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방식의 변화가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걸로 생각됩니다. 림브레이크가 바퀴 좌우양쪽에서 잡는데 비해, 디스크는 바퀴 한쪽에서만 잡아주게 되니 힘의 쏠림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거든요. 이런 균형이 안맞는 힘을 버티기에 QR은 많이 부족해 보였구요. 브레이크를 잡으며 바퀴를 보면 왼쪽으로 살짝살짝 휘청이는게 그냥 보일 정도니 뭐..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액슬처럼 바퀴축의 위치가 고정된 방식이 필요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전거를 구매해서 앞바퀴 분리 후 차에 태워서 왔는데 앞바퀴(15qr액슬)를 체결할때 체결 강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빡빡해질때까지 돌리고 레버를 제껴야 하는건지, 적당히 돌리고 레버를 제껴놔야하는건지, 그리고 얼마나 세게 채결하냐에 따라 디스크 세팅이 틀어지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네 무슨 말씀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토크가 적혀있는 경우에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데 애매한 자전거들이 있습니다. 어떤경우에는 조일때 드레일러가 밀착되는게 눈에 보이기도 하구요. 뺐다 낀거 만으로 브레이크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구요. qr이나 엑슬을 너무 조여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봤습니다. 대부분 틱틱거리는 소음이 나더라구요. 힘의 크기를 눈으로 확인시켜 드리는게 토크렌치인데 일반 qr의 경우에는 보여드릴수가 없어서 저도 항상 생각하고 있습니다. qr의 제품에 따라서도 달라지구요. 고민을 좀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저도 스루액슬 자료를 해외에서 찾아보니까 장점이 많더라구요. 아마 스루액셀이 나타난 이유가 디스크가 장착되면서 부터인것 같습니다. 앞바퀴의 경우 일반 큐알에 디스크를 사용하면 바퀴의 중심에서 멀지 않은곳에서 강력한 제동이 걸리면 큐알을 덜조였을때 바퀴가 빠질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말씀드릴대로 큐알의 닝창거림이 해결되어 댄싱과 코너링시 탄탄하게 잡아줘 공격적인 라이딩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저도 로드 사게되면 무조건 액슬에 디스크로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qr방식 심보 두께가 규격으로 딱 정해진것이 없이 제품 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나요? 원래 자전거 허브의 심보가 9.5mm 였는데 새로산 휠이 들어가지 않아 심보 두께를 재보니 10mm 였습니다. 허브 같은것은 규격이 일정한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0.5mm씩 차이가 나는것이 정상인지 궁금합니다. [구입은 알리에서 했습니다. 노바텍 허브였습니다.] 이게 별차이 안나는것 같은데 바퀴가 절대 안들어 가더군요.
qr방식이면 액슬교체는 안됩니다. 아마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qr방식에서 레버없이 렌치로 조이는 제품이 있습니다. 공구가 있어야지만 풀수 있는거에요. korean.alibaba.com/product-detail/ultralight-35g-titanium-quick-release-cnc-qr-lever-ti-axle-fatbike-mtb-road-bike-skewers-titanio-cycling-bicycle-wheel-hub-parts-60700212870.html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전거를 구매해서 앞바퀴 분리 후 차에 태워서 왔는데 앞바퀴(15qr액슬)를 체결할때 체결 강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빡빡해질때까지 돌리고 레버를 제껴야 하는건지, 적당히 돌리고 레버를 제껴놔야하는건지, 그리고 얼마나 세게 채결하냐에 따라 디스크 세팅이 틀어지기도 하나요?
