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서동요의 진실. 서동의 진짜 정체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76

  • @11월에만난휘성
    @11월에만난휘성 4 роки тому +8

    삼국유사 읽고 강의 들으니 재미가 만배 청화수님 강의 듣고 집에서 삼국유사 찾아서 엄청 기쁨

  • @순수소년-y3w
    @순수소년-y3w 5 років тому +9

    항상 재미 있게 잘 보고 있습니다 ^____^

  • @구름-w5s
    @구름-w5s 2 роки тому +20

    대왕릉 치아가 최근 무왕의 것으로 판명되었습니다. 정말 신비합니다 ㅎㅎ 이후 서동요 진실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지길 기대합니다.

  • @숲-y8n
    @숲-y8n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잘들었습니다. 드라마에서
    봐서인지 이해가 더 빠르네요.

  • @사과-o9y
    @사과-o9y 7 років тому +7

    처음 듣는데 재밌네요 이해하기 쉽게 말씀 해주시네요•••••꾸벅~~

  • @15platina
    @15platina 6 років тому +11

    만약에 삼국유사에 나온 내용대로 선화공주가 정말 진평왕의 셋째딸이고 무왕과 결혼해서 의자왕의 어머니라는 것이 사실이라면 진평왕과 마야부인은 장인장모,무왕은 진평왕의 사위고 의자왕은 진평왕의 외손자가 되는건데...문제는 선화공주의 실존여부가 불분명하다는 겁니다.하지만 선화공주, 혹은 사택왕후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익산쌍릉의 소왕묘가 있긴 한데 대왕묘는 이미 무왕의 묘로 확정됬고 소왕묘도 곧 발굴될 예정이라네요.

  • @galgeun2941
    @galgeun2941 7 років тому +10

    청화수님 항상 좋은 컨텐츠 잘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재밌는 영상들 많이 올려주세요!!

  • @seouh1
    @seouh1 7 років тому +27

    일본에도 비슷한 설화가 있어요...기억이 희미하긴 한데...공주는 아니더라도 히메가 숯을 굽는 천한 남자와 결혼을 합니다. 근데 숮굽는 터에서 다량의 황금을 찻는 부분은 서동설화와 뒷부분이 거의 100% 일치합니다....바보온달 이야기도 그렇고...동아시아 지역에 신분낮은 남자가 신분높은 여자가 결혼해서 입신양명하는 민담이 널리 퍼져있었던 것 같습니다.

  • @treepark1783
    @treepark1783 7 років тому +3

    항상잘듣고 있어요 그다음 체어킹 이야기 기대많이하고 있습니다

  • @imnlee
    @imnlee 2 роки тому +2

    택배 라는 표현 뜬금 없지만 넘 웃기네요🤣

  • @IlIlIlIIl1j
    @IlIlIlIIl1j 6 років тому +5

    항상 재밋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재문-p9l
    @이재문-p9l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손민아-o3u
    @손민아-o3u 4 роки тому +3

    여러 가지 설이 있네요

  • @울온
    @울온 4 роки тому +7

    조선상고사 꼭 읽어보고싶네요~ 청화수님 감사합니다 잘봤어요 ^^

  • @CATAPHRACT2020
    @CATAPHRACT2020 7 років тому +4

    재미있는 이야기 감사합니다.

  • @williamkim2941
    @williamkim2941 7 років тому +3

    청화수님 잘봣습니다, 리키이시님 감사합니다

  • @룩-r6e
    @룩-r6e 7 років тому +10

    백제는 기록이 많지않아 꽤 호기심을 가지고있는데 이런 자료 감사드려요 ㅎㅎ

  • @JCST-TV
    @JCST-TV 5 років тому +5

    사자사는 미륵사지 뒷산 미륵산 중턱에 지금도 있습니다.
    미륵사 못을 매울때 미륵사 스님이 도움을 준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kiesofdream
    @kiesofdream 4 роки тому +10

    조선상고사 기록에 의한다면 성왕사건(?) 이후 사이가 나빠진 두 나라 사이에서 무왕이 승부수를 던졌다고 보네요.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어도 대박일 듯. 명확한 기록은 없지만 생각해보면 꽤 설득력도 있어 보여요. 신라의 사위가 되는 무왕의 아들 의자왕과 당나라를 끌어드린 또 다른 사위 김용춘의 아들 김춘추의 왕좌쟁탈전.

