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가 당신의 삶을 바꾼다?! 생성형 AI 혁명과 비밀! 왜 하필 지금 이 시대에 우리는 왜 생성형 AI에 열광하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1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4 чер 2024
  • 이제는 우리 삶 깊숙히 파고든 생성형 AI
    과연 생성형 AI는 어떻게 우리 삶을 바꾸었나?
    과거부터 이론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제야 AI 산업이 발전하는 이유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 2024 신상 굿즈 블록 피규어 키링 + 포스터 출시
    모어사이언스 스토어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생성형AI #chatgpt #midjourney #stablediffusion #etri #송대영
    ◆ Thanks to
    편집 : 조주현
    Studio : 서울스트리밍스테이션
    Guest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대영 연구원
    ◆ 안될과학-모어사이언스 스마트스토어 (과학굿즈)
    smartstore.naver.com/morescience
    ◆ 안될과학 인스타그램
    / unreal.science
    ◆ 안될과학 커뮤니티
    cafe.naver.com/unrealscience
    ◆ 안될과학 문의
    E-MAIL : MoreScience2018@gmail.com
  • Наука та технологія

КОМЕНТАРІ • 81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13 днів тому +7

    5:31 세월이 흐른 현재, 단순노동 업무야말로 학습데이타가 부족하여 일반화성능을 내지 못하고있는대신
    판사나 의사, 기자와 강은 고소득 지적인 업무를 빠르게 대치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

  • @burrowjust9622
    @burrowjust9622 13 днів тому +6

    20년 전에 실패를 모르는 천재가 절망을 배우고 싶을 때 하는 분야가 AI라고 했는데.

  • @skylarkr725
    @skylarkr725 13 днів тому

    정말 좋은 컨텐츠 입니다. 다음편 기대 할께요!! Well deserved 구독+ 좋아요 !

  • @ppasttar
    @ppasttar 13 днів тому +10

    유니랩장님 빵터졌어요

  • @brandlee5089
    @brandlee5089 13 днів тому +4

    에트리 연구원과 협업으로 만난적있는데 각 분야에 다들 열심히시더라고요! 덕뷴에 저희가 작은 의료스타트업이었는데 국책사업도 잘 수행했죠 ㅎㅎ 사업비 큰 규모였는데 여러모로 당시 도움을 잘 받았죠 ㅎㅎ

  • @bologcom
    @bologcom 13 днів тому +4

    19:42 Symbolic AI → Connectionist AI

  • @user-kd8xc3cg5x
    @user-kd8xc3cg5x 13 днів тому +9

    2부도 어여 빨리 내놔요

  • @user-vd1qs4ve7j
    @user-vd1qs4ve7j 13 днів тому +4

    학습된 걸 조합하는 정도의 창의력은 자주봐서 그런가, 사과가 떨어지는것을 보고 중력을 깨닫는다든지, 세상에 현타가 와서 득도한다든지의 능력을 보여줄수 있을지 궁금해요. 그렇게 되면 진짜 무서울듯합니다.

  • @user-po3kd4pg1v
    @user-po3kd4pg1v 13 днів тому +3

    랩장님.........작년 12월에 엔비디아 5천을 팔고 미국채30년으로 갈아탄 사람입니다. 같이 웁니다...........ㅜㅜ

  • @user-mn5fi4zq2l
    @user-mn5fi4zq2l 13 днів тому +6

    우와

  • @user-hv1gv2op9x
    @user-hv1gv2op9x 12 днів тому +3

    8:22 프로 게이머인 페이커는 인터넷 게임도 스포츠냐는 질문에 '준비하고 경쟁하는 모습에서 영감을 일으킨다면 스포츠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라고 답 했습니다.
    예술이 인간의 영감을 표현하는 분야이고, AI 그림이 영감을 자극했다면 Ai그림은 훌륭한 예술이라 할 수 있다고 봅니다.

