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은 포스트 아카이브 팩션 같은 브랜드를 왜 못할까??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15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15

    한줄 정리: 패션 대기업은 돈을 버는게 목표인 조직이지 힙해지는게 목표가 아니다

    • @mikekim7006
      @mikekim7006 2 роки тому +5

      매출 증가가 목적인 대기업이기에 독특하고, 특별함보다, 무난하고 대다수가 선호하는 아이템에 초점을 맞추고 가격은 싸게 + 그래도 브랜드 남눈 신경쓰는 한쿡인이니 싸게 라이센스로다가 하면 끝

  • @dearsuzie
    @dearsuzie 2 роки тому +3

    오늘도 영상잘봤습니다👍🏻👍🏻👍🏻 요새 컨슈머들이 예전과는달리 취향이 세분화되다보니 몸집큰 대기업들도 힙하다는 그 브랜드들에 적극 투자하고있죠 대명화학만 보더라도..
    투자받은 힙한 브랜드가 가니처럼 글로벌 힙이 되느냐 대기업시스템 굴복?영향을 받아서 그저그런 브랜드가 되느냐.. 는 앞으로 두고볼일🤨🤨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ㅋㅋㅋㅋ 과이연!!

  • @hehrghe6084
    @hehrghe6084 2 роки тому +15

    힙하다는게 남들이 안하는거를 찾아다니는건데 대기업이 하는 순간 힙할 수가 없죠.. 대기업이 현재 가장 힙하다는거 만들어내도 기존 힙스터들은 바로 돌아서서 다른 힙한거 찾아나설듯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5

      사실 대기업에서 매출 신경 안쓰고, 대기업에서 하던 방식을 다 버리고 힙하게만 하려고 하면 힙하게 할 수야 있는데… 그럴 이유가 없으니까 소위말하는 대중적 방식으로 운영을 하니까 구려지는 것 같습니다. 정말로 힙하다면야 대기업에서 만들든, 구멍가게에서 만들든 상관없지 않을까요?

    • @RoyalMadrid1920
      @RoyalMadrid1920 2 роки тому

      한국에서 만든 옷들은 퀄리티나 마감은 괜찮는데 감성 갖다 버림.

    • @너구리-m3v
      @너구리-m3v 2 роки тому

      @@RoyalMadrid1920 한국 사람들중 다수가 마감이랑 퀄만 보고 무난한거 찾긴 함

  • @말콤맥콤
    @말콤맥콤 2 роки тому +6

    머릿속으로는 알고있는 느낌이 들었는데
    누가' 왜 혜인서 파프 이런 브랜드들을 대기업에서 안하냐' 물어보면 대답을 못하겠더라구요 ㅋㅋ
    근데 이렇게 한방에 정리해주시니까 속시원하고 갈증이 해결됬습니다
    유튜브 자주볼게요~~

  • @goettingenCT
    @goettingenCT 2 роки тому +4

    설명이 진짜 합리적이네요
    대기업이 힙해진다는 거 자체가 딜레마가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 @채혁-g5l
    @채혁-g5l 2 роки тому +4

    매출이 커지는 순간 힙해지지 않는다 ..
    제가 계속 이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다 말해주시네여

  • @BondiBeache
    @BondiBeache 2 роки тому +16

    패션도 결국 브랜드 싸움일 뿐이죠.
    꼼데 가르송도 보면 레이 카와쿠보가 런웨이에서 보여준 온갖 파격적인 시도들은 실제로 패션으로서 기능한다기 보다는 그냥 이미지화되어서 브랜드에 담길 뿐이고,
    결국에 소비자들이 사는건 그냥 하트마크 찍혀있는 티셔츠나 사면서 "나는 엄청 파격적인 패션브랜드를 입는 사람이야" 이러는게 대부분이니까.

