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인은 들어본 적도 없는 방학 특강?😲 외국인이 본 K-사교육은?|비정상회담|JTBC 150112 방송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1 сер 2023
  • 가장 치열하다고 얘기되는 한국의 사교육!
    과목별 사교육으로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학생들
    과연 옳은 교육 방식일까?
    다양한 나라들의 사교육에 대해!
    #비정상회담 #외국인 #문화
    --------------------------------------------------
    [JTBC라이프] 구독하기
    ☞ me2.kr/qWarv
  • Навчання та стиль

КОМЕНТАРІ • 163

  • @teet744
    @teet744 10 місяців тому +620

    펙트) 저기있는사람들 전부 학력 좋고 3개국어 이상 할수있는 엘리트들이다

    • @Giggle958
      @Giggle958 8 місяців тому +102

      저 예능이 재미가 있을수밖에 없던 이유.
      다외국어를 저렇게 잘해는 언어능력의 상위권자들의 대화가 재미없을리가. 😂😂

    • @ChaCha-pr4gl
      @ChaCha-pr4gl 7 місяців тому +10

      반은 아닙니다...

    • @user-kw9mb5pv7i
      @user-kw9mb5pv7i 6 місяців тому +11

      말하는것만 배우는 거라면 3개국어가 그렇게 힘들진 않음. 게다가 유럽권 언어는 공통분모가 많아서 3개국어 4개국어가 흔하고
      근데 한국과 일본 포함 문법을 중시하는 커리큘럼은 언어 습득을 학문의 영역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어렵고 오래 걸리는걸로 생각하게 됨..

    • @house7529
      @house7529 5 місяців тому

      @@user-kw9mb5pv7i 그렇게 힘들지않은데 한국에서 영어잘하는사람 손에꼽지 ㅋㅋ 길가다가 영어로 물어볼때 대답할수있는애들 손에꼽을정도로 우리나라는 언어능력 개판임 3개국어가쉽다니 ㅋㅋㅋㅋㅋ 평균적으로 우리나라 언어능력 최하위임 국뽕이 어마어마해서 그냥 학교에서 배운것에서 만족하고 끝내는게 대부분

    • @user-lk5ng8yr3j
      @user-lk5ng8yr3j 5 місяців тому +30

      ⁠@@user-kw9mb5pv7i3개국어를 저렇게 거의 프리토킹급으로 구사할 수 있는게 쉽다고??안해본 사람이 쉽다고하는게 웃기네ㅋㅋ

  • @user-jh9qo4jh8h
    @user-jh9qo4jh8h 7 місяців тому +241

    난 중딩때 뉴질랜드 유학했엇는데 학원을 안 다니고도 수업을 따라갈 수 있다는 게 너무 행복했고 신세계였음... 심지어 난 영어가 모국어도 아니었는데... 한국의 사교육이 필요하고 말고를 떠나서 잘못되었다는 건 확실함 아 생각만해도 우울해

    • @hyundai_avante
      @hyundai_avante 5 місяців тому

      그럼 뉴질랜드로 이민가서 살던가 잼민아ㅋㅋㅋ프사랑 맞춤법 틀리는거 보니까 어린것 같은데 그럴시간에 방학계획표나 세워라ㅉㅉ

    • @jtseong6914
      @jtseong6914 4 місяці тому +1

      우리나라도 사교육 안 받아도 점수 충분히 잘 받을 수 있음...

    • @h.s1034
      @h.s1034 4 місяці тому +7

      ​@@jtseong6914그 잘의 기준이 어느정도인지... 수도권은 모르겠는데 지방 선생님들중 좋은 분들도 계시긴 하지만 실력이 부족하다던가 아님 너희 학원에서 이거 다 배웠지 하는 쌤들이 꽤 있음 그래서 선생님들도 주기적으로 시험봐야 된다는거에 동의 하는편..
      그리고 사교육을 하면 문제 접근이 달라짐 선생님들마다 풀이 방식이 달라서 나에게 맞는 풀이 또는 좀 더 쉬운 풀이를 경험하고 배우게 됨

    • @mementomori11
      @mementomori11 3 місяці тому +1

      중학교까진 가능함 우리나라도

    • @ririi1i
      @ririi1i 2 місяці тому

      외국인이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데 중딩까지 쉽게 가능하다...??ㅜ글쎄...

  • @user-tj5bq9oc8m
    @user-tj5bq9oc8m 10 місяців тому +272

    사골국물도 이정도로우리면 맑은물만나올듯

  • @TheDooridoona
    @TheDooridoona 7 місяців тому +71

    장위안 틀린 말 하는 거 아님…..미국 사는 아지매인데 여기 이과 공과 대학 학생들 대부분이 아시아계임, 인도 애들도 포함

    • @yune5597
      @yune5597 Місяць тому +2

      근데 정작 지배계급은 대부분 백인계

    • @NoName-ln6sj
      @NoName-ln6sj 9 днів тому +1

      ​@@yune5597 돈이랑 기술은 꼭 비례하진 않으니까

  • @user-wd7cp7ji2d
    @user-wd7cp7ji2d 8 місяців тому +124

    구술, 서술시험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데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에서는 사교육 시장만 더 커져요. 이미 임용고시가 서술형인데 임용 강의가 수능보다 배로 큰 비용이 들어갑니다. 국가에서 정답 공개도 하지 않고, 서술형은 채점 기준이 애매해서 스스로 채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채점 서비스까지 있는 사설 모의고사 1회분-3시간이면 푸는 시험이 회당 3~5만원씩 들어갑니다.

