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양자컴퓨터는 아이온큐인가? 왜 이온트랩 방식인가? | 양자컴퓨터, 양자오류정정 원리 | 이온트랩의 장단점 | 아이온큐, 리게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기존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양자 컴퓨팅 혁명! 그중에서도 IonQ(아이온큐)는 이온트랩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하지만 구글, IBM, 리게티 등 많은 업체들이 채용하고 있는 초전도 큐비트 방식, 그 외 광자 큐비트와 비교했을 때 과연 경쟁력이 있을까요? 이온트랩 방식의 원리, 장점, 그리고 해결해야 할 난관까지 모두 파헤쳐봅니다. 기본적인 양자컴퓨터의 개념부터 양자 오류정정의 의미, 현재 아이온큐가 현대차, 금융, 제약 등 실제 산업의 적용을 위해 협력 중인 내용도 살펴보겠습니다.
    #아이온큐 #양자 #양자컴퓨터
    Written by Error
    Edited by 이지호
    unrealtech2021@gmail.com

КОМЕНТАРІ • 79

  • @unrealtech
    @unrealtech  19 днів тому +4

    instagram.com/unrealtech.error
    UA-cam 채널 커뮤니티를 통해 빅테크, AI, 반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테크 소식과 함께 제 개인적인 생각을 간략히 전달드리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된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보는 동시에
    향후 안될공학 굿쯔나 기타 다양한 소식을 함께 전달하는 채널로서
    Instagram 채널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 @hoonlee8468
    @hoonlee8468 19 днів тому +12

    어려운 양자 컴퓨터를 넘 싶게 설명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팅! ❤

  • @zeroroot74
    @zeroroot74 19 днів тому +1

    핵심내용으로 깔끔한정리.. 그리고 긍정적인 마인드.. 역시 에러님 쵝오 👍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19 днів тому +3

    참 좋아요 ^^

  • @xenoside
    @xenoside 19 днів тому +3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 커뮤니티 보다 댓글 배틀에서 얻는 정보가 훨씬 많네요.

  • @StorySocialnScience
    @StorySocialnScience 19 днів тому +10

    VHS 초창기에도 베타맥스가 있었지만 결국 VHS가 살아남았고, USB 초창기에도 다양한 커넥터가 있었지만 결국 USB가 살아남았죠. 이온트랩이 양자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 @CuteDogStory
      @CuteDogStory 19 днів тому

      그건 현재기술력으로는 아무도 모를 듯합니다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9 днів тому +3

      살아남은 예로만 치면 그렇지만, 비디오-dvd- 스트리밍, lp-cd-mp3-스트리밍, 필름카메라-디지털카메라 처럼 기술발전에 따라 자연스럽게 구세대기술은 묻히고 신기술이 당연시되는 예들도 있죠. 근 미래엔 cpu gpu qpu가 서로 상호보완하며 작동되는 하이브리드 컴퓨터로 시작될겁니다.

    • @와당-f6u
      @와당-f6u 19 днів тому

      기술이 아무리 좋아도 너무 고가면 적당한 가격의 대체제가 나오는 순간 못 살아남죠.
      뭐든 단가 싸움을 이겨야 살아 남습니다.
      당시 그렇게 성능 좋다던 램버스도 단가 싸움에서 지니 사장 되었고요.

    • @stellalumina_poem
      @stellalumina_poem 19 днів тому

      가장 중요한게 대량양산 가능성과 유지관리비용인데 현재 나온 기술중에서는 이온트랩방식이 가장 대량양산에 적합하죠. 현재 나와있는 방식들을 완전히 대체하는 새로운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온트랩방식이 대세가 될겁니다.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8 днів тому

      @@와당-f6u 단가도 중요하지만 손에 넣지 않으면 패권에서 밀리는 기술은 예외라고 봅니다.

  • @Ltmhndlt
    @Ltmhndlt 18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 @fjord38
    @fjord38 19 днів тому +4

    나왔다 내 미래 아이온큐 ❤❤❤

  • @wohwjde9274
    @wohwjde9274 15 днів тому

    다음은 아이온큐 말고 다른 업체들 예를 들면 리게티도 알려주면 좋겠네요

    • @심월-n3e
      @심월-n3e 13 днів тому

      양자컴퓨터는 구글이 외계기업이고 나머지는 다 쩌리들입니다.유명유튜버 말이라고 다믿으시면 안됩니다.

  • @youngyung5352
    @youngyung5352 19 днів тому +1

    화이팅!!!!!!!!!

  • @coconiss
    @coconiss 19 днів тому +4

    양자 만세!

