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아보기 17. 한국전쟁의 빛과 그림자 (6.25전쟁의 네 가지 그늘, 장진호 전투)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6 чер 2024
  • 한국전쟁(6.25전쟁의 네 가지 그늘, 장진호 전투) / 강혜영의 친절한 역사이야기 17
    [Chapters]
    00:00 하이라이트
    00:42 한국전쟁의 네 가지 그늘
    33:35 장진호 전투
    [오프라인 강연 시청 안내]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KBC인재경영연구소 전용 강연장
    아래 주소를 참고하세요^^
    #한국전쟁 #6.25전쟁 #장진호전투 ##일상의인문학 #역사강의 #인문학특강 #강혜영한국사 #흥남철수작전 #메러디스빅토리호 #이념전쟁 #이산가족 #노근리사건 #포화속으로 #태극기휘날리며 #고지전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 @kbcthink
    * 강혜영 강사님 강연 몰아보기 : bit.ly/3cTBekj
    * 일상의 인문학 강연 몰아보기 : bit.ly/3k1qWSL
    *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bit.ly/3Os6lQQ
    * 돋보이는 댓글을 달고 싶으시면 영상 오른쪽 하단에 Thanks를 활용해 보세요^^
    * 채널구독하기 : bit.ly/3AEmJL1
    * 제작지원 : KBC인재경영연구소 : www.kbcts.com
    * 한국지식텔러협회 : band.us/band/371977
    * 네이버 블로그 : blog.naver.com/kbcthink
    * 강연 및 코칭 문의 : 053-746-7056 / korandobc@naver.com
    * 찾아오시는 길 : naver.me/GMRer9oh

КОМЕНТАРІ • 44

  • @user-om3pg2qk5v
    @user-om3pg2qk5v 4 місяці тому +13

    혜영 선생님은 균형잡힌 강의를 하시는 분으로 생각합니다
    역사를 강의하는 강사는 역사학자들이 고증하고 검증된 역사의 내용에 충실하게 책임감을 가지고 강의를 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부 강사가 개인사견이 들어간 역사의 검증되지 않은 위험하고 무책임한 내용의 강의를 하면서 국민들 혼란시키는 느낌이 있어 안타갑습니다

  • @kuongyongkim8361
    @kuongyongkim8361 4 місяці тому +27

    내용중 6월28일 한강철교가 파괴된 사진이 있네요 근데 사진을 자세히 보면 사람들 옷이 겨울옷인데요 이상하지 않나요 교수님 설명이 필요할듯요 그리고 여기는 한강이 아니라 대동강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계절은 겨울 제가 잘못 알고 있는건가요 궁금하네요 교수님

    • @user-mo8ey4fr7r
      @user-mo8ey4fr7r 3 місяці тому +7

      6.28 새벽에 폭파된 사진은 여기 제시되지 않았습니다. 여기 올린 사진은 대동강 철교입니다.

  • @user-cf8dm5xo9n
    @user-cf8dm5xo9n 4 місяці тому +22

    다리사진 저거 한강아니라 대동강이라고 합니다

    • @user-ev8ei2to5o
      @user-ev8ei2to5o 4 місяці тому +1

      옛날 교과서에 1.4 후퇴 대동강 다리라고 나왔는데요

    • @user-nb6mk2co4c
      @user-nb6mk2co4c 4 місяці тому +1

      1.4후퇴는 중공군 침입으로 2차서울 후퇴고 대동강철교는 1.4후퇴라 하지않습니다

    • @user-rw3fv6cx4o
      @user-rw3fv6cx4o 3 місяці тому

      1.4후퇴때 대동강 그리고 겨울입니다 11월~1월사이인데 여름에 한강다리 폭파 사진은 말이안되죠 그리고 옷도 겨울옷이죠

  • @user-zq1eu4wd9r
    @user-zq1eu4wd9r 4 місяці тому +16

    사진 ,끓어진 철교는. .대동강 다리.라 합니다..보완 또는 수정부탁드림니다

  • @hosoojeon9576
    @hosoojeon9576 3 місяці тому +1

    수도사단의 길주 청진전투 두만강의진격과 후퇴도 조명해주시길 바랍니다

  • @dexterdog4976
    @dexterdog4976 3 місяці тому +5

    북괴의 사악한 짓거리부터 알려주시오

  • @seanbaeck7037
    @seanbaeck7037 3 місяці тому +1

    사실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기도 하고 정리되기도 한다ㆍ 전쟁은 그것보다도 훨씬 잔인하고 표현을 할 수 없다ㆍ 말로는 아무것도 증거할 수 없다ㆍ

