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와 비교할 때 불교에 부족한 점 | 김성철 교수가 보리도차제론을 극찬하는 이유 | 김성철 교수 '체계불학' 1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7 лют 2025
  • 불교학자 김성철 교수는 치과의사 출신이다. 서울대 치대를 나와 치과의사를 하다가 동국대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했다. 치대 동기로 치과의사인 부인에게 “2년만 불교책을 원 없이 보겠다”고 양해를 구한 뒤 떠난 길이 본업이 됐다. 2000년부터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불교학회장을 지낸 김교수는 2023년 2월 정년퇴직했다.
    그는 서울대 사대 학장과 서울대 불교학생회 지도교수를 지낸 선친 김종서 교수가 가끔 모시고 온 탄허 스님을 어린 시절 집에서 만나곤 했다. 성인의 풍모지만 겸손하기 그지없이 ‘하심’(자기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으로 일관했던 탄허 스님의 모습은 어린 그에게 깊게 각인됐다고 한다.
    그는 고교 2학년 때까지 그림에 심취해 미술반 활동에 열심이었다. 그러나 “그림을 그려서는 밥 먹고 살기 어렵다. 치과의사는 몇 시간만 일하면 나머지는 원하는 불교책도 원 없이 읽고, 참선도 할 수 있다”는 어른들 말에 치대에 진학했다고 한다. 그래서 치대를 다닐 때도, 치과의사로 일 할 때도 틈만 나면 불교책을 보고 참선을 했다. 그렇게 열망했던 공부이기에 그는 삶을 위한 ‘불교학’을 할 수 있었다. 그는 ‘제2의 붓다’로 불리는 용수의 중관학으로 석·박사를 했다. 용수는 그에게 직업인으로서 불교학자가 되기에 앞서 삶의 길을 제시해줬다.
    김 교수 연구실은 그의 부인이 운영하는 서울 용산구 서부이촌동 치과의원의 한 귀퉁이에 있다. 댓평 남짓한 좁은 공간에서도 오직 연구에만 몰두하는 그는 이 시대의 오타쿠다. 젊은 시절 좋아한 술도 끊고 오직 연구에만 힘써 온갖 학술상을 휩쓸었던 그는 분노와 탐욕, 교만과 같은 감성적 번뇌를 치료하는 데도 붓다의 가르침을 최고의 처방으로 제시한다.
    그는 금강경에서 강조하는 ‘반야’(깨달음의 지혜)를 절대부정으로, 화엄경의 화엄을 절대긍정으로 비교한다. 김 교수는 백과사전과도 지식뿐 아니라 현대사회에 응용할 무궁무진한 불교적 지혜를 보여준다.
    그가 정년퇴직을 하면서 ‘불교적 심신의학과 생명윤리’, ‘체계불학-신념체계로서의 불교학’을 펴냈다. 오타쿠 불교학자와 함께 불교의 무궁한 블랙홀에 들어가면 시공간을 넘어 진속불이를 경험하게 된다.
    #김성철교수 #체계불학 #보리도차제론
    ----------------------------
    조현TV 휴심정
    조현 한겨레신문 종교전문기자
    iuhappyday@naver.com
    무엇을 갖기를 원하나요. 많은 돈, 높은 지위, 든든한 권력, 좋은 가족과 친구, 기쁨과 행복.
    열린 태도로 지혜로워질 때 많은 것이 덤으로 주어집니다.
    휴심정은 종교와 이데올로기, 고정 관념, 편견을 내려놓고, 마음을 열고 배워 지혜롭고 성숙해져서 자타가 함께 행복해지는 곳.
    바꿀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는 지혜를,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꿔낼 수 있는 용기를!
    *조현TV 휴심정은 유튜브에 광고신청을 하지않아 수익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터뷰어, 인터뷰이, 촬영자, 편집자 모두의 재능 기부로 만들어집니다.
    (조현이 삼각대 위에 핸드폰을 장착 후 인터뷰하는게 대부분이니, 음향 등 미숙을 양해해주세요)
    **인터뷰 기사는 휴심정( well.hani.co.kr )에 있어요.
    네이버 뉴스에서 조현 기자를 구독( naver.me/F5uVPaKk )하면 조현 글이 배달됩니다.
    ***한겨레신문을 후원( support.hani.co.kr )해주시거나, 신문을 구독해 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후원해 주신 분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한겨레신문 구독 신청하실 분도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조현 이메일 iuhappyday@naver.com)
    당신이 건강하고 행복하기를!
    당신이 사랑받고 존경받기를!
    당신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창조자이기를!