제가 다니는 길이 버려진 인도라 눈에 안띄는 날카로운 작은 조각에 간혹 펑크가 나서 튜브를 교체 하려고 큐알을 분리후 재장착시 브레이크 로터가 미묘하게 뒤틀려서 더 신경 쓰이게 되더라 구요 엑슬은 안그런 건가요? 타이어는 짜증나서 슈발* 마라톤 시리즈 중에서 제일 두꺼운거로 바꿨어요 그이후 펑크는 한번도 안났습니다 ㅎㅎ
네 엑슬은 프레임과 바퀴가 딱 맞지 않으면 들어가질 않아서 그런 단점은 없습니다. QR로 체결시에는 자전거를 똑바로 세운상태에서 안장을 살짝 눌러서 프레임과 바퀴가 좌우유격없이 딱 껴진후 조이셔야 합니다. 그리고 한번 돌려보면서 브레이크에 닿는지 안닿는지 체크해주시구요. 간혹 체결이 삐뚤어져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샾에서는 아무이상이 없고 소음도 못잡았었는데 QR한번 풀었다 조여서 해결한 적도 있었습니다.
쓰루엑슬 질문 있어요.. 제 로드가 프론트 15mm 리어 12mm 액슬인데요.. 요즘은 다 로드 휠셋은 앞뒤 모두 12mm 액슬만 나오는거 같아요 ㅠㅠ 15mm 포크에 12mm 엑슬 휠셋을 장착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아니면 15mm 엑슬 적용된 로드 휠셋 시판 모델이 있는지 궁금해요 ㅠㅠ 포크를 교체해야 하는건지 ㅠㅠ 도무지 감이 안와요
안녕하세요. z님 의 질문에 계속 찾아봤습니다. 도싸도 가보고 해외포럼에도 가봤는데 명확히 시원한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간단하게 포크에 엔드캡같이 15를 12로 만들어 주는 킷이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해외에서도 이것때문에 질문이 오가고 있는걸 봤습니다. 15엑슬을 12로 만들어주는 킷들은 있는데 아시겠지만 12를 15로는 만들수가 없습니다. 아직 그런 종류의 킷은 시판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럼 15mm 액슬 휠이 있나 보니까 www.trekbikes.com/kr/ko_KR/%EC%9E%A5%EB%B9%84/%EC%9E%90%EC%A0%84%EA%B1%B0-%EB%B6%80%ED%92%88/%EB%B0%94%EC%9D%B4%ED%81%AC-%ED%9C%A0/%EB%A1%9C%EB%93%9C-%EB%B0%94%EC%9D%B4%ED%81%AC-%ED%9C%A0%EC%99%80-%ED%9C%A0%EC%85%8B/%EB%B3%B8%ED%8A%B8%EB%9E%98%EA%B1%B0-%EC%97%90%EC%98%AC%EB%A3%A8%EC%8A%A4-%ED%94%84%EB%A1%9C-3-tlr-%EB%94%94%EC%8A%A4%ED%81%AC-%EB%A1%9C%EB%93%9C-%ED%9C%A0/p/14835/ 본트래거 에올루스가 있는데 이마저도 순정이 12미리인데 15미리 변환킷으로 바꿔줘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보입니다. 앞으로 추세가 12mm액슬로 계속 휠들이 나올텐데 지금 가지고 계신 자전거를 오래 타실거라면 포크교체를 하시고 마음대로 12미리 액슬휠을 사용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시원한 답변해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넵 좋은 질문입니다. 로드의 액슬을 사용할경우 프레임과 휠의 결합강성이 좋아져서 코너링이나 댄싱에서 훨씬 안정적인 라이딩이 될 겁니다. 림브레이크는 우중라이딩시 림이 물에 젖으면 제동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카본림의 경우 긴 다운힐시 휠에 열변형을 줄수도 있고 알루휠은 긴 다운힐시 림이 열을받아 공기압이 팽창을 하기도 합니다. 디스크의 장점은 위의 모든 상황에서 자유로워질수 있고 무었보다 아주 적은 힘으로 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카본휠과 디스크브레이크의 조합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합니다.
Mtb 좀 험하게 타는 스타일인데요... QR보다는 액슬타입이 안전하겠죠? QR은 왠지 풀려서 바퀴 빠질꺼같은 불안감이....
qr이 빠진적은 못봤지만 그전에 엄청 흔들립니다. 액슬도 풀리면 비슷하지만 충격을 받았을때 강성자체기다릅니다. 아주 안정적이고 단단한 느낌이 액슬입니다.
