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한국인이 많이 틀리는 맞춤법 top10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2 тис.

  • @케펨
    @케펨 2 роки тому +2293

    90년대 이전까지는 설겆이 로 사용했습니다.개정 이후 설거지 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국민학교 출신들은 아직도 설겆이 로 쓰시는 분들도 있구요.^^

    • @BOEUNi
      @BOEUNi 2 роки тому +106

      오오 유익하네요 메모메모

    • @yunghii
      @yunghii 2 роки тому +118

      저희 엄마 설겆이라고 하더라구요..

    • @LilyBaek7
      @LilyBaek7 2 роки тому +153

      넵 국민학교 출신 저도 이렇게 쓰는데요!
      설겆이ㅠㅠ 맞춤법이 바뀌었군요!ㅠ
      어쩐지....ㅠ

    • @윤겔라니얼굴-w4j
      @윤겔라니얼굴-w4j 2 роки тому +19

      아하!

    • @늙병생
      @늙병생 2 роки тому +72

      추가정보 ) 2000년도까지 미디어가 보편화되지 않아서 설겆이로 배웠습니다 또 읍니다 습니다도 국민학교 후 2006년도 초등학교때 조금씩 변화된걸로 알고 있엉ㅅ

  • @H.1_bxxly
    @H.1_bxxly 2 роки тому +1023

    간단한 거 더 쓰자면
    ☆마지막 끝 돼 자는 돼지할 때 '돼'
    이거 해도 되? (X)
    이거 해도 돼? (O)
    ※이거 응용해서 안됌 이라고 하시면 안 돼요!
    안됌 이 아니라 안됨 이 맞습니다※
    ☆됬, 됐
    됬 아니고 무조건 됐!!
    이해됬나요? (X)
    이해됐나요? (O)
    ☆거, 게, 건 앞에서 띄기
    이렇게 하는건가요?
    -> 이렇게 하는 건가요?
    요즘은 이런게 대세래
    -> 요즘은 이런 게 대세래
    ☆에요, 예요
    이에요 앞에 받침이 있으면 에요
    이에요 앞에 받침이 없으면 예요
    이건 고무줄이에요 (O)
    (이에요 앞에 '줄' 받침이 있으니 이에요!)
    이건 나무예요
    (이에요 앞에 '무' 받침이 없으니 예요!)
    ※아니에요는 제외! 아니예요 아닙니다 아니에요가 맞아요※
    +거에요, 거예요
    거에요는 쓰지 않아요 무조건 거예요!
    거예요에 '거' 가 있으니 거예요도 띄어쓰기!
    이렇게 하는거에요
    -> 이렇게 하는 거예요
    ☆안 뒤에 띄어쓰기
    MZ사전 구독 안하면 안돼요
    -> MZ사전 구독 안 하면 안 돼요

    • @judy0595
      @judy0595 2 роки тому +15

      에와 의 틀리는 놈들도 어우ㅡㅡ

    • @ricewineaglass4677
      @ricewineaglass4677 2 роки тому +31

      어렵네요 헷갈리기 쉽네요

    • @eunjungkwon.bogenrieder1550
      @eunjungkwon.bogenrieder1550 2 роки тому +10

      @@somangpiano 어우...😌 총까지...

    • @sunheechung
      @sunheechung 2 роки тому +4

      '~있대요' '~없대요' '~한대요' 도 '~데요' 로 영상자막에 쓰는 경우 많아요.

    • @sunheechung
      @sunheechung 2 роки тому +2

      @@somangpiano 댐 이라고 쓰는 사람도 있죠.

  • @한치두치세치그리고뿌
    @한치두치세치그리고뿌 2 роки тому +307

    저도 설겆이 세대인데 이런 지식 정말 유용 하네요. 감사 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날 되세요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10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mgk1614
      @mgk1614 2 роки тому +8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틀리기에 상관 없다

    • @한치두치세치그리고뿌
      @한치두치세치그리고뿌 2 роки тому +2

      @@mgk1614 쓰는 사람도 읽는 사람도 틀린게 아니고 다르다고 하는거구요. 그렇지만 우리가 알아야 하는 기본은 있어야 한다고 저는 생각 합니다

    • @그냥하고싶은말을내뱉
      @그냥하고싶은말을내뱉 2 роки тому +4

      국어학자들이 할지랄 없으니까 바꾼거

    • @아리가또-c4x
      @아리가또-c4x 2 роки тому

      @@EK-dl6ng 부엌도??바꿈??

  • @duty-
    @duty- 2 роки тому +36

    '되', '돼' 헷갈리시는 분들
    '되' 뒤에 '어' 를 붙여서 '되어' 라는 표현이 자연스러우면 '돼' 입니다.
    또, 문장 마지막에 오는 '되' 는 없고
    마지막은 전부 '돼' 입니다.

    • @파크냐아수투아루
      @파크냐아수투아루 2 роки тому +5

      됩니다. 되는데요

    • @woozooson
      @woozooson Рік тому +2

      그럼 왜 안되요에 되는 문장 마지막이 아닌데 왜 안돼요 인가요?

    • @woozooson
      @woozooson Рік тому +2

      @@amuge579 감사합니다

    • @kjy772772
      @kjy772772 Рік тому +4

      되는 하 돼는 해로 바꿔서 전 합니다

    • @KKUMA_ROBLOX_GAME
      @KKUMA_ROBLOX_GAME Рік тому

      ​@@파크냐아수투아루그 뜻이 아니라 돼가 제일 마지막에 있으면 이라는 뜻임. 예를 들어서 안돼

  • @gary3125
    @gary3125 2 роки тому +257

    한글날에 세종은 다음처럼 말하며 화를 낸다.
    "이 놈들아! 내가 이따위로 이렇게 어렵게 사용하라고 만들었냐?"

