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한식기와는 왜 검정색?? 나라마다 다른 지붕 색상 ㅋㅋ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지붕의 형태와 재질의 결정은 해당 지역의 기후조건및 재료 수급의 용이성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 기와는 왜??
    검정색 일까요......??

КОМЕНТАРІ • 37

  • @kimronaldo4113
    @kimronaldo4113 3 роки тому +3

    선 추천 후감상! 항상 재미있고 유익한 정보 쉽게 알려주셔서 건축에 재미를 알아갑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응원해주셔서 기쁘네요 ..
      감사합니다 😀 😀 😀

  • @mixingcolor7252
    @mixingcolor7252 3 роки тому +5

    지금 한옥공사 중인데, 어제 지붕공사가 끝났어요.
    우리 한옥의 기와에 그런 비밀이^^
    다시 보게 되네요!
    새삼 선조들의 지혜에 감탄합니다.
    늘 유익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한옥 좋아요...
      멋지게 완공하시길 바랍니다 ^^

  • @eunokkim9308
    @eunokkim9308 3 роки тому +1

    반가운 영상이 올려졌네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늘,,,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김선희-h5f
    @김선희-h5f 3 роки тому +1

    오~마이갓 어찌 그런 기발한 생각을 했을까요.?똑똑한 우리 조상님들~^^ 개인적으로 나도 기와 집 을 좋아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요즘,,,
      우리나라 최고는...
      곧, 세계 최고입니다 ^^

  • @skyblue-oh4qt
    @skyblue-oh4qt 3 роки тому +1

    많이 배웁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sky blue님,,,
      응원해주셔서 기쁘네요 😄 😊
      감사합니다!!!!!

  • @도와농원
    @도와농원 Рік тому +2

    어떻게보면 하루이틀이 아닌 수세기를 지나며 하자를 경험하며 바뀌어온 역사에의해 탄생한 결과물이 아닐가 생각해봅니다
    청기와는 열전도율이 높아서 날씨가 더우면 쩌죽어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Рік тому +2

      단열성능 까지 좋은 지붕재료는 초가지붕 정도???
      기와 하부에 전통식으로 흙을 채우거나
      단열처리가 필요합니다.
      좋은 의견,감사합니다 👍

  • @burltree1
    @burltree1 3 роки тому +5

    우리 선조들께서는 기와 안에 공극있어 이것이 물을 흡수해 동파에 깨질수 있으니 탄소알겡이를 넣어 오래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참 대단하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반갑습니다....
      한류열풍은 우연한 것이 아닙니다.
      선조로부터 이어 받은 우수한 유전자가
      우리 안에 있습니다. ^^

  • @daedaeLim-c6f
    @daedaeLim-c6f 5 днів тому +1

    역시 선조들의 지혜를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4 дні тому +1

      6.25전쟁 이후 큰 발전은 우리 민족의 탁월한 능력과 노력 입니다.
      좋은 유전자를 받았습니다.
      심지어 이 나라 개도 특출납니다.
      진돗개,삽살이,풍산개....
      그래서 요즘은,,
      국내 1등은 곧 세계1등 입니다....

  • @yyk9165
    @yyk9165 3 роки тому +2

    작은 돌들도 녹일 수 있나요?
    녹일 수 있다면 작은 돌들을 녹여서
    하나의 큰 돌판으로 만들면 요긴 하게 많이 쓰일 거 같습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2

      yy k님,,,
      반갑습니다 😁

    • @yyk9165
      @yyk9165 3 роки тому

      @@772homedesign 제가 또 헛 소릴 했군요!

