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레는 훌륭한 단백질원이죠! 우리는 정말 미래에 바퀴벌레를 먹게 된다? [최재천의 아마존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6 лют 2025
  • 벌레는 훌륭한 단백질원이죠...! 바퀴벌레는 조금만 넣겠습니다. 🧐
    설국열차에 나온 프로틴 블록처럼
    우리도 정말 벌레를 먹게 되는 걸까요?
    바퀴벌레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걸까요?
    궁금증을 해결해 봅시다🧐🧐
    #최재천 #바퀴벌레 #식용곤충

КОМЕНТАРІ • 177

  • @건빵-b6h
    @건빵-b6h 3 роки тому +146

    피디님 너무 좋은 얘긴데,,, 바퀴벌레 참고영상이 너무 생생하고 크고 다양한 거 아닌가요ㅋㅋㅋㄱㅋㄱㅋㅋㅠㅠㅠ

  • @djs1293
    @djs1293 3 роки тому +330

    솔직히 곤충 먹는건 괜춘한데 그걸 곤충음식인걸 보이게 하려고 뇌절 해서 드러네게 만드는것 땜시 곤충음식에 대해 더 혐오감 드는듯

    • @5시간-k5i
      @5시간-k5i 3 роки тому +6

      ㄹㅇ

    • @이제대딩
      @이제대딩 3 роки тому +33

      맞아 꼭 형태를 보존시킴

    • @남민재-g4y
      @남민재-g4y 3 роки тому

      굳이 풍뎅이를 가장 잘보이게??

    • @Vandark19r0wkd0
      @Vandark19r0wkd0 3 роки тому

      형태 그대로여도 맛있는 밀웜 드가쉴????

    • @jin.sungcho6048
      @jin.sungcho6048 3 роки тому

      문제가 곤충식이 아직은 생산비가 비싸서.....

  • @baddo_1018
    @baddo_1018 3 роки тому +135

    재밌게 본 영상인데 소재가 소재다보니 조회수가 눈물나네요 ㅠㅠㅠ 이미지 자료가 많은 사람들에게 너무 자극적인 것 같아요! 최재천 교수님 입덕해서 정주행 중입니다~

  • @wjsdmswo52
    @wjsdmswo52 3 роки тому +61

    영상 다 챙겨보는데 오늘은 뒷 배경이 너무 험난해서 오디오만 듣겠습니다 ,,,,

  • @백희진-n7n
    @백희진-n7n 3 роки тому +71

    바퀴벌레까지 먹어야 하면 그냥 조용히 삶을 포기할란다

    • @luvmonet
      @luvmonet 3 роки тому

      저도요,, 그건 절대 못하겠어료ㅠㅠㅠ

  • @햄쨩이-j1q
    @햄쨩이-j1q 3 роки тому +100

    이 영상 만들 때 편집자님도 정말 고생하셨겠다.. 자료찾아보고 편집하는 동안 계속 바선생님이랑 눈마주치고... ^^..

  • @LessButBetter-
    @LessButBetter- 3 роки тому +40

    바선생이랑 새우가 친척이 아닐 확률이 높다는 것에 일단 안심하고 갑니다 ㅠㅠ 새우 못 잃어…

  • @Wando-o9q
    @Wando-o9q 3 роки тому +2

    4:44
    교수님..기여우시네요

  • @drjkf4496
    @drjkf4496 3 роки тому +140

    전 곤충을 너무너무너무 싫어하는 사람인데 곤충이 미래의 식량원이될수 있다는 얘기를 들으니 너무 두렵더라고요 그러다 문득 저 벌레는 나를 위협하지도 않고 어떻게하지도 못하는데 왜 나는 벌레를 무서워하고 혐오하는걸까 이상하다는 생각이들었어요 어쩌면 벌레에 대한 공포감이 사회적으로 학습한 결과일 수도 있겠다고 생각해서 그뒤로는 보기좀 소름돋아도 일부러 참고보고있어요 어느순간엔 익숙해지겠죠! 영상유익하고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 @user-gq7ks6ep2g
      @user-gq7ks6ep2g 3 роки тому +2

      너무 좋은 말씀이네요! 덕분에 저도 앞으로 곤충을 쉽게 미워하지 않을 듯 싶습니다 ㅋㅋㅋ

    • @다현준일그리고물고기
      @다현준일그리고물고기 3 роки тому +4

      저도 벌레 업청 무서워하는데 ㅠ 왜그런걸까요? 얼마전에 스펀지에 원숭이가 털이 없는 동물들을 엄청 두려워 하더라구요? 아마 우리도 그런 비슷한 맥락이 아닐까요...