막 액슬을 쎄게 돌려서 체결할때 프레임쪽에서 딱! 소리가 났는데 그냥 쓰루액슬이랑 너트만 교체해서 체결해도 되나요?
액슬이 문제인지 너트만 문제인지 또는 너트와 프레임 연결부위인지는 이러게 알수 없습니다. 일단 하나씩 교체해보면서 테스트해보세요.
제가 고민중인 자전거 두대가있습니다
한대는 코일서스펜션 큐알방식 68만원
한대는 에어서스펜션 액슬방식 88만원
나머지 사양은 동급일때 어떤걸 선택해야 할까요
샥만 보고 판단한다면 에어에 액슬이 맞지만 가격을 보면 인지도가 높지는 않은거같네요. 자전거 브랜드의 인지도를 보고 판단하겠습니다.
@bikeroid1 전자는 예거 후자는 엘파마 입니다
브레이크 방식의 변화가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을 걸로 생각됩니다.
림브레이크가 바퀴 좌우양쪽에서 잡는데 비해, 디스크는 바퀴 한쪽에서만 잡아주게 되니 힘의 쏠림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거든요.
이런 균형이 안맞는 힘을 버티기에 QR은 많이 부족해 보였구요. 브레이크를 잡으며 바퀴를 보면 왼쪽으로 살짝살짝 휘청이는게 그냥 보일 정도니 뭐..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액슬처럼 바퀴축의 위치가 고정된 방식이 필요했을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산에서 느낀 엑슬과 QR의 차이는 체감이 될정도였습니다.
엑슬 타입 쓰다가 큐알쓰고 임도, 싱글 타보니 확실히 알겠더군요..로드로 도로만 탈때는 큐알에 대한 불만이 없었는데 확실히 엑슬이 좋긴 좋더군요..!
맞습니다. 큐알로만 산타다가 엑슬로 바꾸니깐 바로 체감되더라구요.
저는 qr를 사용하고 있어요 근데 액슬로 변경하려면 휠을 교체해야 하나요?
자전거 프레임이 액슬방식이냐 아니냐로 나뉩니다.
알고쓰는것과 모르고쓰는건 확실히 다르죠^^
마지막 멘트가 확 와닿습니다
제가 겪어보기에는 자전거의 기능을 잘 모르고 쓰시는분들이 절반은 넘는것 같더라구요. 좋은 성능의 부품과 자전거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것 같아 안타깝더라구요.
내껀 엑슬이었네...qr인줄 알았는데....ㅎㅎ
여러모로 액슬이 좋습니다.
차에 싣기위해 앞바퀴를 자주 탈거하는데 스루액슬에 가끔 구리스를 도포해야하나요?
도포하는 경우도 있는데 직접 닿아서 회전하는 부분이 아니라 크게 신경쓰실필요는 없습니다.
@@bikeroid1 감사합니다
허브만 엑슬로 못바꿔요? 바디를 바꿔야 하나요?
네에 구멍자체가 작게 나온거라 넓힐수는 없습니다.
@@bikeroid1 아 그렇군요.
제잔차가 qr이라 엑슬방식이 궁금했던점이였는데 감사함돠^^
아마도 로드는 코너링이나 댄싱에서 탄탄하게 잡아주는 맛이 있을겁니다. MTB는 코너링이나 드랍, 하드한 라이딩에 느끼실거구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전거를 구매해서 앞바퀴 분리 후 차에 태워서 왔는데 앞바퀴(15qr액슬)를 체결할때 체결 강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빡빡해질때까지 돌리고 레버를 제껴야 하는건지, 적당히 돌리고 레버를 제껴놔야하는건지, 그리고 얼마나 세게 채결하냐에 따라 디스크 세팅이 틀어지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네 무슨 말씀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토크가 적혀있는 경우에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데 애매한 자전거들이 있습니다. 어떤경우에는 조일때 드레일러가 밀착되는게 눈에 보이기도 하구요. 뺐다 낀거 만으로 브레이크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구요. qr이나 엑슬을 너무 조여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봤습니다. 대부분 틱틱거리는 소음이 나더라구요. 힘의 크기를 눈으로 확인시켜 드리는게 토크렌치인데 일반 qr의 경우에는 보여드릴수가 없어서 저도 항상 생각하고 있습니다. qr의 제품에 따라서도 달라지구요. 고민을 좀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
@@bikeroid1 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차로 이동해서 많이 라이딩해서.. 앞바퀴 탈거를 자주하는편인데 스루액슬이라 육각렌치가 필수라 불편하다 생각했는데 바이크로이드님 말씀을 들어보니 훨씬더 좋은 방식이군요? ㅎㅎㅎ 설명 고맙습니다.
