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로 안타까운게 힙합만큼 자유를 사랑하는 장르가 없는데 왜 이렇게 장르 자체를 딱 자르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정말 아쉬운 현실입니다. 더 자유롭게 탐색하고 멍청한 대중들 이라고 욕하는게 아니라, 한국식으로 로컬라이징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이번 맨스티어의 개그 + 힙합 이라는 장르의 결합 시도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대중성을 챙기기 좋고 파급력도 훨씬 크니까요. 실제로 해외에서도 여러 장르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서 음악에 대중적인 개그 코드를 넣는건 흔한 수법이구요. 문제는 장르팬들 입장에서는 이런 대중화가 문화나 장르에 대한 조롱거리로 들릴 요소도 분명히 있기에 어떻게 될 지 흥미진진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힙합씬이 대중화에 성공해서 쉽게 멋지고 즐거운, 즐길 수 있는 더 건강한 음악이 되면 좋겠습니다.
전 진짜 차마 듣기 힘들었네요.. 힙합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이게 21세기에 나온 힙합 곡이 맞는가 라는 의문이 들정도로 충격적인 구림을 선사했습니다. 특히 탁은 안쓰러울정도로 요즘 힙합 래퍼들의 실력이랑 차이가 너무 벌어져있다는 생각이 들었고...그외 래퍼들도 (특히 던밀스) 어떻게 이런 쓰레기 랩을 할수 있는지
정말로 안타까운게 힙합만큼 자유를 사랑하는 장르가 없는데 왜 이렇게 장르 자체를 딱 자르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정말 아쉬운 현실입니다. 더 자유롭게 탐색하고 멍청한 대중들 이라고 욕하는게 아니라, 한국식으로 로컬라이징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이번 맨스티어의 개그 + 힙합 이라는 장르의 결합 시도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대중성을 챙기기 좋고 파급력도 훨씬 크니까요. 실제로 해외에서도 여러 장르 음악의 대중화를 위해서 음악에 대중적인 개그 코드를 넣는건 흔한 수법이구요. 문제는 장르팬들 입장에서는 이런 대중화가 문화나 장르에 대한 조롱거리로 들릴 요소도 분명히 있기에 어떻게 될 지 흥미진진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힙합씬이 대중화에 성공해서 쉽게 멋지고 즐거운, 즐길 수 있는 더 건강한 음악이 되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말이 정답이네요..좋으면 그게 다지..뭐가 또 필요한가..
소... 솔직히 힙합이란 문화를 위해서 어떠한 형태로든 기여하고자 하는 사람 모두 힙합이라 생각해요..긁적
처음에 들었을 때 비트가 계속 바뀌어서 어색했는데
듣다보니 비트에 맞게 분배해서 몰입도가 더 높아지는것 같음
아니 근데 솔직히 사람들 지들이 할것도 아니면서 남 랩실력 평가하는거 보면 빡침 아니 나는 다 좋은데(릴땀빡이 흐름을 좀 깨긴 했지만) 심지어 포이즌은 빈지노라는 귀한사람한테 잘한다고 평가 받았는데 빈지노 안됄 방구석에 쳐박힌 놈들이 나와서 "못한다"이러는게 진짜 빡쳐
퐁각쟁이 리믹스도 있습니다
탁 스나이퍼 디스한걸 뺐노..
다 좋은데 릴딱밤은 낄때 끼자
뭔 개소리야. 릴이 한건한 리믹인데.
@@Zam-zam-1891 뭔소리노
@@이훈-m6u8k 여러분 난독아 여깄음 ㅋ
걍 재밌으라고 만든거잖아 싫으면 보지마ㅋㅋㅋ
가리온이 참여 안해서 무효입니다.
속사포를 랩으로 안치는데 ㅋㅋ 에미넴은 goat란다 ㅋㅋ
전 진짜 차마 듣기 힘들었네요..
힙합이고 아니고를 떠나서 이게 21세기에 나온 힙합 곡이 맞는가
라는 의문이 들정도로 충격적인 구림을 선사했습니다.
특히 탁은 안쓰러울정도로 요즘 힙합 래퍼들의 실력이랑 차이가 너무 벌어져있다는
생각이 들었고...그외 래퍼들도 (특히 던밀스) 어떻게 이런 쓰레기 랩을 할수 있는지
님보단 잘하니 들어봐요
던밀스가 구렸다고? 그럼 이 곡에서 누가 제일 좋았음?
그럼 님이 랩해보셈 랩해서 유튜브에 올려보셈 니가 국힙 먹음? 랩 할줄도 모르는게 이러네 니보단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