    • @snicus76
      @snicus76 2 роки тому

      이거 중요한 말이죠. 편하고 쉽게 쓰라고 만들었더니 국립국어원 이라는 꼴통들이 세금축내면서, 계속 한글을 어렵게 사용하도록 만들고 있죠

    • @누물보-s6z
      @누물보-s6z 2 роки тому +30

      과거보다 훨씬 간소화된 게 지금임 옛날엔 더 복잡했음

    • @ukikaze9930
      @ukikaze9930 2 роки тому +11

      세종대왕님의 가장 큰 실수가 맞춤법 규정을 만들지 않은거죠

    • @tact8938
      @tact8938 2 роки тому +36

      @@누물보-s6z 옛날엔 맞춤법 이 없었음.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쓰고 알아 들으면 됐고 띄어 쓰기도 없었음....

    • @마릴리
      @마릴리 2 роки тому +11

      @@tact8938 이딴 개소리에 좋아요가 3개나 박혀잇다는게 신기하다 ㅋㅋㅋ 8종성법은 아세요?

  • @hizzazang
    @hizzazang 2 роки тому +75

    어이 없네를 어의 없네라고 하는 사람들 좀 잡아가주세요 ㅠㅠ

    • @Cvbn120
      @Cvbn120 2 роки тому +10

      일부러를 일부로라고
      하는 사람도요

    • @jmin2890
      @jmin2890 2 роки тому +4

      뭐 하러 갈래?를 하로 갈래?라고 쓰는 사람도 많아요

    • @DemiLune_KR
      @DemiLune_KR Рік тому +1

      ​@@user-cd2jb3nn6b?ㅋㅋㅋㅋㅋㅋ

    • @가오리-h7b
      @가오리-h7b Рік тому +1

      ​@이완건 참왕이 '일부로' 아프다던데 '어이가없네'

    • @흐림레인
      @흐림레인 Рік тому +1

      사투리

  • @jinjinbary
    @jinjinbary 2 роки тому +62

    '돼'와'되'가 들어가는 자리에 '해'와'하'를 대입하면
    바로 알 수 있어요.
    절대 틀리게 쓸 일이 없어요.
    ex)안돼요->'안해요'는 말이 되지만 '안하요'는 어감이 부자연스럽기때문에 '안돼요'가 맞는 표기법이랍니다.

    • @라니-y1l
      @라니-y1l 2 роки тому +5

      그렇게 해도 좋고 돼를 되어로 바꿔서 대입하는 법도 있어요!

    • @JJHJKM
      @JJHJKM 2 роки тому +1

      @@라니-y1l “되어”는 ‘하여’를 넣으면 됩니다

    • @hyorim0831
      @hyorim0831 2 роки тому

      굿

    • @정페즈
      @정페즈 2 роки тому +7

      해, 하는 임시방편이라
      그냥 '돼'가 '되어'의 준말이라는 걸 이해하는 게 더 좋은 거 같아요

    • @인정-z4x
      @인정-z4x 2 роки тому

      저는 뒤에 어를 붙여 읽어보는게 젤 쉽던데

  • @hschoi12
    @hschoi12 2 роки тому +53

    국민99%가 ‘짜장면’이라고 적고 발음하는데 표준어가 아니라고 지적하고 지적받은게 수십년… 오직 아나운서만 ‘자장면’이라 발음하고 그 말소리에 어색함을 느끼는데도…
    몇년전에 짜장면도 표준말로 지정되었다 들었는데 참 반가운 소식이었습니다.

    • @snicus76
      @snicus76 2 роки тому +8

      그러니까 맞춤법이라는게 일관성도 없구요. 그냥 지들 꼴리는 대로 합니다. 세금은 축내는데 일하는걸 보여줘야 되니까. 괜히 멀쩡한 한글을 건드려서, 더 어렵게 만들고 있죠

    • @jry2557
      @jry2557 2 роки тому +3

      복수 표준어

    • @ukikaze9930
      @ukikaze9930 2 роки тому +4

      ​@@snicus76 맞춤법 원칙상 자장면이 맞는데 짜장면으로 하도 오래 굳어져 버리다 보니 예외적으로 복수표준어 인정을 해주는 겁니다;; 언어라는게 원래 항상 바뀌는 거임

    • @audreylee8310
      @audreylee8310 2 роки тому

      @@ukikaze9930 뭔 맞춤법표기상
      짜장자체가 외래어고 짜장이맞는데
      zhajiang

    • @RRRabbit1004
      @RRRabbit1004 2 роки тому +4

      뭐뭐 하길 바라~ 뭐뭐 하길 바래도 인정해줬으면 "바라~ "넘 어색함

  • @다롱핑
    @다롱핑 3 місяці тому +2

    헷갈리는 맞춤법
    왼쪽이 틀린 거
    1.넌 평소와 틀리네? 넌 평소와 다르네?
    2.그래도 되? 그래도 돼?
    3.에걔 겨우 이만큼? 애걔? 겨우 이만큼?
    4.삼흘뒤에 보자 사흘 뒤에 보자
    5.친구는 정말 못말려 친구는 정말 못 말려
    6.않된다고 안된다고
    7.아 맜있다 아 맛있다.
    8.흥! 실은데? 흥! 싫은데?
    9.이정도면 되려나 이 정도면 되려나
    10.책좀봐라 책 좀 봐라.
    11.쭈꾸미 한번 먹어봐 주꾸미 한번 먹어봐
    12.백짓장도 맞들면 낫댔어 백지장도 맞들면 낫댔어

  • @user-ky2gn1zr8o
    @user-ky2gn1zr8o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돼, 되는 좀 쉬워요 돼는 해로 생각하고 되는 하로 생각하고 해,하 둘 다 말이 안되면 하(되)로 쓰라고 배웠어요 예를 들면 안돼는 안해로 바꿔서 생각해서 쓰는거죠

  • @oomirrr
    @oomirrr Рік тому +5

    안녕하세요. 저는 선플달기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입니다. 영상을 시청하며 유익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되어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영상을 통해 맞춤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었고 제가 모르던 부분까지 새롭게 배울 수 있었습니다. 도움되는 영상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유익하고 재미있는 영상 많이 제작해주세요.