얼마뒤에 로드 기추할생각인데 디스크휠로 가야겠단 생각 굳혔네요.
저도 스루액슬 자료를 해외에서 찾아보니까 장점이 많더라구요. 아마 스루액셀이 나타난 이유가 디스크가 장착되면서 부터인것 같습니다. 앞바퀴의 경우 일반 큐알에 디스크를 사용하면 바퀴의 중심에서 멀지 않은곳에서 강력한 제동이 걸리면 큐알을 덜조였을때 바퀴가 빠질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말씀드릴대로 큐알의 닝창거림이 해결되어 댄싱과 코너링시 탄탄하게 잡아줘 공격적인 라이딩에 유리하다고 합니다. 저도 로드 사게되면 무조건 액슬에 디스크로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ikeroid1 안녕 하세요 제꺼는 디티스위스 포크 쓰리액슬 방식인데요 앞바퀴 탈부착시 육각렌치가 필요 없던데 말입니다 레바반대쪽에 따로 조이는 부분이있나요?
@@금재성 아니요 따로 조이는 부분은 없습니다.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액슬을 조이고 푸는 방식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DT같은 경우가 좋은 경우죠.ㅎ
@@bikeroid1 답변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qr방식 심보 두께가 규격으로 딱 정해진것이 없이 제품 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나요?
원래 자전거 허브의 심보가 9.5mm 였는데 새로산 휠이 들어가지 않아 심보 두께를 재보니 10mm 였습니다.
허브 같은것은 규격이 일정한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0.5mm씩 차이가 나는것이 정상인지 궁금합니다.
[구입은 알리에서 했습니다. 노바텍 허브였습니다.]
이게 별차이 안나는것 같은데 바퀴가 절대 안들어 가더군요.
네에 사이즈가 동일하지 않습니다. 나사산도 다르구요. 기존에 사용하시는 액슬의 두께와 길이를 맞춰서 구매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이 두께를 표기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구입에 애를 많이 먹네요.
늘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로드 바이크인데 QR에서 볼트체결형 액슬로 교체 생각중인데 (안전성, 도난방지) 그냥 부품만 사서 바꿔끼우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qr방식이면 액슬교체는 안됩니다. 아마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을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qr방식에서 레버없이 렌치로 조이는 제품이 있습니다. 공구가 있어야지만 풀수 있는거에요.
korean.alibaba.com/product-detail/ultralight-35g-titanium-quick-release-cnc-qr-lever-ti-axle-fatbike-mtb-road-bike-skewers-titanio-cycling-bicycle-wheel-hub-parts-60700212870.html
@@bikeroid1 와 그런게 있군요 . 감사합니다. 제품명을 어떻게 검색하면 좋을까요?
@@p86537ghk 링크를 보시면 됩니다
바퀴 빼려고 렌치로 쓰루액슬 빼다가...
나사산이 다 갉혔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ㅠㅠ
헉!!! 나사산이 뭉게졌다는게 액슬자체의 나사산인가요. 아니면 ㄷㄷㄷㄷ 자전거에 있는 나사산인가요? 아니면 렌치가 들어가는 부분인가요? 액슬자체가 망가졌어도 자전거쪽 나사산도 데미지를 먹었을텐데요
@@bikeroid1 액슬이 망가져서ㅠㅠ 액슬레버가 안에서 계속 헛돌아요ㅠㅠ
@@KP-qc5bt 헉 큰 공사같습니다. 모든 방법을 간구해서 일단은은 엑슬을 뽑아야겠습니다.
