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벤트] 인류학자의 비밀노트, 빅데이터도 모르는 인간 욕망의 진실 | 백영재 인류학 박사 |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8 кві 2024
  • ✻ 강연 소개 : 22년 함께 한 아내의 '씩데이터' 공부를 위해 여전히 노력중인 인류학 박사 백영재 입니다.여러분 주변 동료, 친구, 가족들과 좋은관계를 유지하려면 '씩데이터'를 알아야 합니다. 빅데이터의 반쪽 '씩데이터'를 발견할 수 있는, 저만의 비밀노트를 공개합니다
    ✻ [책이벤트] 댓글로 강연의 소감평과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남겨주세요. 백영재 강연자의 '씩데이터' 도서를 선물로 드립니다. (참여기간 4/19~4/25 당첨발표 4/27)
    ✻ 본 강연은 '최상의 앉음'을 통해 더 열정적이고 발전하는 삶을 이끌어내는 ‘시디즈’와 함께 합니다.
    강연회 참여신청 👉🏻 www.sebasiland.com/conferences
    백영재 강연자의 강연 섭외 문의 👉🏻 speaker.sebasi.co.kr
    신세계 APP에서 세바시 명품 큐레이션을 만날 수 있습니다 (모바일전용)
    👉🏻 shinsg.page.link/hmsW
    ⭐️ 세바시가 만든 배움 커뮤니티 플랫폼, 세바시랜드 ⭐️
    👉🏻 bit.ly/sebasiland
    세바시 대학 | www.sebasiland.com/colleges
    홈페이지 | www.sebasi.co.kr
    인스타그램 | / sebasi15
    페이스북 | / sebasi15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КОМЕНТАРІ • 68

  • @jiyi-jiyi
    @jiyi-jiyi 2 місяці тому +44

    콘텐츠 기획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반응하는 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 마케팅, 심리학, 철학, 행동경제학, 역사, 뇌과학 등 다양한 공부를 하고 있음에도 풀리지 않는 갈증들이 있었고, 최근에 그 갈증이 더 증폭되는 사건이 있어 힘들었는데 우연히 이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영상을 보면서 내가 지금 고민하는 것의 힌트를 얻을 수 있겠다는 ‘감정’이 생겼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백박사님의 책을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1

      씩데이터 꼭 읽어보세요. 도움 많이 됩니다.

    • @orca9224
      @orca9224 9 днів тому

      뇌과학에 인간은 의식보다 무의식, 즉 감정에 지배된다고 나와있지 않나요?

  • @momkk9804
    @momkk9804 Місяць тому +7

    AI 시대에 사람들이 필요한 이유가 아직 있다는 것에 희망을 느꼈습니다~
    상호존중과 이해~ 이 나라에 지금 절실히 필요한 두가지네요

  • @kimmik1422
    @kimmik1422 2 місяці тому +11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다. ㅡ 깊게 새겨 듣고 갑니다. 빅데이터의 차가움에 지쳐있었는데 씩데이터의 위로를 받아 마음이 따뜻해졌습니다. 진짜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선 겉핥기식 패턴 읽기보다는 인문학적 감수성과 직감에 있다는 걸 확신합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

    • @user-cg4gh7ei8c
      @user-cg4gh7ei8c Місяць тому

      인문학적 감수성과 직감이라는 좋은 키워드를 건저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세바시 팬 답게 멋진 댓글 감사합니다 :)

  • @user-uh9ox1mu6i49
    @user-uh9ox1mu6i49 Місяць тому +11

    기업은 이렇게 인류학자까지 투입하여 우리의 소비를 이끌고 있는 세상에 살고있다. 나는 과연 이런세상에서 어떻게 하면 나를 지켜내며 큰 파도에 휩쓸리지 않고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을까.

  • @continuan
    @continuan 2 місяці тому +14

    백박사님의 책을 읽고 데이터분석가로써의 관점을 확장시킬 수 있었어요. 그저 공학적으로만 바라봤던 데이터를, 인류를 위함으로 확장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2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smw6535
    @smw6535 Місяць тому +3

    무릎을 탁~치게되는 Thick data 강연에 감사드립니다 😊

  •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2 місяці тому +8

    백영재 인류학 박사님 강연 잘 들었어요! 씩데이터의 중요성을 먼저 알고 지금도 연구하는 모습이 멋지네요. 인간의 숨은 욕망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씩데이터를 보니까 저에게도 어떤 욕구나 충족을 이루게 되는지를 느끼게 되네요. 그것을 잘 다스려 남은 인생도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즐겁고 행복하게 살고 싶어요^^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네 응원합니다~

  • @graceoh2434
    @graceoh2434 2 місяці тому +8

    우리 모두 인류학자가 될수 있습니다.씩 데이타는 바로 우리의 삶이고 깊이이기때문입니다~
    공감과 이해의 폭을 데이터로 잡는다는거그리고 빅데이터의 오만을 겸손으로 균형을 주는 참여 멋집니다~♡♡
    직감을 믿는 인간다움이 위로가 됩니다.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MaLee1212
    @MaLee1212 Місяць тому +4

