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와사상] 이이 l 사단칠정 논쟁, 기발이승일도설, 이통기국, 이기지묘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0:33 이황에 대한 기대승의 문제제기(사단칠정 논쟁) 복습
4:05 이이 기발이승일도설
5:06 이이 이통기국
6:53 이이 이기지묘
8:00 이이 칠정포사단
9:06 정리 및 이황과 이이 비교
안녕하세요. 손쉬운 윤리 손쌤입니다.
본 채널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윤리 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개설되었습니다.
현재는 손쌤이 학교 수업, 교과서와 단행본 집필, 교과 연구회 활동 등을 병행하며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랍니다.
채널을 찾아 주시고 댓글 달아주신 분들 감사드리며
답글을 달거나 피드백 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더 공부하고 내공을 쌓아서 돌아오겠습니다.
오늘도 자기 성장을 위해 열공하시는 여러분 응원합니다~!
제가 댓글을 하나하나 달지는 못했지만.. 진심으로 강의력 직관적이고 미쳤어요.. 보통 추상적으로 넘어가는부분도 잡아주시고 진심으로 메가스터디 강사로도 손색이 없을것같아요 윤리싫어하는친구들도 윤리에 흥미를 가지게 할정도에요 ㅠㅠ
어느정도냐면 진심으로 학교에서 들을때는 지루하고 옛날사람들 참 할짓없네 라고 생각했는데 선생님 영상을 보고나니 그들 모두 대단한 사고를 가진 철학자들임을 역시 느꼈고 저 또한 윤리라는 과목이 우리에게 주는 진리? 라는걸 알 것 같아요 교육부가 왜 넣었는지
힘이되는 답글 너무 너무 너무 감사드려요. 윤리학, 철학을 공부하다보면 학자들이 얼마나 인간과 세상에 대해 고민했는지 알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자신과 사회의 모습을 성찰할 수 있죠. 학생들이 단순히 입시를 위한 암기식 공부가 아니라, 그 속에서 삶에 대한 작은 배움이 있었으면 하는게 저의 목표인데...사실 영상이나 실제 수업에서는 잘 전달되고 있나 고민이 많아요. 그런데 C H Lee 님 글을 보고 큰 힘을 얻었어요. ㅠ_ㅠ 저는 윤리와 철학을 너무 사랑하고, 도덕윤리 교사라서 너무 행복하다고 항상 생각한답니다. 더 열심히 공부하고 연구해서 좋은 내용 전달하도록 할게요~~~ ^_^
영상 잘 보고있습니다. 혹시 수양편은 나왔을까??
두가지만 질문드리겠습니다!
1. 칠정포사단은 중국에서는 개념이 없었고 기대승이 처음 언급한 내용인가요?
2. 기질지성포본연지성은 이이가 언급했다고 알고 있는데, 이거도 기대승이 언급했었나요? 아니면 이이가 처음 제시한 개념인가요?
올라타는 것(승)이 무슨 뜻인가요? (어떤 상태인 것인가요?)
따르는(수) 것과 차이가 무엇인지요?
선생님 수업 정말 최고예요
혹시 수양편은 언제 올리시나요? 다음 주에 시험이라서요 ㅠㅠ
진짜 이해 잘가요 감사합니다 🙏🏻
선생님 !! 수양편이랑 정약용은 언제 업로드되나용 ㅠㅠㅠ!! 너무 좋아요 정말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철학vs철학쪽에서 강의관련 부분 봤는데 설명을 참 잘하시네요
잘 듣고 갑니다
답글 감사해요~ ^_^
선생님! 강의 너무 잘들었습니다 죄송하지만 이해가 쏙쏙 되는 강의라 더 듣고 공부하고 싶은데 이이 이황 수양편은 언제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ㅠㅠ 바쁘실텐데 항상 감사합니다!!
답글 감사해요~이번 주말에 정약용, 이황이이 수양편 업로드가 목표입니다. ^_^
선생님 수양론과 정약용은 없나요?..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
잘봤습니다 ㅜㅜ!!
기가 발하면 이가 탄다는 뜻이 뭔가요? 따라간다는거랑 같은 표현인가요?
그러면 기대승이란 학자도 이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라는 주장에 동의하나요?
이기론에서 리기의 특성, 리기의 관계가 기초가 되어야 모든 논의가 이해되는데요~리기의 관계에 따르면 ‘리기지묘’라고 해서 리와 기는 떨어질 수 없고 만물이나 현상에서 항상 같이 있죠. 우리 감정이 표출되 나올때도 그 안에는 리와 기가 함께 있는거에요. 그런데 어떻게 함께 나오느냐가 사단칠정 논쟁의 핵심인데요. 리기의 특성에 따르면 리는 움직일수 없어요. 그래서 이이는 움직일 수 있는 기 위에 움직일 수 없는 리가 올라타서 함께 나온다는 거에요. 이해되셨나요?
예를 들어 움직일 수 없는 돌멩이(?)가 차에 올라타면 어디든 갈 수 있죠? ^_^ 또 다른 예로 갓난 아기와 엄마는 항상 붙어 있어야 해요. 그런데 아기는 움직일 수 없어요. 그래서 움직일 수 있는 엄마가 아기를 업고 외출을 하죠. 엄마가 움직이는 곳으로 아기도 같이 갈 수밖에 없어요. 여기서 아기는 ‘리’, 엄마는 ‘기’라고 할 수 있어요.
이처럼 리기의 관계, 특성을 생각하면 사단이든 칠정이든, 기가 발하면(움직이면) 리가 그 위에 올라타서 나온다는 것입니다~(핵심 정리: 리기가 함께 나와야 하는데, 리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기 위에 올라타서 함께 나온다~~~)
이통기국은 성리학의 이일분수 ‘(청탁수박의 차이가 있는 기 때문에 겉으로는 만물이 달라보이지만) 하나의 리가 만물에 나뉘어 들어가 있다.’ (이 속에는 리는 만물에 공통적으로 들어있어 보편성을 지니고, 기는 유형유위해 청탁수박의 차이가 있기에 존재마다 다르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어요.)를 이이가 자신만의 용어로 표현한 거에요. 이통기국=이일분수. 따라서 기대승뿐만 아니라 성리학자들은 다 동의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