  • @한솔민-j1o
    @한솔민-j1o Рік тому +57

    여기에 쓰는 단어들 중에서 표현방법에 따라서 달라지는 단어가 있는것 같네요 ㅎㅎ

  • @vivalavida796
    @vivalavida796 2 роки тому +73

    보고싶다는 붙여 쓰는 것도 됩니다^^

    • @엄준식-w9x
      @엄준식-w9x 2 роки тому +2

      Good

    • @gamegam1197
      @gamegam1197 2 роки тому +1

      첫번째도

    • @치치군
      @치치군 Рік тому +10

      보고 싶다는 반드시 띄어야 됩니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붙여도 되는 경우는 아래의 경우에 한정됩니다.
      1. 본용언의 어간 뒤에 '-어/아'의 연결 어미가 붙는 경우 이거나
      본용언의 어간 뒤에 관형사형 어미가 붙고 보조 용언으로 '듯하다, 듯싶다, 척하다, 체하다' 등이 올 경우
      2. 본용언이 단일어이거나 2음절의 합성어, 파생어인 경우

    • @장우진-c3b
      @장우진-c3b Рік тому

      @@치치군 언매 공부하는데 도움이 됐어용 감사합니당

    • @제네시스BBQ
      @제네시스BBQ Рік тому +1

      ​@@치치군ㅈ까 보고싶다로 쓸거임 ^^

  • @sungchan282
    @sungchan282 2 роки тому +1

    '나너안본지두달다돼감' 이라는 문장은 전부다 띄어써야함

  • @bluerose6658
    @bluerose6658 7 місяців тому +1

    근데 이렇게 잘 설명해 주어도 요즘 사람들은 기본적인 맞춤법 틀린 걸 부끄러워 하지도 않는다는 충격적인 사실~ 나라가 망조가 제대로 들었음.

  • @강지훈-g1b
    @강지훈-g1b 2 роки тому +25

    바꼈다. 사겼다.
    ☞ 바뀌었다. 사귀었다.
    허투로
    ☞ 허투루
    내년(1년 뒤), 후년(2년 뒤), 내후년 (3년 뒤)

    • @tks1190
      @tks1190 2 роки тому

      바꼈다, 사겼다는 줄인 거라서 허용 아닌가요?

    • @판나-l4p
      @판나-l4p Рік тому +1

      ​@@tks1190 바뀌었다 사귀었다는 준말이 없습니다

    • @하나다섯-j2t
      @하나다섯-j2t Рік тому

      ​@@판나-l4p 걍 사람들이 줄인거라고

    • @판나-l4p
      @판나-l4p Рік тому

      @@하나다섯-j2t 원래 안되는데 줄였다 아님?

    • @user-yg97f5hfvh
      @user-yg97f5hfvh Рік тому

      ​@@하나다섯-j2t 잘못 줄인거지. 바끼다, 사기다가 아닌데 줄여서 바꼈다, 사겼다가 됐잖음

  • @KIMDDUN
    @KIMDDUN 2 роки тому +47

    정말 유익한 정보네요!

  • @Onyoo321
    @Onyoo321 2 роки тому +12

    꾀랑 꽤 틀리는 사람들도 많아서 놀랐습니다 ㅠㅠㅋㅋ 정말로..

    • @박정호-t2w
      @박정호-t2w 2 роки тому

      뛰어쓰기랑 맞춤법이랑 구분 못하는 유튜버인듯 ㅋㅋ 맞춤법이라고 해놓고 뛰어쓰기 지적하네

    • @Onyoo321
      @Onyoo321 2 роки тому

      @@박정호-t2w 띄어쓰기도 엄연히 맞춤법에 포함은 되는 부분이니 상관 없을 것 같아요!

    • @dyfn.
      @dyfn. Рік тому +5

      @@박정호-t2w 뛰어쓰기요?

  • @SamsungKimPro
    @SamsungKimPro 2 роки тому +1

    솔직히 띄어쓰기는 귀찮아서 안 할 때가 많아서 그렇지 웬만하면 띄어 씀.

  • @aassz1004
    @aassz1004 Рік тому +2

    아..그놈의 뛰어쓰기 참 대단한 한국어 사랑인가봐여...가끔댓글에 띄어쓰기나 맞춤법지적하는사람들보면 진짜 세상 참 힘들게 산다 생각함..지적잘하는사람치고 친구많은 사람 못봤음..ㅌㅋ

    • @JIHYEOGI
      @JIHYEOGI Рік тому

      너무 기본적인 맞춤법을 틀리면 좀 그렇지만 솔직히 좀 틀리면 어때요 ㅋㅋ

  • @김성민-b9r
    @김성민-b9r 2 роки тому +9

    보고 싶다 / 보고싶다
    둘다 맞다고 하던데요
    둘다 독립된 동사로 띄어쓰도 돼고
    붙여서도 됀다했어요.

    • @스톰트루퍼
      @스톰트루퍼 2 роки тому +5

      되고 된다가 맞습니다

    • @라벨-x8u
      @라벨-x8u Рік тому +1

      된다 됐다 중 된다가 맞으며
      '된다'라는 표현은 없다고 해요.
      되요 돼요 중에서는 돼요가 맞습니다

  • @chumihee2797
    @chumihee2797 2 роки тому +19

    저는 띄어쓰기가 힘들어요.ㅠ
    지금까지 봬요를 뵈요로 쓰고
    있었어요.ㅠㅠ
    한국 떠나 생활한지 30년,
    맞춤법도 많이 바뀌어서 한글
    쓸때 이게 맞나 헷갈릴 때가
    많아요.
    영상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Bonjour0614
      @Bonjour0614 2 роки тому +1

      저도 동감 합니다
      가끔 단어가 빨리 떠오르지 않을 때가 있어요
      한참 기억을 더듬어야 할 때도 있고...

    • @재석-d5y
      @재석-d5y 2 роки тому +3

      한국 살아도 그래요

    • @은숙김-b3o
      @은숙김-b3o 2 роки тому

      와우~~저는 하나 틀렸네요.
      아니에요(0)-
      아니예요(×)

    • @turnP
      @turnP 2 роки тому +5

      한국에서만 30년 생활한 사람도 봬요를 뵈요로 쓰고 있..