    사람의 의지와 욕망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이 되네요.
    요즘같은 사회생활 시대에 꼭 필요한 영상...... 감사합니다.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user-ol3qx1km3g
    @user-ol3qx1km3g Місяць тому +7

    많은 경우 사람들은 원하는 것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무엇을 원하는 지도 모른다. -스티브 잡스
    씩데이터! 인간의 숨은 욕망을 알기 위해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야 하는 군요! 씩데이터는 타인에게도 적용해볼 수 있겠지만 우선 자기 자신에게 먼저 적용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ㅎㅎ 씩데이터! 실천해보겠습니다~>_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응원합니다~

  • @00jvngjvng
    @00jvngjvng 2 місяці тому +5

    오 두 달 전에 작가님 책 읽었습니다. 우연히 유튜브에서 이렇게 마주치다니 반갑네요. 원래 책 살 때는 정보 다 찾아보고 살 책만 집는데, thick data는 왠지 끌려서 산 책이었거든요. 그간 생각지 못한 관점으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인연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 @user-Daffodil321
    @user-Daffodil321 2 місяці тому +4

    씩데이터! 정말 멋진 개념이네요~차분하고도 울림있은 강연 감사합니다^^
    책도 꼭 구매해서 봐야겠네요~♡

    • @user-cg4gh7ei8c
      @user-cg4gh7ei8c Місяць тому +2

      울림! 널리 알려주세요. 책 보시면 더 깊은 인사이트를 느끼실수 있을 겁니다. 감사합니다!!

  • @user-gd9ll2cg1f
    @user-gd9ll2cg1f 2 місяці тому +5

    박사님 반가워요.
    너머에 있는 욕망을 보는 지혜를 얻었습니다.힘들던 일을 헤쳐나가게 되었어요.고맙습니다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고맙습니다.

  • @user-se1yd9ud3v
    @user-se1yd9ud3v 2 місяці тому +6

    씩데이터를 알게되어
    행동변화의 이유를 알고 싶던
    나 그리고 가족에 대해 관찰을 시작했고
    도대체 왜? 그러는지 모르겠던 행동의 패턴이 보여 이유를 알되되고 이해도 되어가고 있습니다^^
    씩데이터라는 개념을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1

      역시 세바시안 맹민정님^^😍

  • @ploradoaa
    @ploradoaa Місяць тому +3

    씩데이터에 관한 인사이트 공유 감사합니다~^^
    이제 씩데이터가 무엇인지 알았으니, 어떻게 살아가면서 씩데이터를 발견하고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봐야 할것같네요.
    "가장 개인적인것이 가장 일반적인것이다. "
    빅데이터시대에 자칫 양에 매몰될 수 있는 씩데이터를 관통하는 아주 훌륭한 말이네요

    • @user-cg4gh7ei8c
      @user-cg4gh7ei8c Місяць тому

      맞습니다. 개인적인 일상 나의 데이터의 중요함도 떠오르고, 관찰의 힘을 느끼게 되지요. 바로 적용하는 모습 멋집니다 :) 주변에 널리 공유해주세요^^

  • @user-yo8gb6br1e
    @user-yo8gb6br1e 2 місяці тому +5

    인류학도 배울게 많은데요 대단하세요 좋은 저녁들되세요^^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감사합니다

  • @Vericher
    @Vericher 26 днів тому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kooster91
    @kooster91 2 місяці тому +5

    씩데이터 책을 읽은 독자로서, 책도 강연도 너무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습니다! 😊😊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도움이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 @yummykoreanfood4474
    @yummykoreanfood4474 2 місяці тому +5

    NGO에서 모금 및 기관 홍보 일을 하고 있습니다. 기업 모금과 후원자 개발을 위해서 다양한 제안 및 캠페인 등을 진행하는데, 항상 노력에 비해 성과는 미비했습니다. 그러던 중 백영재 박사님의 강의에서 ‘놀이’의 정의에 대한 것을 듣고, 비영리 기관의 캠페인, 혹은 후원자에게 후원한다라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나는 명백히 정의 내렸던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박사님의 책을 읽으면 이 일련의 생각들을 좀 더 세심히 들여다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책 꼭 읽어보고 싶어요!

    • @user-cg4gh7ei8c
      @user-cg4gh7ei8c Місяць тому

      귀한 일 하시네요. 일에 바로 적용해주신다니, 세바시 만드는 보람을 느낍니다. 차분하게 들여다보고 제대로 관찰하고 거기서 얻은 인사이트를 다시 적용할 때 새로운 관점이 열리는 듯 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

  • @user-mr7ww6re5i
    @user-mr7ww6re5i Місяць тому +5

    빅데이터 + 개인의 인사이트 = 스마트 데이터네요 👍

  • @1977colaful
    @1977colaful 2 місяці тому +5

    새로운 관점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빅데이터 이면을 보는 눈 👀👀👀 😊😊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 감사합니다~

  • @sel9613
    @sel9613 Місяць тому +3

    요즘 빅데이터가 이슈화되면서 문화인류분야가 많이 주목받는 듯 합니다. 빅데이터가 가지지 못한 숫자 뒤의 근본과 혜안을 생각하는 게 중요하네요. 회사에서 가끔 고객들의 컴플레인으로 시끄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렇때 말씀하신 것처럼 곰곰히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결론이 쉽게 나오는 걸 느낄 수 있지요. 물론 진득하게 그들의 진심이 나올때까지 기다리는 건 필수구요. 덕분에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ssolssolvely
    @ssolssolvely 2 місяці тому +4

    사랑하는 사람을 저만의 애정도로 판단하고 멀어지게 만든 후 그 사람을 이해하려고 심리학에 대해 공부하다가 박사님 강연을 듣게 됐어요..'씩데이터'를 읽고 더 성숙해진 저를 만나고 싶어요❤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꼭 읽어보세요!