@@bikeroid1 빼기도 어렵고 큰일이에요
@@KP-qc5bt 아예 숫놈이 헛돌면서 안나오는 건가요?
큐알 자전거를 타다가 엑슬방식 자전거로 기벼했는데...
로라를(엘리트 큐알타입) 타려니 맞지가 않네요..
방법이 없을까요?
허브마다 모양이 달라서 허브 제조사에서 확인해보셔야겠습니다
m.fg7008.firstmall.kr/goods/view?no=15401
이렇게 액슬에 꼽으면 큐알로 연결이됩니다.규격은 허브마다 다른걸로 알고있습니다.
새로운정보 감사합니다.... 안전라이딩!!!
넵 감사합니다~ 안라하세요~
쓰루액슬에 구리스 도포하는 것이 맞나요? 안바르는 것이 맞나요?
회전이나 마찰하는 부위가 아니라 안 바르셔도됩니다. 그냥 좀 찜찜하시면 바르셔도 무방하구요.
나사선을 보호하기위해서 살짝 발라주세요.
휠 뒤바퀴 굴렷을때 많이 안돌고 멈추는데ㅠ허브 수리 받아야 하나요
두가지로 볼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패드에 닿거나 또는 허브를 조일때 너무 쎄게 조였을경우 바퀴가 잘 안돌아갑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전거를 구매해서 앞바퀴 분리 후 차에 태워서 왔는데 앞바퀴(15qr액슬)를 체결할때 체결 강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빡빡해질때까지 돌리고 레버를 제껴야 하는건지, 적당히 돌리고 레버를 제껴놔야하는건지, 그리고 얼마나 세게 채결하냐에 따라 디스크 세팅이 틀어지기도 하나요?
새로 하테 영입하셨나 봅니다. 이쁘네요.
아쉽게도 손님께서 맡겨 놓고 가신 자전겁니다. ㅎㅎ 구입하실때 제가 추천해드렸던 XTC입니다.
리어휠 액슬은 모두 12mm인가요?.!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는데 12mm, 15mm, 20mm 로 나뉘어 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가 다니는 길이 버려진 인도라 눈에 안띄는 날카로운 작은 조각에 간혹 펑크가 나서
튜브를 교체 하려고 큐알을 분리후 재장착시 브레이크 로터가 미묘하게 뒤틀려서 더 신경 쓰이게 되더라 구요 엑슬은 안그런 건가요?
타이어는 짜증나서 슈발* 마라톤 시리즈 중에서 제일 두꺼운거로 바꿨어요 그이후 펑크는 한번도 안났습니다 ㅎㅎ
네 엑슬은 프레임과 바퀴가 딱 맞지 않으면 들어가질 않아서 그런 단점은 없습니다. QR로 체결시에는 자전거를 똑바로 세운상태에서 안장을 살짝 눌러서 프레임과 바퀴가 좌우유격없이
딱 껴진후 조이셔야 합니다. 그리고 한번 돌려보면서 브레이크에 닿는지 안닿는지 체크해주시구요. 간혹 체결이 삐뚤어져서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샾에서는 아무이상이 없고 소음도 못잡았었는데 QR한번 풀었다 조여서 해결한 적도 있었습니다.
쓰루엑슬 질문 있어요.. 제 로드가 프론트 15mm 리어 12mm 액슬인데요.. 요즘은 다 로드 휠셋은 앞뒤 모두 12mm 액슬만 나오는거 같아요 ㅠㅠ 15mm 포크에 12mm 엑슬 휠셋을 장착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아니면 15mm 엑슬 적용된 로드 휠셋 시판 모델이 있는지 궁금해요 ㅠㅠ 포크를 교체해야 하는건지 ㅠㅠ 도무지 감이 안와요
안녕하세요. z님 의 질문에 계속 찾아봤습니다. 도싸도 가보고 해외포럼에도 가봤는데 명확히 시원한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간단하게 포크에 엔드캡같이 15를 12로 만들어 주는 킷이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해외에서도 이것때문에 질문이 오가고 있는걸 봤습니다. 15엑슬을 12로 만들어주는 킷들은 있는데 아시겠지만 12를 15로는 만들수가 없습니다.