    • @user-ll7wn8gh4v
      @user-ll7wn8gh4v 8 днів тому

      그럼 판화나 타인의 그림을 무단도용 합성하여 원본의 이미지를 뒤튼 작품들또한 예술의 영역으로 포함시켜야 하나요? 우리는 그것을 표절이라고 부릅니다.

    • @user-rl6in8dm7q
      @user-rl6in8dm7q 2 дні тому

      예술은 인간과 인간의 커뮤가 기본입니다. 표현하고자 하는 느낌이나 의도가 없다면 그건 예술이 아니라 그냥 보기 좋은 '무엇'일 뿐입니다.

  • @user-ry5jg5hf9l
    @user-ry5jg5hf9l 13 днів тому +9

    AI는 인류의 강력한 도구가 될 것이다.
    그것을 특정 계층이 독점하지 못하게 하라.
    그 어느 때보다 정치가 중요한 시기이다.

    • @faasdf
      @faasdf 13 днів тому +1

      나는 AI 개발이 세계 전쟁의 시 [발점이 될 거라 생각함. 스카이넷 토대가 될 수 밖에 없음.

    • @saepho3815
      @saepho3815 55 хвилин тому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겨라

  • @creaditmr9289
    @creaditmr9289 13 днів тому +9

    정확하게는 점, 면, 입체순으로 이어지는 직업군이 말라갈 것 같네요
    결국 하드웨어도 같이 올라가면
    3D군 직종에도 타격이 있을 것

  • @user-ri2jr3jk6y
    @user-ri2jr3jk6y 13 днів тому +3

    AI 하니까 인간 뇌 업로드 하는 조니뎁이 출연한 트랜센던스 영화에서 처럼 인간 뇌 전체 업로드 ?? 하면 용량이 얼마나 필요할까

  • @어슬렁어슬렁호시탐탐
    @어슬렁어슬렁호시탐탐 7 годин тому +1

    지금은 클로드 3.5도 나왔어요!

  • @user-wb3ig3hi5l
    @user-wb3ig3hi5l 11 днів тому

    흥미와 배움이 함께할 수도 있군요

  • @user-qh6ej3gg7n
    @user-qh6ej3gg7n 13 днів тому +2

    가까운 미래에는 터미네이터2에서 나왔던게 현실화 괼수도

  • @user-uh2fs4ui2z
    @user-uh2fs4ui2z 13 днів тому +5

    8:40 생성형 AI는 저작물을 무단 학습해서 패턴화하고 출력하는것 이다보니
    출력된 저작권을 인정 받지 못하는 것이 국제적 추세이기에 상업적 이용은 삼가해야 하지 않나싶니다.
    옳게 그나마 사용한다면 패턴화에 이용한 그림들의 판권을 사오거나 순수하게 나의 저작물로만 이용하는것이 맞지요.
    물론 말씀하신 출력물의 아이디어나 연출 구도는(콘티적인 부분) 저작물 인정은 받습니다ㅋㅋㅋ

  • @user-uk2lq6rt3i
    @user-uk2lq6rt3i 13 днів тому +1

    원래는 법적인 분쟁에 대한 정당성과 합리성을 따져야 AI저작권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코인도 기준이 모호하니까 관리가 되지 않고 있습니다.
    제도권으로 빨리 들여야 합니다.
    늦어지면 AI가 통제 되지 못해 활용에 제약이 계속될 뿐이죠.

  • @Lotte-Ronaldo7
    @Lotte-Ronaldo7 12 днів тому +1

    유니 랩장님이 젤 재밌어 ㅋㅋㅋㅋ🤣🤣

  • @eterunazepy
    @eterunazepy 10 днів тому

    시대의 흐름을 역행한다면 도태될뿐입니다. 시대에 맞게 빠르게 받아들이고 발전시켜야됩니다.
    밥그릇싸움으로 거부하게된다면 어느덫 국가 경쟁력은 나락가있죠

  • @WONDER-S
    @WONDER-S 13 днів тому

    가격대비 퀄리티의 차이가 많이 나는 노동 산업에 큰 타격을 주죠. AI의 image 및 동영상 생성역시 이와 같아서 향후 현재의 영화 영상 퀄리티와 같은 백일, 웨딩 홍보영상을 보실 수 있게 될겁니다. ㅋ

  • @user-qt6bo9dj7f
    @user-qt6bo9dj7f 13 днів тому

    19:38 에 기호주의 AI 와 연결주의 AI 둘 다 symbolic AI라고 되어있는데 오타인가요?

