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 세계를 눈으로 보는 방법! 무려 122억원짜리 전자현미경의 경이로운 성능을 보여드립니다. | 과학쿠키 다큐 단편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3 жов 2022
  • 과학쿠키는 여러분의 후원을 통해 성장합니다.
    과학쿠키를 후원해주시는 가장 좋은 방법, 멤버쉽 구독! ▼
    / @snceckie
    구글, 카카오로 후원하기!▶toon.at/donate/sciencecookies_
    =============================================
    #KBSI #전자현미경 #양자역학
    Shooting Info
    - SONY A7C, A6600 with SONY LENS
    - SONY FDR-X3000 Action CAM
    - IPhone12 PRO
    Edit Software Info
    - Adobe Premiere Pro CC
    - Adobe Aftereffect CC

КОМЕНТАРІ • 717

  • @user-vd8qc4ih3w
    @user-vd8qc4ih3w Рік тому +239

    앉아서 그냥 인터뷰할 때에는 리액션으로 말 끊지 않고 들을 수 있으면 더 집중이 잘 될 것 같아요

    • @acidholic
      @acidholic Рік тому +43

      맞아요..리액션도 좋지만 좀 적당히 했으면...많이 거슬림..

    • @obeomkwon5192
      @obeomkwon5192 Рік тому +4

      박사님도 감탄한 리액션 장인

    • @sangbok5963
      @sangbok5963 4 місяці тому +7

      전문적 지식이 부족한 저는 ..오히려 약간 잘못 해석될 수 있는 의미를 쿠키님께서 즉시 풀어서 화답하시니 명확히 잘 이해가 됩니다.

    • @peanutbutter9859
      @peanutbutter9859 3 місяці тому +7

      저도 좋은데용
      거슬리면 다른 곳에서 설명한 영상 보던지 직접 현장 견학 가서 보시면 될듯요 ㅋㅋ 이 사람 덕분에 집에서 편하게 볼 수 있으면서
      유튜버 고유의 리액션 스타일이고 이런 리액션들이 말하는 사람 더 신나서 설명할 수 있게도 해주고 현장에서 얼마나 놀라운지 현장감도 느끼게 해주는데
      아니면 자막만 보셔도 될듯요
      이렇게 고생해서 일정 잡고 가서 찍고 편집하고 영상 올리는 수고를 하는데
      유튜브의 성장을 위해 좋은 제안을 하는 것처럼 조심스레 부탁거나 의견을 말하는 것까진 좋지만 '거슬리네' '듣기 싫네' 이건 좀 아닌 듯... 듣기 싫으면 보지 말든지.... 왜 애써 고생해 만든 사람 기운만 떨어지게 하는지........

    • @jamiehuh301
      @jamiehuh301 3 місяці тому +20

      연구원분들 설명하는데 맥을 너무 끊어먹어서 한마디 하려고 왔더니 이미 댓글이 있네요. 올바른 지적이며 진행한 유튜버는 반드시 이 습관을 고쳐야 합니다.

  • @hanseulkim6855
    @hanseulkim6855 Рік тому +35

    우와,,,,과학쿠키님 설명이 너무 쏙쏙 잘 들어와요!! 한국기초과학지원 연구원분들의 설명도 너무 심플하고 장비의 해상도도 엄청 높네요!!! 늘 좋은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jasonje125
    @jasonje125 Рік тому +5

    세상에서 가장 유용한 채널이에요. 늘 감사드립니다.

  • @zsf5
    @zsf5 Рік тому +29

    이번 다큐는 정말 감탄밖에 안나오네요 진짜 너무 신기하다

  • @XL883L
    @XL883L Рік тому +22

    연구원님들 너무 멋잇어요!! 과학쿠키님도 멋잇고~~ 우리나라 기초과학 계속 승승장구 하시길~!!