    • @Accuracy_Oriented
      @Accuracy_Oriented 3 роки тому

      머 진화의 결과도 있겠지만 곤충을 두려워하는건 환경에 더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함

    • @김남경-b3g
      @김남경-b3g 3 роки тому

      얼굴로 날라드는 벌레에 무너질것 같긴 하네요 ㅋㅋ

    • @jimmyyang5611
      @jimmyyang5611 3 роки тому

      원래 인간과 형태가 동떨어질수록 거부감이 커지기 마련이죠. 본능의 영역입니다.

  • @MoonC_K
    @MoonC_K 3 роки тому +11

    어릴적 메뚜기 번데기 먹었던 사람으로서 위생만 어느정도 신경써서 사육된 곤충을 정제후 갈아서 단백질원으로 섭취하는건 괜찮다고 생각해요.

  • @TtT-mb8ig
    @TtT-mb8ig 3 роки тому +7

    이번영상은 실눈뜨고 봤어요.. 공포영화보는기분ㅋㅋㅋ

  • @뭐요-i6g
    @뭐요-i6g 3 роки тому +12

    죄송해요 교수님... 이영상은 재생 모다겠어요...

  • @경산의힘
    @경산의힘 3 роки тому +46

    요즘 강아지 사료 중에 밀웜 사료 있는데 비슷한 상황 아닌가 싶어요. 육류 생산 과정에서 환경 오염이 심한데 곤충은 친환경적이라 하더라고요. 소 방귀가 그렇게 치명적이라던데요 ㅎㅎ

  • @syj8410
    @syj8410 3 роки тому +14

    바퀴벌레는 안먹어봤지만 건조시킨 식용 밀웜은 시식해봤는데 건새우맛이랑 거의 동일했어요 고소하니 나름 맜있었어요ㅋㅋ 솔직히 벌레인거 모르고 먹는다면 다들 잘 먹을만한 맛ㅋㅋ

  • @pleasureseeker7913
    @pleasureseeker7913 3 роки тому +9

    교수님도 교수님이지만 편집맛집이네
    정신 사납지 않게 슴슴한데, 센스 쩌넴

  • @JaeTarot_TV
    @JaeTarot_TV 3 роки тому +5

    박사님의 천적은 편집자님이시군요^^

  • @얌얌-w8x
    @얌얌-w8x 3 роки тому +59

    와 해충이라고 생각했는데 생태계의 기반이었다니 왠지 덜 무서워진듯 해요 곤충 영양제같은 알약이라면 먹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이로 씹는 건 힘들어요

  • @eggbottle876
    @eggbottle876 3 роки тому +9

    교수님, 종류별 벌레먹방 컨텐츠 기대하겠습니다

  • @harrye9105
    @harrye9105 3 роки тому +12

    어른들이 잡아드시던 메뚜기는 초록~연두 색깔에 생김새도 그닥 징그럽지 않았음.
    우리가 징그럽다고 생각하는 거무튀튀한 메뚜기는 '송장메뚜기'임
    (어머니가 시골분이셔서 알랴주심)

  • @HJHWolf
    @HJHWolf 3 роки тому +29

    먹게 된다면 원래 모습 그대로가 아니라 다져서 먹어야겠네요. 마치 패티, 햄버그, 소시지처럼요.

  • @jlee7111
    @jlee7111 3 роки тому +9

    바퀴벌레를 먹어야 할 정도라면 그냥 전 채식을 하겠습니다....

  • @최재천과코코사랑
    @최재천과코코사랑 3 роки тому +7

    영상
    아주 재미있게,
    그리고 흥미롭게
    잘 보았습니다.

  • @globglogabgalab
    @globglogabgalab 3 роки тому +14

    동물 중에도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가 있나요?