    • @drillshit
      @drillshit 2 роки тому

      요즘 옷을 입는다는 사람들이 다 그렇죠 뭐 ㅋㅋㅋ 마틴마르지엘라 살아있을시절 아카이브는 한점이라도 가지고있긴 커녕 본적도 없으면서 실밥들어간 피스는 주야장천 리셀되고, 아워레가시 18년도 언저리의 무드가 담긴 옷보다도 애뉴얼하게 나오는 모헤어가디건하고 써드컷 청바지만 뒤지게 팔리면서도 “마르지엘라의 넘버링이 어쩌구저쩌구,,,,” , “아워레가시는 이런 느낌이 너무 유닠해” ㅇㅈㄹ들 ㅋㅋㅋ

  • @ffo1648
    @ffo1648 2 роки тому +9

    그래픽디자인 분야도 완벽하게 똑같아요... 소위 말하는 대기업...에서는 무난하고 이미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지루하고 한물간 것들만 원하고 재밌고 힙한 작업은 스튜디오급에서 하는데 돈이 안되고...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릴딱밤 생각나네요

  • @snowy2222
    @snowy2222 2 роки тому +3

    설명이 납득이 참 잘 되네요. 특히 대기업에서 힙한 브랜드를 하려면 매출이 커야 하는데 매출이 크면 힙하지 않게 된다는 부분이 그렇네요.

  • @TiTan_22hsb
    @TiTan_22hsb 2 роки тому +3

    힙한 아이템을 대기업에서 파는 순간 물량이 많아지고 클론이 많아지면서 더이상 힙해지지 않는다...

  • @highcollars1
    @highcollars1 2 роки тому +4

    우리 시장이 작은 게 맞습니다. 일례로 일본중년층의 pt torino, incotex 같은 순수 고급 팬츠들 수요만 봐도 대단하죠.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그럼요 절대적인 크기로 비교하면 일본보다 작지요 영상에서도 이야기 한답니다

  • @Kikkk_
    @Kikkk_ 2 роки тому +12

    패션 분야를 진로로 잡고있는 고3 학생입니다 :) 다른 영상들도 보면서 패션업계의 현실성을 매번 잘 담아주시는거 같아서 저도 몰랐던 점들은 새롭게 배우게 되는 유익한 영상인거같습니다 ! 중학생때부터 파프를 좋아해서 지금은 몇 피스 보유중인데 정말 소수들이 좋아하기에 파프같은 브랜드는 돈이 되지않는다 라는 생각을 평소에 했는데 정말 공감되는 영상이였던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영상 너무 기대됩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오 정말 옷을 좋아하시는 분이군요! 자주 놀러오세요 아니면 인스타로도 소통해요!

  • @onlyfashionmkt
    @onlyfashionmkt 2 роки тому +4

    사내 모든 직원들에게 교육용으로 뿌렸습니다. 컨텐츠 너무 좋네요.....!!!!

  • @준준-c4z
    @준준-c4z 2 роки тому +4

    근 한달 본 영상들중에 제일 재밋네요. 응원합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감사합니다 ㅜㅠㅠ

  • @minsungbaek270
    @minsungbaek270 2 роки тому +4

    일상에서 들을 수 없는 이야기.. 현실적인 이야기에 하나의 궁금증을 해결하고 갑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항상 감사합니다 민성님 ㅋㅋ

  • @domic_
    @domic_ 2 роки тому +2

    선댓 후감상하고갑니다

  • @JAGkwak
    @JAGkwak 2 роки тому +5

    공감합니다. 경제력이 가장 좋은 4~50대 분들을 보면 해지스 카라티 정말 많이 입고 다니시죠.

  • @윤모씨-x9x
    @윤모씨-x9x 2 роки тому +1

    재밌다 ㅎㅎㅎㅎ 이 머리 잘 어울려요!