    • @백현민-p8s
      @백현민-p8s Рік тому

      이미 8년전 sbs에서 저 서동 선화공주 일화를 배경으로 만든 드라마 서동요 방영했었어요

  • @nohkw88
    @nohkw88 6 років тому +20

    선덕과 선화가 신라왕위를 놓고 싸웠을 수도 있겠네요. 그래서 선화가 백제로 망명해서 무왕과 결혼해서 신라를 공격했을 가능성도 있네요.

  • @Jogakbo
    @Jogakbo 5 років тому +4

    뼈 감정 결과 다시 나왔대요! 그 뼈가 여성이 아니라 남자, 무왕이라고 기사 본 것 같아요!

  • @꼭두각시-t2k
    @꼭두각시-t2k 25 днів тому

    자신의 입맛에 맞아야 사실의 가치를 높여주는 시대의 몰지각성도 큰 문제인것 같군요................환절기 늘 건강하시길......

  • @JohnnieJHYun
    @JohnnieJHYun 7 років тому +15

    확실히 고증된 기록 정사가 없으니....고민이군요..
    상상력만 난무할뿐....

  • @이재림-f5g
    @이재림-f5g 7 років тому +7

    백제멸망에 관한 이야기 하실때 예식진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나요? 예식진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 @청화수
      @청화수  7 років тому +5

      네 꼭다루도록 하겠습니다.! 핵심적인 테마이죠!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dltlfn
    @dltlfn 3 роки тому +1

    일리가 있네요 당시 신라에서 여왕은 없었지만 사위가 왕이 된 선례는 있으니까 무왕이 그걸 노렸을수도

  • @dhy6812
    @dhy6812 6 років тому +30

    도굴만 안됐더라면 우리 고대사의 틀이 잡힐텐데 추측만하는 현실이 ㅈ같을따름이다

    • @LL-yo3ik
      @LL-yo3ik 3 роки тому +1

      어느나라 역사든 마찬가지임

  •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 3 роки тому

    부여에 가면 부소산이 있는데 한자로 소정방을 도운 산이란 뜻이 됩니다.. 이것 한번 다루어주세요

  • @tealimkim7556
    @tealimkim7556 7 років тому +4

    재밌어요ㅋ

  • @15platina
    @15platina 6 років тому +8

    진평왕의 딸인 덕만공주(선덕여왕)가 왕이 될 수 있었던 진짜 이유는 성골남자가 없어서 입니다. 신라에는 골품제라는 신분제도가 있었거든요. 천명공주의 아들인 김춘추(태종무열왕)가 왕이 되기 전까지는 성골만 왕이 될 수 있었어요. 진덕여왕 이후에는 성골이라는 골품이 사라졌습니다.

    • @송기증
      @송기증 3 роки тому +1

      무왕이 성골이지요^^ 사위이면서~~~

  • @그리운길
    @그리운길 7 років тому +7

    《삼국유사》김유신는 경명왕) 10년(835년),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존되어 사후 왕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三國史記 卷第四十一 列傳 일찍이 [김] 서현 이 길에서 입종 (立宗) 갈문왕(葛文王)의 아들인 숙흘종 (肅訖宗) 의 딸 만명 (萬明)을 보고 마음속으로 기뻐하면서 눈짓으로 그녀를 유인하여 중매를 기다리지도 않고 정을 통하였다. [김] 서현 이 만노군 (萬弩郡) 태수(太守)가 되어 장차 함께 떠나려 하자, 숙흘종 이 비로소 딸이 [김] 서현 과 야합한 것을 알고서 이를 미워하여 별제(別第)에 가두고 사람들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註 004] [그런데] 느닷없이 벼락이 옥문(屋門)을 쳤고 지키던 자가 놀라 우왕좌왕하자 만명 은 뚫린 구멍을 따라 빠져나와 마침내 [김] 서현 과 함께 만노군 에 다다랐다.
    법왕(法王, ? ~ 600년 5월, 재위: 599년 ~ 600년 5월)은 백제의 제29대 국왕이다. 재위기간 중 불교(佛敎)를 숭상하여 사비에 미륵사를 짓게 하였다...즉,, 서동요는 김서현 과 만명부인의 얘기가 와전 된 걸로 봐야죠....

