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사자 이용일(본명:이일윤)씨의 고향은 옛 진해시 대창동. 1963년 경기도 연천의 포부대에 근무할 당시 하얗게 눈이 내린 12월 어느날 밤. 어린날의 고향생각과 향수에 젖어 잠을 이루지 못하던 중 임진강을 내려다 보며 석양에 돛을달고 포구로 몰려 드는 영길만의 포구와 고깃배를 생각하며 애절한 노랫말을 만들고 당대의 명 작곡가 백영호씨가 맬로디를 엮어 1964년에 이 노래가 탄생하게 됩니다. 66년에는 강찬우 감독의 영화로도 개봉이 되었지요. 1991년에는 작사자 고향인 창원 영길만 해안로에 노래비도 세워졌지요. 마지막 석양빛을 기폭에 걸고... 어디로 가는배냐 어디로 가는배냐 황포돛대냐....... 이 곡은 필자의 애창곡입니다.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님이 부른 황포돛대를 오늘은 로사님의 아코디언 연주로 잠시 옛 추억에 젖어봅니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감상 잘했음니다
훌륭한. 연주 대단히 감사합니다
항상 그리운연주들려주시어서 감사합니다.이시간이야말로 모든것잊고서 추억을그려보는 시간입니다.고맙습니다.
you are the best
'석양빛을 깃폭에 걸고'라는
노랫말이 상상되는 깊고 오묘한 연주에 힘찬 박수 보냅니다.
박수소리 들리시겠죠?
작사자 이용일(본명:이일윤)씨의 고향은 옛 진해시 대창동.
1963년 경기도 연천의 포부대에 근무할 당시 하얗게 눈이 내린 12월 어느날 밤.
어린날의 고향생각과 향수에 젖어 잠을 이루지 못하던 중
임진강을 내려다 보며 석양에 돛을달고 포구로 몰려 드는 영길만의 포구와 고깃배를 생각하며 애절한 노랫말을 만들고
당대의 명 작곡가 백영호씨가 맬로디를 엮어 1964년에 이 노래가 탄생하게 됩니다.
66년에는 강찬우 감독의 영화로도 개봉이 되었지요.
1991년에는 작사자 고향인 창원 영길만 해안로에 노래비도 세워졌지요.
마지막 석양빛을 기폭에 걸고...
어디로 가는배냐 어디로 가는배냐 황포돛대냐.......
이 곡은 필자의 애창곡입니다.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님이 부른 황포돛대를
오늘은 로사님의 아코디언 연주로 잠시 옛 추억에 젖어봅니다.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