  • @펭수부뤼
    @펭수부뤼 6 місяців тому +1

    심플하게 입으니 멋지네요 나솔은 좀 투머치였어요

  • @amarelo8492
    @amarelo8492 2 роки тому +5

    알고리즘 때문에 정주행 하고 있어요 궁금했던 부분도 알게되었고 이렇게도 생각 할 수있구나 ! 너무 유익하고 재미있게 봤습니다

  • @김효범-e2x
    @김효범-e2x 2 роки тому +3

    요즘 가장 많이 생각하고 있는 내용들이라 공감이 많이 가요ㅋㅋ 작은 회사에 있다가 큰 회사에 들어가니 볼륨은 커지지만 그만큼의 매출도 압박이 들어오니까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효범 그렇게 패션 꼰대가 되는거다!! ㅋㅋㅋ

  • @최원식-e4q
    @최원식-e4q 2 роки тому +3

    영상재밌게 봤습니다. 대기업드랜드중에 헤지스하면 올드한 이미지가 있는데 his 라인은 힙하지는 않아도 젊은분들 이 좋아하게 옷을 잘뽑더라구요 22ss봄가을용 발마칸 넘맘에들어서 이번에 숏m51 제품도 구매해봤어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8

      제가 그 his 담당이랍니다

  • @양희성-b5d
    @양희성-b5d 2 роки тому +2

    영상 자주올려주세요 챙겨보게되네요

  • @greatflower4533
    @greatflower4533 2 роки тому +1

    첨 받는데 말 잘하시는듯 카메라 꺼지면 더 잘할듯~ 계속 좋은 철학만드세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5

    혁준아 그리고 포스트 아카이브 팩션이다,,,

  • @extradiaz5834
    @extradiaz5834 2 роки тому +1

    쉽고 재밌고 명쾌하고 친근하고! 🙂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대학교에 한명씩 있는 애 스타일입니다

  • @allen34sj
    @allen34sj 2 роки тому +4

    힙하다는건 무엇인가 다시 생각해보게 되네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_ _)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힙하다는건 배고픈것 아닐까요

    • @공백-l7s5d
      @공백-l7s5d 2 роки тому

      @@윤대리 명언이네여..!

  • @불곰-x4n
    @불곰-x4n 5 місяців тому

    안경도 멋지시네요...
    선글라스나 안경 종류도 다뤄주시면 재밌을거같아요~

  • @blacksheep_farm
    @blacksheep_farm 2 роки тому +3

    제가 정말 말하고 싶은 아쉬우면서도 현실적인 이야기들을 쉽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게장은 양념이죠

  • @freeycfreeyc
    @freeycfreeyc 2 роки тому +1

    너무 잘 보고 갑니다

  • @dimpleleather
    @dimpleleather 2 роки тому +2

    영상 잘 봤습니다. 너무 좋은 영상이네요. 진짜.. 많이 깨닫고 갑니다. 인스타그램도 잘 보고 있습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아이고 대표님 유튜브까지 봐주시고 감사합니다!!!

  • @megnome
    @megnome 2 роки тому +1

    정말 많이 배워갑니다

  • @키오스크-m7d
    @키오스크-m7d 2 роки тому

    주관적인 생각인데 한국에 가장큰문제는 검소함이 하나의 미덕으로 생각하기때문에 고액의 옷은 사치 그이상그이하도 아님 ㅠㅠ
    일반사람이 봤을때 평소에 입지도 못할것같은걸 이가격에산다고?

  • @jpark6949
    @jpark6949 2 роки тому +1

    이런 내용이 좋아요
    구독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구독 체크 완료 (체크 못함)

  • @참치-t5j
    @참치-t5j 2 роки тому

    근데 요즘 힙하지 않은게 힙이 되는느낌을 많이 받는느낌이다. 언젠가 대기업의 브랜드들이 힙이라고 느끼는 시대가 올지도

  • @denimishLife
    @denimishLife 2 роки тому

    꼼데가르송 관련 비유가 정확하네요..