  • @Uuong
    @Uuong Рік тому +8

    우와.............. 진짜 너무 신기해요ㅠㅠ 늘 호기심을 일으키는 재밌는 과학 컨텐츠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 @Noteklang
    @Noteklang Рік тому +7

    와…😮오늘 영상 너무 흥미로워요

  • @masel6655
    @masel6655 Рік тому +137

    연구원분이 리액션을 조금 부담스러워 하시는 거 같네요 ㅎㅎㅎ

    • @bilb9
      @bilb9 Рік тому +38

      저도 부담스러워요 ㅎㅎ

    • @ajeongkim7006
      @ajeongkim7006 Рік тому +4

      나도 좀 부담 스러움 ㅋㅋㅋ 작위적

    • @user-fm4xx1dy1w
      @user-fm4xx1dy1w Рік тому

      까라면 까야지 어떻게.. 하고싶어서 하나.. ㅋㅋ

  • @burninglime9960
    @burninglime9960 Рік тому +83

    저렇게 작은걸 볼 수 있는 장비를 설계, 제작한다는 것과 저런 장비까지 써야 보이는 미세가공을 한다는게 보면 볼수록 아득하다

    • @user-jm4qh4jc3i
      @user-jm4qh4jc3i 9 місяців тому +2

      어차피 저런 측정 관측장비들은 한국놈들은 못만듬ㅋㅋㅋㅋㅋ전부 일본 독일제등임ㅋㅋㅋㅋㅋㅋ

    • @-955.9
      @-955.9 7 місяців тому +1

      @@user-jm4qh4jc3i ? 안물

    • @user-adgsfh0408
      @user-adgsfh0408 2 місяці тому

      @@user-jm4qh4jc3i ? 네덜란드 제인데 뭔소리

  • @Sgsgkh5798q
    @Sgsgkh5798q Рік тому +5

    대박 너무 흥미로워요 ㅠㅜ

  • @user-dl9qv9kt1t
    @user-dl9qv9kt1t Рік тому

    과학쿠키덕분에 소중한 정보를 볼수있어서 감사합니다 ^^♡

  • @zerojin2
    @zerojin2 Рік тому +1

    30:42 시간을 좀 더 들여서 정밀하게끔 성분분석 돌리면 텅스텐이랑은 원자번호 1가 다른 탄탈럼Nitride barrier layer로 판명될 가능성은 어느정도일려나요? 아, 물론 이 코멘트는 성분분석 방식을 잘 몰라서 찔러보는 투로 하는것고요, TaN 배리어는 인텔에서 특허도 걸어놨기에 TSMC가 WN으로 우회하는것일수도있고 라이센스비 내고 쓸수도있고 뭐 그렇습니다..

  • @puba
    @puba Рік тому +34

    우와 멋지당...원자를 눈으로 보고 실시간으로 깍여나가는? 튕겨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멋지네요 ㄷㄷ 그냥 완전히 분석을 원자단위로 분석을 해버려네..ㄷㄷ

  • @manhokim347
    @manhokim347 Рік тому +16

    와 원자를 직접 보게 되다니... 진짜 놀랍습니다 대박..

  • @henryp9962
    @henryp9962 Рік тому

    이번영상 어마어마하게 재밌습니다!~~

  • @mrpark5272
    @mrpark5272 Рік тому +7

    오와 옹스트롱을 눈으로 편히 볼수있다니 너무 멋있당♡

  • @Net77
    @Net77 Рік тому +56

    연구원분 엄청 친절하게 자세히 설명해주시네요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Рік тому +6

      마한날 온갖 시편 바쁘게 분석하느라 지치실텐데 저리 호응해주니 기부니가 좋으신거죠ㅎㅎ

  • @93O516
    @93O516 Рік тому +10

    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 댓글 대부분 비슷한 생각이었네 내용은 정말 좋은데 인터뷰어로서는 목소리가 너무 안어울리시는거 같아요

  • @leelmoffice2559
    @leelmoffice2559 Рік тому

    정말 유니크한 채널 입니다. 잘 보았습니다.

  • @user-xq5et2di1d
    @user-xq5et2di1d Рік тому +3

    와 설명이 너무 쏙쏙

  • @user-qu3nj8wb7u
    @user-qu3nj8wb7u Рік тому +1

    마이크로 나노의 세계는 언제나 흥미롭네요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 @muhyang8389
    @muhyang8389 Рік тому +78

    김상욱 교수님이 '세상의 모든 것들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했는데, 금이라는 물질을 구성하는 '작은 블록'이 똑같은 모습으로 빈틈 없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보니까 정말 실감이 납니다. 더 신비로운 것은 저런 배열들이 빛과 만나서 우리의 감각기관을 거쳐 두뇌에서 그 이미지가 만들어지면 원자들의 집합에서는 보여지지 않는 형형색색의 아름다움을 지닌 다채로운 세계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 @emotionallegacy
      @emotionallegacy Рік тому +1

