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치 콘센트 연결 잘못하면 사람잡고 나도잡아요. 반드시 전기 기본 기술을 익혀 작업하세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8 кві 2024
  • 스위치 콘센트 연결 기술 공유합니다. #전기기능사 #전기 #기계기사 #소방기사 #전기안전 #산업안전
    #감전 #누전
    / @edrjeju

КОМЕНТАРІ • 81

  • @user-fl7ys1bk9l
    @user-fl7ys1bk9l 9 днів тому +1

    많이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

  • @user-xy8bz2od6s
    @user-xy8bz2od6s Місяць тому +3

    실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갈수록 현장감이 살아납니다. 감사합니다.

  • @user-yd9rl6ed4f
    @user-yd9rl6ed4f Місяць тому +4

    원리와 실전팁 너무 귀중한 영상입니다.감사합니다~

  • @user-vl2yj4kv8u
    @user-vl2yj4kv8u Місяць тому +2

    감사합니다!! 너무 잘설명해주셔서 많은 도움이되었습니다!! 굳굳굳!!!!

  • @user-fy8gt5pu6y
    @user-fy8gt5pu6y 20 днів тому +1

    지금까지 살면서 이런 귀중한 지식을 처음 알았습니다.
    전부 확인해야 될것 같습니다.
    정말 귀중한 지식을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l5fj4ns3w
    @user-bl5fj4ns3w 13 днів тому +1

    초보자도 싶게 알아 듣게 설명을 상세하고 섬세하게 잘 설명해 주시네요.
    잘 배웠습니다.
    더 많은 실습 강의를 기대합니다.

  • @user-rb9fc7vs7d
    @user-rb9fc7vs7d Місяць тому

    최고입니다!!

  • @user-mq8bd7gj1z
    @user-mq8bd7gj1z Місяць тому +4

    정말 최고의 강의 입니다. 이해가 깔끔하게 갑니다. ^^ 감사합니다.

  • @user-sz4bg7ug9g
    @user-sz4bg7ug9g Місяць тому +4

    말투가 제주스타일 갔다고 생각했는데 구독했더니 제주도 분이네요 반갑습니다❤❤❤

  • @user-ss8ud9hb1g
    @user-ss8ud9hb1g 23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vq1yh3ms4l
    @user-vq1yh3ms4l 2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gg4vq3sh1r
    @user-gg4vq3sh1r 9 днів тому

    조명을 끈 상태인데도 밤 천정에 형광등이 어른어른 거리는게 이상했는데.. 그 이유였네요.. 지식나눔 감사합니다

  • @user-zj5mb8ni3l
    @user-zj5mb8ni3l Місяць тому

    네~명심하겠습니다

  • @seung-jinchun1984
    @seung-jinchun1984 Місяць тому +2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 다른 컨텐츠도 좀 부탁드립니다.
    20:25하나 질문이 있는데요. 핫상이 스위치로 가고 중성선이 전등으로 가고 스위치에서 나오선이 전등으로 가는건 알겠는데 스위치를 켰을때 핫상은 당연히 전기가 흐르고 스위치에서 나온 흰선도 전기가 흐르는것까지 알겠는데 회로가 구성되었는데 중성선에는 검전기가 전기가 흐르지 않는다고 소리가 안나는 이유가 뭔가요? 중성선이 원래는 전압이 없지만 스위치를 켜서 회로가 구성되면 전기가 흐르지 않나요? 안정기 같은거 교체 할때도 일일이 핫선이 어떤선인지 확인을 안하니까 혹시 중성선 먼저 빼면 전기가 살아있으니까 쇼트날까봐 절대 금속에 닿지 않도록 하라고 알고 있고 전선을 꽃을 때도 한선 꽃고 나 다음 다른 한선을 꽃을때 불꽃이 파박 튈때가 많은데 전기가 돌고 있다는걸 반증하는게 아닌가요?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1.전기도면 및 전등도면 보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누전차단기가 여러개 있으면 전기도면보고 차단기마다 이어진 회로를 보고 들어가야 하는데 잘 모르겠습니다.
    2.수변전 도면 같은것도 보는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아파트 차량 차단기 LED같은거 교체하는 것도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띠형식으로 된 SMPS와 LED조명 같은것도 같이 알려주시면 좋겠네요.
    4.SMPS와 LED 컨버터가 뭐가 다른건지 궁금합니다.
    5.피난구 유도등, 비상등, 차량 진입 감지기 원리와 결선 같은것도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많이 요청드려서 죄송합니다. 컨텐츠 할게 없으시다거나 하실때 천천히 해주시면 감사하게 보겠습니다.
    윗 사람이 지식이 없어서 배울수도 없고 이렇게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보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자격증 가진 사람은 많지만 실무를 제대로 알고 하시는 분들은 참 없네요. 일하면서 실무의 중요성을 참 많이 느낍니다.

