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대 높은 프랑스, 이유가 있구나?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22 гру 2022
  • #프랑스 #프랑스여행 #명품
    . 업로드 일정 :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 영상 편집 툴 : Premiere Pro, After Effect
    . Ending BGM : Feeling Alright - Gavin Luke
    . 비즈니스 문의 : scopepublic@naver.com
    . 욕설, 혐오 및 차별 표현, 타인에 대한 공격, 가짜 뉴스, 링크 등이 포함된 댓글은 삭제됩니다.
  • Розваги

КОМЕНТАРІ • 1,2 тис.

  • @user-np9rz4uf8y
    @user-np9rz4uf8y Рік тому +94

    프랑스혁명에서도 볼 수 있듯이 그들은 스스로 봉건제도를 뒤짚은 역사를 가지다보니 일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것은 인생을 향유하는데있음. 노예처럼 일하려하지 않음. 적게 일하고 많은 시간 향유 하면 인문학이나 책,미술,예술 활동을 많이 하게 되고 그게 국가 예술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때문에 선순환이 되는구조..명품 역시 고부가치가 높은 사업으로 적게 일하고 많이 벌기 좋음. 진짜 부러운 삶..

    • @user-yu1co6ll2u
      @user-yu1co6ll2u Рік тому +8

      그런데 프랑스 사람들이 인생을 즐기다보니 1인당 국민소득이 서유럽에서 하위권
      네덜란드 독일 영국 보다 아래임
      그 아래 이탈리아 에스파니아 포르투갈 정도

    • @user-yt5dk4rf1o
      @user-yt5dk4rf1o Рік тому +11

      프랑스 회사직원들 일 존나안함 ㅋㅋㅋ
      출근하고나서도 수시로 동료들이랑 수다떨고 놀고 그래도 쉽게못자름. 노동자의권리가 아주 강하기때문에

    • @migney
      @migney 11 місяців тому

      @@user-yu1co6ll2u저렇게 살아도 일 좆빠지게 하는 한국보단 높음

    • @edunhenry4725
      @edunhenry4725 26 днів тому +1

      어디서 찌라시만 봤냐? 직접 가보지도 못한 애들이 ㅋㅋㅋ

    • @rose-wn3og
      @rose-wn3og 2 дні тому

      그런 삶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한 것은 프랑스 혁명보다도 제국주의였죠.ㅋ

  • @priya-zl8pu
    @priya-zl8pu Рік тому +9

    목소리, 억양 정말 넘 유쾌하고 즐거워요🫰🫰🫰

  • @owlbighead5620
    @owlbighead5620 Рік тому +63

    보통 이런 교양/지식영상(수정: 지식->지식영상) 보면 거의 똑같은 내용의 영어권 유튜버 영상이 수년전에 올라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음. 근데 이건 영어권 유튜브에서 대응되는 영상을 아직 못봄. 해서 매우 즐겁게 봤음. 그리고 한국인들이 영어는 잘하는데 프랑스어는 보통 못하는경우가 많아서 프랑스관련된 내용이 이렇게 자체조사로 올라와주는게 굉장히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함. 이런 컨텐츠 더 올려줍쇼.

  • @D2pless
    @D2pless Рік тому +13

    늘 유익하고 좋은 영상 쉽고 빠르게 컨텐츠로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따뜻하고 즐거운 주말 되세요~!!

  • @shypark_
    @shypark_ Рік тому +326

    이분이야말로 정말 1타 강사 뺨 치심. 아주 틀어만 놓아도, 내용이 귀에 쏙쏙 박힘. 거기다 맘에 드는 스피드👍🏻 항상 잘 보고 있어요! 연말 잘 마무리 하시고, 내년에도 잘 부탁드립니다🙇🏻‍♀️

  • @smagi6307
    @smagi6307 Рік тому +6

    내용도 확실한데 개그감까지 첨가 되어 있네요...
    좋습니다👍

  • @MacGyner
    @MacGyner Рік тому +258

    프랑스가 문화산업 그리고 농업으로 발전했다고 생각하는 사람 많은데 과학기술도 어마어마합니다.. 핵기술도 상위권이고 비행기 엔진과 고속철도까지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력이 있는 나라입니다...ㅋㅋ 어쩌면 국가의 포트폴리오가(?) 가장 잘 밸런스가 맞춰진 나라가 아닐꺼 싶습니다 ㅋㅋ

    • @hlena8537
      @hlena8537 Рік тому +22

      저도 잘 모르지만 17년도즈음 친구테 들은 얘기론 나라에서 세운 프로그래머 양성하는 학교가 있는데 학비가 무료인대신 들어가서 프로젝트 맡으면 해결하는게 하늘의 별따기만큼 엄청 어렵다고 하더라구요 서바이벌처럼 살아남으면 졸업할즈음에 미국 구글이나 페북에서 스카웃하려고 직접 찾아온다고 들었어요.참 좋다고 느꼈던 이야기라 댓글 남겨봅니다😊

    • @onedirectionniall8381
      @onedirectionniall8381 Рік тому +11

      그러니까요 우리나라 기차기술없어서 사온게 프랑스꺼 인데다 비행기 만드는 나라인데 ㅋㅋㅋㅋㅋㅋㅋ 한국이랑 비교안됨

    • @DrRaiyoon
      @DrRaiyoon Рік тому +26

      화장품이랑 의약품때문에 화학공업도 최상위권이죠
      독감도 프랑스 박시가 가장 알아주고
      타이어도 미쉐린이 상위권이고
      토탈쿼츠도 프랑스고
      생각하면 참 대단하긴하네요

    • @kingsteve60
      @kingsteve60 Рік тому +21

      @@onedirectionniall8381 우리나라기술도 충분히 세계상위권임 뭘 비교가 안된다고 까내리고있어

    • @park5178
      @park5178 Рік тому +5

      그쵸 첨단과학 화학 군사력 농업 생물학 뭐 하나 뒤지는게 없이 고루 발달함.