      그런것들이 어떻게 만들어진걸까요
      신기합니다

    • @TV-pz5vn
      @TV-pz5vn Рік тому +1

      우린 영원하다

    • @user-bv4ev8ky2n
      @user-bv4ev8ky2n Рік тому +1

      @풀🌿 그 절대자가 인간이 바라는 절대자는 절대 아닐듯

    • @user-vd1gi1gb7p
      @user-vd1gi1gb7p Рік тому

      @풀🌿 정신병은 치료될 수 있답니다 ^^

    • @daehakgaja
      @daehakgaja Рік тому +1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가 먼저 한 말입니다. a(부정)+tom(쪼개지다)=atom(원자)도 이분이 만든 말입니다.

  • @user-bk2rv7fu1k
    @user-bk2rv7fu1k Рік тому +15

    Mono cs-TEM에 EELS 분석도 보여주셨으면 더 좋았을텐데 영상너무 좋네요 박사님들도 설명 아주 간단하게 해주시고 직접 실무로 해도 쉽게 설명하기 어렵던데 실제로는 더 어렵구요 ㅎㅎ

  • @Jeleetube
    @Jeleetube Рік тому +1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근데~
    "와~"
    빈번한 감탄사가 영상 몰입감을 방해해여~
    다음 영상작품 만들 때 참고하세여~^^

  • @saturncool3753
    @saturncool3753 Рік тому

    이런 좋은 정보를 제공헤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과학쿠키님!! ^ㅅ^/

  • @user-oj7rn9gu7i
    @user-oj7rn9gu7i Рік тому

    유익한 정보 고마워요 ~^^

  • @embeddedTV2
    @embeddedTV2 8 місяців тому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 @user-rw5el2cy6e
    @user-rw5el2cy6e Рік тому +1

    쉽게 정리하자면 각 전자현미경이 관찰할 수 있는 시료 종류들이
    Cryo-EM system
    단백질 3차 구조물을 관찰
    HVEM
    광물 종류의 물질 관찰
    Bio-HVEM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을 관찰
    Mono Cs STEM
    반도체의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관찰 및 분석
    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user-vy9eh6zf7x
    @user-vy9eh6zf7x Рік тому +85

    이런걸 방안에서 누워서 공짜로본다는것도 레전드다 ㅋㅋ 저도 쿠키님처럼 보면서 우와 우와 햇습니다 정말 아름답네요,, ㅋㅋ 항상 감사히잘보고있습니다!!! 이런좋은영상이 조회수가 잘 나와야 쿠키님도 더 더 열정이불타오를텐데 제가 10번 20번 볼게요 주위사람들한테도 공유하고있습니다 ㅋㅋ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Рік тому +2

      이걸 사람들이 알아줬으면ㅠㅠ
      저거 시편만 만드는데 최소 수 십만원에 수 시간이 드는데 사람들이 모르니 리액션 시끄럽다고 난리여ㅜㅜ

    • @user-rw5el2cy6e
      @user-rw5el2cy6e Рік тому

      저 장비의 진가를 못알아보는 사람은 알 자격이 없다

    • @user-ux4mi2og4r
      @user-ux4mi2og4r Рік тому +1

      @@user-rw5el2cy6e 진가좀 알아보셨나요? 어떤가요?

  • @user-ve1rl7ig8s
    @user-ve1rl7ig8s Рік тому +14

    이건 진짜 ebs에서 수신료의 가치로 만들법한 내용이다 ㄷㄷ 국가지원 받아 마땅함

  • @Kenny-lf4qt
    @Kenny-lf4qt Рік тому

    귀한 영상 감사합니다.

  • @user-ux7qq7kq4t
    @user-ux7qq7kq4t Рік тому +4

    우리는 기초가 아직 멀었다 타국에서 만들어 놓은 것을 활용할 뿐이다 대단한 기초적인 저런 장비를 만든 국가가 대단한 것임 대한민국 너무 자랑하지 말자 저런 장비가 없으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결국은 언젠가는 우리도 직접 장비 만들어 야함 노광장비 포토 레지스터 등등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Рік тому

    방송내내
    흥미롭고 재미있고
    신기합니다~~~~♡♡♡♡

  • @user-wi8hf5lb7q
    @user-wi8hf5lb7q Рік тому +1

    과학쿠기 아니면 이런걸 어떻게 볼수있겠냐고..
    옛날 어린시절 과학에 대한 가슴떨림이 다시 가슴속에서 피어올라오는거 같아요..
    추억돋네요..