  • @globaljobless
    @globaljobless 2 роки тому +5

    패알못인데, 알고리즘에 떠서 우연히 보게 됐는데 재미있네요. H&M, Zara, Forever 21같은 경우는 소규모 패스트 패션에서 시작해서 대기업이 된 것 같은데, 이런 회사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하고, 외국에서 일할 때 보니, 스파오 같은 경우에 정말 다양한 캐릭터나 영화 등 IP들과 콜라보 하년서 나름의 힙함을 소규모로나마 시도 해보는 것 같더라고요, 서울일러스트페어 가 보면 계속 힙한 일러스트나 캐릭터가 나오면서 다양한 패션 브랜드들과 콜라보 하기도 하고... 이런 부분들에 대한 견해는 어떠신지 그냥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패알못이라... ㅜㅜ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7

      소비자로서 SPA에 억한 심정이 있는 사람인데 한번 준비해보겠습니다

    • @dodoo4293
      @dodoo4293 2 роки тому +1

      힙한의 정의가 좀 이상한거 같은데...일단 SPA야 말로 옷으로 수익을 내는 회사들의 모범이었지 않았을까요?
      지금은 아니라지만 대량생산 박리다매를 통해 수익을 내니까요, 지금은 자체만으로 브랜드가 네임이 생겨서 굳이 박리가 아니더라도 사람들이 호구처럼 사주니까....
      그리고 캐릭터랑 콜라보를 하는건 힙한것이랑 전혀 상관 없는 그냥 몇몇을 위한 굿즈 정도라고 생각해요 여기서 이미 패션이랑 상관 없어지는거죠 물론 입는 사람에 따라 포인트가 될수 있는거지...
      슬프지만 힙한이라는건 대량의 수익을 내는것과 일치할수가 없습니다. 많이 팔리는 순간 힙하지 않게 되거든요... 여기서 박리다매정도의 머니파워를 낼려면 가격은 천정부지로 솟는데 그가격을 구매자들에게 납득시키기 어렵습니다.
      브랜드 파워, 아님 역사, 재봉기술 혹은 재료 이런것들로 납득시키기엔 마치 어린이들에게 피카소의 그림이 왜 비싸고 훌륭한 그림인지 이해시키고 파는것만큼 어렵습니다.
      걔네들은 피카소의 그림보다 뽀로로가 그려진 팜플랫이 좋아보일테니까요

    • @drtysexyculture
      @drtysexyculture 2 роки тому +3

      브랜드 자체가 힙해야지 스파오는 그냥 단순 콜라보 하는거지 저런 걸 힙하다고 말하긴 힘들 것 같아요.
      포에버21은 미국에서 10대 여자 학생들을 대놓고 타게팅해서 대박난 브랜드죠. 우리나라 에이블리처럼요. 근데 여긴 박리다매라 수익성이 개판
      발렌시아가 구찌같은 하이패션 브랜드들에서 선보이는 패션쇼에서 컨텐포러리브랜드, 패잘알 연예인들을 거쳐서 SPA,도메스틱 브랜드들이 이걸 모방하면 최종적으로 패션계의 큰 트렌드, 사이클이 생기는데 자라랑 H&M은 SPA 브랜드로서 그 누구보다 빠르게 트렌드를 캐치하고 설계-생산-유통 전부 한 기업에서 진행하다보니 몇주정도의 짧은 기간만에 소비자에게 선보일 수 있어서 그걸로 먹고 사는거죠. 합리적인 가격에 트렌드를 팔아먹는 것.

  • @garisani186
    @garisani186 2 роки тому +1

    좋은 분석 잘 보고 갑니다.
    1:50 그런 의미에서 파프 옷 하나 질렀습니다!

  • @godhjsiwgbe
    @godhjsiwgbe 2 роки тому

    꾸준히 매출이나 영업이익 우상향하는 솔리드같은 브랜드는 어떤가요? 솔옴이야 원래 하던대로 하는거지만 우영미가 최근 5년간 국내에서 엄청나게 성장한거 같은데 백로고 기본 디자인이야 클론룩 되어서 힙하다 와는 거리가 멀지만 우영미 브랜드 자체는 아직 충분히 힙하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SF 산하에 있는 준지도 마찬가지구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두 브랜드 모두 컴템포러리 조닝의 브랜드라고 생각하고, 힙하고는 거리가 좀 있지 않나라고 생각합니다!