  • @unuser44
    @unuser44 Рік тому +5

    내용 너무 흥미롭고 재밌어요!
    문화와 콘텐츠에 관한것에 관심이 많아 보는내내 재밌었어요

  • @user-ze3jf2bo7c
    @user-ze3jf2bo7c Рік тому +177

    진짜 이형은 뭐 아니 자료조사도 했겠지만 뭐 다아네 ..편집센스나 자료화면 그래프 목소리 등등.. 진짜 사랑해형 밥먹고 화장실가고 영상만 만들어줘❤

  • @thomasci
    @thomasci Рік тому +26

    저렇게 왕정이 대단했던 곳에서 민중에 의해 혁명도 일어나고... 좌파와 우파까지 저기서 생겨났으니... 정말 대단한 나라입니다. 프랑스!
    오스트리아도, 독일도 궁전 정원 마저 프랑스식인 곳도 많죠^^
    멋진 영상 잘 봤습니다! 메리크리스마스 입니다~

  • @forgettmenot
    @forgettmenot Рік тому +9

    11분 49초 발음까지 완벽한게 너무 웃기네요 잘 보고 갑니다 ㅎㅎ

  • @lee.95.
    @lee.95. Рік тому +338

    ㅋㅋㅋㅋㅋㅋ 중국명품이랑 프랑스명품 얘기하는부분에서 빵터졌네욬ㅋㅋㅋㅋㅋ 국가가 가지는 브랜드힘을 느꼈습니다ㅋㅋ

    • @user-jn3wu9hg9c
      @user-jn3wu9hg9c Рік тому +13

      예를 들어 블리자드라는 회사를 그냥 '폭설'이라고 표기를 함. 코카콜라는 '가구가락'(可口可樂)이라고 표기하는데 이게 현지에서 극찬을 받을정도로 좋은 네이밍이었다고 함. 즉 중국은 겨우 해외 브랜드를 자국어로 표기하는 과정 자체도 잘했고 못했고를 평가할 정도로 번거로운 것이라는 뜻임. 물론 해외 인물 이름이나 지명 표기도 마찬가지임.
      예전 중국어 선생님 말로는 이걸 정하는 건 중국 공영 방송이나 신문사가 정해서 언론 보도를 하면 그게 표준 표기로 굳어진다고 했음. 즉 변환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조차도 없고 소수 결정권자의 주관이 반영된다는 뜻. 여러모로 글로벌과는 전혀 궤가 안맞는 국가임.

    • @user-cs8cq5bb8z
      @user-cs8cq5bb8z Рік тому +1

      제국주의 시절 남의 민족들의 유물을 뺏어갔던
      도적, 학살자, 제국주의 백인들의 면모를 가진나라가 프랑스인데
      명품 못 만들겠음? ㅋㅋㅋㅋㅋㅋㅋㅋ

    • @melonmelong424
      @melonmelong424 Рік тому +27

      중국은 글로벌화 돼서도 안되는나라 ..

    • @chasuchasuramen
      @chasuchasuramen Рік тому +3

      중국도 짝퉁 엄격하게단속하고 품질인증시스템같은거만들어서 프랑스처럼하면 국가이미지도 많이 좋아질거같은데 나살아있을때까지는안되긋지

    • @user-bf3wo5vt6p
      @user-bf3wo5vt6p Рік тому

      @@user-jn3wu9hg9c 코카콜라만 해도 뜻이 전혀 관계없는 한자를 써서 그렇지 중국어 발음들어보면 누가봐도 코카콜라로 들립니다
      이걸 무슨 소수층이 정했다고하는거는 좀...
      중국인이 자국어를 가장 우월하다고 생각하여 영어 이름도 들리는 대로 발음이 비슷한 한자를 쓴것

  • @jjk1035
    @jjk1035 Рік тому +1223

    유럽은 진짜 선대의 사람들이 잘해서 그 유산으로 지금도 잘먹고 잘사는거 같아서 부러움

    • @user-ys2kl6cr1x
      @user-ys2kl6cr1x Рік тому +584

      그게 죄다 다른 나라 식민지 만들어 빨아먹으며 얻은 부...

    • @jihojio2118
      @jihojio2118 Рік тому +93

      @@user-ys2kl6cr1x 국제사회를 이런식으로 바라 보다니 ㅋㅋㅋㅋㅋㅋㅋ

    • @user-wy5xx6op8r
      @user-wy5xx6op8r Рік тому +489

      @@jihojio2118국제사회를 무조건적으로 그렇게 바라보는게 당연히 잘못된 시각이긴하지만 유럽이 식민지를 안두었으면 그만큼 성장할 수 있었는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는 있다고 생각해요!

    • @mfgsp1
      @mfgsp1 Рік тому +254

      @@jihojio2118 틀린말 하나없음

    • @Huber.boji.eunhye
      @Huber.boji.eunhye Рік тому

      @@jihojio2118 맞음 ㅋㅋㅋㅋㅋㅋㅋ 한국봐봐 선대들이 지들끼리 해쳐먹다가 나라 먹히고 지금도 편가르기하고 백날 싸우잖 이러다가 또 나라 먹히는거 시간문제입

  • @Woo_Nae
    @Woo_Nae Рік тому +25

    문화강국으로 만들었고 계속 지켜간다는게 대단하네요 내용이 너무 알차요
    정말 잘보고 구독하고 갑니다

  • @hyukjin1992
    @hyukjin1992 Рік тому +15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지식한입님이 영상에서 쓰시는 어휘들도 상당히 고급스럽다고 생각합니다.

  • @user-di1yn1zp3h
    @user-di1yn1zp3h Рік тому +16

    11:48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자우 쇼우 밍~"

  • @dyeamond17
    @dyeamond17 Рік тому +95

    무표정으로 진지하게 보다가 11:47에서 존나 뿜었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prime1489
      @prime1489 Рік тому +19

      저만 빵 터진게 아니였네 ㅋㅋㅋㅋㅋㅋ

    • @user-tk6zy4ut5q
      @user-tk6zy4ut5q Місяць тому +1

      시.발 진짜 개좃나(개거시기 아니다ㅡㅡㅗ) 처웃김ㅋㅋㅋㅋ

  • @mashitta5969
    @mashitta5969 Рік тому +865

    우리나라는 트렌드랑 유행에 민감하고 사람들도 기존의 것들을 쉽게 식상해 해서 많은 것들이 빨리빨리 대체되고 일부는 도태돼서 사라지더라구요. 역사성과 정통성 및 장인정신을 중시해서 우리나라도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탄탄한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면 좋겠네요.