  • @hepariful
    @hepariful Рік тому +3

    들으시오! 그 분은 구름과 함께 오고 계시니! 그 분의 영광에 모든 눈이 멀 것이며 우레와 같은 그 분의 목소리에 모든 귀 또한 멀지어다!

  • @k1mdoyun
    @k1mdoyun Рік тому

    감마선(혹은 그 이상의 진동수를 가진?) 계열의 전자기파는 에너지가 너무 강해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인가요?

  • @user-ol3bf7em7r
    @user-ol3bf7em7r Рік тому +4

    원자를 볼 수 있는게 정말 신기해요~

  • @geunhoj05
    @geunhoj05 Рік тому +5

    tsmc사의 애플 실리콘을 볼 수 있을줄이야 ㄷㄷ
    이번 영상은 정말 신기했어요!!!

  • @kevinlee4241
    @kevinlee4241 Рік тому

    역시 과학쿠키!!! 와우~~~!!!

  • @binhans1633
    @binhans1633 Рік тому +2

    반도체 TEM 엔지니어로써 각 소자별 도형만 보시면서 공부하시는 분들 안타까웠는데 직접 이미지 보시면 도움 많이 됩니다 ㅎㅎ

  • @Hyuchan1002
    @Hyuchan1002 Рік тому

    여러가지 합금들의 상에따른 결정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Рік тому +66

    박사님 리액션 활발히 하니까 막막 보여주신당ㅋㅋㅋㅋ 박사님도 얼마나 신나셨을까ㅎㅎ

  • @xenovize
    @xenovize Рік тому +2

    맨날 보는거라 이렇게까지 놀라운일인가 했는데.... 놀라운거였군요!

    • @user-gw3gb5yg4p
      @user-gw3gb5yg4p Рік тому

      연구원 이신가요?
      정말 대단들 하십니다.

  • @user-zy3nt6uu9t
    @user-zy3nt6uu9t Рік тому +5

    점점 더 나를 흥분하게 하는 미시
    세계

  • @hkbayarea365
    @hkbayarea365 Рік тому +1

    저 원자 첨 봤어요. 과학시간에 모형으로만 보고 그런가보다 했는데. 실시간으로 보니 참 반갑네요. 쿠키님 감사합니다.

  • @AlinaAndMe
    @AlinaAndMe 3 місяці тому +5

    목소리도 양자 목소리ㄷㄷ 보기전까진 여자였는데 관찰하니 남자

  • @ssh0428
    @ssh0428 Рік тому +9

    리액션 때문에 인터뷰에 집중이 잘 안돼요 ㅠ

  • @yu._.snowolf14
    @yu._.snowolf14 Рік тому +7

    저도 KBSI 견학해서 세 번째의 반도체를 본 현미경을 봤었는데, 이번 영상에서는 좀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어서 신기하네요.

  • @samsungcardowner
    @samsungcardowner Рік тому

    글씨와 그림 어떤 장비오 그린거죠? 궁금해요

  • @Brian-gw6gd
    @Brian-gw6gd Рік тому +1

    언제나 고급진 양질의 내용 감사합니다.

  • @baikalkim5324
    @baikalkim5324 Рік тому +7

    가급적 추입세 넣지 맙시다!
    질문만 하고!
    설명이 잘 안들립니다!

  • @billionaire2511
    @billionaire2511 Рік тому +74

    리액션으로 하나로 우주의 경이로움과 그 비밀을 연구하는 인간의 열정을 존중하는것까지 제대로 표현하신듯 합니다

    • @sangdari2952
      @sangdari2952 Рік тому +27

      감탄사가 지나쳐서 예능프로인줄...

    • @billionaire2511
      @billionaire2511 Рік тому +3

      @@sangdari2952 ㅋㅋㅋㅋㅋ ㅇㅈ 사람 기분좋게 하는법을 아시는분 인간관계의 핵심스킬임 칭찬과 리액션

    • @user-nx7nl7np8d
      @user-nx7nl7np8d Рік тому +11

      @@billionaire2511 "지나쳐서"

    • @user-nx7nl7np8d
      @user-nx7nl7np8d Рік тому +21

      연구원 분 설명보다 MC 호들갑 소리가 더 커서 부담스러워여 (신음 수준 ㄹㅇ)

    • @cubing_song
      @cubing_song Рік тому +10

      카메라 촬영하시는분 말소리 빼고 영상 다시 찍어주셨우면.....

