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봤자 쓸데없는 분리배출. 재활용률 고작 27%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9 лют 2025
  • 원본링크 : • "분리배출 해도 재활용 안 돼" 플라스틱...
    #분리배출 #재활용 #플라스틱

КОМЕНТАРІ • 24

  • @볼빨간라이더
    @볼빨간라이더 Рік тому +6

    규제해야 합니다

  • @K강상
    @K강상 Рік тому +5

    국개의원들은 자기들 이익만 챙기지 이런 일에는 관심이 없지...
    법 좀 개정하자!!

  • @seojungsik88
    @seojungsik88 Рік тому +2

    제조단계에서 플라스틱을 표준화하지 않으니 이런 문제가 발생합니다. 소재를 표준화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해야합니다, 무조건 싸고 지들편한대로 마구만드니 이런문제가발생합니다, 규제 법안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Universe312..
    @Universe312.. Рік тому +7

    음주가 일보다 좋은 룬썩을
    성형과 디올이 좋은 김유지

  • @염경민-t4k
    @염경민-t4k Рік тому +2

    재활용 편하게 만들어서 비싸지면 또 난리 나니깐

  • @풍경소리-k6w
    @풍경소리-k6w Рік тому +7

    정말 심각하지요ᆢ에휴

  • @불새-y8u
    @불새-y8u Рік тому +14

    국가 기능이 ᆢ엉터리라 그래요.
    ᆢ제발, 공무원들 일좀 해라 ᆢ

  • @로렐리안
    @로렐리안 Рік тому +4

    애초에 플라스틱으로 만든제품은 그냥 피함, 애들한테도 그렇게 교육합니다 몇백원더 들어도 캔이나 유리제품을 사라고 교육함다. 플라스틱이거 반드시 엄청난 비용으로 돌아옵니다.

  • @김무소유-d2q
    @김무소유-d2q Рік тому +4

    그래서 생수병만 따로 선별해서 모으는구나

  • @온나라-f5s
    @온나라-f5s Рік тому +11

    한심헌 정부

  • @user-llllllllllllllll
    @user-llllllllllllllll Рік тому +1

    소주병처럼 100원정도 보증금제도를 만들면 좋을듯 요즘 소주병 길바닦에 굴려다니는거 본적이없어요

  • @잠순이-f8u
    @잠순이-f8u Рік тому +6

    아직도저런거야?: 분리안한다그럼 그찮아도 귀찮은데..;

  • @seoyoonpark-jh5rc
    @seoyoonpark-jh5rc 7 місяців тому +1

    버릴때 규제 하지말고 제발 만들때 규제좀 해라...

  • @ramjy527
    @ramjy527 Рік тому +4

    그래서 선진국 아무나 하는거 아니다!!

    • @aawasmae7643
      @aawasmae7643 Рік тому +1

      선진국들 죄다 후진국에 갔다버림

  • @aawasmae7643
    @aawasmae7643 Рік тому +1

    선진국들미 후진국으로 플라스틱 버리면 후진국은 그걸 땔깜으로 쓰던데...

  • @MY_CHOKUK
    @MY_CHOKUK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전정부에서 re100과 일회용기 줄이기 사업 했는데 #룬석열이바로패기해버림
    나라 경기,국격.환율.물가.초박살중이고..
    룬석열정부기간 1114조원 국가부채 증가. 한국은행40조 끌어다쓰고..무역수지는 16위에서 204위..헬조선

  • @모퉁이프로젝트
    @모퉁이프로젝트 Рік тому

    규제해라 제발!

  • @2030여전사
    @2030여전사 Рік тому +1

    열분해. 정답은 열분해입니다. 등급별 가소린 디젤유 전환.
    좋은 기술이 있는데요

  • @이로이로아토
    @이로이로아토 Рік тому

    그래도 우리 재활용문화는 많은국가들중 상위권이다

  • @초난감-l7f
    @초난감-l7f Місяць тому

    pt만 모아서 재활용하는데 헛짓거리구나

  • @trashservice.handle
    @trashservice.handle Рік тому +5

    제품 생산은 규제하지 않고 소비자에게만 책임부과하는 정부탓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