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160 정도의 구속 기준, 투수의 손에서 공이 나와 홈까지 도달하는데 약 0.4초 소요됨. 타자는 배럴을 돌리는 기계적인 시간이 있기에 실질적으로 투수의 손에서 공이 떠난 직후 0.15초 안에, 어느 코스로 어떤 구질의 공이 올테니 나는 스윙을 내겠다 혹은 말아야겠다를 판단함. 하이패스트볼은 이 0.15초 동안 타자의 본능을 극도로 자극하는 공임. 첫번째는 피치터널 - 투수의 피칭디자인이 훌륭하다면, 타자 입장에서는 이 공이 뚝 떨어지거나 휘어나가는 브레이킹볼일지, 느리게 살짝 가라앉는 오프스피드볼일지, 마지막에 약간 감기는 변형패스트볼일지, 아니면 걍 그대로 날라오는 패스트볼일지 구분이 안됨. 그냥 자신의 감과 그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윙을 낸다고 봐야 함. 특히 패스트볼의 회전수가 좋은 돌직구형 투수일 수록 다른 투수들의 패스트볼 대비 중력에 의한 낙차가 줄기 때문에, 타자 입장에선 마치 공이 마지막에 위로 떠오로는 듯한 착시를 느끼고, 흔히 이를 라이징패스트볼이라고 부름. 두번째는 ㄹㅇ 사람의 본능임. 눈과 가까운 위치로 직선적인 궤적의 공이 날아오면, 사람은 본능적으로 배트를 내게 되어있음. 머리로는 이게 하이패스트볼이니 속지 말아야 한다고 알면서도, 몸은 어쩔 수 없이 배럴을 돌려버림. 특히 어떻게든 삼진을 피하고 싶은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하이패스트볼에 헛스윙이 자주 나오는 이유임.
웃긴 인간이네 한국 야구수순이 이정도만 해도 대단 한거다 고교 야구가 대학 합처도 100개도 안됨 일본 4천개 미국은 말할것도 없음 스포츠는 투자없이 발전 없음 실력이 떨어져도 재미 있으면된다 야구 관중이 늘어난 이유가 실력을 떠나 잼나니까 보는거음 가족 스포츠로 인정하는 분위기임ㆍ
갠적으로 이런 캠 진짜 너무 맘에든다
ㄹㅇ 이런캠 사랑스러움
@@olbeelzebubs4576왜그러고 사세요?
@@olbeelzebubs4576자기 부모가 대가리 깨져서 생긴 방어기제를 드러내노
@@olbeelzebubs4576ㅋㅋㅋㅋㅋㅋㅋㅋㅋ 누가 낳았길래 이러나
@@olbeelzebubs4576진심 위압감이라고는 좆도 없는 협박이네 ㅋㅋㅋ
하이패스트볼이 mlb에서도 유행하던 이유가 있음. 종으로 떨어지는 변화구가 많아지니 하이패스트볼의 위력이 어마어마해짐.
심판이 경기 제일 재밌게 보고있었네
오타니 바티스타 공 포수뒤에서 바라보는 심판은 어떤 느낌일까
딱 맛있어보이게 날아오네..선구안 좋아서 맨날 볼넷 골라나가는 냉정한 타자들은 도대체 눈이 얼마나 좋은거야
ㅋㅋㅋㅋㅋㅋㄹㅇ 큰거한방 노리는 선수들한테 하이볼은 너무 맛있어 보이게 들어온닼ㅋㅋㅋ
하패도 떨공도 속을만하니까 속는거지 화면만 보고 타자들 너무 욕하지말자ㅋㅋ
야구해보면 알지만 하이패스트볼 빠르게 들어오면 눈 앞에서 확 들어와서 방망이 나감
컴투스 v24만 해도 잘 알게됨
@@qwe22517이건 ㅈㄴ ㅇㅈㅋㅋㅋㅋㅋㅋ
@@qwe22517 ㄹㅇ 존나 몰린 배나구같애서 들어갔는데 몸쪽 아래로 쓰윽 빠짐
@@qwe22517하패 연속2번이 진짜 개빡침 머리는 스탑하라는데 손은 눌러지고
티빙 초반엔 욕먹었는데 요즘엔 되게 괜찮네
방송사에서 하는거임 티빙은 하는거 ㅈ도 없음
@@user-sy5sv8ux3p 이거 캠 티빙에서 준비한건가봐요 방송에서 계속 말하던데..