  • @user-hc9ku5fc7o
    @user-hc9ku5fc7o 4 місяці тому +11

    전쟁을 일으킨 김일성에 대해서 크게 원망 해야 하지 않을까요
    김일성을 원망 해야지
    김일성을 아바지라고 하는자도 있잖아요

    • @user-hr3fv3ph2g
      @user-hr3fv3ph2g 2 місяці тому

      전쟁이 일어난 가장 큰 책임은 김일성이 맞지만 전체 전쟁기간중 우리 남쪽에서도 잘못된 판단으로 많은 인명이 죽은 경우도 있으니 세밀하게 잘 살펴보고 판단해야 할거 같습니다. 그리고 김일성을 아버지라고 부르는 자들을 혹시 민주당이라고 생각하고 쓰신 건가요?

    • @zhchoe469
      @zhchoe469 2 місяці тому

      김일성이 전쟁을 일으켰으면, 도망 가지 말고, 초전박살 무찔렀으면 전쟁이 끝나지 않았겠어? 유비무환! 아무런 대책도 없이, 입으로만 북진통일! 전쟁 일어나니 도망이나 가고... 😅😅

  • @user-lw3gc8zz9t
    @user-lw3gc8zz9t 4 місяці тому +3

    이념일까요? 결국 개인들의 권력욕의 소산입니다. 권력의 유지하려는 소산입니다. 인간의 생명을 우습게아는 게 권력입니다

  • @user-xc6lq2ue9l
    @user-xc6lq2ue9l 4 місяці тому +10

    나이가 어린 교수들은 정확한 고증보단
    그들의 얕은 정파적 개인의견 을
    역사랍시고 많은 사람들에게 알립니다
    역사는 얕은 실력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에게 강의하면 안됩니다

  • @kenshin6427
    @kenshin6427 4 місяці тому +5

    개략 알고는 있었지만,수준 높은 강의 잘보고 갑니다, 이상한 댓글들이 많은데, 역사는 객관적으로 바라보시길 바랍니다

  • @user-px8ut9vk6j
    @user-px8ut9vk6j 3 місяці тому +2

    제나이가 70이넘었지만 가끔 선생님에목소리는 빠르면서 또렷또렷해서 아주잘 듣고있읍니다
    늘 감사합니다

    • @kbcthink
      @kbcthink  3 місяці тому +2

      행복하세요

  • @user-eb6iw3gl7p
    @user-eb6iw3gl7p 2 місяці тому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한국전쟁은 수많은 굴곡의 역사적 슬프의 연속이라생각 합니다. 전쟁의 최후 희생자는 무고한 국민과 연약한 노인 여자 그리고 어린이 일수밖에 없는 냉혹한 현실이죠. 절대 이땅에서는 전쟁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역사학자라면 단순 전쟁 결과물을 강조하다보면 전쟁원인과 책임에 대한 주객이 전도되는 모순을 낳기도 합니다. 전시 상황 최전선에 있는 군인들은 인간으로서 정상적 판단을 할 수 있을까요? 왜 양민학살이 이뤄졌는지 그에 대한 원인설명없이 결과에 대한 피해와 가해자만 설명하면 자칫 국군과 미군이 무고한 양민을 학살만 했는걸로 오인할 수 있다생각됩니다. 괴뢰군들의 전술에 양민들에 섞여서 정보활동과 빨치산 전술을 활용한 북괴들의 활동에 양인들이 엮이면서 발생한 결과라고 해야 역사학자로서 바른 강의가 아닌가 싶습니다. 국립현충원에 가보셨나요. 6.25이후 군에서 순직한 군인들..모두다 전쟁이 대비하다 사고로 또는 북괴들 전쟁놀이에 희생당한 무고한 우리국민들이었습니다. 이모든 것은 김일성이부터 시작된 우리민족의 비극이며 현재진행형이죠. 지금도 우리머리위엔 핵으로 제2차 한국전쟁 두려움이 짓누르고 있죠...제 2차 한국전쟁이 발발하면 우리역사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동족상잔이 일어날게 분명합니다. 지금의 남남갈등은 그것을 뒷받침합니다. 역사적으로 전쟁에서 동족간의 전쟁이 가장 잔인했던거 역사학자라면 잘 아시겠죠?
    부디 균형감각있는 역사강의가 되길 기원합니다.