  • @spitz2
    @spitz2 7 років тому +5

    선댓글후감상3등~

  • @dongwonrhee8300
    @dongwonrhee8300 7 років тому +3

    청화수님 재밌게 잘 보고 있는데...최근 영상들이...마이크가 너무 가까우시거나 음량 조절을 잘못하신듯 싶어요...peak level이 넘어가서 찢어지는 소리가 납니당ㅠㅠ

    • @청화수
      @청화수  7 років тому

      Dong Won Rhee 저런..그건 몰랏군요 각자 스피커 상태에 따라 다른걸까요 전 괜찬은데.. 일단제가 녹음한 후에 팟인코더로 소리를 증폭하거든요 소리가 작다고 하신분들이 계셔서요 뭔가 소리를 크게 할 다른 방법이 있을지요? 혹시 잇으면 알려주시면 그대로 하겟습니다

    • @dongwonrhee8300
      @dongwonrhee8300 7 років тому

      청화수님의 녹음환경을 모르고, 팟인코더를 안써봐서 증폭부분은 모르겠네요...일반적으로 많이들 쓰는 베가스나 사운드포지를 쓰는경우 사운드를 amplified할때 피크레벨이 보여요.... 피크레벨이 넘어갈 경우 normalize를 하기도 하구용... 근데 다른분들 댓글이 없는걸 보니.... 제 앰프를 점검해봐야겠네용...

    • @청화수
      @청화수  7 років тому +1

      정말 감사합니다. 근데 제가 영상쪽을 워낙 잘 몰라서요. 혹시 베가스에서 피크 레벨이 넘어가지 않으면서도 소리를 증폭하는 방법이라는 게 있는지요. 아니면 그런 설명이나 강좌를 어디서 볼 수 있는 곳이 좀 있을가요? 알려주시면 공부해서 들으시는데 불편없도록 해보겠습니다. 바쁘셔서 못알려주셔도 제가
      스스로 또 공부해보도록 하겟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 @HEAVENINTHESTREET
      @HEAVENINTHESTREET 7 років тому

      청화수님, 소리 증폭은 후처리로는 엔간해서는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봐야될 것도 많고 적당히 증폭을 시켜도 노이즈가 심해지거나하는 부작용이 많습니다.
      녹음하실 때 상황이 나쁘지 않으시면 그냥 입력 그대로 출력하시는게 좋습니다.
      그전에도 소리가 작다거나 하는 불편함은 없었거든요.
      소리가 작다고 느껴지면 듣는 분들이 볼륨을 키우면 되고요,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리 없는 앰프를 쓰고 있어서
      아마 대부분 저랑 비슷한 상황이실 거 같은데,
      음질의 비중이 크지 않고 내용이 좋다보니 대부분 그냥 들으시는 것 같습니다.

    • @청화수
      @청화수  7 років тому +2

      네 사실 그게 저도 후처리 증폭이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고 하고 싶어서 하는게 아니라 강한 요청이 역시 있으셨습니다. ㅠㅠ 소리를 매우 크게 키워달라는 요청이 있으셨거든요. 중간중간에 애드가 들어가는데 그 소리가 너무 크기 때문에 듣다가 제 원방송 소리가 낮으면 그거 떄문에 깜짝 깜짝 놀래실 수밖엔 없다는 거죠. 특히 주무시면서 듣는 분들이 그에 대한 고충을 강하게 제게 피력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도 번거롭지만 부득이 증폭을 안할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양쪽 분들의 니즈가 완전히 서로 달라서 저도 참 괴롭네요...저도 영상 제작에 문외한이라서 공부를 해보고는 있는데 참으로 어렵네요.. 공부 자료 찾기도 어렵구요... 여튼 정말 죄송합니다..

