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급식 수준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0 лют 2025
  • 미국 급식 심각하다..

КОМЕНТАРІ • 1,5 тис.

  • @이지엔식스
    @이지엔식스 Рік тому +5270

    한국 교도소에 적극 도입해야합니다

    • @soonn
      @soonn Рік тому +258

      ㄴㄴ 이것보다 더 안 좋아야함

    • @고창환-k9z
      @고창환-k9z Рік тому

      ​@@soonn설국열차 바퀴벌래 양갱 수준이 좋을 듯

    • @다귀찮다
      @다귀찮다 Рік тому +72

      걍 주지말ㅈ

    • @granas6615
      @granas6615 Рік тому +253

      ​@@다귀찮다 ㄴㄴ 그럼 노동력으로 못굴림

    • @다귀찮다
      @다귀찮다 Рік тому +188

      @@granas6615 그러면 옛날 노예들처럼 빵,죽같은걸 짬탕시킨 걸쭉한 혼합물주면돼려나

  • @가이진달팽이서버
    @가이진달팽이서버 Рік тому +2300

    우리의 교육비를 내주시는 부모님과 기업들 그리고 매일 양질의 음식을 조리해주시는 영양사님과 조리사분들 감사합니다....

    • @koreaamway
      @koreaamway Рік тому +31

      이제 얼마 안남았어요
      대한민국도 그동안 잘먹고 잘썼다는걸 깨달을 날들이

    • @오연주-r5z
      @오연주-r5z Рік тому +1

      ​@@koreaamway 😮

    • @soyoo3949
      @soyoo3949 Рік тому +61

      지금 50.60대분들 돌아가시면 어림도 없을듯 조리사분들 얘기들어보면 몸 갈아서 하는 수준이라

    • @koreaamway
      @koreaamway Рік тому

      @@soyoo3949 이제 여자들에게도 남자 만큼의 노동력을 요구하는 시대가 옵니다
      국방의 의무도 함께

    • @koreaamway
      @koreaamway Рік тому

      @@오연주-r5z 곧 와요
      근검절약 필수
      빚 지면 4망

  • @228b22
    @228b22 Рік тому +2613

    아... 이래서 컵밥이 미국에서 성공했구나....
    저딴거 보다 덮밥, 비빕밥 보면
    건강식이란 생각 팍팍들 수 밖에...

    • @해빼
      @해빼  Рік тому +244

      그러네요 ㅋㅋㅋㅋ

    • @TENGU13
      @TENGU13 Рік тому +170

      이래서 돈 잇는 사람들은 사립학교 보내는군

    • @컬스터197
      @컬스터197 Рік тому +5

      ㅇㅈㅋㅋ

    • @Aiden_Alex_Ji
      @Aiden_Alex_Ji Рік тому +18

      @@TENGU13그래도 어떤 학교는 당콩버터고 저는 콤비 피자ㅋㅋㅋㅋ

    • @소프트라운지
      @소프트라운지 Рік тому +3

      만두도..

  • @alilee880
    @alilee880 Рік тому +623

    "국가가 급식을 강제할 권한이 없다."라... 국민들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한다는 명분 속에 숨어 정작 국민들에 대한 책임과 노력은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기업국가'다운 발언이네요.

    • @사회과학의정원
      @사회과학의정원 Рік тому +23

      그것도 정치인이 한말이라..그렇다면 왜 그 정치인이라는 직업이 필요한지 좀 생각해봐야 할듯.

    • @harang_snow
      @harang_snow Рік тому +5

      뭔가 했다간 소송으로 두들겨 맞는데?

    • @derejoin
      @derejoin Рік тому +44

      아무것도 안할꺼면 세금을 받지 말아야지. 그러면서 세금 안낼 자유는 없다ㅋㅋ

    • @Taiwan_no.1__freehongkong
      @Taiwan_no.1__freehongkong Рік тому +10

      ​@@derejoin미국 국방력과 경제력, 그리고 개발력이 어디서 나오는지는 아냐?

    • @jisammoon
      @jisammoon Рік тому +7

      미국이 조선차럼 국민 개개인의 윤택한 삶을 국가가 보장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중남미 사회주의 의식 구조인 줄 아냐? 급식이 불만이면 알아서 도시락 싸오는거지. 왜 나 개인의 맛있는 식사까지 정부보고 해결해달라고 징징거림?

