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흙이면 무조건 좋다? 객토에서 이거 무시하면 농사 망친다 (객토, 새흙의 장점과 단점, 새흙에 있는 성분, 새흙에 없는 성분, 토양산도, 토양산도와 작물 성장, 미생물 등)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3 лют 2025

КОМЕНТАРІ • 18

  • @삼형제-q4i
    @삼형제-q4i Рік тому +3

    매번 감사합니다~
    작업하면서
    반복해서 듣곤한답니다~
    새로운 농부로 다시 태어나는 느낌~
    조금만더
    선생님 영상 빨리접했더라면
    시행착오의 시간이 짧았을듯해요
    아쉽습니다~
    더더 공부하늣 농부가 되겠읍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Рік тому +3

      네, 선생님의 댓글을 보니 제가 영상을 올린 보람이 있습니다. 사실은 제 채널은 첫째 제가 공부하고 실험도 하고 정리한 영상인데 제가 참고하려고 올리면서 다른 분들에게도 참고가 될까 싶어 공유하고 있습니다.

  • @희망hope_3566
    @희망hope_3566 Рік тому +1

    고구마심을려고 산흙 받으시는 분도 계시더라고요 고구마전용 비료도 있듯이 필요성분은 꼭있어야지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Рік тому +1

      맞습니다. 고구마 예쁘고 맛있게 열리려면 황토가 좋긴 합니다. 대신 다른 것은 부족함이 없도록 해야겠죠. 댓글 고맙습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흙도 단단해 삽질도 힘들고 잡풀도 안나던 땅에
    작년 7월경 쌀겨, 멀칭풀, 깻묵, 칡짜고나온 찌꺼기, 방선균톱밥 흙위에 깔아뒀더니 40센치 깊이 파봐도 흙이 부슬부슬 하네요. 떡덩거리가 거의 없어요.
    방선균의 위력으로 보고요.
    잘 가꾸어진 방선균 땅은 눈이 쌓인 한 겨울에도 얼지 않는다고 합니다.
    덕택에 흙이 잘 파져 두둑 높이 40센치 금새 만들었어요.
    상한 생닭, 쇠비름, 음식찌꺼기, 골분, 게껍질가루, 왕소금 액비는 늦가을에 해서 아직 분해가 안돼서 쓰지는 못했답니다.
    내일은 호밀씨 뿌려 초생후 베어내고 소금넣고 고추모종 심고 베어낸 호밀줄기로 멀칭해야겠습니다.
    작년에 호밀파종 못한죄.
    욕심에 2% 부족하다 생각되어 옥시팜도 물조리개로 뿌렸네요.
    못쓰는땅 유기농 땅심 가꾸는데 8개월정도로도 훌륭합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11 місяців тому

      저도 올해 봄에는 GCM미생물 한 번 적용해볼까 구상중인데 선생님 댓글 보니 방선균 톱밥에도 필이 꽃힙니다. 지금은 선생님에게 많이 배웁니다. 강별 고추모종 3월 11일 발송한다면 13일쯤... 일단 큰 트레이에 옮겨 키웠다가 4월초 하우스에 나갈 예정입니다. 정보 고마왔습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손바닥농장 gcm은 주로 유해미생물을 잡아먹고 식물에 좋은 일을하는 균이지만 게껍질(키틴성분)을 잘 먹어 일반미생물 표피가 키틴성분이 있으므로 미생물을 먹고 삽니다.
      주로 유해 미생물이 잡혀 먹죠.
      방선균은 곰팡이성 세균으로 균사가 버섯처럼 줄기뻗은것처럼 보이고 흰색입니다.
      방선균 톱밥에 배양된거 보면 표면이 온통 흰색입니다. 직접 배양하셔도 됩니다.
      도저히 못살것같은 화분토양의 고추 흙위에 유기물 조금덮고 물에 부셔넣은 액을 걸러서 조리개로 조금주고 음지에 두면 흰색 균사가 자라서 고추 딸기가 죽지않고 싱싱하게 자랍니다. 흙이 배수성과 통기성이 좋아져서요.
      부엽토에도 방선균을 포함한 여러가지 유용 미생물들이 있습니다.
      산밑 참나무종류 낙옆 조금 파보면 흰 균사가 잘 보입니다.
      초기에 밭 가꾸실때 토양미생물 뿌리고 차광막 이나 검정비닐로 씌워놔야 좋고 그렇지 못할때는 미생물 넣고 흙을 섞거나 덮어 햇빛 을 직접 안받게 해야 합니다.
      초기 한번만 방선톱밥 사고 이후부터는 밭 한견에 조그맣게 음지 만들어 유지배양 시키면 됩니다.
      수명 끝난 썪어문드러진 참나무 버섯배지 껍질쪼가리들 땅에 묻어 균사를 섞어 증식해도 됩니다.
      다소 습하게 해서 비닐과 차광막으로 덮어둠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손바닥농장 방선균 톱밥은 흰눈이내린 흙같이 생겼습니다.
      균사가 톱밥에 피어서요.
      부셔서 뿌리면 되지만
      물에 타서 비오기 전이나 흐릴때 흙에 뿌리시고
      물에 탄거는 보관불가
      그날 바로 소진시켜야 합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손바닥농장 깻묵은 그냥 안주지만 칡 찌꺼기는 건강원에서 무료로 주는곳이 꽤 있습니다.
      한트럭 실고와서 흙이랑 섞어 숙성시켜 쓰면 좋습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손바닥농장 끓이면 빨강색으로 변하는거
      게, 새우
      키틴성분 때문에 그러므로 새우 대가리 뗀거나 껍질 요런거로 gcm하셔도 되세요

  • @옥전농부
    @옥전농부 Рік тому

    안녕하세요 옥전농부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삼형제-q4i
    @삼형제-q4i Рік тому +1

    질문있읍니다~
    모래땅입니다
    군데군데
    뻘처럼
    비가오면
    물빠짐이 좋지않아 발이푹푹빠지곤한답니다
    그곳에 깊이파서 돌을 집어넣어 지대도좀 높이려고하는데 말입니다
    이럴경우에도
    발란스가 깨진다는것이지요?
    그렇다면
    미생물 유기물을 많이 넣어주면되는건가요?
    Ph는 높은편입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Рік тому +2

      1. 옛날에는 선생님이 얘기한 방법으로 하였습니다. 배수가 안되면 요즈음은 유공관을 묻습니다. 과수 그 중에서 심근성인 사과를 심을 때는 깊이 묻고 그렇지 않으면 로타리를 치거나 아님 쟁기질을 할 때도 걸리지 않을 깊이 유공관을 필요한 간격으로 깔고있습니다.
      2. 네, 그래놓고 퇴비 유기물 넣어 밭을 만든다음 작물을 심으십시오.
      3.pH가 얼마나 높은지는 모르겠습니다. 심고자 하는 작물과 pH적당한지 제 채널 커뮤니티에 작물별 정정 pH 표가 있으니 참고하십시오.

  • @user-dk6pv3ko602
    @user-dk6pv3ko602 Рік тому

    🧡😊🧡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11 місяців тому

    기존 농부님들
    한가지만 생각하고 다른건 생각할줄 몰라요
    깝깝해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11 місяців тому

      원리나 이론을 바탕에 깔지 않고 그져 경험으로만 하니 옛날 농사직설 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