  • @너구리-m3v
    @너구리-m3v 2 роки тому +1

    빈폴 힙해지려다가 원상복구했던데 아쉬움

  • @에스팀-v5v
    @에스팀-v5v 2 роки тому

    저번에 영상을 보고 궁금한 점이 있어 고견여쭙고자 댓글남겨요.
    국내에서 브랜드 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들 ( 전국에 유통망 / 가두점이 있던 브랜드들 ) 90년대, 00년대 인기를 끌었고, 한국 시장 내에서 마켓쉐어가 그래도 상당한 편이잖아요. 물론 현상 유지를 하더라도, 매출이 어느정도 나올것이고, 변화하는 것보다 현상 유지가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 합리적일 수는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데, 이게 30~40년 브랜드를 꾸준히 끌고가려면, 이러한 전략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해 윤대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최근에 고객들에게 사랑받는 브랜드는 결국 니치한 타겟을 잡고 ( 할리데이비슨의 예처럼 ) 그 문화에 대한 동경을 만들 수 있는 브랜드들이 매니아들을 사로 잡곤 하잖아요. 지금 매니아들을 만들 수 없는 브랜드는 결국 시한부이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 제가 시야가 좁은 탓인지 더 넓게 생각이 안되어서 의견 여쭤봅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안녕하세요. 너무 이상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500억 1000억 브랜드의 운영은 그런 것과는 별개로 숫자적이고 전략적인 방식으로 운영되야 합니다. 매니아 문화 이런 단어보다는 로직에 근거하여 어떤 부분을 몇프로 증대 시켜 생산할지, 어떤 부분을 몇프로 감소 시켜 생산할지. 그렇게 운영을 해야 되는 부분입니다.

    • @에스팀-v5v
      @에스팀-v5v 2 роки тому

      @@윤대리 감사합니다. 예술이냐 비즈니스냐의 영역이네요.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 @생각왕씽킹
    @생각왕씽킹 2 роки тому +3

    30대 중후반부터 경제력생기고 준지, 시스템옴므 옷 사입는데.주변에.나밖에 없는듯...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ㅜㅜ 옷 좋아하는 30대 중후반 진짜 없죠

    • @너구리-m3v
      @너구리-m3v 2 роки тому

      20대인데 송지오 옴므, 발렌시아가, 국내 도메스틱 브랜드들 섞어가면서 옷질 중입니다.
      지갑이 죽어가요오...

    • @highcollars1
      @highcollars1 2 роки тому

      애 키우고 직장에 죽어나다 보면 나 하나 옷입는 것도 사치입니다...

  • @2ibbonPig
    @2ibbonPig 2 роки тому +1

    멋집니다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오 항상 댓글 감사해요

  • @션-u2q
    @션-u2q 2 роки тому +2

    패션 프로모션 하는데 동감

  • @munjongil
    @munjongil 2 роки тому +1

    채널구독했습니다. 평소 타임 송지오 질스튜어트 수트서플라이 마씨모두띠등을 많이 구매하는편인데 국내 컨템퍼러리브랜드나 해외 가성비? 브랜드의 제품퀄리티에 대한평가 혹은 더나은 브랜드추천 가능하실까요? 견해가 저와 비슷하신듯하여 여쭤봅니다.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타임과 질스튜어트는 가격대가 있는 만큼 퀄리티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마시모두띠나 수트서플라이는 퀄리티가 좋다라고까진 생각할 수 없으나 또 그에 맞는 가격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요즘 카미엘 포트젠스를 눈여겨 보고 있습니다. 몇번 매장에서 봤는데 퀄리티가 괜찮다고 보였습니다.

