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전문가는 아니기에 제 생각만 공유를 해보자면 코인 1개당 절대 가격만으로는 네트워크를 평가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발행량도 큰 영향이 있으며 1개의 루멘과 1개의 비트코인을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죠. 차라리 코인 전체 시총으로 그 네트워크를 판단하는게 그나마 더 논리적인 부분이 이닐까 싶습니다. 스텔라는 최근에 밀려났지만 원래 시총 10위권 안에 들던 메이져 알트이며 , 그레이스케일같은 메이져 투자기관도 항상 투자하고 있는 네트워크입니다. 즉 고래들이나 기관이 여태껏 투자해왔던 코인이란뜻은 펌핑이 없도라도 안정적인 코인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스텔라는 시대적으로는 1.5세대에 출시된 아주 오래된 코인입니다. 패러다임이 변하기전까지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해 총 발행량 조절에 실패한것도 이유가 있을것이고 스텔라의 선조격인 리플이 sec와의 법적 공방도 큰 문제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리플과 스텔라의 차트는 아직까지 커플링입니다. ( 즉.. 스텔라는 리플 차트를 쫒아다니는 경향이 강하죠 ) 리플이 결국 sec 와의 법정 공방에서 승리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상승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스텔라는 최근 행보에서 국가적인 신임을 얻고 있는 부분이 강합니다.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고 쉽게 누구에 의해 중앙화가 되기 힘든 장점이 있죠. 아마 미래에 잡코인들이 다 죽어나도 스텔라는 살아남을 코인 몇 코인중 하나가 될 확률이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cbdc는 말그대로 정부 주도 전자 화폐이기때문에 파이와는 겹치는 부분이 적을듯 합니다. 오히려 스테이블 코인들이 앞으로 어떻게 cbdc 랑 협조할지가 관건일듯하네요. 예를들어 usdt나 usdc는 실제 달러와 페깅되어 달러가 담보로 된 스테이블이기에 cbdc와 떨어지기 힘든 구조라고 봅니다. 파이는 일단 비트와 같은 탈중앙 암호화폐 성격이 강하죠. Cbdc가 생긴다고 비트가 없어지지 않듯이 파이도 나름 영향은 받겠지만 그건 그때 봐야할 문제정도이지..그 이상 그이하도 아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기다리던 굿뉴스! 감사합니다.
이더리움의 무기인 스마트컨트렉트를 우리 파이도 장착하게 되는군요ㅎㅎ. 기대됩니다 앞으로 다양한 파이기반 디앱들이 개발되겠네요. Defi 생태계 확장을 위한 강력한 무기 장착입니다. PI팅!
저도 감사드립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고급진 정보 감사합니다....스텔라루멘 코인도 보유중 이긴한데.. 장기로 바야겟네요 감사합니다.
존버는 승리입니다 ^^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새해부터 쉬지 않고 좋은 정보
공유.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은하루되세요
건행입니다
🤣👍👏👏👏👏👏💙
항상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실버버튼 넘어봅시다.
항상 응원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늘 고맙고 감사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새로운 공부를 할수 있어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저도 감사드리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좋은영상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굿 뉴스 ..... 감사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영삼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당ㅎ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_^
항상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도 항상 감사드립니다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영상 감사합니다~^^
새해인사도 아울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늘도 시청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새해 복마니 받으세요
저도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스텔라와 함께 파이가 대박나길!
대박 고고 !! 감사드립니다 ^^
항상 감사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항상 응원 감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더마르스가 이더리움 세컨드레이어인 매틱으로 출발하였는데 업그레이드시에 이더로 간다 했는데 파이로 업글하면 마르스도 파이도 대박날듯 하네요ㅎㅎ
이더 2.0이 성공적이라면 이더로 돌아갈 코인들이 많겠죠? 물론 미래에 끝까지 지켜봐야할 문제들이긴하군요 ^^ 감사드립니다
다오님도 새해복많이받으세요~^^
강현파파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정보 감사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궁금한게 몇개 있습니다
1.스텔라는 속도, 인식도 좋고 좋은 내용이 많은데 왜 가격이 낮은가요?
2.정부에서는 cbdc를 만들고 있는데 파이가 살아남을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저도 전문가는 아니기에 제 생각만 공유를 해보자면 코인 1개당 절대 가격만으로는 네트워크를 평가하기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발행량도 큰 영향이 있으며 1개의 루멘과 1개의 비트코인을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죠. 차라리 코인 전체 시총으로 그 네트워크를 판단하는게 그나마 더 논리적인 부분이 이닐까 싶습니다. 스텔라는 최근에 밀려났지만 원래 시총 10위권 안에 들던 메이져 알트이며 , 그레이스케일같은 메이져 투자기관도 항상 투자하고 있는 네트워크입니다. 즉 고래들이나 기관이 여태껏 투자해왔던 코인이란뜻은 펌핑이 없도라도 안정적인 코인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스텔라는 시대적으로는 1.5세대에 출시된 아주 오래된 코인입니다. 패러다임이 변하기전까지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해 총 발행량 조절에 실패한것도 이유가 있을것이고 스텔라의 선조격인 리플이 sec와의 법적 공방도 큰 문제일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리플과 스텔라의 차트는 아직까지 커플링입니다. ( 즉.. 스텔라는 리플 차트를 쫒아다니는 경향이 강하죠 )
리플이 결국 sec 와의 법정 공방에서 승리를 한다면 어느정도의 상승을 볼 수 있을듯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스텔라는 최근 행보에서
국가적인 신임을 얻고 있는 부분이 강합니다.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나고 쉽게 누구에 의해 중앙화가 되기 힘든 장점이 있죠.
아마 미래에 잡코인들이 다 죽어나도 스텔라는 살아남을 코인 몇 코인중 하나가 될 확률이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cbdc는 말그대로 정부 주도 전자 화폐이기때문에 파이와는 겹치는 부분이 적을듯 합니다. 오히려 스테이블 코인들이 앞으로 어떻게 cbdc 랑 협조할지가 관건일듯하네요. 예를들어 usdt나 usdc는 실제 달러와 페깅되어 달러가 담보로 된 스테이블이기에 cbdc와 떨어지기 힘든 구조라고 봅니다. 파이는 일단 비트와 같은 탈중앙 암호화폐 성격이 강하죠. Cbdc가 생긴다고 비트가 없어지지 않듯이 파이도 나름 영향은 받겠지만 그건 그때 봐야할 문제정도이지..그 이상 그이하도 아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PiNetworklover 긴글로 설명 감사합니다
오빵 너무 멋져요💕❤
헤헤 라엘님도 항상 감사드립니다 ^^
선댓글 후 시청♡
감사합니다 ^^
스텔라 동전주라는게 함정
ㅜㅜ 흑..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