  • @unrealtech
    @unrealtech  19 днів тому +1

    instagram.com/unrealtech.error
    UA-cam 채널 커뮤니티를 통해 빅테크, AI, 반도체를 비롯한
    다양한 테크 소식과 함께 제 개인적인 생각을 간략히 전달드리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된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서 보는 동시에
    향후 안될공학 굿쯔나 기타 다양한 소식을 함께 전달하는 채널로서
    Instagram 채널을 활용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사랑, 팔로우 부탁드립니다!

    • @촌구석존문가
      @촌구석존문가 19 днів тому

      중복 삭제 방지!! 고댓보다 위로 보내자!!

  • @jihuneyphil2146
    @jihuneyphil2146 18 днів тому +3

    IBM, Google이라는 좋은 투자처가 있습니다. 모험하지 마세요. 하려면 날려도 상관없을 정도만 하길. 몰빵하다 잘못되면 나락감.

  • @CHYoo-mg4fx
    @CHYoo-mg4fx 19 днів тому +2

    마지막에 외칠때 개좋앙

  • @야옹이-m8b
    @야옹이-m8b 18 днів тому +1

    왜 상온기반 이온트랩을 까는 사람들(리게티, 구글 주주들)은 초전도체기반은 일회성이라는걸 왜 언급을 안하는지? 초전도체 사용자 입장에서 한번 돌리면 양자 시뮬 4단계 후 양자붕괴가 되서 다시 양자 포집하고 재구축해야 하는데.. 이런 비효율성을 기업 입장에서 번거롭게 해야 할지?

  • @sw-yz1yu
    @sw-yz1yu 17 днів тому +3

    앞으로 30년 이상 걸릴것.

    • @TT_______TT
      @TT_______TT 17 днів тому

      뭔 헛소리야 유일하게 매출을 올리고 있는곳이 아이온큐인데

    • @sw-yz1yu
      @sw-yz1yu 17 днів тому +2

      @TT_______TT 지금은 시험하느라 매출이 나는거고 양자컴 자체가 쓸만해질때까지는 30년 걸림.

    • @wyeoul.park93
      @wyeoul.park93 5 днів тому +1

      맞아요... 하지만 그 전에는 아에 불가능하다고 얘기를 했죠. 그런점에서 지금 30년 걸린다고 말하는것도 글쎄요 또 모르죠 한순간에 될지도

  • @crazyski83
    @crazyski83 19 днів тому +3

    전부터 궁금했던 건데, 왜 양자컴퓨터는 1:28 이렇게 뭔 전선이나 파이프가 주렁주렁 달려있는 거에요?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9 днів тому +1

      초전도 기반 양컴의 모습이구요. 저
      파이프 하나하나가 신호 전송, 냉각 등을 할 때 쓰입니다.

    • @aiphdssong
      @aiphdssong 19 днів тому

      옛날 컴퓨터가 미친듯이 컸던 거랑 비슷한 이유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아요

    • @ypooh-t5j
      @ypooh-t5j 19 днів тому +2

      초전도 방식 양자컴퓨터는 수mK 수준의 극저온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러한 극한의 냉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 동작하는 칩은 작아요.

    • @sjy231
      @sjy231 19 днів тому +1

      저 파이프들은 -270도 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기 부품들입니다. 전혀 다른 방식이겠지만 냉장고도 안을 뜯어보면 파이프들이 잔뜩 있더라고요...

    • @minjae92
      @minjae92 18 днів тому

      냉장고입니다... 헬륨을 냉각하기 위해서 저렇게 파이프가 많다고 하더라구요. 액체 헬륨은 보통 2켈빈 이하로 기억하는데 그런 극저온을 만들기 위한 과정이라 보면 됩니다

  • @adriant1631
    @adriant1631 16 днів тому +1

    이온방식은 퀀텀에러 수정에 어려움이 큼.. 확장할 수록 오류컨트롤이 어려움이 있어 초전도 반도체와 같은 오류수정관리를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함.

    • @younsungcho6513
      @younsungcho6513 6 днів тому

      이온방식이나 초전도 방식이나 확장하면 모두다 어려움

    • @user-vj5ts8yl6u
      @user-vj5ts8yl6u День тому

      정확하게 반대로 알고 계십니다

  • @만리-c8o
    @만리-c8o 19 днів тому +2

    궁금한게 지금 양자컴퓨터들 수준이
    초창기 컴퓨터 애니악 수준은 되나요??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8 днів тому

      킬러어플리케이션(워드프로세서, 인터넷 브라우저 등 pc 보급률을 기하급수적으로 끌어올린 실용적 소프트웨어)이 나오기 전 pc 정도의 단계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이런-b8i
      @이런-b8i 18 днів тому +1