  • @sulpark9223
    @sulpark9223 6 днів тому

    2차대전때 전세계 과학자들을 집중시켜 원자폭탄을 만들어 냈듯이, 현재 전세계 자원을 집중해서 AI를 만들게 된다면 그에 걸맞는 무언가가 나오긴 하겠죠. 그 힘을 누가 갖느냐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 @kunholee3853
    @kunholee3853 13 днів тому

    기계 설계나 제조 분야에서 급속하게 발전할 줄 알았는데 또 그쪽은 좀 뜸한 거 같음
    개발 되고 상품까지 나왔는데 너무 비싸서 실무 분야에 까지는 전달이 안 된건지도 모르겠지만

  • @thesmarts8426
    @thesmarts8426 13 днів тому

    5:00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신데, 그후 아마추어 집단은 말도 안되는 포석 즉, 4귀퉁이 33작전으로 집을 만들고 가운데 커다란 집을 만드는 작전으로 알파고를 이겼습니.(켈린 펠린)
    이 사건이 시사하는 바는 AI가 이전의 규칙을 매우 훌륭하게 모방하지만, 여전히 롱테일 리스크가 존재한다입니다.
    '절대'란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단어네요. ㅎㅎ

  • @dongmingim
    @dongmingim 13 днів тому

    나도 AI 시켜줘 😅

  • @user-yq5bk4to7h
    @user-yq5bk4to7h 12 днів тому

    고도로 발달된 AI는 카미키 레이와 구분할 수 없다.

  • @VandalFX
    @VandalFX 13 днів тому

    아 30년 전에 프롤로그 때려치지 말고 계속 파볼걸..

  • @user-db3dj4ju9x
    @user-db3dj4ju9x 11 днів тому

    콜센터는 진짜 없어질 수 있겠네요. 규정집, 메뉴얼, 사례들 학습 시켜 놓으면 잘 응대할 듯. 악성 민원들도 잘 요리할 것 같고 ㅋㅋ

  • @1017YDS
    @1017YDS 13 днів тому +2

    오호

  • @user-uk2lq6rt3i
    @user-uk2lq6rt3i 13 днів тому +1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군요.
    지금 현업에서는 ChatGPT로 코딩보조를 받고 있습니다.
    ChatGPT로 코딩하는 내용이 더 광범위한 스킬을 제공하고 있는데, 다른 툴만 안내하는 군요.

  • @user-zr1ex8hq6c
    @user-zr1ex8hq6c 13 днів тому +3

    9:57 심사위원들 안목이 참... 안습이군요~

  • @danwlfn
    @danwlfn 13 днів тому +1

    Ai가 할수 있는건 틀려도 괜찮은걸 할수 있고 틀리면 안되는건 인간만 할수 있다는 소리네?

    • @minjae92
      @minjae92 13 днів тому

      아직 인간보다 일 못함

  • @user-pg6ni8ps7t
    @user-pg6ni8ps7t 13 днів тому +1

    2등

  • @user-xl1vx3yb2n
    @user-xl1vx3yb2n 13 днів тому +1

    썸네일 미녀가 있어서 성형? 이랬는데 생성형이구나...

  • @Oh_World
    @Oh_World 13 днів тому +2

    썸네일 공유좀;

  • @ppasttar
    @ppasttar 13 днів тому

    글쎄... 요즘 판사들 가해자 감정이입하는거 보면 AI로 빠르게 바꾸는게 훨씬 인권 면에서 발전되지 싶다

    • @ligerchoi1664
      @ligerchoi1664 13 днів тому +2

      ai가 판결한다고해도 정보입력을 사람이 한다면, 상상하는만큼 객관적인 판결이 나올지는 모르겠음.