  • @user-bj8sr1gd3b
    @user-bj8sr1gd3b Місяць тому +2

    쉽고 재밌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영상중 설명이 좀 부족한 부분이 있어 보여 댓글 달아 봅니다.
    콘센트를 연결시 영상의 연결로 연결하면 콘센트끼리 직렬 연결이 되어 첫단 콘센트에 부하가 몰려 과열이나 화재의 염려가 됩니다.
    다른 콘센트로 넘어갈 때는 3가닥을 조인해 병렬로 연결해야 안전 할거 같습니다.
    영상속의 방법이 옳다고는 할 수 없지만 적은 부하와 콘센트 사용이 정해져 있다면 사용 할 수 있겠지만 지양해야 할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user-vu7li3yw7b
    @user-vu7li3yw7b 2 дні тому

    어우!!그동안 겁없이 아는척 작업을 했네요 등골이 서늘하네요😊😊

  • @user-un5np3id3g
    @user-un5np3id3g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해요,,가정용전기 기본부탁하빈다,

  • @user-gj9fm4cp3y
    @user-gj9fm4cp3y Місяць тому

    예전부터 신축에 시공할때 스위치 철복스 에 접지선을 피스로 고정하는지요?
    이렇게 스위치 철복스에 접지선을 피스로 고정하면 감전 예방되는지요?

  • @user-dj9yw6ip1h
    @user-dj9yw6ip1h Місяць тому

    10:29 전원측을 스위치 백색
    부하측을 스위치 녹색
    이렇게연결하셨는데
    2구스위치를보면 녹색부분은 4개의구멍이 전부쇼트상태인데
    부하측을 흰색에연결해야되는거아니가요?

  • @user-qw7zh6bn1m
    @user-qw7zh6bn1m 29 днів тому

    영상감사합니다 근데 전등 전열 선로를 무슨 자동제어 시퀀스처럼 그려져서 초심자보기엔 헷깔리네요

  • @user-do8vn3hh2t
    @user-do8vn3hh2t 26 днів тому

    전원선, 부하선, 접지선의 구분과 올바른 연결이 중요하군요. 연결된 전선이 남아서 말아두는 건 위험하지않을까요.

  • @7275fdcful
    @7275fdcful 29 днів тому +2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카메라맨은 앵글이 너무 정신사나워요
    테스터기 꽂을땐 어디 꽂는지 그냥 멀찌감찌기서 보여주면 되지, 뭘 테스터기 화면을 보여준다고 댕겼다가 밀었다가 정신사납게시리

  • @ckshim4964
    @ckshim4964 19 днів тому

    전기전선 만질 경우 두 선 모두 전기통한다고 생각해야 할 듯

  • @user-lk8pm4pn4e
    @user-lk8pm4pn4e 24 дні тому

    활선구별법은 앗나요 테스트 기없으때 ,,

  • @user-eo9dr6zh9y
    @user-eo9dr6zh9y 21 день тому

    무선 비접촉 검진기 어디건가요?

  • @user-xv7hd1in4h
    @user-xv7hd1in4h 7 днів тому

    우리집이 옛날집이라 저렇게 바뀌어 있음 ㅋㅋㅋㅋ

  • @user-gh3yu6lt6d
    @user-gh3yu6lt6d 17 днів тому

    영상 고맙습니다.좀 천천히 차분히 강의 주문 합니다

  • @user-sz4bg7ug9g
    @user-sz4bg7ug9g Місяць тому

    제주도 분인가??

  • @user-uc9xj3xv9r
    @user-uc9xj3xv9r 17 днів тому

    잘 보았습니다. 많은 도움 됩니다.
    전기현장실무정보 배달통 "전기통 "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user-dj4ft2wy2t
    @user-dj4ft2wy2t 25 днів тому

    소리 안나는 이유는 전등이 연결되어있지 않기때문

  • @user-qv3st4ee3t
    @user-qv3st4ee3t Місяць тому +4

    차단기 내리고 안전할땐 접지부터 꽂으시고, 오히려 위험한 활선 상황에선 반대로 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오히려 활선일 때 접지를 꽂아서 안전을 확보해야 하는 게 아닌가요?