티빙 슈퍼매치 캠이라 티빙이 잘한 것
@@user-sy5sv8ux3p저거 티빙에서 한거임 알고 말을 합시다
슈퍼매치는 따로 해설하는것같던데?
원하지않으면 방송사로 넘길수있고
포수가 요구한 곳에 진짜 칼같이 넣네 제구력 진심 볼때마다 감탄나온다
이건 속아야지 ㄹㅇㅋㅋ
투수 손을 떠난 공이 미트에 도달하는 시간이 0.4~0.5초인데 투수가 다리를 드는 순간 타격을 시작해서 0.4~5초안에 공을 파악하고 휘두를지 말지 결정하고 때려내야하는거라 고도의 집중상태에서 갑자기 눈앞으로 공이 오면 휘두르는거지
프로선수는 공을 보고때리는게아니라 구질예측해서 때리는거임ㅋ
@@fuyfjuff666 그 말도 맞고 보고 때리는 경우도 있죠.
한번이라도 배트 휘둘러보면 이해는함 ㅋㅋ 그래도 화나는건 어쩔수없더라
좀 더 심화과정으로 보면 2스트라이크에 떨어지는 변화구에 속지 않으려고 낮은 공은 아예 버린다는 생각으로 존 설정을 높게 해놓고 있다 보니 저런 높은 공에 나가는거
진짜 잘하는 선수는 보고 때립니다
와 이 카메라구도 MLB 한국왔을때 쿠플에서 엄청 좋게봤는데 앞으로 더 확대됐으면 좋겠다
와 손 놓는게 진짜 잘 안보이네요
김서현이나 문동주같은 150 후반 선수 직구도 심판캠 시점으로 보고싶긴 하네요
손호영 개억울한 표정 개웃김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 이제 kbo도 이런 카메라 쓰는건가
아직까진 티빙 슈퍼매치에서만 쓰는거 같아요
갓빙 ㄷㄷ
@@겐지스강정보)근 쿠팡플레이에서 먼저 했던거다
@@qqqy-t4u메이저에서 먼저하던거
@@qqqy-t4u정보ㄱ
이제 다시는 하이 패스트볼 헛스윙하는 선수를 욕하지 않겠습니다… 바로 납득이 가네…. 나성범 선수 그동안 욕해서 미안합니다^^
나스타 떨공 하패볼 못참는다고 맨날 욕해서 미안해.. 이러나 저러나 3할 근처 도달한거 축하합니다.... ㅎ
@@tngusdl2u64떨공은 처내서 홈런 처주잔아
마지막에 손호영이 쳐다보는거 커엽네
심판 시점 와 너무좋아 계속 보여주세요
150~160 정도의 구속 기준, 투수의 손에서 공이 나와 홈까지 도달하는데 약 0.4초 소요됨.
타자는 배럴을 돌리는 기계적인 시간이 있기에 실질적으로 투수의 손에서 공이 떠난 직후 0.15초 안에, 어느 코스로 어떤 구질의 공이 올테니 나는 스윙을 내겠다 혹은 말아야겠다를 판단함.
하이패스트볼은 이 0.15초 동안 타자의 본능을 극도로 자극하는 공임.
첫번째는 피치터널 - 투수의 피칭디자인이 훌륭하다면, 타자 입장에서는 이 공이 뚝 떨어지거나 휘어나가는 브레이킹볼일지, 느리게 살짝 가라앉는 오프스피드볼일지, 마지막에 약간 감기는 변형패스트볼일지, 아니면 걍 그대로 날라오는 패스트볼일지 구분이 안됨. 그냥 자신의 감과 그동안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윙을 낸다고 봐야 함. 특히 패스트볼의 회전수가 좋은 돌직구형 투수일 수록 다른 투수들의 패스트볼 대비 중력에 의한 낙차가 줄기 때문에, 타자 입장에선 마치 공이 마지막에 위로 떠오로는 듯한 착시를 느끼고, 흔히 이를 라이징패스트볼이라고 부름.
두번째는 ㄹㅇ 사람의 본능임. 눈과 가까운 위치로 직선적인 궤적의 공이 날아오면, 사람은 본능적으로 배트를 내게 되어있음. 머리로는 이게 하이패스트볼이니 속지 말아야 한다고 알면서도, 몸은 어쩔 수 없이 배럴을 돌려버림. 특히 어떻게든 삼진을 피하고 싶은 2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하이패스트볼에 헛스윙이 자주 나오는 이유임.