  • @John_Bae
    @John_Bae 13 днів тому +7

    조영남이 대작 화가로 그림을 그렸는데....
    결국 무죄가 나왔어요..
    대작 화가가 결국 AI 와 같은 개념 아닐까요?

    • @user-ll7wn8gh4v
      @user-ll7wn8gh4v 8 днів тому

      아뇨 완전히 다르게 이해하고 계십니다. 인간과 인간 의 저작물 문제이지 인간이 기계를 사용하여 그림을 그린다.. 시대에 뒤떨어진 말처럼 들리시겠지만 이미 사진이라는 도구가 나왔을때도 그림은 창작의 영역으로 남았습니다. 화가가 사진기를 이용해 그림을 완성해도 그림이라고 지금도 인정받고있습니다. 다만 ai는 인간의 창작물을 학습하여 인용하여 작성합니다. 그것을 패턴화하고 흉내내어 제작되었기 때문에 표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는 하지만 라인만 훔쳐서 생각을 훔쳐서 구도를 훔쳐서 제작되는 그림들도 현시대에 많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표절이라고 부르고 있구요.

    • @John_Bae
      @John_Bae 8 днів тому

      @@user-ll7wn8gh4v 사진작가는 창작 아닌가요?
      AI가 현재에 머물거라 생각하세요?
      AI가 표절이라는 문제를 어케 넘어 설지는 모르지만... 인간은 세로운 세상을 만들 겁니다.
      그 세상이 인간에 이로울 거라는 보장은 없겠죠

  • @gangyuksu_
    @gangyuksu_ 13 днів тому +36

    발전할 때 저작권에 대한 부분이 너무 무시된 부분이 있는 것 같음. 릴스 같은 데서 유행했었던 지브리 풍 그림 그리기 이런 것만 봐도 사실 AI에 무단으로 지브리 작품 집어넣고 돌려서 뽑아낸 거일 텐데.. 지금 AI느 저작권 문제가 너무 심각하게 무시되고 있는 것 같음.

    • @perfectblue9647
      @perfectblue9647 13 днів тому +8

      지브리풍의 그림을 보고 배운 사람의 학습과 구조적으로 어떤 부분이 저작권 문제를 논할만큼 차이가 나냐에 대해 이성적으로 답하기도 힘들기에, 마냥 심각하게 무시되었다 주장하기에도 어느정도 어폐가 있다고 생각해요

    • @user-nv5ml3lt9d
      @user-nv5ml3lt9d 13 днів тому +2

      사실상 현 생성형 AI는 "저작권 엿먹어 ㅋㅋ"하는 중이죠.

    • @gangyuksu_
      @gangyuksu_ 13 днів тому +9

      @@perfectblue9647 제가 말한 건 지브리 작품 무단 업로드에 관한겁니다. 지브리 작품에 대한 정보가 없는 채로 자브리 풍 그림을 그려달라고 AI에게 부탁했다면 제대로 그릴 수 잇었을까요? 사람이 모방하는 것과는 별개로, 애초에 '데이터의 무단 수집'에 대해 말한겁니다.

    • @gangyuksu_
      @gangyuksu_ 13 днів тому

      @@perfectblue9647 원댓글에 설명이 제대로 안된 부분이 있는 것 같아 말씀드립니다. 원댓에 써있는 '릴스 같은 데서 유행했던 지브리 풍 그림 그리기'는 사람이 '그린' 작품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AI로 '만들어낸' 그림에 대한 얘기였습니다. 검색하면 나올 것 같은데, 어벤저스라거나, 존 윅 같은 캐릭터를 AI를 통해 지브리 화풍의 한 컷으로 만들어낸 그림이 있습니다. 제 알고리즘에 자주 뜨기에 정확한 단어 선정에 대한 고려 없이 모두 경험했을 거라 생각하고 쓴 것 같네요.