  • @T_Shotgun1
    @T_Shotgun1 3 роки тому +9

    오늘도 굉장히 흥미로운 영상이네요!! 너무너무 재밌는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 @y8523647
    @y8523647 3 роки тому +7

    밀웜이랑 귀뚜라미 먹어봤는데 꽤 맛있었어요 보충제로 만들면 좋을지도

  • @Enormous8P
    @Enormous8P 3 роки тому +3

    시각이 세련되셨네

  • @Super-orange-car
    @Super-orange-car 3 роки тому +5

    바퀴벌레는 사실 집 안에서나 그렇지 집 밖에서는 자연에 꼭 필요한 필수 요소였네요....

  • @mulgogi038
    @mulgogi038 3 роки тому +3

    두부나 메주 등등 콩 음식을 먹는 게 좋지 않을까요? (지나가는 콩농업인😇

  • @qa9574
    @qa9574 3 роки тому +6

    선생님 호주 오리너구리도 다뤄주세요 !!

  • @유지원-h1i
    @유지원-h1i 3 роки тому +3

    편집존잘 내용 존잘ㅜㅜ

  • @정재윤-h4l
    @정재윤-h4l 3 роки тому +15

    안먹고 싶어요ㅠㅠㅠㅜ 제발요

  • @유낙-b9h
    @유낙-b9h 3 роки тому +10

    바퀴벌래가 숲 생태계에 중요한 존재였다니... 새로운 사실 하나 알고갑니다~!

  • @0412.RkaRka
    @0412.RkaRka 3 роки тому +1

    오늘따라 선생님을 잘 못 보겠어요...^^ 눈을 감았다 뜨면 바퀴가 인사해요..ㅠㅠㅠㅠ

  • @공공-f8s
    @공공-f8s 3 роки тому +11

    으어어........................................ 유튜버의 길은 험난하군요... 바퀴벌레 시식이라니;;

  • @나무늘보-f1e
    @나무늘보-f1e 3 роки тому +5

    최재천 교수님 잘보고 있습니다 그 런데 바선생은 그림이나 사진도 너무 무섭습니다 썸네일에 혹시 블러처리나 모자이크아님 경고표시라도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김재윤-u8j
    @김재윤-u8j 3 роки тому +4

    1:16ㅋㅋㅋ

  • @kaiserapo2148
    @kaiserapo2148 3 роки тому +4

    번데기로 이미 익숙하게 맛나게 먹어서 괜찮을 거 같아요
    그리고 이미 인간은 곤충을 먹은 조류를 먹었던 전적이 있는지라(곤충의 영양소와 조류의 영양소를 같이 섭취한것이니) 깨끗하게 하고 공장화해서 그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가면 좋죠

    • @kaiserapo2148
      @kaiserapo2148 3 роки тому

      추가적으로 바퀴벌레의 생존능력은 흥미를 유발하는거 같아요

  • @strn4248
    @strn4248 3 роки тому +7

    바퀴벌레는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셨는데 혹시 모기도 뭔가 하는 역할이 있을까요? 저는 바선생과 모기가 투톱으로 징그럽고 싫어요ㅠ

  • @성이름-b9f5g
    @성이름-b9f5g 2 роки тому

    와 뒤에 나오는 여러 곤충들 때문에 영상을 제대로 쳐다볼 수가 없어요ㅠㅠㅠㅠ 하ㅠㅠㅠ 강제 라디오ㅠㅠㅠ

  • @wys4545
    @wys4545 3 роки тому

    그러고보니 옛날 남원 광한루에 소풍가서 먹었던 번데기 맛이 생각나네요.
    누런 종이 꼬깔에 담겨져 있던 그 뻔데기의 감칠맛...캬ㅋㅋㅋㅋㅋㅋ

  • @흑산도-y6c
    @흑산도-y6c 2 роки тому

    지구는 제한되있고 인구는 무한정 느는데 식량증산은 한계가 있는것이고 결국은 미래는 이 많은 인구를 먹여 살리는길은 효율적인 생산량의 극대화인데 곤충이 대안이 될수 있다는점에 공감합니다.
    전 자가용차도 없앴고 비건주의잡니다.
    다행이 마라톤을 하다보니 하루 출퇴근 왕복 16km를 조깅으로 합니다.
    물론 개인의 건강이 우선이지만 앞으로 미래세대에겐 이런 선택권마저 사라질 겁니다.