    • @cuvhowbndlk
      @cuvhowbndlk Рік тому +235

      그게 되겠냐 ㅋㅋㅋ 명품이라는건 그 브랜드의 역사가 있어야 하는데 역사가 없잖아 한국 기업은 ㅋㅋㅋㅋㅋ

    •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Рік тому +314

      그냥 나라마다 맞는 방식이 있는거임
      굳이 모든걸 다른나라를 따라할 필요는 없음

    • @aminute7549
      @aminute7549 Рік тому +91

      @@cuvhowbndlk 패배자 마인드 니 인생이 보인다

    • @filmAmoment
      @filmAmoment Рік тому +198

      @@aminute7549 근데 다 맞는말인걸

    • @pokepork7747
      @pokepork7747 Рік тому +172

      @@cuvhowbndlk 프랑스 사치품 기업이나 일본 소도시 노포들 보면 몇백년 기업이나 가게가 즐비하다. 그게 하루 아침에 그렇게 됐겠냐? 시간과 기술과 노력이 누적 결집된거지.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함.

  • @dal22
    @dal22 Рік тому

    항상 고맙습니다 ❤️ 😊 💕 😄 🙏 😍

  • @belleepoquela3271
    @belleepoquela3271 Рік тому +22

    프랑수아 1세가 합스부르크와의 전쟁에선 결국 패배했지만 문화 부흥에 엄청난 업적을 남겨서, 인기가 그렇게 많다고 합니다.
    덩치도 호감이고..

  • @user-qd9db8uy3r
    @user-qd9db8uy3r Рік тому +100

    이 형은 중간에 뜬금없이 치고 들어오는 드립이 예술이야

    • @makeProgram
      @makeProgram Рік тому +13

      저 오늘 자오 쇼우밍에서 백하나 샀습니다

  • @kkaokka
    @kkaokka Рік тому +8

    이게 그 말이구나.. 자신의 가치는 자신이 만들어낸다!!

  • @user-oe2lz4tm6r
    @user-oe2lz4tm6r Рік тому +126

    와 학교 수업듣는줄
    관광학과라 문화콘텐츠도 많이 배우는데
    진짜 ㅋㅋㅋㅋ교수님 수업 수준ㅋㅋㅋㅋ조사 제대로 하시는구나
    근데 프랑스는 다방면에서 튼튼하네

    • @melon21111
      @melon21111 Рік тому

      @좁불 다양한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함다
      우리나라도 곧 겪게 될 고령화 문제가 프랑스는 더 심하나보네요

    • @park5178
      @park5178 Рік тому +3

      @좁불 프랑스 고령화문제는 안심한데

    • @park5178
      @park5178 Рік тому +3

      @좁불 이민자 범죄는 스웨덴이 극악높죠 스톡홀름 성폭행 어마무시

    • @user-ox6pw1np9n
      @user-ox6pw1np9n Рік тому +3

      프랑스는 연간 300조 가량을 육아 예산으로 때려부은 결과 현재 유럽서 출산율 제일 높은 국가가 된 걸로 압니다.

    • @msinlaw
      @msinlaw Рік тому +1

      @@park5178
      스웨덴 강간 범죄가 1등(?)인건
      스웨덴 형법상 죄의 개수를 세는 방식이 특이해서 그런겁니다
      가스라이팅에 의한 지속적인 강간이 이루어진 경우
      일반적으로 강간 횟수에 따라 범죄 횟수가 정해지는데
      스웨덴의 경우 첫 강간이 이뤄진 시점부터 체포된 시점까지 기간 동안 날짜를 세서
      그 날짜만큼 범죄횟수가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1월1일에 첫 강간이 있었고 그 후 2월에 한번 3월에 한번 더 있었고
      그 강간범이 3월31일에 잡혀서 체포되면
      일반적으로 다른 나라는 3건의 강간이 있었다고 보는데
      스웨덴은 90건의 강간이 있었다고 보는 겁니다
      참고로 제가 마지막으로 확인했던 스웨덴 강간 범죄발생비(인구 10만명 당 범죄 발생횟수)는
      대충 70 언저리였습니다
      우리 나라가 10 언저리 미국이 7~8정도 유럽(프랑스나 독일 등)이 5~6정도로 기억 합니다
      우리 나라도 검찰 통계 기준으로 10 언저리 나오는데
      우리 나라 검찰에 접수된 강간 사건 기준으로 10 정도이고
      실제 검찰 접수 이후 처리과정에서 무혐의 또는 범죄불성립으로 빠지는게 절반 정도 되니
      실제로 5~6 사이 정도 됩니다
      그냥 유럽이랑 비슷한 수준입니다
      스웨덴이나 우리 나라나
      이는 집계나 통계 방식의 차이일 뿐이고 실제로는 조금 다르죠

  • @user-hm2xj5vq5c
    @user-hm2xj5vq5c Рік тому +15

    프랑스는 오래 더 비싸니 가치있는것이죠
    건물도 오래될수록, 그시대 건축방식을 가지고 있으면 인정을 해주죠

  •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Рік тому +6

    중국 성대모사 웃겼어요 ㅎㅎ 메리크리스마스 보내세요

  • @user-mi6kk6vu5g
    @user-mi6kk6vu5g Рік тому +30

    우리나라에 있는 프랑스계 호텔도
    좋아요..아코르 그룹이 운영하고 있는
    엠버서더 계열 호텔들..서래마을도
    프랑스 느낌을 알수 있죠..

  • @sunghyunkim3266
    @sunghyunkim3266 Рік тому +27

    선진국들의 공통점들중 하나는 땅이 엄청 비옥하다는거죠 프랑스는 산이 거의 없고 대부분 평야라 전세계에서 자급자족이 가능한 몇안되는 나라중하나이기도하고… 사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나라는 미국이죠 엄청난 땅크기에 강도많고 땅도 기름지고 인구도많고 사람들도 개방적이라 선진국들이 가져야할 기본 적인 것들이 잘갖춰져있고…아무튼 나라자체가 부러움에 대상인듯하네요

  • @Louis-hh9bv
    @Louis-hh9bv Рік тому

    최고 입니다!

