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구 살때 현금 얼마 있어야 하나요?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37

  • @jungmi6344
    @jungmi6344 Рік тому +1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고 궁금한걸 말씀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멸치국수-s3s
    @멸치국수-s3s 2 роки тому +3

    엄청 궁금했던곳을 너무나도 시원하게 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다가구 고수!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멸치국수님~반갑습니다^^
      휴가가서 놀다오니, 다시 일상 모드로 돌아 오기가
      힘들었어요 ㅎㅎ
      이렇게 환영해 주시니 다시 힘이 납니다
      항상 감사드려요~

  • @화선정-r4b
    @화선정-r4b 2 роки тому +1

    선한리치님 오늘도 해피해피 데이 항상 응원합니다 준비생으로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화선 정님~저도 댓글로 응원해 주셔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행복사다리
    @행복사다리 2 роки тому +2

    원룸은 보증금을 내주고 공실상태에서 차기 임차인을 구해야 하는 경우가 많군요! 유용한정보가 많은 좋은 채널입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행복사다리님~너무 반갑네요 ㅎㅎ
      그동안 여러가지 일이 있으신줄도 몰랐네요
      계속 발전하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
      항상 응원하면서 지켜보겠습니다!!

  • @바카스-w2k
    @바카스-w2k 2 роки тому +2

    오늘도 좋은 정보감사드립니다.
    매매가의 실투자금이 어느정도 비율이 좋은지 잘이해가 되네요ㅎ
    지금과 같은 금리인상기에는 더더욱 인지해야 할 지식 감사해요
    매수이후 현금흐름이 정말 중요한 것을 새롭게 배우게되네요ㅎ 마이나스통장,적정현금보유
    8월에도 좋은정보 많이주세요~~^^♡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바카스님~매수이후 현금흐름만 잘 관리하면
      크게 스트레스 받을일 없어요^^
      바카스님 항상 열심히 공부하시네요~
      즐거운 8월 되세요~^^

  • @이지연-s4i8m
    @이지연-s4i8m 2 роки тому +2

    안녕하세요. 많이배우고 갑니다.
    오늘도 덕분에 건물주로 한발짝 다가갑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지연님~한발짝씩 다가 가다보면
      목표에 도착하실 거예요^^
      응원합니당~!!

  • @태양초-d9r
    @태양초-d9r 2 роки тому +2

    은퇴를 준비하고 있어 다가구 매수시는 대출이 없거나 최소한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레버리지를 이용하면 수익률이 높겠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할려구요.
    최근 기재부 보도자료에 의하면 1주택자의 경우 공시가격기준 9억에서 12억으로 완화하여 비과세되는 점도 활용하면 좋을 듯 싶어요...건강보험 피부양자 유지 조건도 활용하구요..
    비가 오네요..건강하시고 다음에도 좋은 영상 기대할께요
    감사합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2

      태양초님~반갑습니다^^
      매수 계획을 구체적이고 현실적으로 세우고 계시네요
      분명히 원하는 목표를 이루실거예요
      쭉 함께 했으면 좋겠어요~^^

  • @그러게-d2x
    @그러게-d2x 2 роки тому +1

    잘 보겠습니다.

  • @영표없다
    @영표없다 2 роки тому +2

    안녕 하세용^^ 선한리치님 덕분에 목표가 생겼습니다!!! 지금 무주택인데 첫주택을 다가구주택으로 결정하고 거기에 맞게 공부중입니다~~~!!! 많은 정보 넘 감사드립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영표없다님~영상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표를 정하고 노력하는 모습 보기 좋습니다~응윈할께요!!

  • @send84
    @send84 2 роки тому

    이번시간도 감사합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라꾸라꿍님~저도 감사합니다~!!