    • @tame2790
      @tame2790 2 роки тому +3

      이런거보면 짜증나요 국어학자란놈들 때문에…여기서 적게 틀린 사람은 젊은사람, 많이틀릴수록 어르신들..

  • @이소영-f4n
    @이소영-f4n 2 роки тому +4

    헉.
    제가 지금까지 많이 틀리게 적었내요 ㅎㅎ
    가르쳐줘서 감사해요^^
    국어사랑 나라사랑

  • @누룽지-n4x
    @누룽지-n4x Рік тому +1

    숟가락 숫가락 헷갈리시는 분들도 많으시던데
    근데 우리나라말이 진짜 글자 하나하나 마다 범용성이 참 좋아서 어려울 수밖에 없는거같아요..

  • @younglee4969
    @younglee4969 3 місяці тому +1

    첫 번째 원칙은 띄어쓰는 것이 맞지만 붙여쓰는 것도 허용으로 알고 있습니다.

  • @수미정-p3i
    @수미정-p3i 2 роки тому +43

    재밌어요
    맨날써도 다 틀리게
    쓰고 있었다는 ㅜㅜㅜ
    에구 국맹 ㅋㅋㅋㅋ

    • @Lee-ly1us
      @Lee-ly1us 2 роки тому +7

      저도 국맹입니다.
      영광스러운 것도 아닌데 동질감이 들어서 인사 남깁니다.^^

    • @허태식-p8v
      @허태식-p8v 2 роки тому +2

      지금도 틀리심. 맨날x 만날 0 만날`써도

    • @가수는노래를잘해야한
      @가수는노래를잘해야한 2 роки тому +2

      ​@@허태식-p8v 그럼 맨날은요? 없는 단어인가유?

    • @barbiechun7719
      @barbiechun7719 2 роки тому +1

      ​@@허태식-p8v 맨날이랑 만날이랑 똑같다고 국어 시간에 배웠는데요?

  • @고래-v6n
    @고래-v6n 2 роки тому +14

    되 돼 헷갈릴 땐 '되어요'를 쓰면 됩니다.
    이거 해도 되요?(x) > 이렇게 해도 되어요?(o) > 이렇게 해도 돼요?(o)
    이거 해도 돼나요(되어나요)?(x) > 이렇게 해도 되나요?(o)
    이렇게 해보면 어떤 문장이 더 자연스러운지 알 겁니다.
    비슷한 걸로는 '뵈어요'
    다음에 뵈요(x) > 다음에 뵈어요(o) > 다음에 봬요(o)
    어릴 때 맞춤법 공부를 이렇게 해서 생각난 김에 써봤습니다.

    • @3XHP
      @3XHP Рік тому

      감사합니다

  • @줄래-n1g
    @줄래-n1g 2 роки тому +11

    헐 아니에요 였다뉘~~😏
    유익한 동영상 감사합니다 🙇

    • @Riton7738
      @Riton7738 Рік тому

      와 능지 실환가 ㅋㅋㅋㅋ

  • @sungchan282
    @sungchan282 2 роки тому +1

    나 너 안 본지 두달 다돼감-> 나 너 안 본 지 두 달 다 돼 감

  • @nolboo_korea
    @nolboo_korea 2 роки тому +3

    한글 맞춤법을 소리나는 대로 개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원래 그러면 안된다. 지금이 정규 교육과정이 없던 조선시대도 아니고 교육과정이 확립된 시대에 살면서 틀린 맞춤법을 갖다 쓰는건 정말 어처구니 없는 짓임

    • @Dhtdhrtv
      @Dhtdhrtv 2 роки тому

      언어는 생물임
      띄어쓰기를 100년전 미쿡선교사가 만들어 준거는 아시남.....
      한때 외래어를 죄악시 하던 때도 있었음. 뭐 민족의 영혼이 훼손되는양.....
      외래어를 적극적으로 쓰던 일본의 출판량이 창작물이 한국의 열배 ~ 언어는 수단에 불과함

    • @ukikaze9930
      @ukikaze9930 2 роки тому

      바꿔야죠 발음이란게 세월이 지나면서 계속 바뀝니다. 몇백년전까지 갈것도 없이 80년대 뉴스만 봐도 지금이랑 발음 다른거 많아요

    • @집가고싶다-m8l
      @집가고싶다-m8l Рік тому

      맞춤법에 정통성만 이야기하기엔 당장 훈민정음 표기도 만들어지고 몇 번이 바뀌었으니까요. 잘 쓰지 않는 발음이나 맞춤법을 의미를 헷갈리지 않는 선에서 자주 쓰는 말로 바꾸는 것 정도는 괜찮다고 봅니다.

  • @Lunatday
    @Lunatday 2 роки тому +9

    원래 설겆이는 동사 설겆다가 명사형 어미 -이 가 붙어 활용된 단어로, 어근인 '설겆다'가 사라지며 '설거지' 역시 그 어원을 잃고 그냥 발음대로 쓰게 되었습니다. 우리말에는 '소리나는 대로 쓰되 어원을 밝혀 적는다'는 맞춤법 규정이 있는데, 여기서 '어원'이 사라져서 표기가 바뀐 경우입니다.

    • @jry2557
      @jry2557 2 роки тому

      덧붙여,
      '설겆다'는 동사니까 활용이 돼야 하는데
      설겆어서, 설겆으면.. 활용이 안 되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발음대로(소리대로) '설거지'를 명사형으로 쓰게 됨

    • @moo76man
      @moo76man Рік тому

      아니 어원이 사라졌다면 설겆다는 어케 알아요? 국어학자들의 잡짓

    • @바다거북_이파리
      @바다거북_이파리 Рік тому

      @@moo76man 잼민아 걍 발 뻗고 자라

  • @sungchan282
    @sungchan282 2 роки тому +1

    나 너 안본지 두달 다돼감-> 나 너 안 본 지 두 달 다 돼 감

  • @qazwsx215
    @qazwsx215 Рік тому +1

    '안돼 안되' 구별하는 개꿀팁
    '안해 안하' 로 대입하면 됨
    안돼? -> 안해? (o)
    안되? -> 안하?
    안돼나? -> 안해나?
    안되나? -> 안하나? (o)
    안돼요 -> 안해요 (o)
    안되요 -> 안하요
    안해 안하를 대입했을 때
    어색하지 않은 쪽이 맞는 맞춤법입니다