      @@QuantumAnimal그정도에도 못 미침. 애니악은 느리긴 해도 어쨌든 쓸모 있는 계산을 하기라도 했지만, 현재 양자컴은 애니악 보다도 이전에 앨런 튜링이 연구하던 시절의 컴퓨터에 더 가까움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8 днів тому

      @ 그 시절 애니악은 단순히 계산의 속도를 높여주는 기능만 했을 뿐 무쓸모였습니다. 굳이 애니악이랑 비교한다면 보는 관점마다 생각이
      다를 것 같군요. 그 시대와 지금 시대는 컴퓨팅을 바라보는 관점, 관련 인재, 인프라도 다르기 땜에 비교가 무의미하다봅니다. 또한 업계의 사람이 아닌이상 아이온큐 포르테엔터프라이즈를 직접 써보고 정확히 이런 단계다 말할 수 있을 사람도 없다 판단됩니다.

    • @공중도덕준수
      @공중도덕준수 15 днів тому

      계산기에서 초기 컴퓨터로, 컴퓨터에서 슈퍼컴퓨터로
      패러다임의 전환은 우리 일반인이 받아들이기엔 늘 벅차죠.
      gpu 왜필요함? npu 왜 필요함? 했던게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는걸 상기시켜보세요.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한 이래로, 어느새 휴대기기 시장 기술발전이 지지부진하다고 느껴질 순간, 발전하지 못하면 도태될겁니다.
      컴퓨터 시장도 마찬가지죠. gpu와 슈퍼컴퓨터를 더 많이 팔아 ai산업을 꽉 쥐고 싶어하는 엔비디아와 그에 반하는 탈엔비디아 업종이 기술전쟁을 벌이고 있는겁니다

  • @yongs3497
    @yongs3497 18 днів тому

    그래서 형 양컴 투자는 구글에다 해야돼? 아니면 아이온큐에다 해야돼?

    • @yongs3497
      @yongs3497 17 днів тому

      @Chin2553 스캠이 뭐에요?

  • @jaykim7760
    @jaykim7760 19 днів тому

    전기가 통했다 안 통했다가 아니라 전압이 높고 낮음으로 1 0을 표현하는 거 아닌가요?

    • @fjord38
      @fjord38 19 днів тому

      전기가 통하면 전압이 높고 안통하면 낮아짐. 같은 이야기죠 ㅋㅋㅋ

  • @teddykim1107
    @teddykim1107 19 днів тому

    #배그관리자: 아... 핵쟁이들이 게임디자인 망쳐버리네 확 갈아엎어버려? #우주관리자: 아.... 3차원세계에서 놀라고 만들어준 공간인데 해킹템을 대놓고 만드네...확 갈아엎어버려?

  • @deanchoi742
    @deanchoi742 19 днів тому +2

    초전도보다 장점이 많다면 빅테크 구글 IBM MS(부도체가 포함된 하이브리드)등은 왜 초전도 방식을 택했을까요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8 днів тому +1

      @@deanchoi742 초전도 방식이 개발을 시작하기 쉬웠고 기존에 깔린 반도체 부품과 호환이 잘됐기 때문입니다.

    • @sswlab
      @sswlab 18 днів тому +2

      미국방부는 왜 이온트랩 양자컴퓨터만 취급할까요? 생각좀하세요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8 днів тому

      @@sswlab 상온 작동가능, 소형화가능, 온프레미스 컴퓨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측면에서 미국방부는 이온트랩을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 @deanchoi742
      @deanchoi742 16 днів тому

      @@sswlab
      인성이 아직 미완성인듯? 생각좀하세요?
      다른의견을 들아보고자 질문한건데.
      미완성된 인격을 보여주시네?
      국방부가 이온트랩만 하는줄 아나요?
      내가 아는게 전부인것처럼 행동마시길.
      MS 부도체+하이브리드 방식이 상용화에 가장 유리해서 급진전 되고 있기도 하니 참고하시고.
      1조번 연산에 오류 1개 이하"…MS, 美 국방부 양자컴퓨터 개발 순항 이런 기사도 찾아 보시고.

    • @sswlab
      @sswlab 16 днів тому

      @@deanchoi742 개발이랑 실질적 계약이랑 같냐? ㅋㅋㅋ 어휴 답답아~

  • @yangmyeonglee2273
    @yangmyeonglee2273 19 днів тому +3

    ㅋㅋ여기 리게티 빠순이들 와서 존나 비아냥대네

  • @humbless1373
    @humbless1373 19 днів тому

    양자추

  • @꿀똥벌
    @꿀똥벌 19 днів тому +12

    광고인가요?? 이온트랩의 장점만 대부분 늘어놓는 느낌이네요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9 днів тому +3

      초전도나 광자, 원자 기반의 양컴보다 현재로썬 이온트랩 기반 양컴의 실용성이 더 큽니다. 장점만 나열한게 아니라 실제로 장점이 많습니다.