  • @th0509kimpro
    @th0509kimpro 2 роки тому +1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태훈님~항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전도연-c1h
    @전도연-c1h 2 роки тому +1

    차분하게 궁금한내용을 올려주시니 넘 감사합니다.
    그런데
    요즘 아파트값하락하는것처럼 다가구원룸 물건도
    매매가가 많이 하락할수하나요?
    아파트는 매수를 기다리라는 분위기여서요.
    다가구도 매매를 기다렸다가 매수를 해야하는건지요?.
    다가구의
    적절한 매수시기가 언제 일지 궁금해서요.
    왕초보부린이라 궁금하고 모르는것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2

      도연님~아파트는 시세차익형이고
      다가구는 수익형이라서 완전히 다른 성격이예요^^
      다가구의 매매가는 수익률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주변시세와 같이 움직인다기 보다 개별건물마다
      다릅니다.
      짧게 설명하기는 힘든 내용이라서, 영상으로 만들어 볼께요~^^

    • @전도연-c1h
      @전도연-c1h 2 роки тому

      @@선한리치 아..그렇군요.. 바쁘실텐데. 빠른 답글 넘 감사합니다~ 쭈욱 열청하며 공부하겠습니다^^

  • @워니워니-h1c
    @워니워니-h1c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

  • @Woojjalko
    @Woojjalko 2 роки тому +1

    선한리치님. 제가 다가구운영중인데 혹시 주택임대사업자시 세금은 신고 안한거 보다 차이가 많이 나나요?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재우님~저는 세무서에만 등록하고 구청등록은 안해서 세금혜택은 못 받지만
      구청등록 사업자는 세금혜택이 많습니다.
      정확히 금액차이는 모르겠지만,소득세 계산시에도 감면률이 다르고,
      재산세도 감면되고,무엇보다 종합부동산세가 합산배제 됩니다.
      주임사는 지켜야할 의무가 많지만,혜택은 큽니다^^

    • @Woojjalko
      @Woojjalko 2 роки тому

      @@선한리치 정말 감사합니다

  • @ej-bi5uw
    @ej-bi5uw 11 місяців тому

    쵝오!!!!

  • @발신전화
    @발신전화 Рік тому

    현재 마이너스 통장이 DSR규제때문에 실소득이 높지않으면 1억이상이 안나오는데 그전에 받으신건가요? 2금융권도 그정도가 안나와서 한번 여쭈어봅니다

    • @선한리치
      @선한리치  Рік тому

      발신전화님~말씀 하신것처럼 4년전쯤에 만들었습니다.
      남편이 공기업이라서 직장대 은행으로 영업을 했던 상품이었습니다.
      지금 대출규제라면 그정도 나오기 힘들거라 생각합니다^^

  • @존템플턴-y2w
    @존템플턴-y2w 2 роки тому +1

    다가구 매입시 승계받을때 보증금은 매도한사람이 갖는것인가요 ?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BJ님~보증금 만큼 빼고, 매도자에게 매매대금을 지급합니다^^

  • @용기-l9h
    @용기-l9h 2 роки тому

    다가구는 방숫자대로 방공제를 하기 때문에 보증금까지 있다보면 대출 나올 수 있는 다가구가 얼마나 될까요? 제가 알아본 다가구는 대출이 다 안되던데요....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1

      다니엘라님~수도권은 방공제가 5천만원씩 이라서
      대출이 거의 안 나오는게 일반적이예요
      저는 광역시라서 대출이 나오긴 했지만,매매가에 30% 받았습니다.
      MCI,MCG 등이 되는 은행이 있는지도 알아 보세요
      그래서 다가구는 필요 금액만큼 대출이 나오는 은행을 알아보고
      계약을 진행하셔야 해요^^

  • @바람이되어-r3z
    @바람이되어-r3z 2 роки тому

    대출이 많은 다가구에 임차인 맞추기 어렵다고 하던대, 어떻게하나요?

    • @선한리치
      @선한리치  2 роки тому +2

      allok5님~말씀 하신대로 중개사가
      대출과 보증금의 합계 금액을 확인합니다.
      매매가의 50%가 넘으면 안전하지 않은
      건물로 봅니다
      부실 건물에도 임차인이 들어오는 이유는
      중개사가 설명을 하지 않았거나,임차인이
      지식이 없는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욱 대출이 많은 건물은 전세 맞추기가
      힘들어 질거예요^^

  • @유병제-r6w
    @유병제-r6w 2 роки тому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