    • @tmflzj1
      @tmflzj1 Рік тому +1

      ㄹㅇ 이게 꿀팁 저도 헷갈리면 이렇게 함

    • @qazwsx215
      @qazwsx215 Рік тому

      @@tmflzj1 아시는군요

  • @J0AF조아프
    @J0AF조아프 2 роки тому +6

    ㄱ 부터 ㅎ까지. ㅏ 부터 ㅣ까지
    가히 대단한 "한글" 입니다

  • @SSUN505
    @SSUN505 2 роки тому +16

    첫번째 띄는줄 좋은 정보 감사하고 좋아요 구독가자~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 @ch.chungmukimbap
      @ch.chungmukimbap 2 роки тому +5

      띄어쓰는 경우도 있고 붙여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띄어쓰기가 있는 경우는 동사 '되다'에 부정 부사 '안'이 쓰인 것이고, 붙여서 쓰는 경우는 '안되다'의 활용형입니다. 요약하자면
      안 돼: 부정형
      안돼: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 @sia5045
    @sia5045 2 роки тому +47

    너무 감사 합니다 제가 혼돈 할 수 있었던 것들입니다 . 여러번 반복해서 익혔어요 . 정말 감사 합니다

  • @양지인-i6j
    @양지인-i6j Рік тому

    되 돼 구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가능하다면 더 나아가서,안되다가 '안되다'라는 동사로 쓰인 건지 아니면 '안'이 '되다'를 수식하는 형태로 쓰인 건지에 따라서도 구분되어야 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뜻풀이를 참고하면 '안되다'라는 동사가 따로 등재되어 있는데, 일정한 수준에 미치지 못했을 때(안돼도 세 명은 합격한다),일 따위가 풀리지 않을 때(장사가 안됐다),사람이 훌륭하게 되지 못했을 때(자식이 안됐다) 등의 쓰임을 의도할 때는 이 단어를 쓰고, 명령 등의 의도가 있을 때는 (자면 안 된다) 부사 '아니'의 준말 '안'이 앞에서 수식하는 형태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띄어 써야 합니다.구분해서 쓰는 사람이 드문 편인데 정식으로 등재된 것이라서 틀린 맞춤법이 됩니다 ...ㅠ 알게 되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 @비타민-i3n
    @비타민-i3n 2 роки тому +52

    설겆이..또다시 충격이네요ㅜ.ㅜ

    • @박은숙-u5l
      @박은숙-u5l 2 роки тому +4

      저도.잘못됐네요.설거지.우리아름다운한글♡♡

    • @jaemayham
      @jaemayham 2 роки тому

      ​@@박은숙-u5l옛날에 설거지 전에
      쓰던거래

    • @갓김치-r2w
      @갓김치-r2w 2 роки тому +2

      ​​@@쐬주나 설겆이는 설거지로
      몇일은 며칠로 소리나는 대로 바뀐 것도 꽤 있습니다. 욹은불근도 울끈불끈으로 바뀌었죠
      다른 예로는.. 살쵹, 음죵, 국긔, 법녜, 이렁셩, 이슷, 이믜, 셜흔, 법뎐등등.. 다 소리내어 보면 무슨 뜻인지 알게 될겁니다.

  • @가나다가나다-t9j
    @가나다가나다-t9j 2 роки тому +4

    봬요는 뵈어요의 준말로 딱 한가지의 경우만 사용. 대부분 뵈었다. 뵙겠습니다 등 뵈로 사용

  • @준우-i5y
    @준우-i5y Рік тому +7

    보고싶다 붙여도 되는거 아닌가요..?

  • @yoasobippattajeong
    @yoasobippattajeong Рік тому +2

    솔직히 심하면 문제가 되지만 맞춤법으로 시비걸거나 비난하지말고 친절하게 알려주자 맞춤법으로 비난하는 사람중에 국어 1등급인 사람 본적없음

  • @Ehdakfudnj
    @Ehdakfudnj Рік тому

    첫 번째, 보고 싶다를 띄어쓰기 오류로 수정하셨으면 안돼, 안돼요 또한 안 돼, 안 돼요로 쓰는 게 옳은 것 같네요.

  • @heeyabooboo5954
    @heeyabooboo5954 2 роки тому +10

    바이든 X
    날리면 O

  • @Venice0915
    @Venice0915 2 роки тому +6

    자주 좀 올려주세요
    아직도 '읍니다'로
    쓰는분들이 많음ㅠ

    • @율이맘-l9d
      @율이맘-l9d 2 роки тому

      습니다

    • @Venice0915
      @Venice0915 2 роки тому

      @@아닌데-e9j 아 그렇군요 그런 건 재미도 없고 유행 안 했으면 좋겠네요. 파이팅하세요~~

  • @김들꽃-e7u
    @김들꽃-e7u 2 роки тому +8

    유익하네요 ᆢ

  • @user-ru8wj6cf7t
    @user-ru8wj6cf7t Рік тому

    엄마 : 아들 청소 좀 해
    아들 : 게임하고 있어서 안되요

  • @왕자탄백마-i4e
    @왕자탄백마-i4e 2 роки тому +1

    안돼 안돼요 는
    "안"이 부사이므로
    안 돼 , 안 돼요 로 띄어쓰기 해야 됩니다.
    띄어쓰기 관련된 문제가 없었으면 몰라도
    하려면 확실히 해야죠.
    얼굴이 참 안됐다 의 경우에는 안이 됐다와 합쳐져 하나의 형용사가 되기 때문에 띄어쓰기 없이 안됐다 라고 씁니다

  • @그레이스정-f3c
    @그레이스정-f3c 2 роки тому +6

    잘보고 갑니다

  • @줄리-m1n
    @줄리-m1n 2 роки тому +4

    어머 설겆이... 설거지로 바뀌었다니...