  • @user-ethan_kay
    @user-ethan_kay Рік тому +7

    인터뷰 중 대답과 추임새....

  • @user-nl5of1vz6v
    @user-nl5of1vz6v Рік тому +1

    화학을 이론으로만 배웠지 이렇게 볼 수 있어서 너머 감사합니다

  • @isaaclee6719
    @isaaclee6719 Рік тому +1

    1.굉장히 흥미롭네!
    2. 이 전자현미경의 원리를 아는게 도움이 많이되겠네요. 두고두고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2.10.17(월)

  • @user-jr5tu7qd6w
    @user-jr5tu7qd6w Рік тому +3

    진짜 경이롭다 원자를 실제로 보다니..ㄷㄷ

  • @ST-zm7iy
    @ST-zm7iy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영상 초반에 나온 전시물 이름이 혹시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yt_white_banana
    @yt_white_banana Рік тому +7

    와 저걸 보는거도 대단하지만 만드는게 진짜 미쳤네

  • @user-nx7nl7np8d
    @user-nx7nl7np8d Рік тому +7

    와 근데 반도체 레전드긴 하다 진짜 너무 작아서 너무 웅장하다...

  • @gotochitos89
    @gotochitos89 Рік тому +2

    문제발생 - 해결 - 극복 - 또 다른 문제발생 - 해결 - 극복 - 또 다른 문제발생...... 존경합니다. 과학자님들!

    • @jj69674
      @jj69674 Рік тому

      이게 다 우리 문과가 있어서 할 수 있는 일들 입니다.

  • @titan11439637
    @titan11439637 Місяць тому

    늦게나마 잘봤습니당~^^*

  • @onbba
    @onbba Рік тому +5

    와 초대박. 아직 전자를 볼수는 없는거겠죠? 그리고 원자는 텅 비어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전자현미경으로 볼땐 꽉차 있는거 같네요?

    • @user-dj5db4ws8v
      @user-dj5db4ws8v Рік тому +6

      투과전자현미경은 x레이를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할 겁니다.
      전자빔이 원자를 뚫고 지나가느냐, 빈공간을 지나가느냐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지는거죠.
      시료의 두께가 수십nm 단위로 얇아야 하는 이유는 전자빔이 시료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저 이미지의 원자 하나는 말하자면 실제 원자 하나가 아니라 시료 두께만큼 얇게 겹쳐진 원자층을
      엑스레이처럼 한 화면에 겹쳐 표현한다고 보면 될겁니다

  • @wonhojang1213
    @wonhojang1213 Рік тому +6

    좋은 내용 전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진행자 분인가요?
    너무 하이음이라서 에코도 많이 들어가고 그런지 내용 전달에 지장이 많은것 같아요.
    울림 소리 다 제거하고 들으니 좀 괜찮은 것 같아요.

  • @user-hl9tu4rv2d
    @user-hl9tu4rv2d Рік тому +9

    요즘 시대에 사는 것이 행복하게 느껴질 정도로 과학이 발전했네요. 어릴 때부터 우주나 원자 및 정신세계에 대해 거의 모든 의문을 풀어주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이 행복합니다. 이런 분들 덕분에 상상에서나 가능했던 일들이 현실이 되네요.

  • @user-np7gt7yg3p
    @user-np7gt7yg3p Рік тому +1

    어릴적 물리 화학 같은걸 배울땐 단지 개념도? 로만 보았던 원자. 시간이 흐르고 기술이 발전하니 움직이는 원자를 누구나 볼 수 있는 유튜브에서 다 보게 되는구나... 경이롭다.

  • @HOLY_Tube
    @HOLY_Tube Рік тому

    우와! 오~ 와!!! 신기해요!