  • @user-lo3yv3dn6g
    @user-lo3yv3dn6g Рік тому +5

    늘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skyblood99
    @skyblood99 9 місяців тому +3

    작가 누군지 글 참 잘쓰네
    성우도 목소리부터 속도 강약 모두 찰떡이고
    흥하자고

  • @lovelyJH
    @lovelyJH Рік тому

    최고의 채널 입니다.

  • @user-mm3gw2vd8l
    @user-mm3gw2vd8l 5 місяців тому +1

    새해에는 복많이받으시고 모두이루어지시길..........

  • @hanbich94
    @hanbich94 Рік тому +90

    11:47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개웃기넼ㅋㅋㅋㅋ

    • @haiboru
      @haiboru Рік тому

      ㄹㅇ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greenbean0940
      @greenbean0940 Рік тому +7

      지구-838의 세계 최고의 코트 회사 ℨ𝔞𝔬 𝔖𝔥𝔬𝔲 𝔐𝔦𝔢𝔫𝔤의 코트를 몰라보다니

    • @Doubleshot-cp6iv
      @Doubleshot-cp6iv Рік тому +2

      @@greenbean0940 폰트 이쁘다

    •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Рік тому +2

      @@greenbean0940 와!

  • @aip5658
    @aip5658 Рік тому +10

    언제나 깔끔한 정리. ..
    브리핑 학원이라도 다니셨는지..

  • @madarada4793
    @madarada4793 Рік тому

    진짜 유익하네요

  • @hoorobong
    @hoorobong Рік тому +1

    어느새 111만 이네요 축하해요

  • @anomaile
    @anomaile Рік тому +11

    프랑스 파리는 르네상스 이후부터 2차 대전 전까지 서양 문화, 예술, 지성의 중심지였죠. 지금 미국 뉴욕의 포지션이라고 생각하면 될듯요. 심지어 대영제국 시절조차 유럽의 수도는 파리였음

  • @Js-nb1mg
    @Js-nb1mg Рік тому +5

    12:20 이 맥락을 보면 입법과 행정을 담당하는 정치인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일을 잘 해야 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건국이후 지금까지 엄청나게 대단하다고 할 만한 대통령은 나오지 못 한 거 같음 앞으로 라도 그런 대통령이 있었으면…

  • @ant-stock
    @ant-stock Рік тому

    재밌게 잘 봤습니다 ^^

  • @tcrvision
    @tcrvision Рік тому +2

    아따 영상 잘 만들었다

  • @user-io8nf9uy5v
    @user-io8nf9uy5v Рік тому +9

    참고로 에어버스가 지금의 위상을 가지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가 대함 미사일인 엑조세를 팔면 에어버스의 A300 여객기를 사겠다고 프랑스 정부에 딜을 걸었기 때문임.
    그 뒤로 A300을 잘 굴려먹어 재평가가 되어 보잉과 여객기 시장을 양분하게 됨. 이 일로 당시 대한항공 회장은 프랑스 정부에서 훈장까지 받았음.

  • @Odyss2023
    @Odyss2023 Рік тому +20

    파리의 청결과 치안이 나쁘다고 그걸로 프랑스 전체를 평가하는 우물 안 개구리들이 너무 많음.
    파리는 오래된 국제도시고 이민자, 난민들이 너무 많아진 상태임.
    프랑스의 역사, 세계사에서 차지하는 비중, 방산산업, 원자력산업, 패션명품산업에 대해선 검색도 안해봄.

    • @user-mz1uj6jh3k
      @user-mz1uj6jh3k Рік тому +3

      내가 서유럽에서 7년넘게 살았지만 파리는 지저분한게 맞음.
      대한민국처럼 공중 화장실만 보급하고 잘 관리해도 나아질것임.
      쓰레기 처리랑

    • @Odyss2023
      @Odyss2023 Рік тому +1

      @@user-mz1uj6jh3k 파리가 프랑스의 전부인가?
      그럼 뉴욕은 미국의 전부인가?
      한국도 요즘은 일반건물, 상가건물 화장실 다 잠궈놓는다. 왜 그럴까?

    • @user-dd6tm1rf3z
      @user-dd6tm1rf3z Рік тому

      @@Odyss2023 공증화장실 말하는데 상가건물이 왜 나와 파리는 지하철 화장실도 돈내고 써야됌

    • @Odyss2023
      @Odyss2023 Рік тому

      @@user-dd6tm1rf3z 아 답답이 진짜 ㅋ
      말귀를 못알아듣네.
      상가화장실은 무슨 별도로 치는 시설이냐?
      니네 동네 나가봐. 지하철역, 공원 없음 공중화장실 뭐가 있는데?
      별도의 공중화장실이 한국 거리에는 흔하냐?
      그게 건물 화장실이고 상가 화장실인데 더럽게 쓰고 부숴놓고 인심 사나와지니까 다 잠궈놓잖아.
      누가 파리에 유료화장실이 없다냐?
      더럽게 씀, 범죄, 노숙자, 마약 등 공중화장실이 거의 없어진 이유가 있다고.

    • @onedirectionniall8381
      @onedirectionniall8381 Рік тому

      @@user-mz1uj6jh3k 독일 안와본듯 ㅋㅋㅋㅋㅋㅋ 프랑크푸르트랑 베를린은 인구도 적으면서 파리보다 배로 더러움 ㅋㅋㅋㅋㅋ 독일은 뭐임 ㅋㅋㅋㅋ 쓰래기나라

  • @Jane-1230
    @Jane-1230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이번 영상 설명속도는 역대급이네. 랩 하시는 줄😂

  • @user-mi6kk6vu5g
    @user-mi6kk6vu5g Рік тому +13

    서래마을 크리스마스 마켓이 해마다
    열리는데 좋아요..전 올해 갔다 왔답니다...
    뱅쇼 하고 소세지 밋있두만..
    다음해에 개최 하는건 카드 결제도
    되었으면 해요

    • @user-zc1ml4bb9n
      @user-zc1ml4bb9n Рік тому +3

      영아유기사건 났던 곳 2006년에

    • @user-lc6kn5rd4o
      @user-lc6kn5rd4o Рік тому +2

      @@user-zc1ml4bb9n 어쩌라고요?