  • @Happy_umami
    @Happy_umami Рік тому +831

    미국 급식 지적하는 영상중에 가장 현실적이고, 수긍가능한 설명으로 접했습니다.
    다양화 로 인한 비용증가,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회피 등등의 이유가 있었군요.
    우리도 멀리보면 이럴수도 있겠다 싶네요.

    • @갱지니-o6n
      @갱지니-o6n Рік тому +46

      공감합니다. 이런 배경지식을 몰랐을 땐 미국은 왜저러지??? 했는데 설명을 들어보니 이해가 되기도 하고 우리도 저렇게 되지 말란법이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 @1월11
      @1월11 Рік тому +3

      밥 맛있게 주는데 고마운지도 모르고 촉법폐지해라 좋은말할때

    • @최종현-g8n
      @최종현-g8n Рік тому +2

      본인이 선택한 소송 총기소지죠뭐

  • @abc-hq2qr
    @abc-hq2qr Рік тому +256

    무조건 시장 경제에 맡겨서는 안 되는 분야들이 있다...

    • @Mincho_Hater
      @Mincho_Hater Рік тому +31

      급식만큼은 무상급식이 맞았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 @낭낭하게-e5l
      @낭낭하게-e5l Рік тому +2

      ㄹㅇ로....

    • @Poloxamine-tg8dh
      @Poloxamine-tg8dh 9 місяців тому +40

      비교군이 공산주의였기에 당시에는 성공한 것처럼 보였지만 사실 신자유주의도 별반 다르지 않은 시대착오적 이념이라는게 드러났죠. 뭐든 극단적인 이념은 피해야겠습니다

    • @도현수-n8n
      @도현수-n8n 9 місяців тому

      상식적으로 정부가 아무것도 안하고 의자에 누워 배나 벅벅 긁으면서 "그래~ 니들끼리 알아서 돈벌고 살아라~" 하는 사회가 정상적일수가 없지.

    • @틱기간
      @틱기간 8 місяців тому +11

      적당한 경쟁, 적당한 복지는 필요

  • @yam9248
    @yam9248 Рік тому +191

    학교다닐때 아침밥 못먹고 등교했어도 곧 나올 점심급식을 기다리며 참을수있었는데요… 소개해주신 마지막 댓글에 마음이 아프네요 ㅠㅠ 어른들의 이해관계로 아이들이 피해보고있는 상황이 안타깝습니다

  • @WtheringSoul
    @WtheringSoul Рік тому +155

    삼김비유 진짜 정확하네 ㅋㅋ lunchable 저거 먹을만하긴 한데 진짜 딱 삼각김밥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님 ㄹㅇ 급식으로 삼김주는거

    • @genchicken
      @genchicken Рік тому +1

      삼김시대

    • @UwU.52
      @UwU.52 11 місяців тому +27

      삼김이 더 맛있죠..

    • @heyshawty6946
      @heyshawty6946 6 місяців тому +17

      삼김은 적어도 영양소 있지 않나.. 저건 그냥 쓰레기 먹이는거지

  • @cdr7738
    @cdr7738 Рік тому +944

    미국에서 1년 살다와서 느낀 것 = 1. 한국 대중교통 개 잘되어있음 2. 한국 의료시스템 개 잘되어있음 3. 한국 월세가 몹시매우판타스틱하게 저렴함 4. 한국 급식시스템 개 잘되어있음 5. 한국인들이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매우매우매우매우매우 많은 편임 6. 한국인들은 정이 엄청나게 많은 편임 7. 한국은 미국에 비해 사기꾼 천국이라 생각하고 살아왔지만 막상 미국와서 보니 한국에는 도둑도 거의 없고, 살인마도 거의 없고, 사기꾼도 거의 없는 편이었음. 8. 한국은 식당에서 진상손님이 거의 없는 편이었음 9. 한국은 야간에도 생활하기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 압도적으로 편한 나라임 10. 한국은 직업안정성이 매우매우매우매우 높은 국가였음. 술집에서 술마시면 여기저기서 자기 오늘 잘렸다는 이야기만 들려옴 ㅋㅋㅋ (위 언급된 내용들은 미국과 비교했을 때의 이야기들임)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Рік тому +148

      저도 동의함. ㅋㅋㅋㅋ 한국이 좋죠. 그런데 미국도 중산층 이상은 좋은 동네에서 가족 중심적으로 잘 살아요.

    • @cdr7738
      @cdr7738 Рік тому +1

      @@奀도졸리지안아개시박 이게 왜 반미주의가 되는 건가요? 전 친미주의자인데? 혹시 고졸이세요? 지능이 많이 낮으시네.