  • @namrnam5413
    @namrnam5413 Рік тому +3

    유승조 박사님 장비는 이녀석, 샘플은 저녀석이라거 부르시네요ㅋㅋㅋㅋ 연구하는사람들 특인가 저도 이친구 라고 불렀는데

  • @jay9090
    @jay9090 Рік тому +1

    너무 신기하네요. 문과 질문 드립니다
    1.. 원자가 보이기 전에 분자구조가 보여야 하는거 아닌가요?
    2. 원자나 분자 하나를 3d로 구현은 힘든건가요?(전자구름이란게 있던뎅)

    • @hyeong-junkoh2941
      @hyeong-junkoh2941 Рік тому +1

      분자가 결정구조로 존재한다면 볼 수 있습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결정내에 격자를 보기 용이 하지 분자처럼 구조가 불규칙할 경우 보기 매우 어렵습니다. 전자들은 원자핵에의해 산란되어 보기 때문에 전자구름을 직접적으로 이미징할 수 없습니다. 전자구름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라고 하며 해당 원자들의 전자구름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유추가능합다

    • @hyeong-junkoh2941
      @hyeong-junkoh2941 Рік тому +2

      원자나 분자를 3d로 보기 어렵지만 그것보다 큰 dna구조들은 실제로 3d로 보고 있습니다. 분자들은 3d로 특정 조간에거 가능하다는 논문들도 나오곤 합니다.

  • @user-br3kg4xl8h
    @user-br3kg4xl8h Рік тому +1

    엄청나네요. 인간은 정말 대단하다.~~~

  • @bboyzz21
    @bboyzz21 Рік тому

    저 모습을 더욱 고화질로 볼수있게 어마어마한 초고화질 디스플레이와 현미경과의 조합도 보고싶네요 ㅜㅜ

  • @user-kv4hp8tw4u
    @user-kv4hp8tw4u Рік тому

    대에박 쿠키님~~와 와 와
    원자가 보이는 최청단 장비를 볼 수 있다니요
    대단한 영상
    대단한 쿠키님
    감사합니다.

  • @jowowjo
    @jowowjo Рік тому +1

    와.. 신기합니다

  • @user-io6jd6zx7r
    @user-io6jd6zx7r Рік тому +1

    진짜 멋지다...ㅠㅠ 세금 모아서 1대 더 사드리고싶당ㅋㅋ

  • @bakasary
    @bakasary Рік тому

    전자 현미경을 그냥 라이브로 보네! 진짜 발전 많이 했네요!

  • @user-ty5hp1ys3l
    @user-ty5hp1ys3l Рік тому

    애플실리콘을 볼수 있어서 좋긴 한데 공개해도 괜찮은지 문제는 없나요? 혹시나 해서요~ 아무튼 인간의 능력은 어디까지 인가 또한번 생각하게 되네요.

  • @user-zr2lt8ih5w
    @user-zr2lt8ih5w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PIGeon0515
    @PIGeon0515 Рік тому

    첨단기술의 끝에 서 있는 과학은 자연의 신비로움과는 다른 방면으로 참 경이로운 것 같아요, 또 천문학을 배우면서 우리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거대한 세상의 아름다움만 보다가 반대로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작은 세상을 보니 새로운 재미가 있네요

  • @user-tj7ht7sp3n
    @user-tj7ht7sp3n 4 місяці тому +1

    진자 전자현미경은 가정에 하나씩 곡 구비해놓으면 쓸데가 많음. 나도 하나 사서 집에 달아놨는데 고양이랑 개들이 너무 잘 가지고 놀아서 흐뭇함.

  • @lattetv6138
    @lattetv6138 Рік тому

    뜬금없지만 내용이 제가 관심갖고 이해하기에는 점점 저 멀리 떠나가네요ㅠㅠ

  • @user-cg9bn9bz3o
    @user-cg9bn9bz3o Рік тому +7

    와 진짜 너무 신기한데 뭐가 신기한건지 잘 모르겠어ㅠㅠ 좀 알고싶당ㅠ

  • @GENESIS_ETH
    @GENESIS_ETH Рік тому +8

    신음소리좀 내지마세요. 놀랄거면 속으로 놀라던가

  • @user-gt7fo6mv6i
    @user-gt7fo6mv6i 2 місяці тому +7

    같은 성적으로 의사되서 공학도가 만든 레이져기계사서 피부에 레이져 쏘며 돈 잘번다고 자랑하는 것들에게 자괴감을 느끼지 마세요.. 국가발전을 위해 연구원이 되어주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 @fffff-mx8hp
      @fffff-mx8hp 18 днів тому

      그 논리면 의사들도 국민의 건강을 위해 된거냐

  • @user-no9sd3lt8r
    @user-no9sd3lt8r Рік тому

    우와 공중파 다큐인줄 알았어요.... 퀄리티 대박이당

  • @user-jp3de2mu5z
    @user-jp3de2mu5z Рік тому +1

    제가 초창기에 구독한 여러 채널중 쿠키님만 유일하게 제자리입니다.(무례하려는게 아닙니다ㅠ) 쿠키님을 알게된게 과학사 시리즈 때문입니다.
    과학사 시리즈 지금도 잘 만들었지만.. 좀 더 내용 보충해서 시리즈 물로 만들어 보면 엄청날 거 같은데 안될까요..?