    • @Giggle958
      @Giggle958 8 місяців тому +9

      어우...

    • @user-rh9hy8kk9j
      @user-rh9hy8kk9j 7 місяців тому +4

      교원임용 되어 현직인 사람으로 임용은 고시가 아니에요.
      경쟁률 세고 힘든 건 맞지만 행시,사시,외무고시 수준이 아니라 나는
      임용시험이라 말하지 고시라 하지 않음

    • @_chris__lee
      @_chris__lee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애시당초 가르치는 방식 자체가 주입식 세뇌교육으로 최적화되어있음. 주관식 서술형으로 바꾸려면 아이들을 사고/토론 위주의 교육을 받을 수 있게끔 시스템을 뒤집어엎어야 가능함. 그러려면 기존 교사들의 수업방식을 재교육해야 하는데 돈도 심하게 깨질 거고, 반발하는 교사들도 무지막지하게 늘어날 것임. 총체적 난국 수준임.

  • @jinhyuk1108
    @jinhyuk1108 8 місяців тому +26

    오와 다니엘.... 공감도 가고 깊이 있는 메세지네요

  • @user-zz7kq2tf2g
    @user-zz7kq2tf2g 9 місяців тому +42

    하지만 없는 사람이 그나마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게 공부라서 그럼. 물론 공부도 재능이 필요하지만 없는 사람은 재능이 뭔지 여러가지 시키고 보게할 여유가 없음...

  • @user-dt4gv4to3t
    @user-dt4gv4to3t 8 місяців тому +30

    다니엘 말 진짜 잘한다..

  • @qufsfesses8212
    @qufsfesses8212 10 місяців тому +40

    다니엘의 말에 너무 공감이 된다.

  • @user-michaella
    @user-michaella 6 місяців тому +16

    와 진짜 토론하기 좋은 소재다

  • @UCLu80m2ixrOHYgI6ioFZFhA
    @UCLu80m2ixrOHYgI6ioFZFhA 7 місяців тому +15

    다 알지만 이미 산업화된 사교육시장, 부모들의 욕망, 미래에대한불안, 경쟁문화로 바꾸기가 너무 어렵죠

  • @Kimchi_Cheese
    @Kimchi_Cheese 10 місяців тому +51

    다니엘, 타일러, 일리야는 정말 한국어 상위권이네요❤ 수잔, 위안, 알베토, 줄리안도 한국말 잘하고.... 다니엘 한국말하는 속도보면 빠르면서도 유창함😊

  • @Gaegulbb7
    @Gaegulbb7 10 місяців тому +45

    JTBC 희망고문 고만해,,,, 이젠 사골도 안나오겄어~~!!!~~

  • @shark1140
    @shark1140 9 місяців тому +21

    한국도 엘리트들이 받는 교육 국제학교나 등 은 유럽식하고 비슷함 그 밑이 다 주입식인거지. 즉 회사등 한국사회를 보면 절대 바뀌지않는 소수들이 다수를 이끌어가는걸 볼수있음 공장형태의 사회인거임 즉 일하는 사람들은 그냥 자기의견이런거 필요없이 윗사람이 시키는것만 잘하면 되는거임. 명령에복종해야 하니 자기 의견을 내세우는 교육이 불필요한거임 그러니 특히 어학,영어교육이 제일쓰레기인거임. 언어교육을하는데 말을 안시키고 읽기만시키는 이유인거임.

    • @user-michaella
      @user-michaella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요즘엔 초등 교육이 말하기 자기 의견 표출하기 교육 트렌드로 바뀌었는데요. 읽기 교육을 너무 안해서 아이들이 빈 수레가 되었답니다.

  • @matroos8393
    @matroos8393 9 місяців тому +32

    이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SNS 명품 보여지기 비교하기에만 혈안이 돼있다. 자기자신의 개성, 취미, 행복하게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나는 큰돈을 버는건 아니지만 부모님의 가르침 덕분에 한국에서도 눈치보지 않으니, 명품에 관심이 없으니 넉넉하고 행복하다. 건강하고 미래건설적이고 활동적으로 산다. 한국이 헬이라는 말이 나와는 상관없다. 1990생임

