테이트를 보면서 아버지를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정말 맞음 서로 혹시나 잘못 나갈때 옆에서 잘못됐다고 말해주는 사람도 필요하고 서로 선의의 경쟁도 하고
실은 안전과 경호문제 때문입니다,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라는 말도 있죠, 그리고 예절, 인성, 등등의 교육상으로도 잇점이 있고, 주변에 친구가 많으면 좋은 점도 많죠, 외로울 틈이 없겟죠, '각인효과'라는게 있어요, 어린시절 기억은 평생 각인이 된다는 것이죠, 그래서 어린시절 대가족에서 살면 모두가 가족처럼 정이 들지만 , 그 시기를 놓치면 가족같은 정이 생기기 힘들다고 해요, 어른들의 세상이야기를 아이에게 들려줄 기회가 많아서 좋은 가치관과 지혜가 전수 될 기회도 많고요, 그래서 국가를 해체하려면 먼저 가족부터 해체하라는 말이 있는 것이고, 자연스럽게 그럴려면 신조어를 만들어서 드라마로 보여주면 끝나죠, 핵가족 문화
테이트가 항상 하는 말이죠. 사회의 가장 기본인 가족 개념부터 파괴하고 해체하는 중이라고
@@user-dm6tj8iq8k 테이트는 보니까 한국문화(동양)를 공부한 사람이에요, 태극기이론인 주역과 논어 중용도 공부한 사람이구요,우리나라 사람들은 테이트에 열광할게 아니라 테이트의 뿌리인 대학 중용 논어 주역을 공부하는게 더 좋아요, 그게 더 원본이니까 더 심오하고 가치 있어요
@@galluxytube5822테이트는 한국문화를 공부한적 없습니다😊
@@user-em1ri1ct6s 서양 지식인들은 동양을 공부한답니다,님같은 한국인들만 몰라요, 자기들 국기가 얼마나 훌륭한 철학인지를
@@user-em1ri1ct6s 서양철학 르네상스가 동양철학을 받아들이면서 발전. 2진법이 음양사상에서 나왔다면 기절하실라나.
헬스장에 갈 때 물론 혼자가는 것도 좋지만, 친구와 함께 가면 운동을 더 열정적으로 하게되고 운동 후 기분도 더 좋은 이유가 앤드류테이트가 영상에서 말한 남성적 경쟁의 일종이겠네요. 벤치프레스를 할때 친구는 8개 했으면 나는 경쟁심이 생겨서 9개나 10개 하고 싶은 마음
오!
근데 친구는 경쟁을 안하고 협동하려드는 경향이 강하지 경쟁을 하더라도 그강도가 쎄지면 그관계가 깨져버릴 리스크도 있지만 가족은 아니잖아
2:18 내용이 너무 공감이 되네요. 저도 중1 때 친구한테 플랭크 1분 한 걸 자랑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친구는 1분 20초를 하는 걸 자랑했죠. 그 때 저는 지기 싫어서 플랭크 자세를 1분 30초를 버텨내는 데 성공하게 되고, 친구한테 자랑합니다. 그러자 친구는 1분 45초로 응수합니다. 저는 이에 지고 싶지 않아서 더 높은 기록을 세워서 자랑하게 되고 제 친구도 저한테 지고 싶지 않아서 서로 조금 더 높은 기록을 세워가며 자랑하게 됩니다. 그 결과 1주일만에 플랭크를 3분대를 찍게 됩니다. 1분을 찍던 저가 3분을 찍게 된 것입니다. 지금 현재 고1이 된 지금은 안 한지 오래되서 다시 1분이 나오겠지만 그 때 "제가 배운건 인간의 한계는 무한하다.", "선의의 경쟁은 정말 좋은 영향을 끼친다" 였습니다. 그랬던 경험 이후로 무언가를 시도할 때 플랭크를 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내가 이것도 했는데 이것도 되겠지." 라는 생각을 하게되며 좀 더 도전적이게 된 것 같습니다.
저 방식의 장점이 뭔지 아냐?
현대 사회처럼 소외되고 버려지는 사람이 없다는거다.
현대 사회는 부족한 사람이면 가차없이 도태되지. 개인들이 경쟁하니까.
심지어 잘나가다가도 한번 삐끗하면 그대로 끝장남.
내가 위급할때 도와줄 사람이 없음. 친구는 어디까지나 친구다 혈족이 아니야.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가족 수준으로 자신의 모든걸 내던져줄 정도로 도와주지 못함.
저 방식은 한명이 못나가면 다른 식구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도와줌.
대신 이 방식은 전제조건이 하나 있는데, 부계 중심의 권위가 확실하게 서있어야 한다는거다.
클랜 전체의 중심이 아버지고, 각 가정도 그 가정의 아버지들 중심으로 질서가 잡혀있어야 한다는 얘기야.
여자가 리더면 편애와 차별 비교 편가르기가 패시브라서 똘똘 뭉치기 어려워진다.
홀어머니 밑에서 큰 대가족이 형제 사이가 막장인게 바로 이 이유다.