    • @ab-pz7nt
      @ab-pz7nt 13 днів тому +6

      학습데이터 수집에 관한 저작권 문제에 관해서는 현재로선 저작물의 공정이용에 해당한다고 해석하여 제약없이 수집하여 ai 학습에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에 반발하는 저작권자들의 소송이 계속 제기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학습데이터 수집 이용에 저작권자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해야한다는 입법적 논의도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구요.
      개인적인 견해론 학습데이터에 관해서는 공정이용으로 보아 제약을 두지않고 ai가 생성한 결과물에 대해서만 기존 저작자의 권리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가는게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인간 창작자가 학습할때도 마찬가지로 저작자에게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점에서도 그렇고 저작권이 다른 지식재산권에 비해 과보호되고 있는 현 제도상 보호의 범위가 더 확대된다면 창작의 촉진이라는 저작권법의 근본적인 입법취지가 몰각될 것이라는 우려가 듭니다.

  • @RhanMidnite
    @RhanMidnite 11 днів тому

    연구원님.. 그 남자 모델 주우재님 닮으셨네요?

  • @user-kl2qr9pl4z
    @user-kl2qr9pl4z 13 днів тому +1

    죽기 전에 여친 생긴단 말이죠?

  • @xdrewsfghhhj
    @xdrewsfghhhj 4 дні тому

    일러스트레이터는진짜..없어질듯

  • @user-kh1uu3zu1w
    @user-kh1uu3zu1w 13 днів тому +1

    응?이분...,.
    너프먹은 주우재 ....

  • @Choen_Ki_Ho
    @Choen_Ki_Ho 11 днів тому

    됐고! 의사와 전공의, 레지던트 같은 의료계부터 인공지능 AI 도입하자. 대한 의료 협회의 양아치같은 의료 파업 더 이상 못 봐주겠다. 그리고 나서 군사 무기 무인화도 추진하자.

  • @jupiterjo6914
    @jupiterjo6914 13 днів тому +2

    최근 ETRI 요즘 정말 실력 형편 없어졌음 중소기업 듣보잡 연구원보다도 못한것들 선배들의 노력의 10%만이라도 따라갔으면.. 너무 연구를 안함 창피스럽다.
    과거 ETRI 같았으면 현 생성형AI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을건데 남이 개발한 뼈다귀나 주워모아서 일하고 있으니.. 선배들 얼굴에 먹칠하지말고 각성좀합시다.

  • @dorgoo1025
    @dorgoo1025 5 днів тому

    당연히 예술이라 볼수 있다고 본다. 현대 예술도 이름값 작가값 브랜드값으로 도화지에 점하나찍고 수십억 가치가 인정되는 세상이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얼마짜리로 받아들이느냐 그게 바로 예술이기 때문에 AI로 만들었다 해도 받아들이는 사람이 예술이라 느끼면 뭐든지 무엇이든지 예술이 될 수 있다.

  • @user-pi8ys1it9v
    @user-pi8ys1it9v 13 днів тому

    차라리 법률 해석을 AI에게 맏기는게 조금더 공평하지 않을까?

    • @user-uh2fs4ui2z
      @user-uh2fs4ui2z 5 днів тому

      그 해석 알고리즘 짜는것도 사람.

  • @user-vh2cp5os6p
    @user-vh2cp5os6p 6 днів тому

    요즘 유튜버들은 조금 잘 나간다 싶으면 습관적으로 반말을 섞어쓴다. 듣기가 거북하다. 전문가들을 불러놓고 수시로 혀가 짧아지면 게스트는 그 자리에서 반발을 할 수는 없고...얼마나 불쾌하고 찝찝할까 싶다.

  • @user-lu8hb8bc8j
    @user-lu8hb8bc8j 13 днів тому

    주식으로 돈 어캐 잃는거임? 이해가 안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