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探] 천년의 전통문화, 茶와 찻그릇 / YTN 사이언스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0

  • @primary.elements
    @primary.elements 5 років тому +5

    이런 영상까지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장미장미-o9v
    @장미장미-o9v 4 роки тому +4

    좋은영상 설명감사합니다 평소에 우리차에 대한관심이 많았고 차를 배우고싶었는데 많은도움 됐습니다^^~고맙습니다 채널구독했습니다

  • @hanjhood5305
    @hanjhood5305 6 місяців тому +1

    다도의 경건한 덕인 옛의 아름다움

  • @KHTF123
    @KHTF123 4 роки тому +5

    한국의 진정한 전통 차는 숭늉이로다

  • @mymovie8677
    @mymovie8677 4 роки тому +18

    영상 설명란에 다도----> 다례로 바꿔주세요 다도는 일본식 한자입니다. 한국은 다례, 일본은 다도, 중국은 다예입니다

    • @냐냐냐냐-u6n
      @냐냐냐냐-u6n 4 роки тому +8

      다도는 다신전, 동다송에도 나오는 단어입니다. 전혀 일본식 한자어가 아닙니다.

    • @근본-p2y
      @근본-p2y 3 місяці тому

      8677은 일본인들이 가장좋아하는 번호입니다 바꿔주세요

  • @묵-q9l
    @묵-q9l 7 місяців тому

    예전 화계면에 장이라하기에는 소규모였을텐데?. 주로 규모가 큰 구례장에서 열린듯...아마도 구례가 걸어서 오는 생활권?..

  • @이산들강비
    @이산들강비 6 років тому +3

    우리차에 대해 제대로 알고 방송을 해야되지 않을까요
    우리전통차가 녹차가 아닙니다

  • @진동이-s1f
    @진동이-s1f 11 місяців тому

    페루의 마테차문화를 배워라 다도시연이 다문화를 느리게잡고있다

  • @오희숙-g5s
    @오희숙-g5s 10 місяців тому

    차맛에 비해너무 진지하다 너무과하다고나할까다례도좀변화가있어야할듯

  • @llillillliiillliil
    @llillillliiillliil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임진왜란때 끌려간 도공들은 일본에서 대우 받으면서 살았습니다

  • @jwapyo
    @jwapyo 6 місяців тому

    차문화는 무슨 ~뻥도 정도껏이지
    한국 차문화 1도 없고 슝늉문화이고 막걸리 문화다.

    • @llillillliiillliil
      @llillillliiillliil 5 місяців тому

      고려시대 까진 차문화 활발했는데 조선시대 들어와서 불교 탄압 하면서 쇠퇴함 그래도 절에서 스님들이 마시지 않았을까 싶음

  • @-1ven705
    @-1ven705 Рік тому

    숭유억불로 차문화랑은 담을 쌓고 살던 나라에서 유구한 차문화라도 있는 양 떠~들어대는 꼴이라닠ㅋㅋ 우습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