  • @황재철-u5s
    @황재철-u5s 2 роки тому +2

    전통한식기와의 정식 명칭은 그을림한식기와 입니다. 현재는 과거처럼 솔잎을 넣어 침탄 작업을 진행하지 않지만, 셔틀가마로 소성이후 냉각공정에서 LPG 또는 LNG가스를 주입하여 불연소화 과정을 거칩니다. 과거 보다 색상은 더 진하고 높은 강도에 흡수율은 매우 낮습니다. 단지 아쉬운 부분은 셔틀 또는 터널가마 및 프레스 등의 기계설비는 일본에서 가지고 온 것이고, 현재의 KS 기준도 일본 JIS를 기초로 만든거라 순수 국내 기술은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현실은 중국보다 도 뒤 쳐져 있지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2 роки тому +2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그 시대의 사용 요구가 많을 수록 그 물건이 발달하였습니다.
      필요가 사라지면 기술도, 해당 기술자도 사라집니다.
      소성기와도 그런 맥락입니다.
      현재, 모던한 디자인이 대세라...
      지붕도 현대풍에 어울리는 재료가 많고, 발달한것 같습니다.
      그래도 요즘,,,선박,차량,폰,가전,원전....
      세계 1등.
      자랑스런 코리아입니다.

  • @이숙경-d2j
    @이숙경-d2j Рік тому +1

    어떤 징크가 좋은가요? 순서대로 알려주셨으면합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Рік тому +1

      오리지널 징크 ㅡ 알루미나 징크 ㅡ 리얼 징크 순 입니다.
      지난영상,, 징크판넬 편에 자세히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

    • @이숙경-d2j
      @이숙경-d2j Рік тому +1

      감사합니다

  • @고경민-f3c
    @고경민-f3c 3 роки тому +2

    재료가 많이 올라있다 하여 걱정입니다 좋은 방향을 알려주십시오 좀 더있다 집을 지어야 할지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2

      그럼에도불구하고, 합리적인 설계,,,구조, 재료...등등 현명한 선택과 항목별
      절감을 구상하면 공사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 @고경민-f3c
      @고경민-f3c 3 роки тому +1

      선생님을 뵈을수있음 얼마나 좋을까 희망입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 @KimDeKhan
    @KimDeKhan 3 роки тому +1

    🙏…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득환님.......
      추석, 즐겁게 보내세요 ^^

  • @magmagie7425
    @magmagie7425 3 роки тому +1

    청기와가 두가지가 있죠. 진짜 청기와는 고려시대 청자로 만들어진 청자기와죠. 이거야 말로 지붕을 보석으로 덥는 기와죠. 유약을 칠해서 두번 구운 청기와.
    이 청기와는 기록은 있는데 실물을 못 찾다가 어떤 사학자분이 이 실체를 몇 십년 동안 찾다가 강진인가 어딘가에서 찾았다는 이야기가 있더군요.
    조선시대 청기와는 청자기와는 아니지만 그래도 일반 기와보다 다섯배 정도 비쌌다고 합니다.
    요즘은 기술 발전으로 도자기 기와를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인데, 대량으로 싸게 파는 곳 없을까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роки тому +1

      옛방식의 검정기와도 굽는 곳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고령기와에 문의해 보세요...

  • @sky1234sk
    @sky1234sk 2 роки тому +2

    우리나라 방방곡곡 파랑페인트지붕 또 하늘색에 주황색둘레 그 촌스러운 지붕 전문가시니
    못 하게 못하시나요?
    유럽의 구리나 금속지붕도 아니고 진짜 추위보이고 자연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전국의 지붕색을 조화롭게 통일하지 않으면 그림같은 풍경을 만들수는 없다고 봅니다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2 роки тому +1

      그래서, 외국사례는 관청에서 지붕색상을 참견하여 동네 외관색상을 조율합니다.

    • @유칼립투스-k7o
      @유칼립투스-k7o 2 роки тому +1

      공감합니다. 저도 귀촌준비중이라 많은곳 보고있는데 울나라시골은 미관쪽으로는 노답인거같아요 전원주택단지로 개발하는곳은 통일성은 있는데 부지도 너무 작게 개발하고 비싸서 자연이 좋아 귀촌하는사람과는 컨셉이 맞질 않네요.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місяці тому +1

      @kiss526
      공감입니다 😀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місяці тому +1

      공감입니다 ^^

    • @772homedesign
      @772homedesign  3 місяці тому +2

      외관도,, 최소한 색상정도는 좀 전문가의 권고가 필요합니다...
      공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