    • @user-mi6kk6vu5g
      @user-mi6kk6vu5g Рік тому +1

      @@user-lc6kn5rd4o 음식 구입 할때
      현금 밖엔 안되서...
      카드 결제도 되었으면 해요..

  • @user-oy4qw4un4v
    @user-oy4qw4un4v Рік тому +15

    4:26 보테가 베네타는 밀라노에 본사를 둔 이탈리아 브랜드 입니다..!!!

    • @rapperkj2
      @rapperkj2 Рік тому +3

      보타가 베네타 보유한 회사가 LVMH 경쟁회사, Kering 프랑스 회사고 회장이 프랑스 사람, 프랑스와 피노입니다. Kering이 보유한 회사가 구찌, 발렌시아가, 생로랑, 보타가베네타 등 있네요.

    • @user-di4qd7zf2c
      @user-di4qd7zf2c Рік тому +1

      @@rapperkj2 케링 ㄷㄷ하네 라인업

    • @user-ce8br3nn2f
      @user-ce8br3nn2f Місяць тому

      아는척 쩌네 ㅋㅋㅋㅋ 이탈리아가 아니고 프랑스임

  • @user-koreagumi
    @user-koreagumi Рік тому +32

    고딩떄 프랑스 갔다가 젤 놀란게 여름에 해가 9시는 넘어야 지더라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숙소에서 하늘 보면서 내가 지금 멀 보고 있는건가 싶더라 ㅋㅋㅋㅋㅋ

    • @m.n.6848
      @m.n.6848 Рік тому +7

      대신 겨울에는 4시만 지나면 어두워짐

    • @fuckyourselfloser7878
      @fuckyourselfloser7878 Рік тому +4

      ㄹㅇ 밤 10시인데 이제 노을 지고 있음 ㅋㅋㅋ

  • @melonmelong424
    @melonmelong424 Рік тому +14

    우리나라에서는 관광객이 들끓는 시기 파리의 관광지 몇곳만 다녀와서 유럽의 중국이라느니 영어를 안쓴다느니 하는 문외한때문에 가치가 낮게 평가되는거 같아요. 어쨋든 차기 유럽의 중심은 프랑스가 유력한거 같아요. 우리나라도 국가브렌드 가치가 프랑스처럼 제고돼서 쉽게 부가가치를 창출하면 좋을텐데..

    • @user-zc1ml4bb9n
      @user-zc1ml4bb9n Рік тому +2

      독일은 토고 정도만 지배했는데 프랑스는 베트남, 마다가스카르 지배했었었지만 지금은 아니고 현재도 폴리네시아, 뉴칼레도니아, 타히티, 프랑스령 기아나 다 프랑스 땅입니다.

  • @rapperkj2
    @rapperkj2 Рік тому +32

    3:32 기업을 평가하는데 여러가지 기준이 있겠지만 에어버스가 시총기준으로 보잉을 앞선지 몇 년 되었습니다. 완전한 프랑스 기업이라고 하기보다는 독일, 네덜란드와 함께 다국적 기업이 가까운 것 같습니다.

    • @Txtzt110
      @Txtzt110 Рік тому +4

      @@JJ-hs8xd 다국적기업 맞습니다.

    • @user-ci4dt1ns2v
      @user-ci4dt1ns2v Рік тому +2

      ​@@JJ-hs8xd삼성 다국적기업 맞는데?ㅋㅋ

  • @jonykim7382
    @jonykim7382 Рік тому +3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부분에 나오는 성당은 완전 썡뚱맞은 성당이네요.. 부가티는 프랑스 태생의 브랜드지만 폭스바겐 산하에 있어 프랑스'거'라고 할수는 없어요. 반면 보테가베네타 불가르등은 이태리 태생이지만 프랑스 그룹 산하에 있기때문에 프랑스'거'라고 할수는 있지만 불가리 앞에 프랑스 국기를 놓으면 프랑스 태생 브랜드라는 오해가 있을수 있을듯 합니다

  • @yamiguard
    @yamiguard Рік тому +10

    루브르 피라미드 보고 싶네요.

  • @user-dv3mh9sf4b
    @user-dv3mh9sf4b Рік тому +41

    상표권,저작권따위 법원부터가 무시하는 대한민국에는 역시 어렵죠 ㅋㅋ

  • @aa-vz1qf
    @aa-vz1qf Рік тому +3

    쟈오쇼우밍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빵터지고갑니다 ㅣㅋㅋㅋ

  • @51star51
    @51star51 Рік тому +7

    어떤나라가 강대국인데는 이유가 있음, 괜히 프랑스가 몇백년간 강대국일까 우리도 저런 기반을 키워야됨

  • @melon21111
    @melon21111 Рік тому +4

    한 5분만 들어도 대단한 나라라고 느껴지네
    가장 부러운 건 농업 수출 세계 6위라는 점 ㄷㄷ
    프랑스는 나중에 내수로도 충분히 먹고살 수 있을 거 같음

  • @kofiecho2766
    @kofiecho2766 Рік тому +2

    부럽다. 우리도 따라가보자!!

  •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Рік тому +39

    대단한데요. 왕실의 계획된 사치는 후세에 이런 효과를 낳는군요. 조선왕조는 무조건 검소함을 미덕으로 삼았는데 확실히 국가 브랜드라는 측면에서 도움이 되진 않았겠군요. 잘 봤습니다.

    • @8000mj
      @8000mj Рік тому +9

      국민성이 유산으로 남았죠 ~
      근면성실이요!!
      라고 위안 삼아봅니다 ㅠ

    • @user-ef9ox3qi5c
      @user-ef9ox3qi5c Рік тому +25

      프랑스는 유럽에서도 풍족한땅이죠 농업생산력이 어마어마한 국가라 국부도 많았을수밖에 거기에 비해 조선은...

    • @jlee5401
      @jlee5401 Рік тому +4

      자리잡은 땅의 클라스가 넘사벽이니.. 이 구데기 같은 땅도 걸핏하면 가뭄들어서 집단 아사하는 요서부터 계속 이주해서 원주민 초토화시키고 뺏은 땅

    • @user-he6po4wn5o
      @user-he6po4wn5o Рік тому

      @@jlee5401 우리는 이주가 아니라 연나라+한나라+당나라한테 쫓겨난건데요.