  • @KANYe__WEST
    @KANYe__WEST 2 роки тому +4

    삼성물산에서 나름 힙한걸 하려는 것 같은데 (물론 비이커나 텐꼬르소꼬모 같이 바잉부문일 수도 있지만) 요즘 흔히 말하는 컨템포러리 브랜드는 힙함과 거리가 멀까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2

      1. 그런 것도 힙하죠!
      2. 제도권에 올라온 컨템포러리 브랜드는 제가 생각하는 힙하고 거리가 조금 멀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일 뿐)

  • @이안-x3h
    @이안-x3h 2 роки тому +1

    '힙하다' 가 무엇이다를 정의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말씀하신거 들어보면 소수만 입어야 힙하다 라고 이해가 되어서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힙한거는 가장 최신의 유행이라고 생각하고요, 아무래도 정말 유행에 예민한 사람들은 또 그 유행이 대중적으로 퍼지게 되면 그 유행을 싫어하게 된다 이런 의미였습니다

  • @Muscle_kitty
    @Muscle_kitty 2 роки тому

    마르디 범고래 정말 좋은 예시인것 같아뇨

  • @sssyyy-o6s
    @sssyyy-o6s 2 роки тому +1

    재밌네요 막연히 생각만 했던 주제에 대해 얘기해주시니 흥미로워요 말씀하시는 걸 들으니 코오롱 래코드나 삼성 준지가 떠오르는데..래코드나 준지는 힙하진 않나요? ㅋㅋ 더 근본적으로 힙한것이 뭔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요즘 세대 힙하곤 거리가 멀지 않나 생각합니다

    • @drtysexyculture
      @drtysexyculture 2 роки тому

      준지가 정말 대표적으로…아더에러,우영미 몇 개 브랜드가 있긴 해도 대외적으로 가장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브랜드라고 생각하는데 돈은 정말 하나도 못버는 브랜드. 삼성은 준지로 수익성을 올리려는 목적보다는 10년 이상이 지나도 여전히 예술적이고 힙한 준지로 자사 브랜드들의 전반적인 이미지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준지를 바잉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 @nishida_yuji
    @nishida_yuji Рік тому +1

    오호

  • @끝중심
    @끝중심 2 роки тому

    요즘 한국은 윌리를 찾아라 수준임 패션이 다 똑같음

  • @s.342
    @s.342 2 роки тому +2

    헬스하기전 운지기티비느낌난다 ㄷ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FM에서 유입됐근!!

  • @dodoo4293
    @dodoo4293 2 роки тому +2

    이문제는
    100년 입을수 있는 루이비통을 사느니 10년동안 10번 살수 있는 뱅뱅을 사겠다는 생각이 사라지지 않는 이상
    영원할듯

  • @tthc2018
    @tthc2018 2 роки тому +2

    잡음이 너무 심해서 목소리 듣기가 힘들어서 아쉬워요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방금 편집자 쪼인트 깠습니다

  • @honeybaby6742
    @honeybaby6742 2 роки тому

    왜긴요 힙합사람 뽑는 회사가 아니니까 그렇죠 ㅋ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그말 한건데 왜 안봐요 ㅋ

  • @nomorelifethem
    @nomorelifethem 2 роки тому +5

    안하는것도 맞고 못하는것도 맞음 대중을 사로잡으면서도 트렌드까지 이끄는 대형브랜드들 많음 국내 대기업에서 자신있으면 이미 내놨겠지 세계시장에서 먹힐브랜드를 못만든것뿐 내수시장에서 팔아먹을 생각만하니깐 브랜드가 맨날그따구인거임 준지도 솔직히 10년도초반에 이미 창의성을 다했고 몇년전까지 나오는옷들보면 진짜 허접하기 그지없음 우영미도 뭐 잘나간다고하는데 디자인이 해외브랜드에 비해 엄청 뛰어난것도아님 국내브랜드가 국내브랜드랑만 비교하는 시절은 갔응 해외구매가 편리해지고 해외브랜드들도 국내로 쏟아지고있는데 글로벌하게 살아남지않으면 대기업이건 중소기업이건 답없음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맞슴돠…글로벌리하게 팔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 사람도 시스템도 없죠