  • @user-fp9ik6rx8o
    @user-fp9ik6rx8o 2 місяці тому +3

    근데 저기서 나오는말들이 다 맞긴함 장위안이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는거지만 교육이 입시에 초점이 아니라 오로지 공부라면 저말도 맞는말임
    어느분야든지간에 그분야의 지식이 결합되어야지 성공할 수있음
    제일 지식과 거리가 멀어져보이는 예술에서도 배경지식과 예술적인 공부가 바탕이 되어야지 새로운것이 창조되는것처럼 교육은 중요함
    성공이 아니더라도 예의범절과 성숙도 인생에 대해서 살아가는가치 등등 이런것들도 알게모르게 우리가 습득하는 지식을 바탕으로 채워져나아가는거임
    그렇기에 교육=시험이 아니라 배워가는 과정인 "공부"는 매우 중요한 영역인건 맞음

  • @perrrkele
    @perrrkel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

    이땐 77프로였구나 지금은 거의 90일듯

  • @naldalion
    @naldalion 6 місяців тому +4

    자원이 없는 대한민국에서 이 정도까지 성장할 수 있었던 것 사람에 대한 투자 교육때문이였기 떄문에 좋은 성과도 부작용도 있는거지.. 지금의 유럽들도 장점보다 단점도 많듯이

  • @jaegari999
    @jaegari999 6 місяців тому +4

    공부보다도 예절 매너가 제일 중요하고. 다음이 책을 많이보고. 예술. 운동을 하고싶은 이이들은 어릴 때부터 과외가 필요하다. 체력이 딸리니 고3때부터 일찍자고 평소대로하니 경쟁에서 밀 린다. 치열하게 살아온 결과 오늘날 대한민국이 있다. 다만 공부가 다가아니라는 인식과 직업교육을 잘 시키고 학교폭력을 없애고 역사교육 강화해서 올바른 국가관을 갖게하고. 책을 읽히는첫걸음은 역사와 전통을 가르치면 아이는 절대로 나쁜 길 가지않는다. 부모가 모범적생활하고.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다.

  • @leechanghyun
    @leechanghyun 3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가 아이들의 숫자와 인구 수로 대변되는 수많은 경쟁을 통해서 급성장한 국가라 그 기반이 달라지지 않으면 계속 살기 힘들어질거 같아서 아쉽다.... 경쟁을 원동력으로 해서 나라가 성장하였고 그 방식을 현재도 고수하면서 공부로 성공하거나 일정 계층 사회에서 인정 받기 위해 살라는 사회가 참 안쓰럽다. 물론 이걸 갑자기 바꾸기도 어려운게 이미 사회에 만연한 이미지이기도 하고 학부모나 학생이나 공부라는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미래를 상상해왔고 노력해왔는데 어느 순간 바꿔버리면 그들의 노력은 어디로 가는가 싶기도 하고.... 공부 외에 행복을 실현할 다른 직종들을 권하기에는 사실 우리 사회가 그 직종들에 대한 이해도나 존중이 있는 것도 아니고 그 어느 학부모가 앞길도 보이지 않는 파도에 자식들을 던져놓을까 ㅠㅠㅠ 분명 그들의 마음도 이해가 되지만 진정한 자녀들 혹은 자신을 위한 행복을 위해서라도 공부 외에 관점을 바꾸려는 시도가 꼭 필요하다는 말 해주고 싶다. 이건 국민들 수준에서 바꾸려고 하면 안되고 국가의 노력도 필수한거 같고 부디 새로운 블루오션에 대해 알려주고 그들이 다양한 바다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해주었으면 좋겠다.... 사실 이렇게 적고 있는 것도 그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은데 지금 이 힘든 사회를 살아가는 나를 포함한 현대인들, 성인 그리고 청소년 유아들 모두 앞길에 행복만이 가득하길 바라며 조심스럽게 위로를 건네본다. 부디 우리가 행복할 수 있기를 파이팅!

  • @user-nq9mv6tr1k
    @user-nq9mv6tr1k 3 місяці тому +3

    방학때 학원 다닌적도 있고 아닌적도 있는데 안다닐때 맨날 티비나보고 게임이나 하고 뭔가 내가 능동적으로 성취할만한 일을 뭔가를 하지를 못해서 그냥 차라리 학원이라도 다니는게 낫겠다 싶어서 가고
    또 학원가는거 후회하고 ㅋㅋㅋ 계속 이래도 후회하고 저래도 후회하고 그랬던거 같음. 어디여행을 간다랄지 캠핑이라지 물론 요즘 애들은 방학때 그런거 잘하긴 하지만 라떼만해도 방학에 뭘할지를 몰라서 애들이
    좀 능동적인 애들은 달랐겠지만 나같이 수동적인 애들은 방학에 우물쭈물 보냈던거같음. 지나고 나니 아쉽다.