    • @edrjeju
      @edrjeju  Місяць тому +11

      살아있는 선을 먼저 안으로 넣어 감전 잡촉이 안되게해야 합니다. 이론적인 접지를 이야기 하는게 아니라 살아있는 선이 몸에 닿기때문에 제일 나중에 빼고
      넣을땐 제일먼저 넣습니다. 실제 해보면 그리되요. 무서우니까. 다르게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실무경험을 말하는 것입니다.

    • @user-qv3st4ee3t
      @user-qv3st4ee3t Місяць тому +1

      @@edrjeju 그렇군요. 이해가 됩니다. 성의있는 답변 감사합니다.

    • @busanpolice
      @busanpolice Місяць тому +1

      @@user-qv3st4ee3t 위험한 선이니까 안전을 위해 넣을땐 먼저넣고 뺄땐 나중에 빼라는 의미겠죠 .. 작업현장에선 주변에 있는 금속이나 선들과 닿아서 빠박 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

  • @user-mq8bd7gj1z
    @user-mq8bd7gj1z Місяць тому

    집에 콘세트가 고장나서 테스터기로 전압을 체크해 보았습니다.
    근데 상선은238볼트가 나오는데 중성선이 38볼트나 나왔습니다.
    다른 콘센트를 확인해보니 대부분이 중성선은 8볼트가 나왔습니다.
    고장난 콘센트의 중성선이 38볼트 나오는 이유가 무엇이며 그로인해 작동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cyk2345
      @cyk2345 26 днів тому

      접지불량아닌가요? 콘센트 교체해보세요.

    • @user-dt4tu9yg9m
      @user-dt4tu9yg9m 8 днів тому

      주택접지공사 다시해야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Місяць тому

    문제가 한두가지 보이는데요 콘센트 넣을때 전선을 돌리면서 넣는다..초보자들도 어디서 그런건 줏어들은건지 엣헴 하면서 합디다...
    제일 중요한건 건너띄고 요령만 배우면 문제가 생기는데..무슨 문제냐면 제대로 꼽지도않고 전선을 꼬아버리니 콘센트 기구다는순간 꼬이는 힘에 의해 한선이 빠져버리는 경우가 종종 생기더라 이겁니다..꼽을줄도 모르면서 전선 꼬우는 법을 배우니 이게바로 이유식도 안먹고 밥먹겠다고 하는 어린아이 같은 상황이다 이거죠.
    또 어디선 등기구에서 색깔선이 바로 스위치로 갔다고 거기다 두선을 달아서 스위치1구를 늘릴수있다고 방송하는 사람도 봤는데
    기술자들이야 이렇게 해도 문제없다 생각하고 하는거지. 초보자들이 주워듣고 하다간 천청에서 선끊어져서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함 왜냐? 후렉시블시공을 한곳은 선이 잘 안나오기 때문,또 문제는 한선이 계속움직이면 기존 움직이지 않는선은 피복이 다 까져서 누전 발생함.우후죽순 편법이나 요령을 초보자들한테 정보랍시고 제공하니 일이 더 생겨나는 요지경 세상입니다

  • @user-qh6gl3vc8v
    @user-qh6gl3vc8v Місяць тому +1

    백색선이 뉴트럴인건 업자간 통용되는 기본상식 아닌가요?

    • @user-dj4ft2wy2t
      @user-dj4ft2wy2t 25 днів тому

      저는 분야가 달라서 몰랐음

    • @ch8374
      @ch8374 13 днів тому

      예전엔 흑적청백 R S T N 이였는데
      이젠 갈흑회청 L1 L2 L3 N 바꼈습니다. 기존 선로는 예전꺼로 되잇으나 신 선로는 N을 청색 사용 합니다.

  • @ch8374
    @ch8374 13 днів тому

    엄연히 국내전기법에 의거 자격을 갖추신분 아니면 하시면 안되는 작업입니다 참고 하시고 일반 분들은 전문가에게 맡기셔야합니다. 초보자격자분들 보시라고 만드신 영상 같네요

  • @user-wd3em5kv8o
    @user-wd3em5kv8o 10 днів тому

    과연 누가 현장에서 1.2.3번으로 이해하고 작업할지...

  • @user-xj1cq6fl5l
    @user-xj1cq6fl5l Місяць тому

    우리집에 차단기 내렸는데 스위치 교환 하다가 전기와서 골로 갈뻔 😂 이런 이유가 있었네요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Місяць тому

      차단기를 내렸는데 왜 전기를 먹습니까;; 전둥차단기가 두개기 때문인것이죠;; 전등차단기 하나만 내려놓으시고 그러시면 안되시죠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Місяць тому

      큰 집들은 전등을 두 회로 즉 차단기 두개로 나눕니다..