    • @1m_sub
      @1m_sub Рік тому +135

      맞음 헬조선이라고 말이 많은데 인프라 개잘되있고 의료시스템은 중동 오일부자도 한국와서 치료받는 수준이고 사람들이 예의가 있음

    • @bibi77lee10
      @bibi77lee10 Рік тому +1

      한국인들 남참견하기 좋아하고 외모 평가질에 상명하복 관료주의 직장 문화에 꼰대질 만연해 있고 동남아 가면 매춘관광하는 대다수는 한국 남자들에 한국보다 못사는 나라 무시하고 비교해대서 대다수 동남아인들은 한국인 싫어함 뭘하든 남 눈치보고 사는게 일상인데 한국이 장점만 있는줄 아나.. 국뽕 대가리에는 답이 없어ㅋ어느 나라 어느 국민이든 고유의 관습, 성향이 있고 장단점이 있음

    • @성지우-k9k
      @성지우-k9k Рік тому +22

      존나 공감합니다 진짜 빨리 한국 가고 싶음

  • @Ppap_Bar.618
    @Ppap_Bar.618 Рік тому +55

    미국이 상류층이 아닌 이상 평범한 집안 애들은 음식을 먹을 줄 모른다고 함
    어떤 어머니께서 도시락에 수제 함박스테이크 햄버거 만들어주셨는데 어떤 백인여잼민이가 "넌 무슨 점심을 돼지처럼먹냐고 그거 입에 다 들어가냐고" 놀리는 바람에 어머니한테 울면서 함바그 싸주지말라고 했다함...
    그래서 고기 요리가 아닌 양식에 비슷한 다른 메뉴로 감자계란으깬 샐러드에 사과랑 잼이랑 치즈해서 샌드위치 싸주셨는데 그 같은 백인여잼민이 들이 "넌 무슨 샌드위치에 사과를 넣냐고 그리고 치즈랑 잼이 무슨 괴식" 이냐고...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Рік тому +19

      자본주의의 끝판왕이죠. 이미 시작부터가 다름. 좋은동네 애들은 공립도 좋음. 못사는 애들은 진짜 먹을거 걱정하면서 사니까. 좋은거 먹을 기회가 없음. 미국도 쉽지않음.

    • @orangecookie369
      @orangecookie369 6 місяців тому +12

      미국 여잼민이가 질투가 나서 그런것 같은데 😅 큰 상쳐가 됬군요

    • @jrploan
      @jrploan 5 місяців тому

      괴식 맞는데?😂😂😂😂😂

    • @armada1290
      @armada1290 2 місяці тому +2

      ​@@jrploan음식 수준이 다르다는게 댁같이 경험이 없는걸 자랑스러워할 정도라는 거겠지. 몬테크리스토 같은 값싼 음식만 먹어봐도 치즈랑 잼 조합 미친걸 알수 있는뎈ㅋㅌㅌ

    • @jrploan
      @jrploan 2 місяці тому

      @@armada1290 니는 계속 그렇게 쳐 드세요오 히히히히히히히ㅣ히히히히히히힣ㅎ히하하핳 하하하아아하하하하

  • @애니공부-g6j
    @애니공부-g6j Рік тому +149

    낭만의 하이틴 드라마 속 아이들이 이런 부실급식을 먹고 자란거였다니 ㅠㅠ

    • @euedhud
      @euedhud Рік тому +100

      참고로 낭만 하이틴 드라마 속 아이들은 부자가 많고 부자들은 아주 잘 먹고 다닙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 애초에 의무교육도 아니고 학교를 갈려면 학비를 내야되서… 엄청 비싼 학교 다니죠.

    • @누리가온가르다라
      @누리가온가르다라 Рік тому

      행복국가 가르다라 반드시 건국! 대한민족을 행복하게 할 새로운 나라, 희망이 넘치는 위대한 민족국가 가르다라로 오세요 !

    • @눈누난나-j2t
      @눈누난나-j2t Рік тому +30

      걔네는 돈 많은 사립 학교 다녀서 맛있는 거 먹지 않았을까요

    • @성이름-z7t7k
      @성이름-z7t7k Рік тому +45

      영상에 나오는건 공립학교임. 사립은 저따구로 줬다가 학부모들한테 소송폭탄맞음.

