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는 계속된다 f. 삼프로TV 이코노미스트 김한진 박사 [글로벌 인터뷰]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кві 2024
  • 💎건강한 투자 습관, [삼프로 멤버십]
    👉 삼프로 멤버십 바로가기 : apps.3protv.com/membership/intro
    ❤️당부 말씀
    - 삼프로TV는 시청자의 다양한 해석과 의견을 존중합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비판과 평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하지만, 출연자에 대한 근거없는 비난, 욕설, 인신공격, 비하성 표현이 담긴 댓글은 안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삼프로TV가 건강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늘 감사합니다^^
    📢아래 프로그램은 3/4(월) 부터 [삼프로 머니]에 업로드 되고 있습니다.
    👉삼프로 머니 바로가기 : / @3promoney
    -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中 월가 뉴스레터
    - 오프닝벨 라이브
    - 클로징벨 라이브
    -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 뉴스룸
    📺 평일 라이브 프로그램 안내
    [06:00-07:15] 월스트리트 모닝브리핑 (월가 뉴스레터, 글로벌 인터뷰)
    [07:15-09:00] 오늘아침 라이브 (뉴스3, 마켓 인사이드, 인뎁스60)
    [09:00-10:00] 오프닝벨 라이브
    [10:00-11:00] 맞동산 (부동산)
    [15:20-16:30] 클로징벨 라이브
    [16:30-17:10] 뉴스룸
    [17:10-18:00] 박근형의 데일리 힌트
    [18:00-19:00] 퇴근길 라이브
    [19:00-21:00] 언더스탠딩
    🗂️ 영상에서 언급된 자료를 찾으시나요?
    웹사이트 : apps.3protv.com/original/pds
    모바일 앱 : 플레이스토어/앱스토어에서 "삼프로"를 검색하세요.
    앱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오리지널] - [신의자료] 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3PRO 고객센터
    - (전화) 02-2118-0707, 010-3898-2324
    - (메일) edu.help@3protv.com
    - (1:1 문의 게시판) apps.3protv.com/myqna/write
    - 평일 09:00-18:00 운영됩니다.
    - 주말에는 메일 혹은 3PRO 앱/웹에서 1:1 문의를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즈니스 문의 채널 안내
    - 광고/협업/제작대행 문의 : (메일) ad@3protv.com, (전화) 010-2090-6748, (설문지 제출) url.kr/yi4rpg
    - 전문가(연사) 섭외 및 기업교육 문의 : (메일) edu@3protv.com, (전화) 02-2118-0096, (웹사이트) zrr.kr/lRQq
    - 언더스탠딩 문의 : (메일) gygesring@naver.com
    - 삼프로TV IR 문의 : ir@3protv.com
    📢사칭 주의
    - 삼프로TV의 구성원과 삼프로TV 출연자는 문자메시지/카카오톡/전화/텔레그램 등을 통해 절대 개인적인 투자권유 및 리딩방, SNS 가입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 만일 이러한 연락을 받으셨다면 모두 사기이므로, 링크를 클릭하지 마시고 피해가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КОМЕНТАРІ • 71

  • @user-rm5rs6dy3s
    @user-rm5rs6dy3s Місяць тому +5

    재밌네~^^
    댓글. 자세히 보는거 첨인데~

  • @user-nq3mv4vq9r
    @user-nq3mv4vq9r Місяць тому +3

    미국때문에 우리나라 환율만 올라가네요. 달러인덱스대비 타국 통화는 안정적입니다. 인과관계 분석이 잘 못 되었다는거죠.

  • @user-cm7jr9ic3p
    @user-cm7jr9ic3p Місяць тому

    오랫만에 삼프로 들었더니
    진행이 엄청 좋아졌네요
    선그라스끼고 에~ 아~ 음~
    이런 쓸데없는 추임새보다
    듣기가 깔끔하고 귀에 잘 들어옵니다

  • @zitnbit
    @zitnbit Місяць тому +3

    그렇다고 하기엔 원화는 그 약한 엔화보다도 약세가 됐는데요ㅎㅎㅎ

  • @user-ce3qo2un8q
    @user-ce3qo2un8q Місяць тому

    김한진교수님 혹시 투자방 운영하고 계심 것이 있으신지요 ? 텔레그램에 있는 것이 교수님을 사칭하는 것이 아닌지 해서 질문을 남겨 봅니다.