  • @user-eu6dg2rb9c
    @user-eu6dg2rb9c 7 днів тому

    핫선이 전등스로 가는게 아니라 스위치로 가는거 아닌가요?

  • @user-cl7cb1dj9y
    @user-cl7cb1dj9y Місяць тому

    스위치,콘센트 연경 기술 X 기능 O

  • @vofiej
    @vofiej Місяць тому +5

    아니 초보들 위한 영상이라는데 뭔 헛소리들이 이리 많지 전기기사든 기능사든 자격증 땃다고 저런 기능실무할것 같지? 시켜보면 암것도 못해 그래서 기사따고 실제 안전관리자하면서 안전관리만 할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간단한 시공정도는. 하잖아요? 딱 그런 초보자들을 위한 교육영상인데 뭐가 어떻고 저떻고 어설픈 인테리어 업자들이 지들이 무슨 대단한 전문가인거 마냥하는 그런 영상들이나 찾아가서 옴씨나 플레밍씨가 누군지 아냐고 그런데나 가서 따집시다들

    • @user-zp5cg6cv9q
      @user-zp5cg6cv9q 16 днів тому

      전 딱 좋은 글이네요... 전기기능사 따고 바로 전기기사 땄는데.. 실무 오니까 완전 아무것도 모르겠더라구요.. 첨엔 콘센트 갈 줄도 몰랐어요.

  • @user-rd9pe9ql6n
    @user-rd9pe9ql6n Місяць тому +3

    너무 쉬워서 별로 볼게 없어요. 전기실 수배전반 시퀀스 강의 해주세요!!

    • @edrjeju
      @edrjeju  Місяць тому +1

      접수완료!

  • @user-lo5wf4es4j
    @user-lo5wf4es4j Місяць тому +1

    주변선이 너무 혼잡합니다 잘보이지 않네요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Місяць тому

    그리고 잔불현상..좋은 led제품은 자체 콘덴서가 들어가 있지만 싼 제품은 콘덴서가 없기 때문에 맥스웰방정식의 전자기유도에 의한 흔히 말하는 허전압. 즉 살아있는 전선의 주위에있는 전선에 전위를 유도하기 때문에 잔불이 생기는 것입니다.그리고 그걸 잡기 위해선 콘덴서가 필요한것이구요-------출처.전기혁명------
    잘못된 정보때문에 실무자들이 힘듭니다... 어디서 이상한 소리를 듣고 소비자들이 이상한 소리를 해댑니다.물론 그 말도 맞는 경우도 있지요.. 하지만 상황에 따라 천차 만별입니다.전등배선에서 핫상을 등기구로 보내는 사람들을 간혹 보긴 합니다.저도 그건 답답하긴 합니다.그러나 제대로 돼 있음에도 잔불들어오니 배선이 잘못됐다고 따지는 소비자들이 이런 정보들을 줏어들어서 따지니 더 답답합니다..소비자한테 맥스웰방정식까지 공부시켜야 하겠냐고요;

    • @user-jm8km6zl4d
      @user-jm8km6zl4d 28 днів тому

      그냥 전선이 길어지면 그자체로 전기를 저장합니다... 여기에 유도 되는거고요.. 잔불 플리커 현상 모두 이거때문임

    • @user-yn5ne1fz1t
      @user-yn5ne1fz1t 23 дні тому

      이거는 스위치에 +,-를확인하는방법이더 확실해요.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23 дні тому

      @@user-yn5ne1fz1t 전기일을 얼마나 하셨는지는 모르겠지만 하신말씀으로 잔불이 생기는 경우도 있고 유도전압에 의한 잔불도 있습니다. 그리고 유도전압에 의한 잔불현상이 더 많답니다.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23 дні тому

      @@user-yn5ne1fz1t 그리고 진짜 전기쟁이들은 교류에서 + -라고 하지 않고 (L1.L2.L3핫선이나 상선) (N중성선)이라고 합니다.

    • @user-yn5ne1fz1t
      @user-yn5ne1fz1t 23 дні тому

      @user-rm3fz2db4v 예전엔 RST.N 이렇게 말했죠. 좀전엔 문자자판이 잘안돼서 기호로 한거에요.

  • @riochoi1
    @riochoi1 13 днів тому

    무슨 말씀인지는 알겠는데 마음이 급해서 도대체가.... 감사합니다만 조금 천천히 차근차근 하셔도 시간문제 없이 잘 전달될 듯 합니다.