  • @user-gd4gc4pn7f
    @user-gd4gc4pn7f 4 місяці тому +8

    세리박이나 김연아는 원래돈이많았다.......본인도 뛰어나게 노력했겠지만 부모님이 운동후원이가능하니 선수생활유지할수있었던거지...예시가 너무별론데

  • @drusilla1004
    @drusilla1004 Місяць тому +1

    지금의 부모들 역시 높은 사교육문화 겪은 세대임 그 사교육문화의 장단점은 이성으로든 감성으로든 모르지않을꺼라 생각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사교육을 통한 성공이 먹히는 시대이기에 그 방법을 버리지 못하는거라 생각함
    아직 부모가 되어보지못한 나도 이런생각인데 내 자식에게 어려운 길보다 그나마 쉬운길이라 생각해서 시키는 교육이라면 열성적이지 않을 자신이 없을것같네요

  • @user-je8pd
    @user-je8pd 10 місяців тому +21

    구술시험 좋네요. 말하기가 대표가되고 사교, 표현, 교육 등 많은걸 배우게 되는것 같아요.

  • @klesa4152
    @klesa4152 10 місяців тому +8

    다니엘ㅆㅣ 말이 가장와닿 4:57

  • @user-fc7oj7kr5w
    @user-fc7oj7kr5w 3 місяці тому +1

    진짜 공부는 남들 다 하는거임 그러니까 그저 뿌리가 되는거지 그게 줄기나 열매는 운, 개개인이 정하는것이라고 생각함 나도 수학, 과학 이런거 50점였는데 언어, 예체능은 80~90점은 무조건 넘김 그래서 걍 그림 좋아하니까 디자이너 되기로 맘먹고 공부하다보니 뭐 남들이 다 아는 디자이너는 아닌데 그래도 어디가서 잔소리 들을만한 정도는 아님 (외국어는 영어,불어,일본어 합니당) 그리고 확실한건 대학 안나왔다해도 계속 거기에 끙끙거리니까 그러는거지 가끔 생각하겠다고 산책 가는것처럼 각잡고 1주일이라도 해외로 여행가보면 절대 안나올거같던 영어가 그래도 나옴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영어방식이 문제푸는 방식보단 주제하나 던져놓고 말하게 하는게 더 낫다 생각하는게 우리나라사람들 12년동안 영어한거? 그때 잠만 안자고 노트에 몇개라도 적던 사람이라면 진짜 말 나오는게 문제지 이해 못하진않는다 생각함 개인적으로 실패로 얻은 경험보단 성공으로 얻은 쾌락때문에 계속 하려고한다 생각함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처럼 걍 계란에 바위깨기(맞나?)마냥 일단 해봐야 아는 사람이라면 해보는게 맞음 10대 마지막을 보내는 친구들이나 20대 초반 친구들 "세상은 넓고 ㅄ은 많다." 그중에 또라이 한명이 되는건 어떤가요 저 말처럼 ㅄ은 많다는데 그걸로 명분 하나는 챙겼다 봅니다. 남들하고 다른길 간다해서 뭐 다잃는것도 아니고, 남들보다 힘들만 그만큼 버틴 인내심 하나라도 챙기는거죠.

  • @BB-tu5sh
    @BB-tu5sh 10 місяців тому +79

    예능이라 어쩔수 없다지만 외국인들 발음이나 단어선택가지고 너무 놀리는거 아닌가 싶네요 안물안궁은 무례한거같고..😂

    • @user-michaella
      @user-michaella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장위안 같은 경우는 나온지 오래돼셔 엠씨들이랑 친해서 그런거죠.

    • @BB-tu5sh
      @BB-tu5sh 6 місяців тому +7

      @@user-michaella 친한사이어도 무례한건 무례한거에요~..장위안 나온지 오래된거 비담 보는사람중에 모르는사람있나요

    • @user-chechee
      @user-chechee 2 місяці тому +1

      비정상회담은 토론.시사 프로그램이 아니라 예능입니다;불편충들진짜 어휴

    • @BB-tu5sh
      @BB-tu5sh 2 місяці тому +2

      @@user-chechee 예능이라지만 라고 써놨는데요ㅋㅋ; 예능인건 알아요 무례한건 무례한거라고 말한거에요 일본예능에서 게스트한테 무례하게 대하는것도 예능이잖음 ㅋㅋ 하고 넘길건가요 비담이 외국인들도 많이보는 프로그램인데 저런걸로 자꾸 장난치는게 안좋아보인다는거죠 뭔 불편충; 이러네 ㅋㅋ일상생활에서 남들이 장난치는거 기분나빠하지말고 다 장난으로받으세요 그럼

    • @BB-tu5sh
      @BB-tu5sh 2 місяці тому +2

      하긴ㅋㅋ 무례한거랑 장난이랑 구분도 못하는거보면 일상생활에서 무례한짓 하는 인간쪽이겠네요~

  • @ringdingdong1473
    @ringdingdong1473 8 місяців тому +23

    난 개인적으로 한국의 사교육이 나쁘다는 생각은 별로 안듬
    공교육이 훨씬 문제라고 생각함

    • @Vidabello639
      @Vidabello639 7 місяців тому

      ㄹㅇ임. 사립초, 공립초 너무 다름

  • @user-vi9ej6vw3h
    @user-vi9ej6vw3h 4 місяці тому +2

    우리나라 사교육에 난리난 사람들 자녀들이 결국 좋은학교 가지만, 그 중에 성공한 사람들은 소수임 ;
    진짜 공부밖에 모르고 큰 사람들은 참 불쌍한거임...
    어릴 때 부터 좋은거 보고 좋은거 느끼고 이것 저것 경험해보고 살아보는게 진짜 중요한건데
    영어 유치원 어쩌구 하면서 어릴 때 부터 공부에 찌들게 하는 부모들.. 정말 정신차려야 함 ...
    그리고 그렇게 만드는 한국 사회도 정신 차려야 함 ...