    • @떡두꺼비-c9i
      @떡두꺼비-c9i 2 роки тому

      바뀐지 30년이 넘었답니다..

    • @줄리-m1n
      @줄리-m1n 2 роки тому

      @@떡두꺼비-c9i 그랬군요^^

  • @미옥박-p1h
    @미옥박-p1h 2 роки тому +4

    제가 틀린것들 콕콕 찝어 주시네요^^

  • @tv-sb4hf
    @tv-sb4hf Рік тому +1

    Top0궁시렁거리다
    구시렁 거리다(0)
    간간히
    간간이(0)

  • @insomnia6587
    @insomnia6587 2 роки тому +6

    몇일도 많이 햇갈리더라고요.
    며칠입니다.

    • @Minsu837
      @Minsu837 2 роки тому

      헷 입니다..

    • @insomnia6587
      @insomnia6587 2 роки тому +1

      @@Minsu837 햇갈리다도 많이 헷갈리거라고요
      헷이네요.

    • @rainbow-c3r
      @rainbow-c3r 2 роки тому

      헛 아닌가요
      (헛갈립니다로) ~ ㅎ
      '84년 한글 맞춤법 개정으로
      몇차례 걸쳐 바뀌더니...
      어렵네요...공부합시다...모두

    • @얌릴리
      @얌릴리 2 роки тому

      헛갈리다 입니다

    • @insomnia6587
      @insomnia6587 2 роки тому

      @@얌릴리 이거 정말 헛갈리네요 하

  • @양양-z7x
    @양양-z7x Рік тому +3

    돼,되가 헷갈릴때 쉬운 방법은 해와 하를 넣어 같은 발음을 되내이면 답이 나와요^^

  • @이쌤-h2y
    @이쌤-h2y 2 роки тому +3

    중학교 다닐때 선생님이 이제 "삯월세"라고 하면 안되고 "사글세"라고 적어야 하고 "읍니다"대신 "습니다"라고 써야한다더군요. 국민학교 입학할때 습니다 라고 적었다가 엄마에게 엄청 맞았는데 적응하고 나니 습니다 라고 하라니 어처구니가 없더라구요. 항상 바로 아래 학년부터 책이 바뀌었는데 고1때 우리학년부터 교과서가 바뀌면서 개정맞춤법을 국어시간 내내 배우고 따로 노트에 맞춤법 개정안을 쓰고 외웠습니다. 우리부터 바뀐거라 학력고사에 반드시 나온다고 3년내내 개정국어맞춤법을 썼어요.

    • @junichitiger
      @junichitiger 2 роки тому

      그 읍니다와 습니다. 같은 맥락이라도 억양과 상황에 맞게 쓰다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습니다로 통일 한거고요. 삯월세도 마찬가지에요. 삯월세는 일주에 한번씩 내는 방쎄를 말하는건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삯이 맞는 표현이라 생각이 되요. 뭐 표면적으론 사글세가 맞겠지만요.

  • @ПоселокЧерри
    @ПоселокЧерри 2 роки тому

    어떻게 : 어떠하다 준말.부사로 쓰여 용언(동사,형용사,되다,하다)과 같이 쓰임.
    어떡해 : 어떠하개 해 준말 "어떡해." 단어 하나가 한문장으로 끝나는 표현.
    어때 : 어떠해? 의문형의 준말
    어떼 : 없는 말.틀린 말.
    든 : 선택
    던 : 과거의 경험
    ~데 : 내가 직접 경험한 것
    ~대 : 남의 말을 간접적 전달
    틀리다:시험문제 답을 틀렸다.
    다르다:그외는 전부 다르다 임.
    너무: 부정형 표현. 너무 맛없다. 너무 아프다.
    정말: 긍정형 표현. 정말 맛있다. 정말 예쁘다.

  • @민주누나바라기
    @민주누나바라기 Рік тому

    첫번째랑 보고싶다는 띄어쓰는게 기본이지만 붙여써도 되는 걸로 압니다 둘다 허용된 맞춤법이죠

  • @euisunhan1003
    @euisunhan1003 2 роки тому +6

    유익한 정보입니다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RRaammee
    @RRaammee Рік тому +5

    정말 댓글 최신순으로 보니 가관이네 이런 표준 맞춤법이 정해져 있는 이유는 글로 써서 의사소통을 하거나 기록을 남길 때 사람들이 오해를 하지 않도록 법처럼 규칙으로 정해서 교육과정에도 배우도록 나온건데 자기네들이 먼저 틀리게 사용해놓고 맞춤법 틀리게 써도 알아듣는다, 학자들이 실적올리려고 어렵게 만든거다 등등.. 에휴 무식한 티내네

  • @김기은-y8i
    @김기은-y8i 2 роки тому +15

    이런 영상은 도움이 되는듯^^^

    • @Bbanggaru0000
      @Bbanggaru0000 Рік тому +1

      얘는 아직도 이러네 ㅋㅋㅋㅋ

  • @audan2810
    @audan2810 2 роки тому +1

    보고싶다는 보조동사라서 붙여써도 되는거 아닌가..?

  • @A.mir_chill
    @A.mir_chill 9 місяців тому

    되, 돼 구분법
    되=하, 돼=해로 바꿔 생각해 보기
    예시: 안되요 = 안하요, 안돼요 = 안해요
    이렇게 말이 되니까 돼가 맞음
    예시2: 되요 = 하요X 돼요 = 해요 O
    만약 돼요를 되로 쓰고 싶다면 되네요도 O

  • @Ye._seo
    @Ye._seo 2 роки тому +3

    헐~ 첫번째가 아니라 첫 번째로 써야 하는군요... mz사전님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하이브리드가짱이지
    @하이브리드가짱이지 2 роки тому +4

    언어는 수학과 달라서 자유롭고 다양한 표현들이 이해 되어야 한다고 본다.