  • @kkchfksrkadus
    @kkchfksrkadus 3 роки тому +5

    바퀴벌레가 특별히 더 영양가 있는건 아니겠죠..? 전 곤충식이 대중화되는 그날이 오면 그냥 번데기나 밀웜을 먹고싶어요

  • @나무아미타불-u1t
    @나무아미타불-u1t 3 роки тому +2

    바퀴벌레에 대한 인식이 안좋은건 외모때문보다는 일단 더러운환경에서 생존한다는 인식때문이라고 봅니다 바퀴벌레든 개미든 곤충이 더 친환경적 급식원이 된다는건 인식의 변화만 오면 뭐든 가능하지않을까요?

  • @룩-r6e
    @룩-r6e 3 роки тому +1

    곤충의 식량화 자체는 좋다고 생각해요 ㅎㅎ 고단백 저칼로리

  • @5학년-c6f
    @5학년-c6f 3 роки тому +2

    좋은 이야기인데 뒤에 자료화면이 굉장히..

  • @김동우-s2r
    @김동우-s2r 3 роки тому +3

    깨끗하게 사육됐다는 믿음이 축적되면 언젠가 식재료로 만나는 날이 올 수도 있겠지만..
    중국산 바퀴벌레??? 어우... 싫네요;;

  • @only2sea
    @only2sea 3 роки тому +1

    태국 가면 맥주 시키고 안주로 메뚜기, 전갈, 바퀴벌레를 기본 안주로 주던데, 앞에 두 개는 쉬웠고 뒤에 건 다리부터 먹는데, 이제 등에 날개(?) 떼고 먹어야 하는데 옆에 앉은 동료가 맛있다면서, 뱃 속이 톡 터지면 나오는 액체가 달콤한 캬라멜맛이라고 해서... 그걸 듣고는 먹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실패했습니다.

  • @별-t7s
    @별-t7s 3 роки тому

    알약처럼 만들어서 먹을수 있으면 먹을 듯.
    맛있는 음식은 하루 한끼만 먹어도 충분.

  • @복순이네
    @복순이네 3 роки тому

    의외로 청결한 시설에서 병균같은거 없이 바퀴벌레를 양식? 하고 그걸로 만들면 괜찮을지도? 우리는 비위생적인 바퀴벌레만 보고 사니까 거부감이 드는거고 식용으로 잘 관리된 바퀴벌레라면 먹을 수 있을듯

  • @서진숙-f2f
    @서진숙-f2f Рік тому

    어렸을 때 먹었던 번데기 되게 맛있었는데.. 생각보다 먹을만해요

  • @뭘봐-d2f
    @뭘봐-d2f 3 роки тому +1

    그냥 곱게 갈아서 유통시키면 사먹을게요...

  • @신찬민-e7e
    @신찬민-e7e 3 роки тому +3

    학교에서 과학자의 서재보고 들어왔어요 ㅎㅎ

  • @김찬-b5r
    @김찬-b5r 3 роки тому

    어릴때부터 메뚜기로 단련되있어서 괜찮을듯. 싸나이아입니까~

  • @CHeese_Dotoree
    @CHeese_Dotoree 3 роки тому +2

    되게 좋은 정보인데 저 친구 화면에 뜰 때마다 눈 깔고 봤습니다

  • @전성준-i6v
    @전성준-i6v 3 роки тому

    어차피 단백질 아미노산 형태로 돌아가면 뭐든 똑같으니까, 배로 들어가면 다 똑같다 생각하면 맘 편하죠 ㅋㅋㅋ

  • @안제환-y7l
    @안제환-y7l 3 роки тому +1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줄일라면 음쓰를 분해시키는 많은 벌레들이 필요합니다.
    그 벌레들을 식용으로 키우는것이 진정한 리사이클링이지요

  • @쫀떡빵떡
    @쫀떡빵떡 3 роки тому

    저는 형상만 없으면 괜찮을 거 같은데 형상을 살리는 건 싫어요ㅠㅠㅠ 메뚜기 튀겨먹는 건 솔직히 바삭하고 고소하긴한데 아무도 먹는 법을 안가르쳐줘서 다리 안때고 먹었다가 목안쪽 긁혀서 상처난 경험도 있고 (._.