    • @jlee5401
      @jlee5401 Рік тому +2

      @@user-he6po4wn5o 내몽골지역이 건조해지고 사막화 되면서 요하 유역으로 이주했다가 기원전4세기경 부터 한반도로 유입되기 시작하고 고구려 멸망- 나당전쟁 중 한반도 남부로 대거 유입되고 9~10세기 소빙하기 기간에 다시 한반도로 이주함.여진족 남하에 밀린 것도 있고 발해 중심지가 화산폭발로 날라가 버린 것도 있지만 결정적인 건 소빙하기로 만주지역이 농경하기 힘들어졌기 때문

  • @Louisvuitton100
    @Louisvuitton100 Рік тому +7

    보통 시초가 영국, 프랑스인 경우가 많음...존나 대단해...ㅠ

  • @user-sp9zp2fe8k
    @user-sp9zp2fe8k Рік тому +14

    형님 오늘도 좋은정보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go0hee
    @go0hee Рік тому

    지식한입님 얼른 유튜브 핸들 설정하셔야겠어요!!!!!

  • @sbch0408
    @sbch0408 Рік тому

    감사 합니다

  • @js_41
    @js_41 Рік тому +11

    캐나다도 따로 영상으로 만들어주세요~~^^

    • @user-q389
      @user-q389 Рік тому +1

      님 캐나다인?

    • @js_41
      @js_41 Рік тому +1

      @@user-q389 한국인인데 우리보다 인구도 적은게 경제대국인게 신기해서ㅎ

    • @user-q389
      @user-q389 Рік тому +2

      @@js_41 땅크고 자원많음

    • @js_41
      @js_41 Рік тому +1

      @@user-q389 대충 알죠ㅋㅋㅋㅋ 근데 여기가 영상을 잘 뽑으니까ㅎ

  • @houseiilac2949
    @houseiilac2949 Рік тому +10

    현대의 모든 정신적 사상과 물질적 발명품들은 서양에서 개발되거나 개량되서 보급됨. 민주주의, 대통령제, 내각제, 헌법, 법치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주식, 채권, 인권, 개인주의, 삼권분립, 띄어쓰기, 수도, 전기, 엔진, 모터, 터빈, 항공, 철도, 발전소, 상하수도, 핵발전, 반도체 동양의 사상이나 시스템은 1퍼센트도 안됨. 온돌 정도 되려나.

    • @user-ox6pw1np9n
      @user-ox6pw1np9n Рік тому

      동양의 사상은 그나마 불교가 서양인들에게 영향을 주는 듯합니다.

  • @Fendersm2006
    @Fendersm2006 Рік тому

    아놔 자오 쇼우 밍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빵터졌네요

  • @examsystem0083
    @examsystem0083 Рік тому +2

    요즘은 EU에서는 독일이 하자고 하는 경향이 강해서
    프랑스가 좀 밀린 경향이 있기는 하죠.
    그래도 프랑스가오가 있기는 한데.
    그놈의 프랑스 가오때문에 좀 일을 그르지는 경우도 있죠.ㅋㅋ

  • @jjunee_baby
    @jjunee_baby Рік тому +3

    프랑스 좋네요 ❤

  • @Focus-nb1qk
    @Focus-nb1qk Рік тому +28

    프랑스는 패션과 명품의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 수학 강국이기도 합니다. 인구 대비 필즈상(수학의 노벨상) 수상자가 많고, 수학의 몇몇 분야는 프랑스어 논문을 찾아봐야 할 정도라고 합니다.

    • @somurphy3895
      @somurphy3895 Рік тому +2

      정작 미국 대학에서 수학 잘하는건 동양인들임
      한국인이 프랑스인보다 수학 훨씬 잘함

    • @wanzeu6535
      @wanzeu6535 Рік тому +1

      @@somurphy3895 뭔 병신같은...
      편미분 방정식 빨리 풀면 그게 잘하는거냐? 수학에서 잘한다 함은, 자기가 기존의 공리를 가지고 숨겨진 사실과 새로운
      체계를 만듦을 의미한다
      사용이 아니라 창조라고

    • @user-ru2qx2kf3e
      @user-ru2qx2kf3e 11 місяців тому +14

      ​@@somurphy3895필즈상2위국간데 뭔 개소리를 당당하게하노

  • @TV-tw7pg
    @TV-tw7pg Рік тому

    최고

  • @KOR_J.H
    @KOR_J.H Рік тому

    흥 ! 샘난다 ㅎㅎ

  • @introna74
    @introna74 Рік тому +3

    고야드가 에르메스 바로 아래라는것에 뿜고 갑니다.

  • @seomaro
    @seomaro Рік тому +29

    자오 쇼우 밍 명품 미쳤다ㅋㅋㅋㅋㅋ

  • @user-ru3zs1yc3f
    @user-ru3zs1yc3f Рік тому

    자오 쇼우 밍에서 빵 터짐요.ㅋㅋ미치겠다.ㅋㅋㅋ

  • @sunzespri7568
    @sunzespri7568 Рік тому

    굿굿

  • @user-di4qd7zf2c
    @user-di4qd7zf2c Рік тому +3

    와인킹 프랑스에서 밥먹는 거 봤는데 속터지던데 ㅋㅋ
    처음에는 인종차별인가 했는데 옆에 백인들한테도 그러는거보니 문화가 그런듯

  • @user-nb4ek3vy5q
    @user-nb4ek3vy5q Рік тому +153

    만약에 프랑스 왕조가 지금까지 남아있었다면...
    영국왕실은 가볍게 뛰어넘는 엄청난 인지도와 인기를 가진 말 그대로 로열 패밀리에 끝을 보여주는 왕실이 될 수 있었겠네요...

    • @azure397
      @azure397 Рік тому +19

      영국왕실은.......어디 지방 귀족계급 수준이었을 듯 ㅋㅋㅋㅋㅋ

    • @Kimtiger0
      @Kimtiger0 Рік тому +34

      그 사치라는 왕실코드가 우리시대에 인기를 얻고 생존하기에는... 너무 위험한 코드인.....

    • @user-zn8ic7oq3r
      @user-zn8ic7oq3r Рік тому +3

      근데 웰시코기 이길만한게 많지가 않을거같음..