  • @user-hu8cj5ww1p
    @user-hu8cj5ww1p Місяць тому

    최근 미국 경제성장율 및 민간고용 증가의 많은 부분이 최근 급증한 미국이민자로 인한 인구증가에 기인한다는

  • @user-vh1ev8bh2z
    @user-vh1ev8bh2z Місяць тому +5

    생각도 못한 고환을 이라고 봐서 놀랬네

  • @johnnychiva1001
    @johnnychiva1001 Місяць тому

    양털깎기 해야 되는데 아직 양들이 쓰러지지 않고 있다. 그럼 어떻게 해 금리 더 올려야지

  • @thothfund
    @thothfund Місяць тому +1

    오! 드디어?

  • @user-pd9kv7qq6h
    @user-pd9kv7qq6h Місяць тому

    김한진 박사님 영상 잘 봤습니다. 짝짝짝.

  • @SO1_Baby5ox_HER
    @SO1_Baby5ox_HER Місяць тому +6

    미국을 포함한 대다수의 국가에서 보험적 금리인하가 당장 필요한 상황입니다. 다만, 미국은 다수의 실물부를 희생하는 대신 금융부와 특정 기술산업에 재정정책을 몰아주었고, 침체하는 영역과 과열하는 영역으로 경제를 양분되게 만들었습니다. 과열하는 부분이 침체하는 부분을 가리면서 경제가 잘 버티는 것처럼 보이도록 만든 것입니다. 미국의 부분적인 과열은 막대한 단발성 자금이 짧은 기간에 투여된 것에 의해 발생했다고 보며 저는 현재 미국경제가 지속성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지금 미국 경제는 반짝 재가열되다 식어가는 국면이며, 국채금리상승과 인플레이션 재발우려로 하반기에 지금까지처럼 막대한 재정정책을 펼치는 것이 막힌다면 경기가 빠르게 하락할 것입니다. 미국 정부가 무리한 수준으로 펼친 재정정책이 미래에 어떠한 부작용이 될지 지켜보는 것은 무서운 경제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 @user-xu6oc8of1w
      @user-xu6oc8of1w Місяць тому

      금리를 내리면 또다시 인플레이션이 고개를 들기때문에 못올리는상황인데.. 여전히 치열한 고용율 낮은실업율등등
      보험적 금리인하가 필요하다고 하신게 어떤의미이신가요?

    • @user-hk9hx6nr6y
      @user-hk9hx6nr6y Місяць тому +2

      지금 금리인하하면 환율이 더 나락갈텐데 무슨말인지

    • @SO1_Baby5ox_HER
      @SO1_Baby5ox_HER Місяць тому

      관련 기록이 있는 기간동안을 살펴보면 미국이 금리인상기에 침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90년대 중후반과 2010년대 중후반 뿐입니다. 08년도에도 보험적 금리인하가 있었으나 대침체를 막아내지 못했습니다. 현재 경제 지식 수준으로는 통화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 못하고 있습니다.
      경기침체가 발생하는 해의 직전년도를 보면 오히려 평균적인 경제성장률과 인플레이션율을 넘습니다. 이는 두 가지 측면이 존재하는 데, 과열 자체의 반동으로 침체를 유발하는 측면과 과열이 침체로 전환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측면입니다. 반면에 금리정책은 행정기술적으로나 정치적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할 수 없습니다. 즉 경기의 탄력성에 통화정책이 따라가질 못하는 것을 역사는 보여줍니다.
      현재, 미국의 경제는 놀랍게도 강하나 그것은 특정 산업군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는 그러한 산업군이 M7이라는 초거대 기업으로서 현금여력이 많은 기업들에 한정됩니다. 서비스업, 소매판매는 여전히 버티고 있는데 이는 단기성 유동성이 2조달러 이상 풀렸다는 점, 단기유동성이 만든 자산효과에 의한 소비증대, 서비스업 중 일반 소매업의 침체, 소매판매에서 중국제품의 영향 등등 착시를 부를 요소들이 많습니다.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는 것은 침체를 가리는 특정 산업군의 과열이 한 몫을 하며, 가려진 침체영역은 현재 논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이 착시를 부른다고 저는 추정합니다.

    • @SO1_Baby5ox_HER
      @SO1_Baby5ox_HER Місяць тому

      @@user-hk9hx6nr6y 환율 상승만큼 위험한 것이 국내의 신용위기입니다. 환율 상승 그 자체가 위험한 것이 아니라 환율 상승이 초래할 외환위기가 문제인 것인데, 한국의 외환보유 수준은 그러한 위기를 막아낼 여력이 충분합니다. 원글은 미국 금리인하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지만, 유럽과 중국을 포함해서 한국도 보험적 금리인하가 필요한 만큼 실물이 둔화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보험적 금리인하에서는 유발되지 않습니다. 보험적 금리인하는 침체대응적 금리인하와 달리 그 개념이 1~3회의 금리인하만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 @user-xu6oc8of1w
      @user-xu6oc8of1w Місяць тому

      경기침체관점에서 말씀주신거군요
      저도 궁금합니다
      경기 침체 vs 인플레이션 억제 중 어떤걸 선택할지
      아무래도 미 대선이잇기에 경기침체를 방지하는방향으로 갈거 같다고(약간의 금리인하,대중들이 지지하는방향) 약한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

  • @jin599
    @jin599 Місяць тому +30

    나라살림 적자 87조?... "실제는 110조, 꼼수로 통계 착시" 문제는 외평기금을 끌어와 적자를 줄였다는거... 그것은 환율 방어 쓰이는 돈인데 .. 알면서도 말 못하는 김한진 박사.. 에구..

