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VS 파충류? 서울대 연구진이 깃털 공룡의 미스터리 밝혀냈다 [이영완의 Scope]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4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6

  • @범회김
    @범회김 Рік тому +6

    새라고 벌써 결론 나오지 않았나요?

    • @zirize
      @zirize Рік тому +2

      정확히는 새가 공룡이죠. 공룡과 새의 관계는 포유류와 박쥐와의 관계 정도..

    • @pyo_0919
      @pyo_0919 Рік тому

      나도 어디서 본거같은데 .. 새가 공룡의 시조라고

    • @zirize
      @zirize Рік тому +1

      @@pyo_0919 분류계통상 공룡상목아래 모든 공룡이 있고, 그것이 다시 용반목 조반목으로 나뉘는데, 그 중 용반목 아래쪽에 좀 내려가면 거기에 조류가 있습니다. 즉 모든 새는 공룡이지만, 모든 공룡이 조류는 아닙니다.

  • @xwiwx
    @xwiwx Рік тому +1

    공룡 + 로봇
    이거다! 이거야! 이건 절대 못참지
    교육부는 예산을 풀어 DIY 로봇키트 공모하고 초등교육 정식과목으로 편성해서 넣어야 된다

  • @GUEKim
    @GUEKim Рік тому +3

    타조 비슷하게 생겼을듯

  • @꼰미남-z3r
    @꼰미남-z3r Рік тому +1

    우리가 먹는 치킨이 원래 공룡 ㅋㅋㅋ 물리적으로보면 공중을 날라다니는 새들이 물리적으로 가장 진화한게 맞기는 맞는듯함

  • @정심정-v6v
    @정심정-v6v Рік тому

    (로봇 제작 기술)과 (인간의 상상력 및 창의성)이 결합되니 못할 것이 없겠네요. 그기에 (AI의 자료분석력)이 더해지는 최강의 대한민국되겠네요. 영상 잼나게 시청했어요.

  • @frag2632
    @frag2632 Рік тому

    신비로워요

  • @Howsyourlife1023
    @Howsyourlife1023 Рік тому +1

    날개를 펴서 곤충을 뛰게해서 잡았다는건 너무... 비약아닌가요?

  • @weareanonymous4927
    @weareanonymous4927 Рік тому

    물속서 수영하면 다 물고기냐? 깃털비스무리한게 있음 다 새냐고?

    • @배구공-q6u
      @배구공-q6u Рік тому

      새 : 온혈 · 난생으로 몸이 깃털로 덮이고 날개가 있는 척추동물의 한 강(綱). 온혈 · 난생으로 몸이 깃털로 덮이고 날개가 있는 척추동물의 한 강(綱). / 맞는데요?

  • @sdbasdfkbh
    @sdbasdfkbh Рік тому +1

    로봇꼬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