  • @user-mb9fm7sc6c
    @user-mb9fm7sc6c 4 місяці тому +12

    국가가 국민을버렸다는 확실한 증거를보여주세요

  • @nanalim1814
    @nanalim1814 2 місяці тому

    😢전쟁이지만....감동도 있네요

  • @jinokchoi191
    @jinokchoi191 3 місяці тому +1

    강혜영 강사님! 강의시 증거사진 등은 시실을 갖고 강의하셔야지 않나요ㆍ
    사실을 왜곡할 수 있는 자료는 강의 품질을 떨어 뜨립니다ㆍ
    시청자들께 사과하세요

  • @jhsuh2759
    @jhsuh2759 4 місяці тому +4

    강혜영 교수님 1타강사

  • @sysy3282
    @sysy3282 4 місяці тому +7

    거창은 학살사건 인정ᆢ노근리는 오인사격 ᆢ결과적으로 학살이되었네요ᆢ내가 내땅을못지킨 대가입니다ᆢ전쟁억지력을 문서나 조약으로 하나요? 힘의우위만이전쟁을 방지합니다 만고의 철칙ᆢ

    • @user-gs4tb8kb8z
      @user-gs4tb8kb8z 3 місяці тому +1

      지당하신 말씀
      입으로 떠들어 평화가 온다면
      세상에 전쟁이 왜 있는거지?

    • @user-mo8ey4fr7r
      @user-mo8ey4fr7r 3 місяці тому

      만고의 철칙 = 인류사는 승자의 기록입니다. 패자는 세상에 나타나지 못하니까요.
      미국이 승리하면 미국의 역사가 세계사가 되고 일본이 승리하면 일본의 세상이 되며
      북한이나 러시아가 승리하면 그들의 기록이 세계역사로 남는 것입니다.
      결국은 힘을 길러 끝까지 살아남는 자만이 자신의 역사를 고이 전할 수 있습니다.

  • @user-hu5xb4ye1h
    @user-hu5xb4ye1h 4 місяці тому +14

    건국전쟁 보시길

  • @user-yo4sv2lw8q
    @user-yo4sv2lw8q 3 місяці тому

    감성 기준으로 말씀 하시지 마시고~~ 강자는 항상 약자를 먹을려 하는게~~~

  • @user-up8xi2rl3e
    @user-up8xi2rl3e 4 місяці тому +6

    비교적 공정하고,객관적인 강의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그러나 혜경 님 사실을 깊이 고증하고 남에게 전달하는 역사 학자가 되도록 노력하세요.
    한강철교 폭파의 진실은 당신같은 사람들 때문에 전 국민을 오도했지요ㅡ폭파 전에 부교를 설치했고, 현장에 군경을 배치,예고하여 철교 폭파로 사망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음을 " 건국전쟁"에서, 그 생생한 증거를 봤네요ㅡ

    • @user-mo8ey4fr7r
      @user-mo8ey4fr7r 3 місяці тому +2

      지금도 한강다리 앞에 가면 희생자 숫자와 당시 사실을 기록한 위령비가 서 있습니다.
      건국전쟁은 종군기자가 만든 다큐멘터리가 아니고 시나리오에 의한 인터뷰 영화입니다.
      영화를 생생한 역사로 생각하는 사람은 영화감독을 조물주로 착각하는 사람입니다.
      영화감독은 이승만을 추켜세우려는 의도에 맞게 영화를 만들었고, 증거가 아닌 시나리오에 의한 증언 - 거짓말을 편집해 넣었습니다.

  • @qwe-my3hu
    @qwe-my3hu 4 місяці тому +8

    ❤촛점을 잘못잡았다. 인민군 정훈장교로 가거라.

  • @jinokchoi191
    @jinokchoi191 3 місяці тому +1

    6.25 한국 동란에 대한 이해를 너무 편향적인 시각과 이해를 갖고 강의를 하시면 안됩니다
    개인적인 사견은 사회를
    오염 시킵니다 ㆍ

  • @user-cb9zj6gx3p
    @user-cb9zj6gx3p 3 місяці тому +6

    건국전쟁 영화를 보고 이 영상을 수정해라.

    • @user-mo8ey4fr7r
      @user-mo8ey4fr7r 3 місяці тому +2

      역사를 영화에 맞게 수정하는 것은 인간세상을 영화속으로 들어가라는 왜곡입니다.
      수백만의 희생자를 남긴 인류 역사를 영화에서 "죽은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하면 그들 모두는 부활하는 겁니까?

    • @user-nl4gf7tw7u
      @user-nl4gf7tw7u 3 місяці тому +1

      반대로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