  • @user-sw8kt6pm7v
    @user-sw8kt6pm7v 9 місяців тому +5

    객관식과 주관식들이 다 장단점이 있는듯

  • @yewonchoi2075
    @yewonchoi2075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방학때 사교육 안하고 싶지만 요즘 우리나라는 아이들 끼리 놀거리도 잘없고 (게임만함) 그리고 부모들이 맞벌이인경우도 많아서

  • @user-hh1sn3di3d
    @user-hh1sn3di3d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저기있는 외국인말이 맞다 성공은 공부와 직결되진않지 근데 우리나라에서는 성공은 교육과 매우 근접하다

  • @moonjoongful
    @moonjoongful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니~~~~ 비정상회담 초창기 올려달라고~~~~

  • @user-pk1mz2vh9f
    @user-pk1mz2vh9f 9 місяців тому +4

    아니 엘리트는 학력이 좋으니까 저러면 내로남불이고 힘들게 사는 사람들은 지가 능력이 안돼서 소주먹고 한심하게 신세한탄하는거냐 결국 사교육과 경쟁교육은 문제가 맞다.

  • @KikoLorenzo_
    @KikoLorenzo_ 9 місяців тому +7

    우리나라처럼 공장형만 아니지 엘리트 사회에서 머무르기 위해서 지출하는 튜터링 비용이 얼마나 많은데

  • @jiseo6298
    @jiseo6298 9 місяців тому +42

    서구가 사교육이 없는건 견고한 계급벽으로 중산층이 상층으로 오르는걸 포기했고 동북아시아는 아직은 계급벽이 견고하지 않아서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는 차이.

    • @Vidabello639
      @Vidabello639 7 місяців тому +6

      ㄴㄴ 미국도 사교육심해요. 고등학교때 클럽활동때문에 운동까지 사교육시키는 나라임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6

      @@user-mo1qb4bx6w 이게 진짜 우물 안 개구리라는 거지... 한국 계층이동성은 높은 편임. 생각을 좀 해봐. 전쟁 하나로 완전 망가져서 새로 시작한지 70년된 나라랑 몇백년간 유지된 서양 국가랑 어디가 더 계층이 더 강하겠냐.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mo1qb4bx6w 아니 교수들이 님처럼 얘기를 안 해요 ㅋㅋㅋㅋ 무슨 애기를 하세요. 구글링만 하면 바로 한국이 이동성 25위정도 한다고 바로 나오네요? ^^ 뭐 뇌피셜로 많이 적어놓으셨는데 그건 의미가 없구요. 통계가 얘기하는게 우리나라 이동성이 높다입니다 ^^; 학자들이 얘기하는건 최근 계층 이동성의 '변화' 이지 절대적인 수준이 아니랍니다.... 남들이 님보다 모른다고 자만하지 마세욬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user-mo1qb4bx6w제가 논문 읽고 사는데 님한테 논문을 왜 물어보겠어요 ㅋㅋㅋㅋ 아니 전 댓글에서도 님한테 논문 안 물어봤는데 왜 혼자 화를 내세요. 안물안궁입니다. 님보다 더 알아요 ^^

    • @user-mo1qb4bx6w
      @user-mo1qb4bx6w 7 місяців тому +1

      @@MH-hg7oe kdi 뉴스 하나 읽고오셨나보네... 네 님말이다맞아요~

  • @vaneelee
    @vaneelee 5 місяців тому +2

    15:08 ㅋㅋㅋㅋ이 셋 졸라웃김

  • @Motchan7777
    @Motchan7777 6 місяців тому +2

    3:05 저기욤

  • @user-xt6od3kg2b
    @user-xt6od3kg2b Місяць тому +2

    명문대 가려고 재수삼수에 발버둥친 성시경, 전현무..특히 전현무 엄마는 목동 치맛바람의 선구자던데, 그래서 전현무가 질려하면서도 조기교육에서 받은 삶의 태도가 자신을 여기까지 끌어올린 걸 인정하면서도 혐오하는 기분...전현무는 그래도 명문대부심은 별로 없고 살짝 명문대도 별거 없다는 컨셉으로 희화화하는 반면, 성시경은 고대부심 촌스러울만큼 쩔고 아닌 척 하면서 명문대 프리미엄 잘도 울궈먹음...그러면서도 자기랑 별 상관없는 남의 얘기 듣는 듯한 객관적 텐션 유지하는 거 보면 놀랍다 못해 가증스럽다 못해 징그러움...