    • @possumplay7486
      @possumplay7486 Рік тому +26

      하이틴드라마에 나오는 학교들은 거의 사립 모티브임 즉 부모가 나름 돈 깨나 있어야 다니는 학교

  • @IllIIllIIllIIlllI
    @IllIIllIIllIIlllI Рік тому +392

    미국 초등학교 잠깐 다녔는데 진짜 야채를 먹는 애들을 볼 수가 없었음... 학교급식 먹으면 우유나 야채중에서 하나 무조건 선택해서 먹었어야 했는데 야채는 무조건 조그만한 당근이랑 길쭉한초록콩 두가지, 진짜 아무도 안먹고 다 우유 고르는데 그마저도 다 초코우유 딸기우유 먹더라ㅋㅋㅋ 나도 처음에는 학교에서 흰우유 아니고 초코우유 준다고 엄청 좋아했는데 나중에는 그냥 도시락 싸들고 다녔음

    • @rubyseo8828
      @rubyseo8828 Рік тому +46

      심지어 그 스냅피랑 미니당근도 랜치소스에 찍어먹음…ㅋㅋㅋㅋ진짜 저도 첨가서 개당황

    • @가지보끔-d6n
      @가지보끔-d6n Рік тому +17

      이정도면 미국이 뭔 짓을 해도 잘살아서 최대한 망하게 하려고 애쓰는거 아닌가 ㄷㄷㄷㄷ

    • @just_appeared7420
      @just_appeared7420 Рік тому

      @@누리가온가르다라 ㅈ이나 까잡숴

    • @jun-nx8zk
      @jun-nx8zk Рік тому

      @@가지보끔-d6n 해외에 퍼주고 국민한텐 인색한거임.. 패권국의 딜레마.. 그래서 트럼프가 인기가 있는거임.. 자국우선주의

    • @user-di7oy5ut4j
      @user-di7oy5ut4j Рік тому +22

      야채가 어떻게 생긴지 모르는 애들도 있던데....심각하다는걸 느낌

  • @souk5291
    @souk5291 Рік тому +854

    미국 학생들은 군입대를 해서 식사를 하는게 오히려 푸짐하게 먹을 수 있을 것 같네요. 한국군 전투식량이 일부 미국 학생 급식보다 더 훌륭하게 보입니다.

    • @멍멍남
      @멍멍남 Рік тому +40

      군음식도 푸짐하긴 하지 맛이 있다고 보긴 좀 ㅋㅋㅋ 디팩 종종 가지만 스페셜 메뉴 나올때 빼고는..

    • @jonhykim3768
      @jonhykim3768 Рік тому +34

      하지만 미국은 입대하면 이야기가
      달라지죠..

    • @미재-o7j
      @미재-o7j Рік тому +35

      지나친 국뽕은 하지도 마세요.
      미국 전투식량이 더 잘되어있는데 무슨
      한국에서 개구리 나온 급식이랑
      미국에서 잘 나오는 급식 비교해도 편파적으로 바꿀수있겠네 ㅋㅋ

    • @yjp160
      @yjp160 Рік тому +91

      @@미재-o7j 어... 미군이 아이러니한데 전투식량은 별로긴합니다 ㅋㅋㅋㅋ

    • @파블-v8r
      @파블-v8r Рік тому +22

      ​@@미재-o7j 이걸...국뽕이라고 할 수준이 되나 싶지만 맞는 말 아닌가

  • @Jabis33
    @Jabis33 Рік тому +36

    문화가 좀 다르다고는 생각했는데, 저 정도인 줄은,, 미국도 나름의 문제들로 참 골치가 아프군요ㅠㅠ 일상의 다양한 주제를 다뤄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 @blueflower_43
    @blueflower_43 Рік тому +573

    예전에 읽은 이라는 책에서 크래프트 하인즈가 어떻게 식품 산업을 발전 시켰는지 보면서 진짜 혀를 내둘렀는데요....ㅋㅋㅋ., 진짜 징글징글 하네요!! 급식은 조금 넓게 보면 공중 보건의 영역일 수도 있을텐데 자유에만 맡기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 @gubbongpeace
      @gubbongpeace Рік тому +13

      혹시 어떤 방식으로 발전시켰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궁금한데 찾아봐도 저 내용은 잘 안 나오네요😂