쁑~~~~~~~~~ 이랑 싱크 완벽히 맞는거 ㅋㅋ
와 게임에서만 보던 류현진 폼 타자입장으로 보니까 ㅈㄴ공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공 개무섭게 날라오네 와...
학생 때 야구 한 번이라도 해봤으면 앎. 진짜 내 눈높이로 오는 공이 가장 치기 좋아보임. 나도 생애 첫 하이 패스트볼 휘두르고 놀랐던 감정을 아직도 기억함. 포수 공잡는 위치 보고 '내가 저런 공을 휘둘렀다고?' 싶었음ㅋㅋ
와 이각에서 보니까 ㅈㄴ 재밌다.. 화질만 좋아지면 진짜 대박일듯요👍
투수뒤편에서 보면 저걸 왜 휘둘러?하겠지만
타석에서 보면 볼로 보이는 하이패스트볼 같은 경우 본능적으로 휘두르게 되있음
초구여도 움찔하게 되는데 카운트 몰려있으면 알고 있어도 당하게 됨
티빙 유일하게 이건 맘에드네
더쇼 같은거 해보면 높은빠른공이 내쪽으로 날아오는것 같아서 본능적으로 휘두룸
야구게임 해보면 훨씬 더 체감 됨 ㅋㅋ 분명 높다는 걸 아는데 몸이 반응함 걍
ㅇㅈㅋㅋ
사회인야구에서 보통 구속이 100~110정도 나오는데 떨공삼은 거의 안나오지만 높은공 스윙은 빈번히 나옴
ㅇㅈㅇㅈ ㅋㅋ ㅋ더쇼해보니
다속아서 나도 선풍기더라 ㅋㅋㅋ
새삼스레 공보고공치는 대호형님이 그립네
공은 진짜 속도만큼 중요하다는 회전수가 얼마나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영상
와 정면에서 보니까 류현진 선수 디셉션 엄청 좋네요?? 눈 깜짝할새에 공이 뿅하고 나오네 ㅋㅋㅋㅋㅋ
개쩌는 디셉션 컨트롤 커맨드로 구속이 평범함에도 메이저리그에서 10년을 넘게 살아남음 ㄷㄷ
티빙이 들어오고나서 모든 게 다 좋아지네
진짜 구위에 있어서 피치터널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네.... 160 던져도 작대기에 나던져요~ 하고 알려주면 뻥뻥 나가는데 140 초반 던져도 디셉션 좋고 회전율이 좋으면 방망이가 헛도는 이유...
낮은공에 초점 맞추고 있는데 생각지도 못한 높은공 들어오면 대부분의 타자들은 움찔하면서 나가게 되어있음.
감이 좋거나 매우 훌륭한 타자나 참아낼수 있는거고
야구 해본사람은 알겠지만 눈은 위에있고 팔은 밑에있는걸 알면서도 매력적인 하이패스트볼은 본능적으로 배트가 나감
류현진이 사기인게 저 디셉션에 모든구종 피칭터널이 일정하다는거
속는 경우는 첫 번째로 직구면 무조건 때린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을 때,
두 번째는 자기도 모르고 배트가 나올 때
세 번째로 변화구랑 헷갈렸울 때
마구마구도 이런거 속는데 실제로 타석에 서보면 그냥 나도 모르게 배트가 나감 ㅋㅋㅋ
같은 스피드라도 볼의 회전과 제구가 제대로 되어 들어오는 볼은 쉽게 못친다더니 류현진이 딱 그런 듯. 저 나이에 저 정도 볼이라니 괴물이 맞긴 하네요.👍
성범이형 이거 전문인데 다시보니 대단한거같다..
류현진 특유의 투구폼인 공을 숨기다가 발사하는 느낌이 잘 담겨진 영상이네요.
