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톤만 활용해서 재즈피아노 솔로하기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연주 : 김아* 학생
인스타 : adrgnx8
코드톤 (1,3,5,7,9) 솔로 시간.
각 코드의 코드톤(1,3,5,7)만 사용해서 솔로 한 것치곤 자연스럽게 잘 해왔다
코드톤 솔로를 할 적에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코드톤 처럼해오는거.(으잉?)
역설적이게 코드톤 솔로는 코드톤 처럼 하지 않는 게 목적이다
제한된 노트 수 (5개음)
코드톤 위주로 솔로를 한다고
너무 기계적이고 딱딱한 솔로를 해오는데
오히려 "코드톤만 사용한 거 맞아?" 라고 할 정도로
선율적이고 노래하듯 솔로를 해보는 게 목적이다
1.차근차근 공부하는 과정으로써 의도적으로 룰을 정해 선태의 폭을 제한.
2.제한된 선택안에서 활용해보게 함.
3.음선택 , 리듬선택의 중요성을 인식.
4.그리고 나서 조금씩 폭을 넓혀주는 과정으로 진행
가르치는 과정 중에 가장 마라톤 같은 코스.
지루한 이 과정을 거치다 보면 어느덧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땀 한 땀..
한음 한음..
각 코드의 텐션들을 하나씩 입혀보며 제한된 음 선택 안에서
어울리는 텐션 , 그렇지 않은 텐션 , 어보이드 노트는 어떻게 처리를 할 것인가의 대한 고민 ,
그 안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 기법 등
직접 귀로 듣고 느끼며 손으로 익혀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재즈는 뜬구름 잡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 가지 스케일을 이용한 솔로나 아이디어 , 기법들을 섞기 이전에
한가지 스케일이든 , 한가지 아이디어든 차근차근 하나씩 손에 익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나서 더욱 중요한
음악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다양한 연습 방법과 피드백 , 훈련을 통해 숙달 시킨다
물론 그러한 과정 속에는
어설프게 손에 익은것은 아닌지 , 음악적인 메이킹을 하는지 못하는지
즉흥으로 나오는지 사용하지 못하는지 , 나온다면 연결성은 좋은지 ,
해결성은 좋은지 , 배운 기법을 알려준 대로만 사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변형과 발전 , 응용을 하는지(Development & Variation) ,
적절한 호흡을 하는지 , 말하듯이 하는지 , 이야기가 있는지 ,
주제를 가지고 어떤 아이디어로 반복 , 변형 , 발전시켜 나가는지 등등
학생마다 소화하는 수준과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고 체크해야 하며
못 따라오는 학생들에겐 다른 처방전(개별 맞춤형 연습 방법 및 접근법)을 제시해야 한다
선생님의 체계적인 관리 감독 그리고
책임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이다
코드톤만 들으니까 만족 못하는 내 청각의 발전을 칭찬하게 되다니.. 듣는것만으로도 공부가 되는 MJ JAZZ
연주 : 김아* 학생
인스타 : adrgnx8
코드톤 (1,3,5,7,9) 솔로 시간.
각 코드의 코드톤(1,3,5,7)만 사용해서 솔로 한 것치곤 자연스럽게 잘 해왔다
코드톤 솔로를 할 적에 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코드톤 처럼해오는거.(으잉?)
역설적이게 코드톤 솔로는 코드톤 처럼 하지 않는 게 목적이다
제한된 노트 수 (5개음)
코드톤 위주로 솔로를 한다고
너무 기계적이고 딱딱한 솔로를 해오는데
오히려 ”코드톤만 사용한 거 맞아?“ 라고 할 정도로
선율적이고 노래하듯 솔로를 해보는 게 목적이다
1.차근차근 공부하는 과정으로써 의도적으로 룰을 정해 선태의 폭을 제한.
2.제한된 선택안에서 활용해보게 함.
3.음선택 , 리듬선택의 중요성을 인식.
4.그리고 나서 조금씩 폭을 넓혀주는 과정으로 진행
가르치는 과정 중에 가장 마라톤 같은 코스.
지루한 이 과정을 거치다 보면 어느덧 한 단계 성장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땀 한 땀..
한음 한음..
각 코드의 텐션들을 하나씩 입혀보며 제한된 음 선택 안에서
어울리는 텐션 , 그렇지 않은 텐션 , 어보이드 노트는 어떻게 처리를 할 것인가의 대한 고민 ,
그 안에서 사용 가능한 여러 기법 등
직접 귀로 듣고 느끼며 손으로 익혀보는 시간이 될 것이다
재즈는 뜬구름 잡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 가지 스케일을 이용한 솔로나 아이디어 , 기법들을 섞기 이전에
한가지 스케일이든 , 한가지 아이디어든 차근차근 하나씩 손에 익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나서 더욱 중요한
음악적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다양한 연습 방법과 피드백 , 훈련을 통해 숙달 시킨다
물론 그러한 과정 속에는
어설프게 손에 익은것은 아닌지 , 음악적인 메이킹을 하는지 못하는지
즉흥으로 나오는지 사용하지 못하는지 , 나온다면 연결성은 좋은지 ,
해결성은 좋은지 , 배운 기법을 알려준 대로만 사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변형과 발전 , 응용을 하는지(Development & Variation) ,
적절한 호흡을 하는지 , 말하듯이 하는지 , 이야기가 있는지 ,
주제를 가지고 어떤 아이디어로 반복 , 변형 , 발전시켜 나가는지 등등
학생마다 소화하는 수준과 능력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고 체크해야 하며
못 따라오는 학생들에겐 다른 처방전(개별 맞춤형 연습 방법 및 접근법)을 제시해야 한다
선생님의 체계적인 관리 감독 그리고
책임감이 무엇보다 중요한 부분이다
아름답다..🥹
와 지린다
너무좋다
중간부터는 코드톤 외의 음들 같이 쓰신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