Розмір відео: 1280 X 720853 X 480640 X 360
Показувати елементи керування програвачем
Автоматичне відтворення
Автоповтор
아.. 내가 예전에 과열 때문에 모양이나 지저분했었구나.. 무조건 납을 잘녹이려고했는데.. ㅋㅋ
온도를 높게 납땜을 하시면 납이 잘 녹아 납땜이 잘 된다 생각 하실 수 있지만 플럭스도 빨리 기화가 되어 오히려 깔끔한 납땜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납땜 못하는 척을 잘하네 ㅋㅋㅋㅋ
저 흰 연기는 송진이 원인인가요?
네 대부분이 무연납에 포함된 플럭스에서 나오는 연기입니다. 하지만 유연납, 무연납이라도 인체에는 유해하니 환기가 되는 곳에서 납땜하시기 바랍니다~
납땜은 플럭스 바르고 슉하고 납을 묻혀야 되는것 ㅋㅋㅋ
납땜순서는 어떻게 정하나요?
납땜 방식의 순서는 먼저 인두팁에 납을 조금 묻히고 납땜할 대상에 인두팁을 먼저 접촉하여 가열한 후 적정량의 납을 공급하고 납을 떼고 나서 인두팁을 떼시면 됩니다.
@@hakko1641아~~ 영상에 납땜 순서가 잘못됐다는 부분에서만 기판 가운데 위치부터 납땜을 하시길래 땜 위치를 기판 위에서 아래로 해야한다는 얘기인줄 알았습니다😅
@@hakko1641 그러니까 인두팁에 납을 살짝 묻혀서 인두질 될 대상과, 인두팁과, 실납이 녹는 온도를 충분히 끌어올려주기 위함인 것이고, 이것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상에서처럼 깔끔하게 실납이 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고, 실납도 나중에 때는 게 아니라 대고 있던 팁은 계속 대고 있으면서 온도를 계속 가해주고, [실납을 먼저 때고 나서 팁이 나중에 때져야 하겠군요. 팁 먼저 때면 금방 식어버리기 때문에 맞지 않는 순서겠네요.]
킹받네..
누가저렇게해여.. ㅠ
초급자분들의 사례로 처음 납땜을 접하시는 분들의 실수들을 모아봤습니다.
저여..
I do like this. I can make a nice horn T_T.
Try to work faster or use flux :)
아.. 내가 예전에 과열 때문에 모양이나 지저분했었구나.. 무조건 납을 잘녹이려고했는데.. ㅋㅋ
온도를 높게 납땜을 하시면 납이 잘 녹아 납땜이 잘 된다 생각 하실 수 있지만 플럭스도 빨리 기화가 되어 오히려 깔끔한 납땜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납땜 못하는 척을 잘하네 ㅋㅋㅋㅋ
저 흰 연기는 송진이 원인인가요?
네 대부분이 무연납에 포함된 플럭스에서 나오는 연기입니다. 하지만 유연납, 무연납이라도 인체에는 유해하니 환기가 되는 곳에서 납땜하시기 바랍니다~
납땜은 플럭스 바르고 슉하고 납을 묻혀야 되는것 ㅋㅋㅋ
납땜순서는 어떻게 정하나요?
납땜 방식의 순서는 먼저 인두팁에 납을 조금 묻히고 납땜할 대상에 인두팁을 먼저 접촉하여 가열한 후 적정량의 납을 공급하고 납을 떼고 나서 인두팁을 떼시면 됩니다.
@@hakko1641아~~ 영상에 납땜 순서가 잘못됐다는 부분에서만 기판 가운데 위치부터 납땜을 하시길래 땜 위치를 기판 위에서 아래로 해야한다는 얘기인줄 알았습니다😅
@@hakko1641 그러니까 인두팁에 납을 살짝 묻혀서 인두질 될 대상과, 인두팁과, 실납이 녹는 온도를 충분히 끌어올려주기 위함인 것이고, 이것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영상에서처럼 깔끔하게 실납이 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고, 실납도 나중에 때는 게 아니라 대고 있던 팁은 계속 대고 있으면서 온도를 계속 가해주고, [실납을 먼저 때고 나서 팁이 나중에 때져야 하겠군요. 팁 먼저 때면 금방 식어버리기 때문에 맞지 않는 순서겠네요.]
킹받네..
누가저렇게해여.. ㅠ
초급자분들의 사례로 처음 납땜을 접하시는 분들의 실수들을 모아봤습니다.
저여..
저여..
I do like this. I can make a nice horn T_T.
Try to work faster or use flu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