  • @jjamani1013
    @jjamani1013 Місяць тому +1

    저기욤 개귀욤ㅋㅋㅋㅋㅋ

  • @user-hl6ne2cx7g
    @user-hl6ne2cx7g 10 місяців тому

    별다리 쉬니까 경쟁의식 느끼나 별다리 돌아오면 넘어갈거임...

  • @logychung2562
    @logychung2562 10 місяців тому +13

    중국을 대표로 앉아있는사람의 사고가 너무 편협하고 수준 떨어져서 안그래도 중국에 갔고있는 안좋은 편견이 더 커진다. 세계인들과 공감이 안되는 중국.

  • @user-xi7uu5ii9f
    @user-xi7uu5ii9f 7 місяців тому +8

    저는 고등학생인데 이런 시스템을 바꾸긴 힘들것 같아요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학생들은 의사같이 돈만 밚이 벌기만하면 그쪽으로 진로를 세우잖아요
    그럼 한분야에 많은사람이 몰리게 되고 또 그 사람들 모두 의사를 시켜줄수 없으니 지금처럼 성적으로 차등으로 줄세워서 선발하는게 가장 합리적인거 같아요
    대신 단순히 돈많이 벌어서 의사하겠다는 친구들은 진짜 의사의 본질을 알고 의사로써의 도덕적 책임감도 생각하면서 진로결정을 했으면 합니다

    • @yahoo650
      @yahoo650 4 місяці тому

      👍👍👍👍👍

  • @mejuda843
    @mejuda843 5 місяців тому +3

    장위안 진짜 인기많았었는데 요즘 뭐하고 사나 비담 멤버들이랑 연락도 안하던데ㅠ

  • @user-jv3eb3jn1l
    @user-jv3eb3jn1l 20 днів тому

    사교육의 문제점, 어른이 되어서도 자기 스스로 난관을 헤쳐나가는 힘이 부족하다. 남이 가르쳐 주지 않으면 바보가 되는 헛똑똑이들이 너무도 많아.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없다. 떠먹여 준 것만 잘하지,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힘이 절대적으로 부족해

  • @My-banya
    @My-banya 27 днів тому

    끼리코 카와이~~~

  • @user-mn3vi3cj9k
    @user-mn3vi3cj9k 6 місяців тому

    솔직히 최상위권애들은 이딴소리 다 ㅈ까고 그냥 할수있는만큼 시간 때려 부어야됨. 재능을 발현하는데는 노력뿐만 아니라 시간이 필요하고, 공부 방법을 확실히 아는 최상위권들은 시간을 갈아넣어서 그 재능을 발현시켜야하는거다.
    하지만 그 이하인 애들은 다름. 보통 사람들은 그냥 열심히 하기보다는 공부 방법을 찾는 노력을 더 해야한다. 세상에서 가장 뭐같은 거짓말이 '그냥 열심히 하면 된다' 이거다. 이건 진짜 한참 잘못된 거짓말임. 잘못된 방법으로 무언갈 계속하면 그건 정말로 무의미한 노력이 된다.

  • @user-je8pd
    @user-je8pd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장위안 귀엽네요. 안물!ㅋㅋㅋ굿굿하게 얘기하기!

  • @user-hh1sn3di3d
    @user-hh1sn3di3d 6 місяців тому +2

    유세윤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

  •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국연구소에 아시아사람 많다

  • @user-ds6dc5ym2t
    @user-ds6dc5ym2t 6 місяців тому

    빌게이츠나 스티브잡스가 성공한 사람은 분명하나 훌륭한 사람이라고까지는...

  • @user-ds6dc5ym2t
    @user-ds6dc5ym2t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미국도 썸머스쿨 있는데?

  • @kimguguxx
    @kimguguxx 4 місяці тому +1

    한국이나 중국이나 엘리트 몇명 뽑아내자고 모두를 희생시키는 교육이지..

  • @user-ku9xj7cv8t
    @user-ku9xj7cv8t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타일러는 참지식인

  • @yebbikim9286
    @yebbikim9286 Місяць тому

    우리보다 훨씬더 사교육 심한 인도 중국 아웃풋을 보면
    사교육 무조건 막을거는 아니다.
    자원하나 없는 한국같은 나라는 더더욱 사교육이 중요한 인적자원의 원천중에 하나임.

  • @enceladus9502
    @enceladus9502 8 місяців тому +5

    저 잘생긴 바보 장위안은 우물안 개구리라는 말을 알까? 니가 말하는 동양의 똑똑한 젊은 연구원들이 왜 죄다 미국에 가서 공부하겠늬
    ㅡㅡa

  • @yh4886
    @yh4886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알베르토 아들 영재라고 하는 말 들엇는데 한국스탈 되는건가요

  • @user-ny5qf2wv1c
    @user-ny5qf2wv1c 9 місяців тому +5

    장위안 진짜 동문서답...하....사람은 착한데...약간...답답함.