    • @birth8506
      @birth8506 Рік тому +5

      어떤 왕조 기준으로요? 부르봉? 아니면 보나파르트?

    • @goodwill788
      @goodwill788 Рік тому +18

      전혀요.. 영국왕실을 섬기는 나라들만 봐도 프랑스 왕실이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한들 영국 왕실의 인기를 뛰어넘기에는 역부족이었을거 같고요 프랑스 역사나 문화를 봐도 영국만큼 왕실이 국민들에게 큰 지지를 받지 못했을 겁니다

  • @RealTube_
    @RealTube_ Рік тому +1

    다좋은데.. 여름에 갔다가 가는곳마다 에어컨이 없어서 너무 힘들었어요 ㅠ
    치안도 안좋은 편이구요

  • @ryanpark1107
    @ryanpark1107 Рік тому +1

    이래서 집안이 중요한 거구나!

  •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Рік тому +35

    한국이 프랑스는 뛰어넘은 줄 알고 가방 팔고 관광만 판다고 무시하는 한국민이 꽤 많을겁니다ㅋㅋ

    • @Odyss2023
      @Odyss2023 Рік тому +19

      국뽕유튜브 구독자들 ㅋ

    •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Рік тому +18

      @@Odyss2023 한국사람들은 한국이 이 나라 다음이라고 생각많이 하실듯..ㅋㅋ 저 세나라는 보통 무시는 안하더라구요. 일본은 뭐 아예 제껴서 발밑에 있는줄 아는 사람들이 6할은 족히 넘음 그렇다고 해서 한국이 못사는데 깝친다는 얘기는 절대 아닙니다ㅋㅋ 한 10등정도 하는 부국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끝없이 추락할거같지만..

    • @Laying8387
      @Laying8387 Рік тому +6

      @@Billion._.Master 현실은 일본 GDP 절반

    • @user-zc1ml4bb9n
      @user-zc1ml4bb9n Рік тому +1

      사실 우리나라 언론인들이 프랑스 보다 영국, 미국을 추종하는 사람들이라서/ 마다카스카라 를 프랑스가 지배해서 인프라가 열악한 국가로 보이게만 편집하고 우간다(영국지배)는 상당히 미화시켜서 편집했던데

    • @Billion._.Master
      @Billion._.Master Рік тому +5

      @@Laying8387 지금이 일단 민족역사상 최고 전성기아닐까합니다.. 이때 태어나서 차라리 좀 다행일지도..ㅋㅋ

  • @husbandcooking
    @husbandcooking Рік тому +8

    프랑스 진짜 부럽다....😢

  • @sysoo5134
    @sysoo5134 Рік тому +2

    4:27 불가리는 이태리 브랜드입니다

  • @neumleumdoong2
    @neumleumdoong2 Рік тому

    자우 쇼우~ 밍! 이거 너무 웃기네요 ㅋㅋㅋㅋㅋㅋㅋ

  • @user-tl2kc3yn1o
    @user-tl2kc3yn1o Рік тому +3

    샤넬이 프랑스라고 계속 얘기하셨는데 4:54에는 영국이라 나와있네요?

  • @johnbee2014
    @johnbee2014 Рік тому +3

    11:48 발음 찰지네

  • @user-pg8hb2rd8h
    @user-pg8hb2rd8h 25 днів тому

    프랑스요리..최고!

  • @joonhan1541
    @joonhan1541 Рік тому +4

    막상 파리에서 쇼핑해보니
    대부분은 메이드인 차이나 였어요.
    쇼핑몰 가게들은 대부분 미국에서도 볼수있는 미국계 브랜드였고..
    그래도 선물을 중국산을 사기뭐해서
    Made in France 를 찾아다녔는데 거의 없었어요. 명품이나 되어야 프랑스산이 있는건지.....

    • @user-ox6pw1np9n
      @user-ox6pw1np9n Рік тому

      요즘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울나라 관광 기념품도 마데 인 차이나 제품 많아요. 옛날에 한국적 디자인의 예쁜 색동 지갑을 샀는데 알고보니 마데 인 차이나 제품이라 허탈했던 적이 있네요 ㅋㅋㅋ

  • @marcusren09
    @marcusren09 Рік тому +4

    프랑스엔 포칼이라는 세계적인 스피커 회사도 있죠

  • @beginofsquare
    @beginofsquare Рік тому +12

    아르노 회장이 세계 1위 부자구나 ㄷㄷ 와 미래기술이고 뭐고 명품이 최고구나

    • @user-zw9on9lh6k
      @user-zw9on9lh6k Рік тому +2

      최근에 머스크한테 또 뺏김 ㅋㅋ

    • @heaveninthesea4914
      @heaveninthesea4914 Рік тому +3

      “명품이 최고”라는 말로 알 수 있는것. - 인간의 사치와 욕망을 채워줄 수 있다면 세계 최고 의 부자가 될 수 있다는 뜻.

    • @user-uu4tq1mo6n
      @user-uu4tq1mo6n Рік тому +2

      아무리 사치품이 흥행해도 결국 근본적인 힘은 제조업에서 나오는 법

  • @unuser44
    @unuser44 Рік тому

    11:48 치고 들어오시는거 웃겨옄ㅋㄱㅣ

  • @user-qy5kt9we1j
    @user-qy5kt9we1j Рік тому +2

    1:09 뒤에 금발 여자분 어디서 많이 본것 같았는데....닥터스트레인지 에이션트 원이였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xjdoqnsnvo
    @xjdoqnsnvo Рік тому +5

    ㅋㅋㅋㅋㅋㅋㅋ 아르헨에 이어 프랑스!
    감사합니다 지식한입도 월드컵 결승이군요!