캬 야구 캠 많이 좋아졌네 ㅋㅋㅋ
아니 근데 저거보다 다른영상 보니까
류현진은 모든 구종에서 공이 나가는 위치가 같음
타자입장에선 지옥임
공이 눈높이로 들어오면 반사적으로 배트가 나감 그래서 가끔 머리쪽으로 높게 들어오는 공에도 안피하고 배트 나가는 이유가 어쩔 수 없는 반사신경 때문임
사회인 야구 구속 100키로 수준일경우 칠수는있어서 도끼타법 많이 나오죠 사야는 ㅋㅋ
강풍기야 미안하다.. 속을만하다…
야구 해보면 알겠지만 하패 들어오면 눈이랑 가까워서 칠 수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겨서 돌리는거임ㅋㅋ
류뚱 10승 🎉🎉
저런 직구만 날아오는 것이 아닌 저 위치에서 갑자기 떨어지고 옆으로 휘고 별 난리를 치며 오는 공들을 타자가 쳐서 파울라인 안쪽으로 9명의 수비수를 뚫고 빈 공간에 쳐야 안타가 되는 운빨 ㅈ망겜
다 운빨이라고 하기엔 괜히 잘치는 타자들과 못치는 타자들이 나눠지는게 아니죠
정타가 아웃이 되고 빗맞은 타구가 안타가 되는 운빨이 작용하긴 하지만..그래도 노력과 실력에 따른 차이는 분명히 난다 운빨ㅈㅁ겜이라고 폄하할수없음
본인만의 존 설정하고 구질예측해서 기술적인 타격하는 선수가 그래서 천상계지
처음에 올 때는 칠만한 코스로 슬슬 오는 거 같은데 갑자기 눈 앞까지 와있네..
타석에 서보면 알 수 있음 높게 들어오면 눈하고 가까워서 본능적으로 나가게 됨 문제는 눈하고 가까운 코스는 타자가 힘을 쓰기 좋은 코스가 아니라는 것
2스트라이크 이후에 타자들은 자신만의 스트라이크존을 넓힘 스트라이크 비슷한 공들은 다 커트해낸다는 생각을 함 그러다가 눈높이로 들어오는 하패에 속을 수 밖에 없음 떨공삼도 마찬가지
와 타자시선에서는 이건 스윙 안하고 어케 버티냐
진심 이거다 이건 휘둘르면 장타다 맛도리공 느낌이네 ㅋㅋㅋㅋㅋㅋㅋ
실은 첨엔 맛나 보이는데 각이랑 회전 속도등이 마지막까지 살아나니 어려운거..
이시점 캠 볼때마다 되려 치는게 더신기함 ㅋㅋㅋㅋ 아웃되더라도 저걸 어케 빠따 휘둘러서 맞추는건지
일반인들은 저기 타석에 서면 무서워서 다 도망감. 야구선수들 대단한거임
류랑해
평균 익스텐션 1.85를 뺀 16.59m를, 시속 145km로 홈플레이트를 통과하는 0.41초의 시간 안에 히팅포인트까지 도달하기 위해 몸을 움직여야하는데, 그에 앞서 직구/변화구, 스트/볼, 스윙/노스윙 판단까지 즉시 해내야함
커브나 슬라이더처럼 꺽일것 처럼 하다 훅 들어오네요
심판캠 좋다
높은 공에 베트가 나오는 이유는
눈에 공이 잘 보이기 때문입니다.
저 잘보이는 공을 참아야죠.
심지어 저것도 선수 바로 앞 시점이 아님 이 카메라도 포수 시점으로 앞으로 오는거지 선수는 공이 옆으로 가는걸 봄
진짜 먹음직스럽게 날라오네. 저러니 방망이가 나가지...ㅡㅡ
보통 변화구 던진 후에 높은공을 던지지
저렇게 높은데 왜 스윙하냐고 욕했는데....
빠따라도 안휘두르면 뒤질거같네..ㅋㅋ
고영표 서체도 저렇게 보고싶당
하이 패스트볼은 류현진이 그나마 오버핸드라 저 정도지 팔 각도가 낮을수록 분간이 안된다 함
치고싶은 높이 눈에 잘
띄는 높이 ㅋㅋ
류현진 18~20시즌 때 참 묘했던게 MLB 평균 이하의 구속, 회전수에 낮은 회전효율을 가진 패스트볼로 하이존을 꽤 자주 공략해 들어갔는데 다 헛스윙 ㅋㅋ
화면 상으로는 안보이겠지..공이 점점 눈에 가까워 지면 질 수록 뭔가 치기 좋게 보이는가 그런거 아니겠나
눈높이로와서 잘보여서 칠수있을듯 하지만
눈에보였을때는 이미타이밍늦음
이 시점에서 보니까 진짜 공이 손에서 나오기전까지 아예 안보이네
눈에 가까울수록 속기 쉽지
부드럽다 부드럽다 말만 들었지, 진짜 힘 하나 안 들이고 쉽게 던지네
공은 보이는데 반응하려고 하면 공이 이미 포수 미트 속이네
휘두를만한 거 같기도 하고 아닌 거 같기도 하고 ㅋㅋㅋ
타석에 서 봐라 포크볼은 직구 처럼 오다가 사라진다 스윙할때쯤 떨어지지 엥 이게 왜 안맞지 생각 든다
야구해본사람들은 알겠지만 하이패스트볼이야말로 타자가 칠 수 없는 최강의 공이다
유희관 공같음 ㅋㅋ
떨어지는공 잘던지는 선수가 하이패스트볼 잘 통함
저걸 어케 참어ㅋㅋ
공이 갑자기 나타나네ㅋ지금도 이정돈데 전성기 150 던질땐 진짜 개지렸겠다ㅋ하긴 메이저에서도 수술전 93마일 이상 던지는날엔 퀄스 밥먹듯이 할 정도였고 94~95찍는날은 완투완봉각이였음ㅋ
저거 완급조절하느라 슬슬 던진 거 같은데..