    • @yune5597
      @yune5597 Місяць тому +1

      근데 실제 한국에 온 중국인들 저렇게 말함;;;

  • @leesa3198
    @leesa3198 10 місяців тому +16

    미국도 썸머캠프라고 해서 만만치 않음. 단지 공부만있는게 아니다라는 점이 다름...

    • @Richard_Feynman24
      @Richard_Feynman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5

      맞아요 이게 핵심 .. ‘ 공부만’ 있는게 아니다 한국은 정말 혼자든 여려명이든 맘편히 제대로 , 잘 놀 수 있는 곳이 없어요 노래방 술집, 클럽, 피씨방, 카페.. 이런게 전부

    • @Richard_Feynman24
      @Richard_Feynman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그래서 세계에서 보면 어이없는 생각과 말들이 한국에서는 , 한국에서만 통하는 이른바 성공할 수 있는 공식으로 자리잡았는듯 합니다. 사실 성공이라는 것도 되게 불안한게 본질인데 조기교육때 어렸을때부터 그렇게 전국민이 가스라이팅을 받고 컸으니 커서도 불안하고 우울하죠..그게 현실적으로는 맞지만 이 대한민국 사회 진짜 각박해요 생각해보면.

    • @Richard_Feynman24
      @Richard_Feynman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장위안씨의 말이 슬프지만 한국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 아이들에게는 맞는 현실적인 조언일것 같네요 하지만 대학을 가거나 성인이 되서 좀 더 생각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생길 때 여행을 가면서 하든지.. 개인의 노력문제보다 사회 인프라를 개혁해야해요 좋은점도 있지만 단점도 명확하니 .. 시종일관 빠르게 바뀌는 세계정세를 단순 몇 십페이지 교과서가 다 담아내지를 못해요

    • @leesa3198
      @leesa3198 9 місяців тому +2

      @@Richard_Feynman24 맞는 말씀이에요. 공부에만 과열된 경쟁속에 아이들은 남을 짓밟으면 안되는 구조에서 서로 더 이기적으로 변해가고... 큰 틀에서 보면 사회자체가 그런아이를 육성하고 원하는 거죠. ㅜㅜ 아이들이 너무 안됐어요. 외국에서는 중고등 학생들도 삼삼오오 모여 축구하고 배구하고 운동하는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요...한국서는 같이 놀 친구가 없죠. 수행하기도 바쁜데 ㅡㅡ 스트레스는 쌓여만가고 좀더 좀더 짧은시간에 즐길 수 있는 자극적인 콘텐츠로 ;;;;

  • @user-fo9yy9kl9f
    @user-fo9yy9kl9f 29 днів тому

    다양성은필요하지만 기초학력은필요하다
    기초학력 잘해야한다 그다음에 니가 가고싶은길가라..기본상식은 있어야된다
    씨× 김연아는 1억명중에 한명이다
    예로 부적절하다

  • @yoyi1230
    @yoyi1230 10 місяців тому +10

    비정상 회담 2 할 생각은 안하고
    기존 영상 사골 끓이듯 우리기만 하네

  • @Levis502tpd
    @Levis502tpd 8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처럼 사교육 없이 공교육만 하는 독일도 세계경제대국이다 교육이 계급을 나누는 도구로 전락해버린 한국의 미래는 어두울 거야

  • @user-hx1ug7hr7m
    @user-hx1ug7hr7m 6 місяців тому

    한국 사교육이 문제가 많고 심각하다면서 왜 교육 정책을 바꾸려고 하지 않을까?
    자기가 원하는 게 뭔지도 모르고 부모가 하라는 대로만 따르느라 생각도 없고... 부모는 자기 자식을 왜 꼭두각시로 만들어서 뭐하자는 거야?

    • @user-michaella
      @user-michaella 6 місяців тому +1

      구술이나 서술 시험으로 바꿔야 하는데 부모입장에서 구술, 서술 시험이 자기네들이 그런 교육 받지 않았기에 자식들도 어렵겠다 느끼는 거지. 그러니 바꾸지 않고 대물림되는거지.

  • @somej9086
    @somej9086 4 місяці тому +1

    김연아도 있다? 다 조기교육이야. BTS 연예기획사 기숙사 시스템 교육. 모든 분야가 현질 조기교육.

  • @myong7835
    @myong7835 9 місяців тому +9

    장위안 보고싶네요.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2

    사교육이 없다는데 어떻게 부모와 자식간의 학벌과 재산 상관관계는 한국보다 더 높을까? ㅋㅋ 미국 사립대 학비 조온나 비싼데 누가 어떻게 다닐까? 거기가 무슨 자식 다 내버려둔다 생각하나? 거기도 다 사람 사는 똑같은 데고 부모는 어떻게든 자신들의 부를 넘겨주려 혈안인데. 이제 이런 진부한 비교도 그만할 때가 되었음. 계층 이동성은 한국이 저기 서양나라보다 훨 높음. (구글링 하면 바로 나옴)