    • @user-ht1pl7bd6o
      @user-ht1pl7bd6o Місяць тому

      살아있는권력에 그런말 쉽게 어떻게합니까..

  • @namyoonoh9238
    @namyoonoh9238 Місяць тому +22

    무슨 고환율을 생각도 못해 그러고도 전문가?

    • @bluesky-705
      @bluesky-705 Місяць тому +1

      이분도 전에는 전문가라고 자처하더니 이젠 난 몰라??

    • @bae9678
      @bae9678 Місяць тому +1

      병x 환율에 전문가가 어딨노 신의영역인거 모르냐 ?

    • @bae9678
      @bae9678 Місяць тому

      @user-hu9bn9xp5g 남들이 하란다고 무작정 따라함 ? 그게 정상인임 ? 모지란거 아님 ?

    • @bae9678
      @bae9678 Місяць тому

      @user-hu9bn9xp5g 투자 잘못하면 손실 보는거야 당연하지 그렇게 중요한걸 남의말 을 듣고 질러 ? 그게 정상인임 ?

  •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Місяць тому +7

    니들도 앵간히해라 . 상장때뭉에 정부욕하기 힘든건알겟는데그것도 선이있지

  • @user-kk7ln3dq9x
    @user-kk7ln3dq9x Місяць тому +29

    제발 미국탓 좀 하지 맙시다. 우리가 잘 해야 되죠. 결국 금리 관리하는 한국은행이 정부 눈치 보느라 금리 안 올려서 생긴 문제잖아요.
    우리 나라만 환율이 엉망인 것만 봐도 알잖아요..

    • @bae9678
      @bae9678 Місяць тому +3

      먼 개솔이야 환율이 먼지 몰라 ?

    • @user-ny2fp1pt3f
      @user-ny2fp1pt3f Місяць тому +4

      뭔소리인지? ㅋㅋㅋ 일본과 중국 환율좀 보고와라 ㅋㅋㅋ 미치겠다

    • @dkanfhehamfmrksl
      @dkanfhehamfmrksl Місяць тому +6

      다른 아시아 국가들보다 한국만 치명적으로 가치하락하는건 금리안올려서가 맞음.한국은 일본 중국처럼 금리 안올리고 버틸수잇는 경제수준이 아닌데

    • @SO1_Baby5ox_HER
      @SO1_Baby5ox_HER Місяць тому +4

      오히려 위 두분이 더 맞는 말을 하십니다.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고라는 피상적인 분석으로는 정교한 중앙은행 정책을 이해하긴 어렵습니다. 유럽은 4.5%, 일본 0%, 중국은 미국이 금리인상하는 와중에도 금리인하를 지속적으로 하는 추세입니다. 체급이 다르다고 할 수 있으므로 베트남, 대만 두 국가의 기준금리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준은 금리차 그 자체가 아니라 "금리차가 결정하는 환율의 변동이 위기를 부를 것인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 국내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신용위기를 감안해서 그 수준을 결정합니다. 매우 간단히 말해 대외적 외환위기와 대내적 신용위기를 잘 저울질해서 그 균형점에서 금리 상단을 정하는 것입니다.
      금리를 3.5%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던 대내적 요인은 결정적으로 부동산 가격의 급락때문이라고 판단됩니다. 3.5%로 인상하였을 때 전체 부동산 가격이 1년새 -20%가 하락했기에 신용위기 위험성이 매우 커졌고, 불가피하게 금리인상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더욱이, 부동산 가격 -20% 하락은 시가기준이 아니라서 실제로는 더 빠졌기에 그대로 두면 신용리스크가 거의 확실히 발생했을 것입니다. 한미 금리차 2%p는 정부의 압력에 의한 정책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경제에 정치가 개입되면서 일반 시민들마저 그러한 피상적인 분석을 가미한 정치적 술수에 빠져든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의 정책을 유독 비판하는 내용을 무조건적인 정치적 비난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네요.