  • @saeng7358
    @saeng7358 5 років тому +5

    안는다는것은 잠자리를 한다는뜻 아닌가?
    끌어 안고 하니까

  • @user-gd8em3gj4k
    @user-gd8em3gj4k 7 років тому +10

    유사도 사실 못믿을 사실이죠 저는 전체적으로 국사를 다시 연구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꿈같은 이야기 이죠

  • @xxelsanti5086
    @xxelsanti5086 6 років тому

    I need english subtitle, so interesting

  • @강승현-k8s
    @강승현-k8s 4 роки тому +4

    서동이 잘생겻엇나보네~!

  • @codnjs0895
    @codnjs0895 5 років тому +2

    서동이 신라 왕의 신임을 얻었는데 어케 백제의 왕이 된거죠????? ㅠㅠ 이해가 안 돼요 뭐죠 ㅠㅠㅠ

  • @outin5733
    @outin5733 3 роки тому +2

    민간에서 만들어낸 픽션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라면 조선상고사의 주장이 설득력이 있어 보이네요

  • @FernandoTorres-lp6xo
    @FernandoTorres-lp6xo 7 років тому +4

    아마 서동요로 인해 선화공주랑 혼인 했었다 이걸 미는 사람들의 썰이긴 한데 미륵사에 탑이 세개인가?? 있었는데 그 세개 탑중에서 사택가문의 딸과 혼인했다 그런 내용의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들었거든요 아 물론 그것도 썰이라 해서 탑이 세개인가 있어서 뭐 왕비가 한명이 아니었겠느냐 이런말이 나왔겠구나 얼추 연결은 되는거같아요

  • @김미경-g2h
    @김미경-g2h 6 років тому +1

    저는
    서동과 선화공주에 대한 여러 설 중, 약간의 사실에 전략적 메이컵을 한 하나의 설화(?) 정도로 받아들입니다 삼국유사라고 의도적 기록이 전혀 없다 라고는 할 수 없겠죠..~

  • @15platina
    @15platina 6 років тому +2

    그리고 진평왕에게는 천화공주(天花公主)라는 넷째딸이 있는데 천화공주는 화랑세기(위서논란 있음)에서만 등장해서 삼국유사에서만 등장하는 선화공주와 마찬가지로 실존여부가 불분명합니다.

  • @김덕중-p5s
    @김덕중-p5s 9 місяців тому

    결론은 선화공주라는 실체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 @인연따라-e4x
    @인연따라-e4x 6 років тому +3

    혹시 서동이 순우리말 막둥이 아닐까요? ㅎ그냥 발음이...

  • @노잼-m1d
    @노잼-m1d 3 роки тому

    삼국시대 텔레포터 지몀법사

  • @user-neokasu
    @user-neokasu 6 років тому +2

    그럴듯하네 .. 정치적 술수 맞네

  • @로뮤로뉴
    @로뮤로뉴 5 років тому +1

    옛 삼국시대에선 고구려 백제 신라 국민들이 자유로이 왔다갔다 할 수 있었나요?

  • @vip3076
    @vip3076 7 років тому +5

    역사왜곡의 원조는 당나라의 속국 남국(조)(통일신라)다! 고구려와 백제 지도층 유민들이 세운 발해는 거대한 제국으로서 당시 동북아의 주인(중심국)이었다!

  • @Паш-ь4ю
    @Паш-ь4ю 7 років тому +3

    신채호는 역사학자 말고 독립운동가가 더 어울리는 것 같네요.....

  • @용감한제리
    @용감한제리 5 років тому +1

    가장 빡친건 도굴을 다해처먹은 일본한테 한번빡치고 저렇게 소설같이쓴 삼국유사 저자한테 꿀밤한대 맞추고싶네

    • @조상현-s7q
      @조상현-s7q 2 роки тому

      페르샤왕자 비사벌 동해신룡자 마한동이 마동 조계룡 인평? 마한백제 의붓자식 의자왕 사택부인선화공주 궁중부인선덕여왕 삼국이 통일하면 황제 고구려 백제 신라 왜는 지금도 싸울걸요.진평왕후가 마야부인 맞죠?마한?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