    • @멍청한놈을보면짖는개
      @멍청한놈을보면짖는개 2 роки тому +4

      일부러 다르게 표현하는거랑 몰라서 틀리는거랑은 구별해야죠? 몰라서 틀리는걸 다르다고 우기는건 초딩때로 충분합니다

    • @jry2557
      @jry2557 2 роки тому +2

      언어의 특성이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는 것. 그에 맞춰 규범도 따라가는 거니까

    • @user-yg97f5hfvh
      @user-yg97f5hfvh Рік тому +1

      놀랍게도 영어는 실제로 정해진 맞춤법이 없고 그냥 사람들이 쓰는대로 쓴다

  • @Cold2Rain
    @Cold2Rain Рік тому +5

    감기는 좀 낳았어? 라고 하는 놈들을 낳은 부모님들은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요

    • @Nolan_Hemzzy
      @Nolan_Hemzzy Рік тому +1

      그 놈들을 "낳은" 걸 후회하겠죠

  • @Rorellr
    @Rorellr Рік тому

    설겆이도 원래 국립국어원에 정식으로 등록되었는데 설거지로 바껴서 틀리다고 하기엔
    애매함

  • @jbc2679
    @jbc2679 2 роки тому

    되 랑 돼 가 헷갈리실땐 되->하, 돼->해 로바꿔서 읽어보셨을때 어울리는게 답이라거 알고있어요. 예를들어 이거 해도 되? 인지 돼? 인지 혯갈릴땐 이거 해도 하? 이거 해도 해? 둘중에 하보단 해 가 어울리죠 이런식으로요

  • @starbling9836
    @starbling9836 2 роки тому +11

    이게 잘 틀리는 이유가 맞춤법 자체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화하지만 일반인들이 학생때처럼 지속적으로 배우질 못한다것에 있다.
    국어학회나 국립국어원이 뭐하는 곳인지 일반인들이 알바 아니지만 맞춤법을 손바닥 뒤집듯이 쉽게 생각한다는게 제일 큰 문제다.

  • @꿈꾸는아름다운세상
    @꿈꾸는아름다운세상 2 роки тому +7

    아니예요는 정말 몰랐네

  • @예라니-u2c
    @예라니-u2c 2 роки тому +12

    와~ 사이띄기 까지 👍 첫번째는 뭐가 틀렸지? 하는 순간 아~~

  • @윤선희-d4x
    @윤선희-d4x 2 роки тому +8

    상대가 알아 보기만 하면 될듯..피곤해..

  • @sjj5578
    @sjj5578 2 роки тому

    어간 되-,뵈- 의 쓰임은 다른 어간 예컨대 먹- 으로 치환해보면 됩니다 어간은 반드시 어미와 함께 써야하는데 -요 의 경우 어미가 아닌 보조사이기에 되요 나 뵈요 는 마치 먹요 같은 비문입니다
    따라서 되(어간)+어(어미)+요(보조사)-돼요(준말)가 옳은 표현

  • @No_Eul
    @No_Eul Рік тому

    한글날인데 한국어 맞춤법 운운하는 사람들은 대체 뭐임?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말하는 건데 정확히 한국어는 언어고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임. 물론 이 둘은 뗄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
    한글 맞춤법 문제는 표기의 문제이지 굳이 그걸 한글이라는 문자를 위한 날인 한글날에 언급해야 하는지 의문임.

  • @삶의향기-t6k
    @삶의향기-t6k 2 роки тому +10

    감사합니다 ~~^^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로즈버드-z2t
    @로즈버드-z2t 2 роки тому +13

    설거지 몰랐네요 ㅋ

    • @시청자-w3o
      @시청자-w3o 2 роки тому

      누가 단톡에 설겆이라고 하길래 일부러 잡아주려고 계속 설거지라고 말하는데 눈치 못채고 꾿꾿이 계속 설겆이라고 하시던 누군가 생각나네요 ㅎㅎ

  • @bhj2806
    @bhj2806 2 роки тому +7

    딴 건 다 아는데 보고싶다는 충격이네 보고 싶다

    • @physik802
      @physik802 2 роки тому

      본용언과 보조용언은 띄어써도 상관없음

  • @asura3744
    @asura3744 Місяць тому

    한글은 처음 기본적인거 배우는건 쉬운데 맞춤법 띄어쓰기 들어가면 어려운 언어인듯

  • @yarnysh
    @yarnysh 6 місяців тому

    낳다 낫다
    짖다 짓다 등등 아직도 구분 못하는 사람들 많음
    거기다 얼마전 뉴스에 구직란에 0명 모집 한다니까 전화와서 왜 0명 모집 하면서 구하냐고 했다함 ;;;;

  • @gum1080
    @gum1080 2 роки тому +4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때는 설겆이 아기돐 이라썼는데 이건 맞다봐서 난 이걸로 씁니다 고수하죠 틀리던 말던

    • @ricewineaglass4677
      @ricewineaglass4677 2 роки тому +2

      맞아요 제가 돐이라쓰면 젊은아들이 돌이야 엄마하데요 ㅎ~ 습관이되서 어딘지 뭐가좀 찜찜해요

    • @vxvhfnc3009
      @vxvhfnc3009 2 роки тому +1

      틀리든 맞든

    • @ukikaze9930
      @ukikaze9930 2 роки тому

      맞춤법 틀린다고 잡아가는건 아니니 뭐라 말은 못하겠지만 저런 말 쓰는 사람들 보면 교양이 없어보이는건 어쩔수 없죠

  • @눈을떠-x5n
    @눈을떠-x5n 2 роки тому +3

    보고~싶다 울고 ~싶다 이런 내가 미워질 만큼

  • @김재경-g4o
    @김재경-g4o 2 роки тому +8

    띄어쓰기는 여전히 어렵네요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그러게 말입니다

  • @subscibeCALLANGE
    @subscibeCALLANGE Рік тому +1

    지짜 그거 글어케 쓴은거 안인데.
    맏침뻡은 나처럼 이러케 쓴은건데
    여러분 절을 보고 베우새요.
    햇깔릴 이유가 업씁니다.열어분.
    화이팅 핲씨다.