  • @김종민-g2x
    @김종민-g2x 3 роки тому

    인식차이라서 나중에 먹어보릇하면 바로 바뀌죠

  • @내발가락먹어
    @내발가락먹어 3 роки тому +5

    먹어보신분 있나??

  • @1984-z8f
    @1984-z8f 3 роки тому

    6:07 킹크랩은 게가 아닙니다..

  • @user-so3cc3kt1g
    @user-so3cc3kt1g 3 роки тому

    저도 메뚜기 튀김 먹어봤어요 교수님....ㅋㅋㅋㅋㅋ

  • @moon-sansan
    @moon-sansan 3 роки тому +2

    바퀴벌레는.. 아니고 메뚜기나 캐터필러 정도면 감내할 수 있을지도..

  • @花乃-e4i
    @花乃-e4i 2 роки тому

    전 곤충 먹을날이 올때 이세상에 없기때문에 신경은 안씁니다 호호

  • @박하-h6y
    @박하-h6y 2 роки тому

    초딩때 꽃. 꽃이슬도 먹고 생 메뚜기도 먹고 개미도 먹고 그랬는데 친구들과

  • @Liam_819
    @Liam_819 3 роки тому +4

    바퀴벌래도 자연산이 더 비싸게 팔리려나??
    물고기나 다른 육고기들도 자연산(하다못해 방목형)이 양식보다 비싼데..
    그리고 조금 더 지나면 바퀴벌래도 크기 키우겠다고 호르몬제 맞게 시키고..(닭들은 가슴살의 크기를 키운다고 여성호르몬을 맞는다는 썰이 있더라구요)
    이제 이렇게 되면, 부모님들이 길가다 냉이 키우듯이 잡아오면 진짜 웃길 듯.

    • @kwhsla
      @kwhsla 3 роки тому +6

      식용 곤충들의 경우 완전자연산은 야생의 기생충이나 바이러스의 위험 때문에
      무균시설에서 양식한다고 들었어요ㅎㅎ

  • @desich-t8h
    @desich-t8h 3 роки тому +3

    교수님은 좋아하지만 벌레는 극혐하는 사람들은 신속히 퇴각하라
    자료화면 자비없다 오바.....

  • @letitthaw
    @letitthaw 3 роки тому

    채널 정주행 중인데 와.. 이 영상은 못 보겠어요.. 흐린 눈으로 보려고도 해봤는데 중도포기합니다..

  • @3moon323
    @3moon323 3 роки тому +1

    바퀴벌레.. 위생적으로 키우고 맛만젛으면 먹을꺼같은뎅...ㅎ

  • @kimsy4537
    @kimsy4537 3 роки тому +1

    국에 배추벌레 죽어있는거 발견하고 울부짖고나서 국 다버린 경험을 하고 나니 전 곤충 먹는 세상이 오면 그냥 굶어죽겠어요..ㅠㅠㅠㅠㅠ

  • @gmh1053
    @gmh1053 Рік тому

    내 자식 음식에 바퀴벌레가
    근처에 있는걸 본 사람은..
    난리가 나죠.파리도 마찬가지겠지만.
    파리보다 바퀴친구랑은
    아직 친하기 싫어요.

  • @marecha9408
    @marecha9408 Рік тому

    와.. 진짜.. 교수님 영상을 보니 전 세계적으로 정말 무식한 짓을 해댔군요.. 전문가를 배제한 정책은 정말,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네요

  • @전설의바나나껍질
    @전설의바나나껍질 3 роки тому +2

    바퀴벌레를 먹은 동물을 먹는거는 손해일려나? 바퀴벌레를 먹는거보다

  • @호빵왕자-w6l
    @호빵왕자-w6l 3 роки тому

    메뚜기는 뷔페같은데서 바싹 볶아서 나왔었음.. 맛은 아주 바삭한 건새우??