    • @ryanlee2654
      @ryanlee2654 Рік тому +68

      그러기엔 다인종 다문화 시스템에서 한국 같은 급식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다니던 학교에 20%정도만 무슬림이라고 가정하면 그 학생들은 돼지고기, 할랄 방식 도축 되지 않은 소고기는 못 먹습니다.
      그럼 모든 급식을 그 20%학생을 위해 나머지 80%가 거기 맞춰야할까요? 아님 20%에게 급식은 나왔지만 너넨 못먹는다고 해야할까요?
      견과류 알러지 학생이 5%라면 혹시 모를 사태를 막기 위해 95%의 학생이 거기 맞춰야할까요?
      교사가 신경을 쓰고 안 쓰는 문제가 아니라 근본적으로 인간이기에 할 수 있는 '실수'임에도 '소송'이라는 너무 큰 결과를 받아 들여야 하는 미국 자체 시스템이라서 그래요.
      그래서 신경 쓰이는 부모님들은 그냥 도시락 챙겨주는 게 맘 편하기도 하고 하니 급식에 신경을 크게 안 쓰는 게 현실이죠.
      한국이라서 되는거고, 미국이라서 안되는거라 비교 자체가 안되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 @성이름-j9w9d
      @성이름-j9w9d Рік тому +44

      @@ryanlee2654 다수를 충족해야지 모두를 충족하려는 방법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

    • @공공-u7w
      @공공-u7w Рік тому +27

      ​@@jeongjinho0223 그럼 95퍼센트가 5퍼센트를 위해 희생해야되냐? 어차피 정답이 없는 문제다

    • @ryanlee2654
      @ryanlee2654 Рік тому +11

      @@성이름-j9w9d 그럼 공중보건의 영역으로 하면 안되는거지 그것도 어린이들이고 먹는거잖아?
      한국같은 단일민족.문화권은 그게 문제가 적지만 다민족 다문화권은 그걸 잘못하면 차별한다는 방향으로 간다.
      그리고 저 영상을 잘 보면 너가 말하는 다수의 충족(학생/학교)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최소한인지 최선인지 모르겠지만 노력은 하는중인거야 저게.
      그리고 모두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기 보단 어떤 그룹도 문제가 발생하기 싫으니깐 자율에 맡겨두고 너가 도시락을 챙겨서 와라 하는 방식이 되는거지

  • @Shadow-ot3ep
    @Shadow-ot3ep Рік тому +40

    '우유도둑' 마가렛 대쳐가 영국 급식을 한 번 박살낸적 있듯이, 아이들의 급식은 복지의 개념으로 생각해야하는데 레이거노믹스-대쳐리즘 이후 어른들의 욕심으로 아이들의 건강을 망치는 선택을 벗어나지 못하네요.

  • @고기맛채소
    @고기맛채소 Рік тому +188

    그 광활한 옥토를 가진 나라가 애들 급식을 저것밖에 제공못해주는건 진짜 이상한일이다

    • @보르그랜드-Bolgland
      @보르그랜드-Bolgland 10 місяців тому +4

      미국에서 제대로 된 급식을 먹으려면 패스트푸드를 먹어라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니죠

    • @김현숙-p3m
      @김현숙-p3m 8 місяців тому +10

      광활해서 더 그렇습니다. 대농장에 대기업 식품회사들이 활개를 치죠.. 돈없으면 더 못사는게 미국이더군요.. 선진국이 아니라 그냥 강대국.

  • @anysolchikizincha
    @anysolchikizincha Рік тому +50

    영양사 선생님이랑 급식 아주머니들이 진짜 대단한거구나...

  • @user1loveyou
    @user1loveyou Рік тому +39

    성인되고 타지에서 살다보니 뼈저리게 느낀게 우리나라 초중고 급식은 무료인데다 영양까지 확실히 잡았고 심지어 맛있었다는거... 학창시절엔 맛없는거 나오면 안먹을까 생각도 했는데 지금 되돌아보면 왜 그런 생각을 했나 싶음

  • @H우엉
    @H우엉 Рік тому +113

    미국 급식에 대해 정확하게 말해준 내용입니다. 1. 미국은 소송의 나라이며 다양한 사람이 살고 있다 2. 미국은 의회에 로비가 가능하다 그렇게 보면 참 우리나라는 좋은 나라임

    • @얌얌쩝쩝-z6z
      @얌얌쩝쩝-z6z Рік тому

      좋은나라 아닙니다 한국

    • @N2022-k5f
      @N2022-k5f Рік тому +1

      우리나라도 로비 됩니다

    • @초코음료수
      @초코음료수 Рік тому +10

      @@N2022-k5f 미국은 로비가 합법이지만 한국은 불법입니다. 그래서 로비를 몰래하죠

    • @N2022-k5f
      @N2022-k5f Рік тому

      @@초코음료수 대놓고 해도 봐주더라구요.. 국회에서 특검발의해도 소속 당은 아예 참석도 안하고 처벌이 어려우니 해도된다고 볼까 두렵네요

    • @H우엉
      @H우엉 Рік тому +6

      @@N2022-k5f 해도 처벌 받지 않는것과 합법은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 @zerofourhyeon
    @zerofourhyeon Рік тому +216