  • @hailey3456
    @hailey3456 2 години тому

    정말 크게 배웁니다

  • @user-lb1ji8ld9o
    @user-lb1ji8ld9o 2 місяці тому +5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gt9cl4jh3r
    @user-gt9cl4jh3r Місяць тому +1

    Excellent!!!!

  • @user-bn8kg6pz5d
    @user-bn8kg6pz5d Місяць тому +3

    씩데이터~
    다소 생소한거 같지만
    생각하는 것이 잘
    풀리지 않았는데😊
    강연 들으면서 쉽게
    이해 할수 있었네요
    박사님의 좋은 강연
    잘 들었습니다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yf2qu8dr2n
    @user-yf2qu8dr2n Місяць тому +4

    두번 봤습니다. 너무 유익해요

    • @user-cg4gh7ei8c
      @user-cg4gh7ei8c Місяць тому +1

      우와 저희도 감탄하며 만들었답니다. 두번 보셨다는 그 말씀이 세바시 구성원들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드려요!

  • @user-un1hb6vg4z
    @user-un1hb6vg4z 2 місяці тому +4

    읽어보고싶어요

  • @h.j6423
    @h.j6423 Місяць тому +4

    값진 강연이네요.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는데 한해 한해 성향과 기질이 다르더군요. 어떻게 하면 그들을 이해 할 수 있을 지 심리교육학을 공부하면서도 쉽지는 않네요. 함께 읽어보면 좋을 것 같네요.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네 정말 그래요~

  • @user-ld9qw9lq1b
    @user-ld9qw9lq1b Місяць тому +1

    스몰데이터라는 책을 본적이 있는데 비슷한걸까요?!! 18:43

  • @sungjaelee4330
    @sungjaelee4330 Місяць тому +1

    도대체 왜라는 데이터를 찾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제대로 보는 것부터 시작해야겠네요. 나머지 반, 씩테이터에 대해 덕분에 잘 알게 되었습니다. 더 구체적인 것들이 궁금해지네요.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씩데이터 책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 @user-jx1en4us3t
    @user-jx1en4us3t Місяць тому +3

    지금껏 살아오며 세상이 저에게 수많은 물음표를 던져왔습니다. 그에 대한 답을 찾고자 노력해보았지만 쉽게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원점으로 돌아가 질문 자체를 바꾸어 생각해보았고 관점을 바꾸어 생각해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알게 된 것은, 다양한 환경과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나의 반응과 변화(패턴)들은 잘 알고 있었지만 그것의 본질(감정)은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것이었습니다. 박사님께서 이와 비슷한 내용의 말씀을 강연에서 하셔서 더욱 깊이 공감하며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 소비자 데이터 과학자로서의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Thick data 라는 보물을 발견하게 된 것 같아 매우 행복합니다. 더 나아가 책 속에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시고 설명하셨는지 더욱 궁금해져 책을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

    • @sebasi15
      @sebasi15  Місяць тому

      감사합니다~

  • @sanghahwang
    @sanghahwang Місяць тому +1

    15:14

  • @timesafe_12
    @timesafe_12 17 днів тому

    안녕하세요 세바시 애청자입니다. 인문학도(철학, 국어국문)로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에 뛰어들었습니다. 사업가라는 정체성이 부여되자 저는 세상의 모든 문제를 궁구하는 습관이 깊어졌습니다. 9월에 결혼할 예비신랑 덕에 수년간 철학과 심리학을 탐구하였기에 제가 이렇게까지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책 선물 받으면 1000권 넘게 리뷰 쓴 블로그에 기록 남길게요. 끝으로 여보 사랑해요 ❤

  • @ryanpark1107
    @ryanpark1107 11 днів тому

    빅데이터가 대세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반쪽짜리다.
    나머지 반은 띡데이터(Thick Data)다.
    빅데이터는 패턴을 알려준다. 하지만 이유를 알려주진 않는다.
    이유와 왜(why)는 인간의 감정에 관한 것이다.
    인류학은 2가지 도구를 갖는다. 하나는 참여를 통한 관찰이고 또 하나는 인터뷰다.
    이것은 공감과 이해를 이끌어낸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다.

  • @user-dl4pl5we3s
    @user-dl4pl5we3s 2 місяці тому +3

    더크로스도 김혁건형님도 부탁드려요

    • @sebasi15
      @sebasi15  2 місяці тому

      형님 오세여~

  • @shirae-sf5eb
    @shirae-sf5eb Місяць тому +1

    아내의 말... 저도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