КОМЕНТАРІ • 17

  • @배문희-z7b
    @배문희-z7b Рік тому +26

    김성철 교수님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쏙쏙~ 잘 들어와서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먹는 것 처럼
    너무 편안 합니다.
    어른이 없는 것 같은 세상의 소식에
    시끄러워진 속을 휴심정에 와서야 비로서
    제대로 어른들이 가고 계시는 바른 길을
    알려주셔서 맑고 고요하게 잘 쉴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두 분 모두 좋은 인연으로
    와 주셔서 두 손 모아 감사올립니다~^^
    💐 🙏 🙏 🙏 💐

  • @reedmind3827
    @reedmind3827 Місяць тому +1

    교수님~고맙습니다🙏🙏🙏

  • @열무김치-j9s
    @열무김치-j9s Рік тому +10

    불교 교리를 찾아보고 듣고 머리로 배우려 하기보다 보리심 자비심을 우선하라는 가르침으로 들렸습니다.

  • @season4753
    @season4753 Рік тому +18

    부처님 진리의 말씀을 느끼며 좁고 그릇된 제 인식이 조금씩 바뀌며 좀더 괜찮은사람 좀더 행복한 사람이 된듯합니다.
    부처님진리의 말씀 늘 쉽게 재미있게 강의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한마음입니다

  • @Giant대왕판다Panda
    @Giant대왕판다Panda Рік тому +21

    김성철 교수님과 조현 기자님께 항상 감사드립니다. 많은 가정에서 자녀가 어릴 때부터 자비수행을 가르친다면 학교폭력이나 강력범죄, 자살 같은 비극적인 일들이 많이 줄어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비심이 있으면 타인과의 경쟁에서 꼭 이기지 않더라도 행복하게 살 수 있지 않을까요😭 저는 이제라도 불교를 만났으니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 @jaewonjang2531
    @jaewonjang2531 Рік тому +7

    내가 지금 살기 힘들어 불교에 입문했는데
    어떻게 하면내가 점점점 편안해지고
    나중엔 삶과 죽음에 대한 공포도 없어지려면
    어떻게 수행해야하는가를 단계단계 제시해주는 것이
    체계불학(Systematic Buddhology)

  • @향지월
    @향지월 Рік тому +11

    감사합니다 🙏🙏🙏
    불교공부를
    더듬더듬 하고 있는 입장에서
    간과해서는 안될
    바른 지향점을
    알려주신 듯 하여
    더욱 감사드립니다
    감성적 진화가 되어야
    한다는 말씀이시지요?
    공감력을 좀 더 높이고
    자비심를 좀 더 드러내야
    한다는 말씀으로
    정리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 @조조르르바바
    @조조르르바바 Рік тому +7

    체계불학 샀습니다
    많은 공부가 될 것 같습니다
    김성철교수님, 감사합니다

  • @윤종潤從
    @윤종潤從 Рік тому +8

    휴심정 덕분 에 불교 공부 새롭게 다져저 더 발전 하며 열심히 해야 겠습니다 두분 대담 감사 드립니다🙏🙏🙏

  • @상도향
    @상도향 Рік тому +7

    교수님의 업적 찬탄합니다 🎉
    저도 책 구매해놨는데, 잘 읽어 좋은 가르침 얻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박진숙-t8e
    @박진숙-t8e Рік тому +7

    고맙습니다.

  • @김용근-t3c
    @김용근-t3c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

  • @이정옥-j1d
    @이정옥-j1d Рік тому +3

    감사합니다

  • @suyeonjae293
    @suyeonjae293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이언옥-j8g
    @이언옥-j8g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

  • @범수김-o2g
    @범수김-o2g Рік тому +17

    난해한 한문문어체로 된 한국불경을 알기쉬운 구어체불경으로 번역하는것이 필요합니다

  • @ugwangho02
    @ugwangho02 Рік тому +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