    • @myfluffydandelion
      @myfluffydandelion 7 місяців тому

      그래서 학비 비싼 사립대들은 장학금 제도가 겁나 많잖아요 (유학생은 절대 못타는;) 장학금 못타면 거의 대부분의 애들이 student loan 받는거죠 저도 사립대 나왔는데 막 가족자체가 부유해서 이름 날리는 애들보다 중상층이나 가난한 애들이 더 많았어요 학자금 대출 받은거 졸업하고 취직해도 계속 갚고 있는 친구들 아직도 진짜 많아요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myfluffydandelion 님이 말씀하신 거에 제가 말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다 있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그렇게 대출 받고 계속 갚아나갈 정도로 등록금이 높으니까 애초에 내지도 못할 애들은 이미 탈락을 하죠. 돈 많은 사람들은 그 많은 등록금을 감당할테니 여전히 대학을 갈 거구요. 그러니까 부모의 재산과 자녀의 학벌이 상관 관계가 높겠네요? ^^;

    • @MH-hg7oe
      @MH-hg7oe 7 місяців тому

      @@myfluffydandelion 중상층마저 학자금에 허덕댈 정도니까 문제라는 거잖아요...; 당연히 인구 대부분은 중상층이에요. 님 주변에도 중상층이 당연히 많겠죠... 돈 많은 애들이 굳이 님 곁에 있을지도 의문이지만 거기까진 얘기 안 할게요.

    • @yune5597
      @yune5597 Місяць тому +1

      그래서 공교육 대학까지 무료인 북서유럽이 미국보다 나음

  • @keuiheeline2066
    @keuiheeline2066 Місяць тому +1

    교육은 대학원까지 무료교육으로....

    • @yune5597
      @yune5597 Місяць тому +2

      북서유럽이 공교육 무료

  • @co-co1234
    @co-co1234 2 місяці тому

    10대 20대들이 자기들끼리 인간의 급을 나누던데 퍽이나 사교육이 없어지겠다

  • @gkssutkfcjqns
    @gkssutkfcjqns 9 місяців тому +3

    01:05 인종차별에 대한 경각심과 평등의식이 강한 프랑스인이 민족주의, 국수주의에 빠진 정신 나간 중국, 한국인한테 조심스럽게 팩폭 날리는 모습

  • @isk0818
    @isk0818 Місяць тому

    등수 등급 없애야된다

  • @user-oo8is5yq7e
    @user-oo8is5yq7e 10 місяців тому +28

    미국이 가장 심하지않나 과외시키는건.. 캐나다도 그렇고 학원개념은 없어도 개인 tutor 있잖아

    • @coning1824
      @coning1824 10 місяців тому +20

      논점은 미국은 학생들이 원하면 대학교 내 튜터나 개인 튜터를 이용해서 할수 있지만 한국은 대부분 다 사교육을 받는다는게 문제입니다. 한국은 학부모들도 자기 아이들은 남에게 뒤쳐지는것을 보기 싫어해서 억지로 시키기 때문이에여

    • @coning1824
      @coning1824 9 місяців тому +3

      @@gyuminahn7053 내말 이해 못하셨네 ㅋㅋ 한국은 집안사정 상관없이 아이들을 다 사교육 시키는게 문제라고요. 정작 아이들은 사교육 받기싫어하는데 한국 사회가 경쟁 사회다보니 다 보내는게 문제라구여

    • @coning1824
      @coning1824 9 місяців тому +1

      @@gyuminahn7053 반지하 사는 친구들말고 중산층 가정을 포함한 이상은 다 그랬습니다. 90년대생 기준으로

    • @coning1824
      @coning1824 9 місяців тому +1

      @@gyuminahn7053 나도 미국에서 주립대학교 졸업했어요 ㅋㅋ 그리고 주립이라고 해서 중산층이 없는게 아니라 주립도 상류층인 학생들 많이 봤어요. 자꾸 미국얘기 하는데 지금 내가 하는 얘기는 한국사교육을 말하는거잖아여. 한국말 잘 이해를 못하시나?

    • @coning1824
      @coning1824 9 місяців тому

      @@gyuminahn7053 고등학교까지는 한국에서 나왔어여. 님 말하는 거 보니까 딱봐도 한국에서 안사시는것 같은데 님이야 말로 더 모순이네여. 그리고 님만 주제에 어긋나게 말하는 거지 갑자기 고등학교 이야기는 왜 꺼냄?ㅋㅋ

  • @tckesther8761
    @tckesther8761 Місяць тому

    요즘 일진들 유급 시켜주세요 ㅋㅋ

  • @user-qu3vk3cf5s
    @user-qu3vk3cf5s 10 місяців тому +7

    인도보단 살만하잖
    거긴 대학 떨어지면 집안이 망해.ㅋㅋ

  • @chanklsd
    @chanklsd 7 місяців тому

    독일

  • @soyeonrim4587
    @soyeonrim4587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썩은 코리아😔

  • @all-pass
    @all-pass 7 місяців тому +4

    수학의 정석이 일본거 그대로 배긴거고 영어문법 법과목도 일본거 많이 차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