  • @ckamilia8227
    @ckamilia8227 2 роки тому

    회사 내부에서 굳이 할까 싶네요? 그냥 투자해서 지분확보한다음 경영권을 통해 콜라보하는게 더 쉽겠죠 마치 나이키처럼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회사에서 굳이 안한다는 내용이랍니다 ^^

    • @이상혁-j1f
      @이상혁-j1f 2 роки тому +2

      영상 안 본 티를 이렇게 노력해서 내다니 ㅋㅋㅋㅋㅋㅋㅋㅋ

  • @Whatever-h3b
    @Whatever-h3b 2 роки тому +1

    윤대리 재미있음

  • @toast2506
    @toast2506 2 роки тому +2

    2000년대 초반까지는 해외 디자이너 브랜드들의 실험적인 디자인의 아카이브가 많이 남아있지만 요즘은 무난하게 예전 명성만 가지고 가는 브랜드들이 많은거같네요 헬무트랭, 마리떼프랑소와저버, 디젤, 아르마니 등등 요즘은 많이 평범해졌네요...평범해지는게 오히려 수입이 좋아서 그런건지 궁금하네요

    • @givesharelose
      @givesharelose 2 роки тому +1

      님이 리서치가 부족하거나. 아직 그 시기에 살고 있어요

  • @이상준-j8f
    @이상준-j8f 2 роки тому

    요즘은 대기업에서 힙한걸 더 원하는 추세에요
    뻔한옷은 아무나 할 수있고..
    돈이 되려면 힙해야합니다
    힙함걸 추구하면서 그걸 잘팔리게 만들 리더(팀장 혹은 사업부장)의 부재가 가장 큰 요인이지 않을까 싶어요
    그런걸 다 하는 리더급들은 이미 브랜드런칭해서 잘나가고 있구요..
    대기업에서 충분히 그런 인재가 있으면 밀어줍니다 다만 돈이 되게 만드는게 힘들어서 시도도 안하고 능력도 안되는 리더들이 많을뿐
    핼리녹스 모태기업은 동아 알루미늄인간 아시죠? 대기업정도 되는 기업인데 충분히..
    그걸 힙하게 만든 리더가 잇어서 헬리녹스가크는게 가능했죠
    리더의 부재입니다
    대기업이 문제가 아니라...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헬리녹스 리더가 동아 알루미늄 회장 아들이니까 믿고 기다려준거 아닐까요?

    • @z0tttt
      @z0tttt 2 роки тому

      동아알루미늄 대기업 아닙니다 ㅋㅋㅋㅋㅋㅋ 라영환 자체가 대단한 사람이지 밑바탕이 좋다고 해서 아무나 성공하는게 아닙니다 ㅋㅋ

    • @이상준-j8f
      @이상준-j8f 2 роки тому

      @@z0tttt 대기업은 아니긴 하네요!

    • @djmuggs1944
      @djmuggs1944 2 роки тому

      대기업이 아니더라도 그정도 회사면 일반인이 브랜드를 시작하는 시작점과 넘사벽이지않을까요????

  • @Kkmjpkjb_.
    @Kkmjpkjb_. 10 місяців тому

    앤더슨벨은 그래도 월드와이드 귀퉁이는 가지 않났나요 ㅋㅋ

  • @왜알려줘내가
    @왜알려줘내가 2 роки тому

    못하는게아니라 안하는거임.
    그리고 힙한건결국 그래도 소수만의타겟이지
    대중성과는 거리가멀음

    • @윤대리
      @윤대리  2 роки тому +1

      제가 그말을 한건데 요약해주신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