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쉬운매경테스트 15강] 생산이론의 기본개념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메일이나 문자보내주세요.
    휴대폰 : 010-3029-8180
    메일 : tcheryoon@daum.net
    밴드가입주소는 입니다.
    band.us/@easy
    교재구입은 아래의 사이트에 가면 됩니다.
    smartstore.nav...
    매경테스트 경영, 회계 부분 강의도 들으시려면 아래의 네이버 카페에 오시면 동영상 무료강의가 모두 열려있습니다. 회원제한 없이 모두 들을 수 있습니다.
    cafe.naver.com...
    #매경테스트#매경#경제

КОМЕНТАРІ • 14

  • @분꽃나무
    @분꽃나무 Рік тому +1

    목표 0:07
    생산요소 0:31
    경제학 : 노동, 자본 1:00
    >> 토지, 경영, 자본은 무조건 자본으로 봄(노동 제외 나머지 생산요소)
    예시 : 논 1:45
    생산에서의 장기, 단기 2:41
    예컨대 4:30
    예시 : 자동차 산업 4:57
    단기에서 노동이 가변적인 이유 6:32
    예외 : 개척시대 미국 7:05
    생산함수 7:29
    .

  • @makeurday2
    @makeurday2 4 роки тому +4

    경제학에서의 '장기' -> 모든 요소가 가변적일 때

  • @Howcouldieverstop
    @Howcouldieverstop 2 роки тому +1

    6:45 방심하다 터졌네요.. 전에 경제학 서적 두꺼워서 사람 죽는거 그얘기에도 배잡았는데 ㅋㅋㅋㅋ

  • @김김김-e4w
    @김김김-e4w 4 роки тому

    하루에 3강씩 듣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월 11일 3강/3강 수강 완료!
    무심코 장기와 단기를 구분했다간 큰일 나겠네요

  • @혜진권-n7v
    @혜진권-n7v 2 місяці тому

    장기 단기 생산요소
    노동: 변함
    자본: 안변하면 단기 변하면 장기

  • @왕-p5j
    @왕-p5j 7 місяців тому

    생산량 늘수록 노동량 증가=가변요소
    생산량 느는데 토지그대로=고정생산요소(토지는 자본)

  • @성이름-f1u5q
    @성이름-f1u5q 6 років тому +1

    점심시간에 한 강 달리고 갑니다~!!

  • @박서연-o5z5x
    @박서연-o5z5x 2 роки тому +2

    너무쉬운태샛교재로 강의를 듣고있는데 교재에 나와있지만 강의에 없는부분은 매경테스트 준바할땨 공부를 안해도 되는부분인거 맞나요?

  • @haengbokdaebak
    @haengbokdaebak 5 років тому +1

    항상 이해하기 쉽게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중에 한가지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현실에선 단기가 존재는 하지만 매우 짧은 순간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여러가지 비품이나 소모품비용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니 단기란 매우짧을꺼 같습니다. 그런데 장.단기로 나누는 것이 어떤목적으로 쓰이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soeasytv
      @soeasytv  5 років тому +1

      장기와 단기를 현실에서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생산이론에서 장단기를 나누는 이유는 단기에서는 고정비용의 존재 때문인데, 고정비용을 고려하면 가변비용만 고려하는 장기와 그 결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

    • @haengbokdaebak
      @haengbokdaebak 5 років тому

      @@soeasytv 감사합니다^^

  • @keykey6794
    @keykey6794 5 років тому

    선생님 매경과 테셋 배우는 과목에 차이가 많을까요? ㅇㄷㅇ테셋책이 있는데 이걸로 선생님의 매경강의 계속 들으면서 공부해도 되는건지... 과목이 조금 다른게 있는거 같더라구요

    • @soeasytv
      @soeasytv  5 років тому +1

      교재가 다르면 아무래도 강의를 듣기가 힘들 것 같습니다. ^^;;;

  • @dprkka3
    @dprkka3 3 роки том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