    • @sjy231
      @sjy231 19 днів тому +1

      이번 영상의 주제가 이온트랩이니까 당연한 것 아닌가요? 다른 영상에서는 초전도체에 관하여 설명한 영상도 있더군요..

    • @출근이무서워
      @출근이무서워 19 днів тому +3

      ㅋㅋㅋㅋㅋ 광고ㅋㅋㅋㅋㅋ 아이온큐가 무슨 구멍가게인줄아시나

    • @sswlab
      @sswlab 19 днів тому

      장점이 많으니까 장점을 늘어놓지

    • @아르센벵거-g3x
      @아르센벵거-g3x 19 днів тому +1

      광고 ㅇㅈㄹ ㅋㅋㅋㅋㅋㅋㅋㅋ 이 영상 보고 저 양자컴 누가 살 수 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 @신이있다면-f9q
    @신이있다면-f9q 19 днів тому

    훅시 상온 초전도체라는 게 ㄹㅇ 발견되면 아이온큐 망하는 거?

    • @Akira99626
      @Akira99626 19 днів тому

      ㅇㅇ

    • @sswlab
      @sswlab 18 днів тому +1

      상온 초전도체가 발견되도 초전도체 양자컴퓨터랑 연관 없음

    • @sswlab
      @sswlab 18 днів тому +1

      초전도큐빗이 극저온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초전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열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필요한거 입니다. 초전도 큐빗에 사용되는 초전도체의 임계온도는 9K 정도 되는데 초전도큐빗의 동작 온도는 0.01K거든요. 초전도체를 활용하지 않는 스핀큐빗도 비슷한 이유로 0.01K 수준의 극저온 환경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상온 초전도체가 나온다고 해서 상온에서 동작하는 초전도 양자컴퓨터가 나오진 않을꺼에요.

    • @이런-b8i
      @이런-b8i 18 днів тому

      상온초전도체가 아니어도 임계온도 상당히 높은 고온 초전도체는 이미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초전도 양자컴퓨터에는 사용하지 않음. 윗 댓글 말처럼 열적 노이즈 억제하려면 어차피 극저온이 필요하고, BCS 이론으로 설명 안되는 초전도체를 써봤자 회로 성질 예측도 안되고 좋을 게 없음

  • @user-kl7sh7nw4m
    @user-kl7sh7nw4m 19 днів тому

    이온트랩이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서 가장 먼저 상용화 될거라 생각합니다.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9 днів тому +1

      기술적 난이도는 초전도 방식이 제일 낮습니다. 그래서 초전도 방식 양컴회사들이 제일 많구요. 이온트랩은 기술 난이도가 낮은 게 아니라 실용화의 장벽이 가장 낮습니다. 레이저 광학 기술이 갖춰져있어야하고 이온화 기술도 있어야해서 기술적 난이도는 가장 높습니다.

    • @sswlab
      @sswlab 19 днів тому

      ㅋㅋ 기술적 난이도같은 소리하네. 이온트랩이 더 고도화된 기술이란다. 양알못아

  • @FLCLLife
    @FLCLLife 19 днів тому +3

    아이온큐에 주식 넣었나
    엄청 띄워주네
    안될테슬라처럼

  • @hwaiyu733
    @hwaiyu733 19 днів тому +4

    사실 안될공학에서 다루는 건 수박 겉핥기 식으로 그냥 별 의미 없음. 양자 알고리즘 같은 거 봐야 제대로 이해함.

    • @QuantumAnimal
      @QuantumAnimal 19 днів тому +4

      그런 깊은 것을 다루면 시청자들이 어려워서 지루해하고 시청 안하겠죠. 아이온큐의 알고리즘 개발 및 현황을 알고 싶으시면 아이온큐에 관해 쫌만 써칭하시면 관련 특허, 논문들 굉장히 많습니다.

    • @mk2j193
      @mk2j193 19 днів тому +4

      최소한 수박을 본 자와 안 본 자의 차이도 큰데 그걸 핥기라도 해본 건 더 큰 차이입니다
      모든 중식당 이용 고객이 짜장면을 만드는 방법을 공부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당신은 비난과 폄하만 할 줄 아는데 그거야 말로 쓸모가 없죠
      당신의 악플이 누구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
      아 나는 앞으로 양자에 대한 전문가가 되기 위해 여길 방문하면 안 되겠구나라는 깨달음을 얻길 바라는 겁니까? 말도 안 되죠?
      그럼 당신의 댓글은 어떤 쓸모가 있을까요?
      당신의 인성은 엿볼 수 있겠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