  • @user-pipeshgun
    @user-pipeshgun Рік тому +1

    진짜 지렸다는말밖에 안 나온다...

  • @user-eq2po3gu7r
    @user-eq2po3gu7r Рік тому

    나도 보면서 "우와~~~~" 이말밖에 안나오네요 ㅎㅎ

  • @user-uu2sb6um5n
    @user-uu2sb6um5n Рік тому +13

    설명해주셨던 과학자분들도 참 친절했지만 과학쿠키님의 리액션이 돋보이는 영상이었던거 같습니다. ㅎㅎㅎ

  • @user-xg6uk5bo1y
    @user-xg6uk5bo1y Рік тому +1

    대단하네요. 옹스트롱 철이 악력으로 철이 접합 할수 있는 간극의 단위죠..

  • @soolee4927
    @soolee4927 9 місяців тому

    떨어져 나간 원자는 어떻게 되나요? 금의 속성을 갖나요?

  • @sun2
    @sun2 Рік тому +1

    와우!갖고싶어요.현미경 ㅎㅎㅎ 😆 겁나게 비싸다.

  • @katalk_7788HJ
    @katalk_7788HJ Рік тому

    아~ 완벽히 이해했어!

  • @jjpapa1689
    @jjpapa1689 Рік тому

    정말 대단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Edwdcho
    @Edwdcho 2 місяці тому

    시간이 지나 다시 봐도 감동은 똑같네요.
    이 정도면 사람이 신보다 위대한 건 아닌지.... ㅎㅎㅎㅎㅎㅎㅎ
    저 장면을 사람 눈으로 볼 수 있다는 게 믿기지 않습니다.

  • @archive-kpop
    @archive-kpop Рік тому +4

    창조주 존재 인정합니다

  • @junohkim9592
    @junohkim9592 Рік тому +2

    전부다 JEOL꺼네요ㅠ 우리나라도 이러한 기초과학장비에 대한 투자를 더 했으면 ㅠ

  • @boyle_blaine2164
    @boyle_blaine2164 Рік тому +3

    내가 최근 봤던거 중에 제일 신기하다

  • @uandikk
    @uandikk Рік тому

    SEM, TEM 은 주로 써봐서 아는데 HVEM 여기서 첨보는군요, 원자의 배열까지 볼 수 있다니 대단하네요. 쉽게 설명하면 모두 물체의 표면을 볼 수 있는데, sem은 분자들의 겉표면 굴곡의 모형을 볼 수 있는것이고, tem은 분자들의 배열모형을 볼수 있으며, hvem은 원자들의 배열모형을 볼 수 있는 장비로 이해하면 되겠네요.

    • @Jinjin535
      @Jinjin535 Рік тому +1

      영상에 나오는 HVEM도 TEM에 속한다고 볼 수 있죠. 분해능에 차이가 있어서 그렇지

  • @soey99
    @soey99 Рік тому +210

    연구원 분들 목소리에 비해 리액션 볼륨이 큽니다. 과하니 좀 줄여주세요.

    • @Ryul-95
      @Ryul-95 Рік тому +18

      앜ㅋㅋ저도 시끄러워서 영상 돌릴려다가 내용이 너무 재밌어보여서 그냥 다 봤네요

    • @user-yd9jp6rg6z
      @user-yd9jp6rg6z Рік тому +18

      볼륨 끄고봄 너무시끄러워서

    • @pppmmm1122
      @pppmmm1122 Рік тому +12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니 그냥 감안하고 봅니다
      컨텐츠가 좋잖아요

    • @user-vv6yj5tk2t
      @user-vv6yj5tk2t Рік тому +14

      진짜 개시끄러움

    • @square_0724
      @square_0724 Рік тому +3

      얼마나 놀랐겠어요 이해합니당

  • @hee-dongryu6134
    @hee-dongryu6134 Рік тому

    우와... 소름!!!!!!!!!!! 오랜만에 이런 소름이 돋아 보네요.

  • @user-wp1vt1rf8g
    @user-wp1vt1rf8g Рік тому

    돈주고 봐도 아깝지않는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