    저는 자본이 좀 괜찮은 District에서 잠시 학교를 다녔음에도 불구하고 점심에 나오는건 아무맛 안나는 크림파스타, 대충 데운 피자 한조각같은 메인메뉴에 당근 몇개 샐러리 몇개 과일 몇개 그런게 사이드로 나온게 다였었죠... 사실 그런거 적응 못해서 그냥 시중에 파는 샐러드 사먹고 치토스나 브라우니같은걸로 점심을 해결하곤 했던 기억이 나네요... 또 lunchable 저건 점심으로 때우려면 한 5개정돈 먹어야할거같은 양이였습니다 ㅋㅋㅋ...

    • @sss-cw4ju
      @sss-cw4ju Рік тому +2

      District ㅇㅈㄹㅋㅋㅋㅋㅋ
      아무맛 안 나는 cream pasta, pizza
      이런건 오ㅑ 영어 안 붙이니

    • @zerofourhyeon
      @zerofourhyeon Рік тому +114

      @@sss-cw4ju 미국 학교는 주 안에서도 너무 많아서 district가 관리하는 구조로 되어있어요! 쓸만한 단어를 못찾아서 영어로 썼는데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약간 지역마다 교육청이 있는거라고 보시면 이해가 되실까요...?

    • @sorapan_
      @sorapan_ Рік тому

      @@sss-cw4ju District of Columbia:

    • @leeee318
      @leeee318 Рік тому +58

      ​@@zerofourhyeon 열등감에 찌든 인간을 이해하려하실필요 없습니다. 그냥 무시하세요..

    • @ppark-h6x
      @ppark-h6x Рік тому +8

      따뜻한 점심 나오면 부자학교죠 ㅋㅋ

  • @danny_9687
    @danny_9687 Рік тому +50

    저는 미국에서 꽤 좋은 동네에서 초등학교를 다닌 적이 있는데 거기서는 학생들이 보통은 도시락을 들고와서 먹고, 급식을 신청한다면 두 빵 사이에 건조한 패티만 있는 버거나 거기에 체다치즈 한조각을 추가해준 치즈버거, 치즈만 올려진 피자를 먹을 수 있었죠…ㅎㅎ 저는 충격받고 매일매일 한식을 도시락으로 싸서 갔어요

  • @Casperthepantom
    @Casperthepantom Рік тому +33

    심슨이 과장때린줄 알았는데, 진짜 였넼ㅋㅋㅋㅋㅋ

  • @Lee-zz1yc
    @Lee-zz1yc Рік тому +17

    본인 초중고 미국에서 다녔습니다 . 초등학교/중학교 중반까진 저정도는 아녔는데 미셸 오바마가 학교 급식 영양가가 엉망이라고 자기 멋대로 칼로리도 낮추고 음료도 이것저것 쳐내더라구요 . 하루는 0:19 에 나와있는거에서 정말 거짓 하나 없이 밥/당근도 없고 사진에 나온 너겟 3조각에 우유하나 (초코/딸기 우유도 선착순) 받고 $2.75 이길래 그때부터 고등학 졸업까지 학교에서 점심 안 먹고 끝나고 집 가면 밥 먹었네요 .

  • @이슈카-f9b
    @이슈카-f9b Рік тому +63

    우리도 처음에는 저기보다 더 심하긴 했는데, 조금씩 변해가면서, 잘못된 것이나, 잘하는 걸 모아서 차츰차츰 줄여들어 완성된거지만....외국은 변하려고 하질 않드라....저긴 그냥 캡슐로 식사를 대신해야 할 시대가 먼저 와야 한다;;;;;

  • @우엉-i8h
    @우엉-i8h Рік тому +19

    이거 미국에 사는 사람으로서 뼈저리게 느낌니다.. 우리 학교는 가끔 애매한 중식 나오는데 그거 조차 맛없고 부실하다고 친구한테 말하니까 우리 학교는 제일 괜찮은 편이라고;; 그래서 걍 도시락 싸다닙니다..