  • @애국사랑-love대한민국
    @애국사랑-love대한민국 2 роки тому +1

    맞춤법 매년 매해? 자주 바뀝니다
    과거엔 맞춤법이
    첫번째였지만 지금은
    첫 번째로 바뀐듯???하네요?
    이러니 요즘 댓글에 맞춤법 타령하는 글들이 많은것;;;
    닭도리탕이 요즘은 닭볶음탕으로 바뀐것처럼요
    한글은 맞춤법 기준이 자주 변경되다보니 요즘 학생들과 어른들 세대끼리 충돌일어나기도 합니다
    몇년 지나면 요즘 세대들 맞춤법 또 다시 배워야할거고요
    사실 오타나도 맞춤법 틀려도 다 알아듣자나요
    한글의 위대함이라 할수있죠

    • @ukikaze9930
      @ukikaze9930 2 роки тому

      다들 잘못써서 그런거지 관형사+의존명사는 60년대든 70년대든 띄어쓰는게 원칙이었습니다. 그냥 잘못배운걸 예전에 배워서 그렇다고 핑계대는 거죠

  • @전원생활숲이야기
    @전원생활숲이야기 2 роки тому +5

    감사드립니다
    사랑합니다 💜

    • @mzbook
      @mzbook  2 роки тому

      저도 감사합니다

  • @jieun1047
    @jieun1047 2 роки тому +4

    내일 봬요~~

  • @조나단-r4s
    @조나단-r4s Рік тому +1

    "철수가 그러는데 영희네 이사갔대" 맨끝 대를 데라고 쓰는애들 겁나많음ㅋㅋㅋㅋ

  • @Babu_Jokjeb_HYUNJIN
    @Babu_Jokjeb_HYUNJIN Рік тому

    되 돼 쉽게 구분하는법
    되->하
    돼->해
    이 글자로 바꿔보고 뒤에 글자랑 잘어울리는 걸로 쓰면 편해요

  • @7tv276
    @7tv276 2 роки тому

    의미통하면 된다~너무 한국인 완벽주의때문에 여러 정신병생기는거 같음..

  • @tree6508
    @tree6508 2 роки тому +7

    다른건 몰라도 설겆이는 심함

    • @snicus76
      @snicus76 2 роки тому

      30년전 전만해도 그렇게 배워왔고, 그렇게 대입시험본 사람들이면 그럴수도 있지. 뭐가 심함? 국립국어원 표준어도 매년 계속 바꿔가면서 삽질하는데, 니가 쓰는 말도 언제가 틀린말이 될지 모르는거야.

    • @유미학살자
      @유미학살자 Рік тому

      하나도 안심함 ㅇㅇ 니 엄마 아빠 세대만 해도 설겆이라고 했을걸?

  • @김마린-j9s
    @김마린-j9s 2 роки тому +5

    할께->할게

  • @팩트폭행-t4y
    @팩트폭행-t4y 2 роки тому +3

    잘봤읍니다

  • @국어국문학과_전공
    @국어국문학과_전공 Рік тому +1

    국민학교 출신인데
    설거지로 배웠는데??
    참고로 3학년때 초등으로 바뀜.

  • @INFP-M_princess
    @INFP-M_princess 2 роки тому

    근데 단어에따라 아닌거 같아도 있는 단어고 뜻이 다른게 있어서 상황에따라 잘 골라야 하는게 맞춤법을 어렵게 만드네요

  • @user-fv7py8oe4c
    @user-fv7py8oe4c 2 роки тому +9

    봬요는 모르고 있었네 ㄱㅅ

  • @J2mttii
    @J2mttii 2 роки тому +1

    '보고싶다' 는 본보조 용언이라 붙여서 써도 되지 않나요??

    • @jry2557
      @jry2557 2 роки тому +1

      맞아요. 허용됩니다.

  • @망고-b9q
    @망고-b9q Рік тому

    안돼는 안 돼 처럼 띄어쓰는 게 옳은 표현입니다!
    그리고 예외로 첫눈이나 첫사랑은 한 단어로 붙여 써야 합니다!

    • @망고-b9q
      @망고-b9q Рік тому +1

      @@여유로운삶 ㅈㅅ 오타

  • @선선-o7h
    @선선-o7h 2 роки тому

    한글이 이렇게 어렵습니다... 한국인도 모르는 한글.. 세종대왕님은 도대체...

  • @attachnickname4404
    @attachnickname4404 2 роки тому

    우리가 전에 배울때는 '안되요' 라고 썼고.'안돼' 할때는 지금처럼 썼다.
    뵈요도 봬요라고 쓰는게 오히려 이상해 보이고 뵈요가 더 편하게 보임.
    자장면도 언제부턴가 이렇게 쓰던데 말,글이 좀 바보같지 않나?짜장면 이렇게 쓰야 진짜 짜장면 맛이 더 느껴지는것 같다.짝꿍인 짬뽕 이름과도 어울리고.
    전에는 표준어가 김치찌게라고 썼는데 이것도 언제부턴가 김치찌개로 바뀌었는데 전에쳐럼 김치찌게로 사용했으면 한다.

  • @꿈꾸는재택근무자
    @꿈꾸는재택근무자 2 роки тому +1

    낳다 낫다 이것도 넣어주세요
    하루에도 몇번씩 출산 안부 묻는 사람들 넘 많넹ㆍ

    • @2024bluesnake
      @2024bluesnake 2 роки тому +2

      뭔소리??
      낳다 낫다 는 확연히 틀린 밀인데 ㅋㅋㅋ틀릴수가 없죠

    • @Libreta71
      @Libreta71 2 роки тому

      ​@@2024bluesnake네 근데 틀리십니다 ㅋ 받침을
      ~하지 않아 할 때 않 ㄴㅎ 하고 ㄴ 받침도 틀리시고요 은근히 많으십니다 ㅜㅋㅋ

  • @Junopic
    @Junopic 2 роки тому +1

    (뭐가 더 낳은지 일해라 절해라하는개
    정말 어의없음.)
    - 다른걸 떠나 이게 제일 웃김.

  • @kuncloudsd
    @kuncloudsd 5 місяців тому

    놀랍게도 법무부가 거액의 세금을 들여 만든 싸구려 플래시게임에서도 '안되요' 라고 적혀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