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생각에 최하위권 or 수포자 기준으로 자기 나이와 상관없이 초등학교 5,6학년 문제를 가지고 교수님이 원래 말씀하신 방법대로 하되, 거기서 조금씩 수준을 올리면서 적응해가면 되지 않을까요? 걱정되는건, 이게 교수님조차도 "곰이 쑥과 마늘만 먹는 과정"으로 비유하실만큼 힘든 과정인데, 최하위권 학생의 경우 이 시간을 훨씬 오래 견뎌야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개념수준과 대표예제의 난이도를 대폭 낮출 필요가 있는거 같고, 또 그런 최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애초에 삶 속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습관 그 자체가 부족하고, 친구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받는 데 익숙할 것 같아 특히 그러한 훈련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은 충분히 고려해야할 것 같아요.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항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 최하위권 or 수포자 기준으로 자기 나이와 상관없이 초등학교 5,6학년 문제를 가지고 교수님이 원래 말씀하신 방법대로 하되, 거기서 조금씩 수준을 올리면서 적응해가면 되지 않을까요? 걱정되는건, 이게 교수님조차도 "곰이 쑥과 마늘만 먹는 과정"으로 비유하실만큼 힘든 과정인데, 최하위권 학생의 경우 이 시간을 훨씬 오래 견뎌야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개념수준과 대표예제의 난이도를 대폭 낮출 필요가 있는거 같고, 또 그런 최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애초에 삶 속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습관 그 자체가 부족하고, 친구나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받는 데 익숙할 것 같아 특히 그러한 훈련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은 충분히 고려해야할 것 같아요.
맞습니다. 그런친구들은 끈기도없지요 ㅜㅜ 대게 그렇습니다. 최악인건 부모도 협조적이지 않은 집이겠지요.
중2 중위권 아이가 방학때 교수님 방법으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적용하려니 한말씀 한말씀이 소중하네요. 10 문제 적으라는 말씀은 스스로 만든 문제 10개를 적으라고 하신 걸까요? 아니면 문제집에 있는 개념 문제를 베껴 적고 풀어보라고 하시는 건가요?
정리를 배운뒤에 스스로 문제를 쉬운거 출제해서 풀어보고. 10문제 적어서 생각하라는거는 문제집이나 교과서에 다른 사람들이 출제해놓은 문제를 의미합니다
개념중요하지요. 감사합니다. ♡♡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