  • @MaYa-_-INFP
    @MaYa-_-INFP Рік тому +265

    이건 부모들이 진짜 들고 일어나야 하는 거 아니냐…

    • @누리가온가르다라
      @누리가온가르다라 Рік тому

      행복국가 가르다라 반드시 건국! 대한민족을 행복하게 할 새로운 나라, 희망이 넘치는 위대한 민족국가 가르다라로 오세요 !

    • @remido9321
      @remido9321 Рік тому +38

      정작 건강한 급식이 필요한 가정의 부모는 정치자금에 큰 기여를 하지 않으니 영향력이 없을 수 밖에

    • @Nightmare-vo5fl
      @Nightmare-vo5fl Рік тому

      영상 쳐보고 이야기하는거? 시스템구조가 어쩔 수 없다고 설명했자나 모지리야

    • @hochulchang1694
      @hochulchang1694 Рік тому +20

      방법이 없잖아요....
      조리실이 없다
      조리 인력 채용이 힘들다
      재료 조달이 쉽지 않다
      누군가 먹고 탈 나면 소송 당한다
      어느 부모가 나서서 급식 바꾸자고 말 할 수 있을까요....
      그냥 내 자식 밥. 집에서 챙겨 보내고 말지...
      우리의 시스템도 오래 가긴 힘들어 보임

    • @오디2-j4x
      @오디2-j4x Рік тому +3

      제대로 보지도 않은듯하네요.

  • @jhyunyang
    @jhyunyang Рік тому +25

    저는 미국에서 자랐어요. 아직도 중, 고등학교때 학교가 급식으로 나에게 먹인 인스턴트 튀김 요리, 음료수, 곰팡이 핀 샐러드, 유통기한 지난 가공식품까지 떠올리면 정말 화납니다. 그런 나쁜 음식이 한창 성장 중이던 내 몸에 들어왔다니... 가격은 당연히 비쌌고요. 집안 사정이 어려운데도 부모님께서 급식을 사먹을 수 있게 해주셔서... 항상 저렴한 메뉴로 떼웠던 기억이 나네요.

  • @익명-e4z
    @익명-e4z Рік тому +18

    미국 네바다주에 거주중인 고등학생입니다. 지금은 방학이라서 집밥을 먹고 있지만 급식이 정말 처참합니다. 중2까지 한국에 있다가 여기 오니까 매일 초콜릿우유나 그냥 우유 혹은 피자 이런거 밖에 안주니까 도시락을 싸가거나 굶고 집에 가서 밥을 먹어요. 근데 어쩔수없는게 제가 알기론 주마다 세금도 다르고 잘 사는 동네는 잘 주고 그러는식이라.. 하하 화이팅

  • @I_Show_Speed863
    @I_Show_Speed863 Рік тому +17

    난 미국에서 걍 엄마가 주는 유부초밥이나 매일 들고가서 먹었는데 3개월동안 계속 그렇게 먹으니까 너무 질려서 미국 급식이 맛있어 보임 ㅋㅋㅋㅋㅋ 막 피자랑 햄 나와서 되게 좋아보였는데 피자 햄을 초딩미국인들은 거의 6년동안... (이건 너무한거 아니냐거...)

  • @MrSenChoi
    @MrSenChoi Рік тому +37

    한국인의 식판을 넷플릭스에 넣어야한다

  • @ThomasChoi2
    @ThomasChoi2 Рік тому +11

    제가 미국에서 회사를 다녀요... 저희 회사는 점심때 밥을 안주고 매점에서 사먹어야해요. 샌드위치나 과자 이런것 밖에 없어서 저는 도시락 싸들고 다녀요...
    사람들이 제가 도시락 먹는 모습보면서 부러워 했는데,,, 이유가 있었네요 ㅎㅎㅎㅎ. 6첩반찬에 밥과 디저트....(한솥도시락처럼 싸들고 다녀요)

  • @user-xb9vp7mk9q
    @user-xb9vp7mk9q Рік тому +53

    우리 학교 급식은 정말 감사한 일이다..

    • @김은서-o3y
      @김은서-o3y Рік тому +1

      한국은 항상 그런 건 아니잖아요..

    • @돌직구-b9b
      @돌직구-b9b Рік тому +4

      ​@@ajjul_lago 우리나라 급식주메뉴가 곰팡이랑 머리카락에 곰팡이핀 깍두기임?