  • @kbsmd0
    @kbsmd0 3 роки тому

    깨끗이 씻은 요강에 밥 먹는 기분일듯...
    ㅎㅎ

  • @misgmsdf
    @misgmsdf 3 роки тому

    증국에서 먹어봤는데 메뚜기랑 거의 흡사합니다

  • @goldtree6634
    @goldtree6634 3 роки тому

    이미 밀웜단백질 파우더 시장이 형성돼있어요.

  • @유퍼센트youpercent
    @유퍼센트youpercent 2 дні тому

    참고로 바퀴벌레는 건조시 100g당 78g의 단백질이 있다고 한다

  • @아무렇게나-x7x
    @아무렇게나-x7x 3 роки тому +2

    영상 내용은 너무 재밌는데 배경이 너무 징그러워요 !!! 으악 !!!

  • @김유선-e7e
    @김유선-e7e 2 роки тому

    이왕 먹을거면 다 갈아서 건조시킨 다음에 프로틴같이 만들면 안되나? 그럼 별 생각 안 들것 같거등요?

  • @최아람-q7v
    @최아람-q7v 3 роки тому +1

    영상에 벌레가 너무 많아요ㅠㅠ

  • @oneone-tg8lv
    @oneone-tg8lv 3 роки тому

    바탕 자료영상 바퀴벌레 극켬... 교수님 얼굴만 클로즈업 하고싶다..

  • @astamotors
    @astamotors 3 роки тому

    프로틴 가루도 솔직히 귀뚜라미 바퀴벌레
    좀 어둡고 드러운데 사는 애들은 피했으면 좋겠습니다

  • @박시현-j2c
    @박시현-j2c 3 роки тому

    머어어어언 미래에 극심한 빈부격차와 식량부족에 놓인다면 높은 계층에서는 식량을 최소화하고자 바퀴벌레를 상품화시켜 헐값에 팔지 않을까요? 설국열차처럼 극단적이진 않겠지만 티 안나게 스멀스멀 가능할 지도 몰라요..

  • @강강강-f4y
    @강강강-f4y 3 роки тому +7

    솔직히...난 싫음

  • @kimberlysul2711
    @kimberlysul2711 3 роки тому +11

    동남아에서는 사료?? 용도로 바퀴벌레 농장도 있다고 하던데 우리가 모르는 곳에서 바퀴벌레가 쓸모가 많은 곤충인가봐요. 바퀴 먹방은....ㅠㅠ 너무 무리하지 마세여 교수님 ㅠㅠㅠ

    • @intintoto
      @intintoto 3 роки тому +1

      애완 소동물/곤충이나 파충류 먹이용일둣여 ㅎㅎ귀뚜리도 글치만 박귀볼레도 은근 많이맥이는…

  • @Chorok-TV
    @Chorok-TV 3 роки тому +2

    제 친구가 식용곤충사육을 하고 있습니다.

  • @greenbean0940
    @greenbean0940 3 роки тому

    벌레 살코기만 발라내서 가공하면 맛있지 않을까?

  • @princez2835
    @princez2835 3 роки тому +1

    사진말고 그림을 좀 써주세요 ㅠㅜ

  • @purilee7145
    @purilee7145 3 роки тому +1

    번데기도 못 먹는데.. 아무리 가루로 만들었다고 해도.. 바선생님은... 못먹을거 같아요..... ㅠㅠ..... 으악...

  • @5range_fairy
    @5range_fairy 3 роки тому

    새에게 바퀴를…그리고 우리는…

  • @내발가락먹어
    @내발가락먹어 3 роки тому +17

    식량이 많이 부족할때를 대비해서
    연구하는거 같네요
    바퀴랑 새우가 연관이 있긴 있구나

    • @lazarus1143
      @lazarus1143 3 роки тому +15

      이걸 보고도 연관이 있다고 하면...저 말씀은 새우랑 바퀴는 사람이랑 펭귄만큼 다르다는 말과 비슷한 말입니다.