아직 그런 종류의 킷은 시판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그럼 15mm 액슬 휠이 있나 보니까
www.trekbikes.com/kr/ko_KR/%EC%9E%A5%EB%B9%84/%EC%9E%90%EC%A0%84%EA%B1%B0-%EB%B6%80%ED%92%88/%EB%B0%94%EC%9D%B4%ED%81%AC-%ED%9C%A0/%EB%A1%9C%EB%93%9C-%EB%B0%94%EC%9D%B4%ED%81%AC-%ED%9C%A0%EC%99%80-%ED%9C%A0%EC%85%8B/%EB%B3%B8%ED%8A%B8%EB%9E%98%EA%B1%B0-%EC%97%90%EC%98%AC%EB%A3%A8%EC%8A%A4-%ED%94%84%EB%A1%9C-3-tlr-%EB%94%94%EC%8A%A4%ED%81%AC-%EB%A1%9C%EB%93%9C-%ED%9C%A0/p/14835/
본트래거 에올루스가 있는데 이마저도 순정이 12미리인데 15미리 변환킷으로 바꿔줘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어보입니다.
앞으로 추세가 12mm액슬로 계속 휠들이 나올텐데 지금 가지고 계신 자전거를 오래 타실거라면 포크교체를 하시고 마음대로 12미리 액슬휠을 사용하시는게 나아 보입니다.
시원한 답변해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bikeroid1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mtb는 울퉁불퉁한 험로 를 다니기 때문에..디스크&엑슬이 답이겠지만...로드는 디스크&엑슬 방식이 어떤지 의견을 듣고싶네요^^
넵 좋은 질문입니다. 로드의 액슬을 사용할경우 프레임과 휠의 결합강성이 좋아져서 코너링이나 댄싱에서 훨씬 안정적인 라이딩이 될 겁니다. 림브레이크는 우중라이딩시 림이 물에 젖으면 제동력이 떨어집니다. 또한 카본림의 경우 긴 다운힐시 휠에 열변형을 줄수도 있고 알루휠은 긴 다운힐시 림이 열을받아 공기압이 팽창을 하기도 합니다. 디스크의 장점은 위의 모든 상황에서 자유로워질수 있고 무었보다 아주 적은 힘으로 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카본휠과 디스크브레이크의 조합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합니다.
로드의 경우라면, 쓰루액슬 방식은 펑크나면 샵에 가나요? 아니면 공구를 들고 다니나요?
쓰루액슬도 qr같이 레버가 달린 제품이 있습니다. 육각렌치로 돌리는 제품도 있구요. 액슬은 바퀴체결하는 방법만 다르기 때문에 궂이 펑크때문에 샾에 가실 필요는 없습니다.
체결방식만 다를뿐 뺏다꼈다는 어렵지 않습니다.
바이크로이드 아 스루엑슬이 qr방식인 것도 있군요.
MTB로 산 탈 때 아무 산이나 타도 상관이 없죠??
아니요 요즘 많이 통제합니다. 국립공원은 안되고 지역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한적한 곳이라면 상관없는데 요즘 민원들을 많이 넣어서 탈곳이 점점 줄어들고있습니다.
ㅠㅠ 동네 산에서 한번 타볼려고 하는데 고민좀 해봐야 겠네요
@@한승우-s3p 한적한 산이라면 괜찮을겁니다. 막 북한산 지리산 이런데는 아니시죠?
네네 동네산이에요 ㅋㅋ
qr보다 axle 방식이 훨씬 편하고
휠 탈착이 용이합니다..
무조건 강추합니다...
탈착도 탈착이지만 휠이 뒤틀리지 않는 장점도 있습니다. 충격을 받거나 급한 코너링에서 단단하게 잡아주는 느낌이 너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