  • @dohyeongkim9867
    @dohyeongkim9867 Рік тому +6

    실제로 외국 생활할때 친했던 프랑스 친구가 있었는데 이야기 하다가 블랙핑크에 제니가 인간 샤넬로 불린다는거에 격분을 하더라 그때는 너무 콧대가 높다고 생각 했는데 알고보면 그럴만 할듯

    • @exellent4986
      @exellent4986 5 місяців тому

      샤넬이 독일 나치 간첩이여서 사망 후 스위스에 무덤이 있음. 프랑스에 환영 못 받음. 샤넬 본점은 프랑스 파리에 있지만, 샤넬 본사는 영국 런던에 있음

    • @user-cj4wx3yd3x
      @user-cj4wx3yd3x 25 днів тому

      그럴만하지 솔직히 인간샤넬 네이밍 얼굴천재급으로 너무 과대포장에 오글거림 ㅋㅋ

  • @dhc8840
    @dhc8840 Рік тому +2

    지식한입님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설명하시는데 사진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은 아닌거 같아요😂

  • @user-pg1ir1xt8n
    @user-pg1ir1xt8n Рік тому

    네덜란드가 농산물수출량
    세계3위인데 종자 씨앗때문인가요
    국토대비 너무 액수가커서요?

  • @user-ih6sq6qy7s
    @user-ih6sq6qy7s Рік тому +33

    역시 나라의 소프트파워가 중요하군

    • @Laying8387
      @Laying8387 Рік тому +6

      소프트파워뿐아니라 경제적파워도 큼

    • @mathadmission1742
      @mathadmission1742 Рік тому +9

      위기 상황에선 제조업 없으면 아무런 힘도 발휘하지 못합니다. 둘다 균형있게 발전하는게 중요합니다.

    • @user-zc1ml4bb9n
      @user-zc1ml4bb9n Рік тому +7

      필리핀 인도네시아 과자 보다 프랑스 과자가 더 맛있음. 둘 다 천원과자샵에서 파는것들인데

  • @Marin_Jung
    @Marin_Jung Рік тому +5

    한국에만 있는 단어 명품. 본래 뜻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무관한 것' 이라는 의미로 사치품이 더 적당한 단어 인데 말이죠.
    어느 상업주의에 물든 그럴싸하게 보이려고 갖다 붙인 단어 같은데 명품이라는 단어보다는 사치품 이라는 단어가 더 맞다고 생각합니다.

  • @jong6319
    @jong6319 Рік тому +1

    38초 노트르담성당 아닌 멕시코시티에 Catedral metropolitana 같은데요

  • @ramhonjeong-uchoe1858
    @ramhonjeong-uchoe1858 Рік тому +1

    0:36 부분에서 쓰인 사진은 파리 노트르담 성당이 아닌데, 다른 성당 영상을 쓰신 것 같습니다.

  • @user-ne8nx1uk8z
    @user-ne8nx1uk8z Рік тому +3

    프랑스는 예전부터 인구대국인데
    중세~근대까지 유럽전체인구의 20퍼가 프랑스여서 쭉 강대국이었음

  • @user-nl1me3uj1i
    @user-nl1me3uj1i Рік тому +61

    프랑스가 가지는 문화적 잠재력은 그들 스스로가 자신들을 세계 최고의 문화인이라고 믿는 자부심도 한 몫 한다고 봅니다. 우리도 조상님들은 소중화 운운하면서 유일한 문화국가라고 자부했지만 실상은 허접 쓰레기였던 반면, 프랑스는 자신들이 진정한 문화의 중심지임을 실제로 증명하기 위해 끝없이 발전시켜 온 것이죠.

    • @somurphy3895
      @somurphy3895 Рік тому +3

      일본때문에 한국 문화가 많이 말살되었죠
      그래도 요즘은 방탄 블핑같은 케이팝이랑 기생충같은 영화가 세계에서 매우 인기많음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Рік тому +5

      일제강점기를 거쳐 소실된 문화가 많은거지, 우리나라의 문화가 뒤떨어진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개 자국민들은 자국의 문화를 폄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늘 보는 익숙한 것 보다는 생경한 것이 더 멋지게 느껴지는 법이니까요.
      집집마다 깔려 있는 온돌, 우리가 늘 먹는 떡볶이, 매운탕, 팥빙수, 된장찌개 따위의 음식, 우리가 늘 쓰는 한글. 이것들은 한국인에게 몹시 당연한 것이지만, 외국인의 시선에서는 충분히 특이하게 느껴질만 합니다.

    •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Рік тому +5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보자면,
      우리나라의 전통 궁술은 '고자채기' 라는 특이한 사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다른 문화권에서는 전례를 찾을 수 없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일찍이 궁술이 발달했죠.
      일본의 검도에서는 칼의 손잡이가 앞으로 향하도록 허리춤에 매죠. 그러나 우리나라의 검술은 '띠돈' 이라는 부품을 사용하여 검을 뒤로 맵니다. 그래서 일본과는 다른 독자적인 검술이 발달했는데, 아쉽게도 일제강점기에 사라졌습니다.
      무당과 장승, 솟대로 대표되는 한국의 고유 종교도 있습니다. 유교와 불교, 기독교에 밀려 지금은 '무속'이라는 비칭으로 불리고 있지만, 수천년 전 샤머니즘의 원형을 담고 있는 좋은 연구 대상입니다.

  • @tesla3388
    @tesla3388 Рік тому +2

    11:49 😂😂😂😂😂😂😂😂

  • @user-lz8kc1sp1p
    @user-lz8kc1sp1p Рік тому +40

    제 딸을 이번에 프랑스에 디자인 유학을 보냅니다 이 영상을 보니 잘 결정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 나라를 이렇게 심도있게 다뤄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bd7ff5pu8r
      @user-bd7ff5pu8r Рік тому +6

      남자 조심하라 그러세요 무조건

    • @user-bd7ff5pu8r
      @user-bd7ff5pu8r Рік тому +2

      프랑스놈들 이상한애들많아요

    • @sun_fish_
      @sun_fish_ Рік тому +6

      @@user-bd7ff5pu8r 그런 편견을 가지시면 안돼요...

    • @user_skxk93jfnd7e
      @user_skxk93jfnd7e Рік тому

      @Venjamin 한국남자보다 나은 건 모르겠음... 우린 그저 여자는 약하니까 보호해줘야 한다는 남자로서의 성역할을 강요 받아온대로 행동하는 것뿐인데(ex. 아는 여자애가 짐들고 가면 대신 들어주는 등) 외국 여자들은 그런 한국 남자들 행동을 보고 다정하다고 느끼는 걸보면 프랑스 남자가 더 나은지는 딱히 모르겠던데...ㅋ

    • @user-ev4ux8id7m
      @user-ev4ux8id7m Рік тому

      @@user_skxk93jfnd7e 둘다그만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