홀어머니 밑에서 형제애가 좋은 경우도 드물게 있는데, 이 경우는 그 집안의 장남이 아버지 역할을 수행했기 때문이야. 어머니는 사실상 명예직 우두머리고 모든 주도권이 장남한테 있음. 더구나 장남이 장성하면 자연스럽게 장남이 클랜 전체의 우두머리가 됨. 그리고 형제들도 장남을 따르고. 이 경우는 그 집안 장남이 누가 봐도 존경받을 만한 사회인인 경우다.
나도 우리집에서 사는이유가 집나가면 망나니처럼 살거같음 부모님과 같이 있어야 그래도 여자 무분별하게 안들이고 타인 눈 신경쓰거나 하는 등의 자기 검열을 하게 되는 것 같음 뭉쳐야 시너지가 더 나오는 것 같기도 하고
그걸 백수라고부름ㅋㅋ
영어 원어민급 아니여도 좀 한다 싶으면 팟캐스트 풀로 보는 것 추천함
모르는 단어가 많이 나오지 않아서 가끔 찾아보면 되는 수준이고
테이트 발음이 좋은데다가 자동영어자막이 워낙 잘 나와서 자막과 함께라면 충분히 다 알아들을 수 있음
오오 고맙다 진짜
원어민한테 발음이 좋아서는 뭐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폴보우딩 말을 흐리거나 뭉개지 않고 정확한 발음으로 말한다는 뜻으로 해석이 안됨?
@@폴보우딩 자신의 무식함만 드러내는 비아냥이 젤 꼴보기 싫다. 닌 엔드류영상 보지마라. 남자가 될 자격이 없다.
테이트 영상보면서 나 영어 겁나 못하는 거구나 했음 뭐 Flak 이런단어도 모르겠고 뭐 필립이런사람도 무슨사람인지 몰랐고
모르는단어들이 쏟아져 나와서
리슨 실력 자각하게됨.
기다렸습니다 🤜🏻
영상 감사드립니다!
항상 영상감사합니다 top g!!!
저도 여자고 4인가정이었지만 대가족을 꿈꾸게 되더라구요. 아이들 입장에서는 많은 어른모델이 필요하고 자연스레 다양한 나이대를 접하면서 예절교육도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봅니다.
혼자보단 여럿이 낫다
성공한 사람은 다르구나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저 환경엔 조건이 필요하다 이상한 여자랑 결혼하면 이성적 문제가 생긴다
난 차라리 외롭고 고독한 한마리 늑대가 되겠다
그게 교회임
더나아가서 옛날교회는 행정의 중심 불사하면 전쟁해서 클랜을 지켰음
@@user-1z2xk7ki3s 워룸 멤버는 뭔데?? 중요한건 하나님은 종교가 아니라 인간삶의 총체임 하나님을 부정하는 건 공산주의자들이랑 한국인들 밖에 없는 것 같음
하나님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없더라도 신으로써 알고있거나 다신론적으로 이해를 하는 사람들은 많은데 유독 한국인만 이유가 없이 하나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사람들이 많음 그사람들히 딱히 과학적이지도 않음
세계의 문명들이 하나님사람들이 세운건데 말이지
하나님을 믿는것은 피를 넘어선 사랑을 가능케한다. 피를 나눈 형제라도 싸우고 못잡아먹고 재산다툼이 일어나는데 말이지
@@user-1z2xk7ki3s 꼭 그렇지만도 않은거 같네요 무슬림에 예를 든거 보면요
@@user-1z2xk7ki3s 가족또한 하나의 관계형성임 우리가 사회적관계를 맺는것도 가족이 부족해서 외롭게 자랐던사람들에게 가족애를 느끼게할수있는거임 종교또한 외로워서 그런경우도 많고 그렇게 다른개념이라고 생각은안듬
@@user-1z2xk7ki3s 가족도 만들어낸 인위적인거임. 누구는 남자+ 여자 + 아이인 핵가족으로 살고 누구는 클랜으로 사는 것처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종교 클랜도 다르지 않았음. 패밀리 클랜이랑 하는짓도 다르지 않았고.
@@user-1z2xk7ki3s 다르지 않음. 저기서 출발한 게 종교 공동체임
늑대무리가 저렇게 살지않나 보통
그리고 누구한명 범죄표적이 된거같으면 경찰에 신고하고 친가로 돌아가서 가족끼리 뭉쳐서 서로서로 보호하는데
여러 풍파를 겪어본자만이 테이트를 공감할듯
늑대무리 비유가 좋네
@@hawellpoem2497 그런가?
원래 인간의 본모습이겠지? 저게 더 효율적이긴 하니까
다만 마냥 받아들이기엔 한국은 그렇게 살지가 않았어서 와닿지가 않음.. 정론을 내세워본들
언제부터 저렇게 모여살음 한국이.. 다들 명절때 큰집으로 돌아와서 지내고 다시 돌아가잖어..
님이 백지인간을 찾는거라면 유감임 ㅅㄱ
옛날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동족마을과 비슷한 개념인가요?
우치하 일족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