    • @내발가락먹어
      @내발가락먹어 3 роки тому +2

      @@lazarus1143 엄청 멀리있는 연관이라고 정정할게요ㅋㅋㅋ

    • @xoxoxox.
      @xoxoxox. 3 роки тому +1

      아무 관련 없고요 새우꼬리와 바퀴벌레날개가 키틴이라는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맛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 @듀마
      @듀마 3 роки тому

      @@내발가락먹어 이해를 아직도 못하셨네 ㅋㅋㅋ 먼 연관이 아니라 그냥 없다고요

  • @Squirreltaylor85
    @Squirreltaylor85 3 роки тому +3

    바퀴벌레는 아닌거같습니다...

  • @롤로호롤로-q9c
    @롤로호롤로-q9c 3 роки тому

    정보 바퀴벌레는 뭘 먹어도 몸에 단백질을 저장할수있는 소화기관을 갖었다

  • @monbiotmiric284
    @monbiotmiric284 2 роки тому

    결국 먹게 될 것입니다. 기후 위기로 인한 식량 부족은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아마도 식인까지 하게 될 것입니다.

  • @호곤-z5t
    @호곤-z5t 3 роки тому

    화장품에도 지렁이나 달팽이 점액같은게 많이 쓰이잖아요? 실제로 아버지의 지인중에 지렁이 사업을 하시며 지렁이를 키우는 공장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화장품 바를 때 우리가 지렁이를 신경 쓰고 바르진 않잖아요. 그 거부감이라는게 학습돼서 오는 것이라는 생각이 요새들어 듭니다. 거부감이란 것이 없으면 메뚜기 튀긴 거 맛있으니 그냥 먹겠죠. 어쩌면 별미가 됐을지도 모릅니다.

    • @김동현-c4i9f
      @김동현-c4i9f 3 роки тому

      남자의 ㅈ물이 피부에 좋다는 말을 들었는데
      사실이겠죠

    • @호곤-z5t
      @호곤-z5t 3 роки тому

      @@김동현-c4i9f 어디가서 그런 유사과학으로 어그로 끌지마세요. 없어보여요.

    • @김동현-c4i9f
      @김동현-c4i9f 3 роки тому

      @@호곤-z5t 교수님은 알고 계실듯한데요

    • @호곤-z5t
      @호곤-z5t 3 роки тому

      @@김동현-c4i9f 그럼 교수님께 말하세요. 엄한 저한테 그러지 마시고 ㅋㅋ

  • @흑백요리사우승자
    @흑백요리사우승자 2 роки тому

    난 아무 거부감없는데...
    맛없으면 용서가안되지만
    영양소가 풍부한데 아까비...
    시각적인 비위강한 내가 개인적으로아쉬움

  • @최은혜-z4n
    @최은혜-z4n 2 роки тому

    바퀴 벌레가 생태계에는 인간보다는 도움이 많이 되나 봅니다 ㅠ ㅠ .......... 지구나 자연에게 사람이 더 유익할지 바퀴가 더 유익할지 .....

  • @최한빈-c7f
    @최한빈-c7f 3 роки тому

    구독한지 한달동안 체널명이 최천재의 아마존인줄 알았네 ㅋㅋㅋㅋ

  • @박준용-b8s
    @박준용-b8s 3 роки тому

    미래엔 세포배양을 통한 인공단백질식품이 대세가 될듯 싶네요.

  • @GreenMelody_
    @GreenMelody_ 3 роки тому

    큰 틀에서 보면 인간의 이기심에 너무 안타깝기도하네요. 바퀴벌레도 동물의 먹잇감인데 인간에게 해롭다고 해충이라고 불려지고 천대받고.. 집안에있는 것들을 잡는건 저도 같은인간인지라 이해하는데 지렁이 , 사슴벌레, 벌,나비 등... 요즘 곤충 자체를 혐오하는 애들이 많아서 보는 족족 죽이고 다니는 애들을 많이봤네요. 저 어릴때엔 자연이라는 교과가 있었던거 같은데... 벌레가 사라지니 ㅡ새들도 사라지고.. 새들이 사라지니 부엉이라던가 그 상위 계층도 사라지고.. 것뿐만아니라 지렁이나 이런애들은 토양을 좋게해주기도해서 식물도 건강하게 자라게하는데 ... 상부상조하는 자연생태계와 동식물의 소중함을 한번 더 가르쳐야될거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