피칭터널이라 해야하나 저 코스에서 체인지업 슬라이더도 같이 들어오니 손호영같은 게스히터들은 어쩔수가 없는듯
0.4초0.5초만에 저런걸 어떻게 홈런을치냐 진짜 과학적으로는 말이 안된다
사야 한경기라도 한타석이라도 들어가보면 앎 ㅋㅋ 눈높이 공 ㅈㄴ 맛돌이임 눈앞에 날라오니 ㅈㄴ 쳐내고 싶음
진지하게 크보는 더블a수준이맞다
트리플에이급만되도 저정도는 난타맞는다
더블a경기 안보시나본데 트리플에이보단 확실히 낮고 더블에이보단 높습니다..
웃긴 인간이네 한국 야구수순이 이정도만 해도 대단 한거다 고교 야구가 대학 합처도 100개도 안됨 일본 4천개 미국은 말할것도 없음
스포츠는 투자없이 발전 없음
실력이 떨어져도 재미 있으면된다 야구 관중이 늘어난 이유가 실력을 떠나 잼나니까 보는거음
가족 스포츠로 인정하는 분위기임ㆍ
먼 개소리야 일본애들도 달빛말곤 못해본 사이영 2등 3등한 선수한테 ㅋㅋㅋ
트라웃도 못치는 공인데?ㅋㅋ
야구해보면 특히 불리한 카운트 하이패스트볼에 정말 구위, 구속이 좋은 투수에게 나가게 되는데..솔직히 카메라는 체감 안되네 ㅋㅋ
사회인 야구에서도 제구좋은 분들은 하이커브로 카운터잡고 하이패스트볼던지는데 진짜 빠따 나갈수밖에없다 류현진공은 어캐참냐 도대체
영상 몇번보니 일단 빠따 타이밍 자체도 많이 늦음 커브를 노렸다는건데 안떨어지니 높은 직구에 나올수밖에 없지,,,
디셉션 ㅈ되네 진짜 ㅋㅋㅋㅋㅋ
수직무브먼트가 뇌의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라죠?
눈 앞에 주먹이 날라오면 자동적으로 가드를 올리잖아
선수들이 바로앞에서 던지는거 같다고 말하는게 무슨 느낌인지 알거 같네
하패볼은 칠수있을 것 같으면서도 못친다 ㅋㅋㅋㅋㅋㅋㅋ
야구 한 번이라도 제대로 해봤으면 하이패스트볼에 왜 속는지 바로 알게 됨ㅋㅋㅋㅋ (물론 프로 선수들 공만큼은 아니지만)
실제로 타석에 서면 저거 두배임
문동주 시점도 궁금하다
박찬호 라이징 패스트볼은 더 힘들겠네.
솔직히 속는 선수만 맨날속는다
아니 그거보다 제구가 ㅁㅊ... 그냥 쏘옥하고 들어가네
걍 하이패스트볼은 ㅈㄴ 치고싶게 날라옴
해설들도 머리높이로 오는 공이 가장 참기 힘들다고
항상 얘기하는데 저런거에 스윙한다는 애들 보면
참 답답함
공 던질 때부터 개높다고 느껴지는데;;;;
나도 야구나 할 걸~~~
저게 떨어지는건 예상 안하지? ㅋㅋㅋ
@@hasito234 안 떨어졌는데? 븅신인가?
@@user-sh7ks9wi9i븅.신아 슬라이더 커터 계열은 저상태에서 떨어져서 스트존상단에 꽂힌다고 기본적인 야구지식도없으면서 까부냐 직구만 던지면 일반인도 훈련되면 치지. 변화구 섞여들어오면 지옥임
이거 심판캠 같은데 다른 선수들도 있을겨 같은데요?
그리고 누가봐도 볼인데 왜 휘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