  • @jy8875
    @jy8875 13 днів тому

    강사자격. 제로임

  • @usergainwtj
    @usergainwtj Місяць тому +1

    가정집 교류라는데 + -가 왜. 나오는지..이해가 안가요

    • @user-sp6lc2pf9f
      @user-sp6lc2pf9f Місяць тому +1

      초보자나 일반인을 위해서 핫상을 플러스, N상을 마이너스로 설명한다고 자막에 적혀있는데, 뭐가 이해가 안간다는 거예요?

    • @user-yn5ne1fz1t
      @user-yn5ne1fz1t 23 дні тому

      가정집 전기가 플러스 마이너스 더 확실하죠. 전봇대 안쳐다봤나요?

    • @ch8374
      @ch8374 13 днів тому

      이분 말이 맞죠 이해를 쉽게 하려 한건 좋지만 그건 아는사람이야 이해를 시키려 한거구나 라고 인지하지만 일반인 들은 그대로 받아들이고 잘못 전파될수도 있죠^^ 교류니까 플러스 마이너스 하지마시고 정석대로 핫상은 L 중성선은 N으로 하셧으면 좋았지 싶습니다.

    • @user-sp6lc2pf9f
      @user-sp6lc2pf9f 12 днів тому

      @@ch8374 주변 지인 열분만 물어보세요 rstn아시는분 계시는지. 저는 아는 사람이 없더라공요. 관련자 아니면

  • @user-qw8vw1hg1t
    @user-qw8vw1hg1t Місяць тому

    퓨즈든 스위치든 간판용타이머 내부접점이든 중성선(N선)이 가면 안되고, 반드시 전압선(L상)이 가서 개로되어야 작업시 안전하고, LED전등 잔광도 방지하고

  • @jang-hwankim2728
    @jang-hwankim2728 20 днів тому

    영상이 너무 길어서 지겹네요
    핵심만 알기쉽게
    10분 영상으로 해 주시면 감사

  • @gogobusan
    @gogobusan Місяць тому

    볼필요도없는 영상이네 말도 되도안하게 설명하네 +,- 가 어딨노

  • @sangyonglee3434
    @sangyonglee3434 29 днів тому

    설명이 복잡하고 정신 사나워서 ...

  • @Stock508
    @Stock508 Місяць тому

    전기기사를 너무 무시하네요 그거 모르는 전기기사는 어디 있어요

    • @edrjeju
      @edrjeju  Місяць тому

      초보를 위한 영상이라는데. 노여움 푸세요. 감사합니다

    • @user-ki8zg5rn3m
      @user-ki8zg5rn3m Місяць тому +2

      전선 하나도 제대로 못 까고 결선하는거 모르는 기사들 수두룩 합니다 ㅋㅋ

    • @user-rm3fz2db4v
      @user-rm3fz2db4v Місяць тому

      @@user-ki8zg5rn3m 기사들이라고 말씀하시는것 보니 전기를 모르시는 분이시군요
      우린 전공 조공 이렇게 말한답니다...전공도 전등입선 못하는 사람있어요..왜인지 아시나요? 전기인 무시하는 님 같은분들이 쉽게 일해서 조공단가보다 전공단가 받으며 일하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욕먹고다니며 전공이랍시고 다녀요...

  • @user-wt8op9dh9b
    @user-wt8op9dh9b Місяць тому

    참 정신사납고 복잡하게 설명하네 커넥터도 홈에 누르고 빼면 빠지는데 뭘 절대 안빠져

  • @spirit-ud8vm
    @spirit-ud8vm 21 день тому

    구구절절....쓸데없는 개소리 너무 많아 ...

  • @user-hy1zt9mj9d
    @user-hy1zt9mj9d Місяць тому

    이걸 강의라고 방송을 하나?
    뭐? 전기기사들은 꼭 보라고?
    전기기사들을 바보로 아나?
    이정도를 전기 기술이라고 할수없다 .
    이정도는 전기이론의 기본이다.
    유치원생 수준이다.

  • @user-ku1ii4kq4k
    @user-ku1ii4kq4k День тому

    설명이 너무 난해하다.. 전기를 좀 아는 나도 막 헤깔려..
    모르는 사람이 들으면 바로 패스 할듯..
    가르치는건지 뭔지.. 논리나 명제는 없고.. 그냥 막 떠드는..
    본인이 강의 하는거 다른사람이 듣고 뭐라 안해요? 혼자 막 흥분해서 설명하고..
    전기선 배선도 엉망이고 설명도 엉망이고 두서없이 막 앞으로갓다뒤로갓다..
    몰라도 된다고 막 하고.. ㅋㅋ 도대체 이런 설명을 듣고 이해하는 사람들은 뭔지..
    이분 어디서 강의하는지 몰라도 수강생들 불쌍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