    • @dkanfhehamfmrksl
      @dkanfhehamfmrksl Місяць тому +1

      @@SO1_Baby5ox_HER 현재 금리에 사람들 대출받아 집사겟다고 집 보러다니는데 무슨 헛소리하세요 ㅋㅋ 지금 그렇게 고금리 아닙니다. 우리나라가 저금리 된거 꼴랑 10년인데 ㅋㅋ 지난번에 집값 30% 넘게 빠졌을때도 우리나라 문제 없었음요 ㅋㅋ 억지는 그만 ㅋㅋ

  • @user-hp9do5mb9o
    @user-hp9do5mb9o Місяць тому +2

    미국 덕분에 개고생 트럼프 화이팅 1500가자

  • @SO1_Baby5ox_HER
    @SO1_Baby5ox_HER Місяць тому +6

    요즘 환율이 급등하는 것을 보고 한미 금리차가 원인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금리차를 나게 한 것이 정부와 한국은행이라며 무차별적인 비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저는 비록 지나가는 시청자이지만, 이 비난만큼은 콕 집어 넘기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개인의 의견에 불과하나 저는 적어도 왜 한미 금리차가 발생해야만 했는지 삼프로 시청자에게라도 알리면서 생산적인 논의를 하고 싶네요. 이 글을 대댓글에 남긴 글을 복사한 것입니다.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고라는 피상적인 분석으로는 정교한 중앙은행 정책을 이해하긴 어렵습니다. 유럽은 4.5%, 일본 0%, 중국은 미국이 금리인상하는 와중에도 금리인하를 지속적으로 하는 추세입니다. 체급이 다르다고 할 수 있으므로 베트남, 대만 두 국가의 기준금리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준은 금리차 그 자체가 아니라 "금리차가 결정하는 환율의 변동이 위기를 부를 것인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 국내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신용위기를 감안해서 그 수준을 결정합니다. 매우 간단히 말해 대외적 외환위기와 대내적 신용위기를 잘 저울질해서 그 균형점에서 금리 상단을 정하는 것입니다.
    금리를 3.5%로 결정할 수밖에 없었던 대내적 요인은 결정적으로 부동산 가격의 급락때문이라고 판단됩니다. 3.5%로 인상하였을 때 전체 부동산 가격이 1년새 -20%가 하락했기에 신용위기 위험성이 매우 커졌고, 불가피하게 금리인상을 중단해야 했습니다. 더욱이, 부동산 가격 -20% 하락은 시가기준이 아니라서 실제로는 더 빠졌기에 그대로 두면 신용리스크가 거의 확실히 발생했을 것입니다. 한미 금리차 2%p는 정부의 압력에 의한 정책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경제에 정치가 개입되면서 일반 시민들마저 그러한 피상적인 분석을 가미한 정치적 술수에 빠져든 것 같습니다. 한국은행의 정책을 유독 비판하는 내용에 무조건적인 정치적 비난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네요.

    • @user-xg3uh6rv5z
      @user-xg3uh6rv5z Місяць тому +1

      2000년전후로 무역상황이 달라지면서 금리만으로는 더이상은 해결이 안되는데 답답하네요 ㅎ 차용이가 설명 다했는데 일부러 안듣는거같네여
      연준도 그래서 2000년전후로 스탠스가 다른데 우리나라는 수입의존도가 심하기 때문에 지정학적 리스크도 큰데 참 ㅎㅎ
      부동산 야기도 단순히 건설사와 영끌만 보고 이야기하니 어렵네여 ABSTB같은 상황도 있는데 참 ;;
      경제가 그렇게 단순하게 이것만 하면된다 가 성립 자체 안되는데 ... 그냥 비판만 하는거같아요...

    • @jayh1087
      @jayh1087 Місяць тому

      @@user-xg3uh6rv5z 대부분은 잘 모르고 댓글도 생각 안하고 막 쓰니깐.. 너무 괘념치는 마세요. 좋은 글들이 있어서 그나마 다행이네요.

  • @user-nc5ei5bu4o
    @user-nc5ei5bu4o Місяць тому +16

    미국 때문?? 참 분석하기 쉽네요, 핑계만 대면 되니까요. 어서 빨리 뛰어가셔서 박종훈의 지식한방 11편 보고 오세요, 왜 환율이 이 모양 이 지경인지 정확한 관점에서 설명해드릴 테니까요

  • @user-sg1jc3mi9f
    @user-sg1jc3mi9f Місяць тому +3

    경제는 미국이 악의축 악의축

  • @choonju1430
    @choonju1430 Місяць тому +1

    달러강세는 계속되는건 맞아
    아마 1,500원까지 년말에는
    헌데
    그것이 미국때문이라는건 좀 아니지
    누구때문 무어때문 핑계대는 버릇은 잘못된생각
    세계적인 추세가 달러 금 등등이 강세일수밖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