    • @윤옥철-n5s
      @윤옥철-n5s Рік тому +10

      @@ajjul_lago 어딜다녔길래 그런식으로 나오지///

    • @얼음맥주-k1g
      @얼음맥주-k1g Рік тому +13

      확실히 한국 좋은 이야기만 나오면 찬물 뿌리는 댓글 부대 있는 느낌

    • @addufbfjjsjwi0
      @addufbfjjsjwi0 Рік тому

      ​​@@김은서-o3y 연변인듯

  • @GOO-JH
    @GOO-JH Рік тому +7

    오죽하면 미국 고등학생 운동유망주가 다니던 학교 급식담당자 한국출신분이여서 한식단으로 바꾸고 처음에 반대했다가 오히려 운동능력 좋아져서 좋은기량으로 스카웃되서 감사인사했다는 소식도 봤는데

  • @Euryaleferox
    @Euryaleferox Рік тому +50

    미국에서 뚱뚱한 몸도 아름답다고 자꾸 말하는 것도 패스트푸드 더 팔려는 기업의 로비 아닐까.

    • @user-wo6iw1li6e
      @user-wo6iw1li6e Рік тому +15

      근데 빅사이즈모델들은 살만 안뺐을뿐 겁나 관리했음

  • @UnitedStatesofAmerica-gx7sv
    @UnitedStatesofAmerica-gx7sv Рік тому +8

    미국도 학교별로도 빈부격차가 너무 심한게 문제죠 ㅠㅠ

  • @Woogawooogagaga
    @Woogawooogagaga Рік тому +26

    미국에서 12 년째 살고 있는데, 주변에 알러지 가지고 있는 사람 진짜 종류별로 엄청 많음. 내가 복 받았다 싶을 정도로 가끔 느낌

  • @로제마리아
    @로제마리아 10 місяців тому +1

    소송의 문제가 기업위축에만 문제가 있을 줄 알았는데
    이런 쪽으로 돌아올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네
    역시 뭐든 양날의 검이다

  • @supersonick-u5t
    @supersonick-u5t Рік тому +28

    05년도에 미국 공립 초등학교에서 1년정도 있었어요.
    매일 아침 수업전 담임쌤은 학생들 이름을 하나하나 부르며 점심 어떻게할건지 물어봤습니당.
    급식실에선 보통 A,B라 불리는 2가지 메뉴가 있었고 집에서 런치를 싸올수도 있었습니다.
    보통 이 a,b 메뉴들이 제 입맛에는 전혀 맛지 않는 것들이라서 어머니가 항상 도시락을 싸주셨었어요.
    제 기억으로는 매주 금요일이 피자 데이였는데 이땐 페페로니 피자를 주는 날이어서 이날은 피자를 먹었던 기억이 나네요. (피자는 맛있으니까)
    근데 그게 채소 식단일줄은... ㅋㅋㅋㅋ 전혀 몰랐네요!

  • @다지-n4g
    @다지-n4g Рік тому +26

    그냥 알러지나 종교적인 이유로 인한 소송을 걸지 않는다라는 동의서를 받고 입학시킨 다음 급식영양성분표를 나눠줘서 미리 알러지 있는 학생이 골라먹을 수 있도록 하면 안되나 그럼 혹여나 잘못 먹어도 학생 잘못이라고 할 수 있잖아

    • @j.han91
      @j.han91 Рік тому +14

      그것도 인권 문화 탄압 운운하면서 시위할 것 같은데요...

    • @Chid417
      @Chid417 Рік тому +7

      알러지 성분공개는 한국도 하고있죠

  • @조아라조
    @조아라조 Рік тому +87

    최근 중 고등 학생은 편식과 다이어트로 인한 급식 기피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학교급식으로 제공되는 보편적이고 안정적인 영양섭취를 위해 노력하는 한국의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의 노고를 알고 즐겁게 급식을 먹었으면 좋겠습니다 .

    • @라임청-e9u
      @라임청-e9u Рік тому +22

      그냥 맛없어서 안먹던데

    • @청비뮤직
      @청비뮤직 Рік тому +2

      맛없어서 안먹는데 ㅋㅋ

    • @창백한푸른점하나
      @창백한푸른점하나 Рік тому +2

      그냥 맛이 없어서 안 먹는게 맞음
      맛있으면 굶는 애들도 받아가서 먹고 부족할 정도

    • @176._.
      @176._. Рік тому

      그냥 맛대가리가 없어서 그런 겁니다.

    • @초코퍼지-w5l
      @초코퍼지-w5l Рік тому +5

      왜그라 여자고딩중에 다이어트 땜에 굶는애들 엄청 많은데

  • @멜뤼진
    @멜뤼진 Рік тому +32

    미국은 로비스트가 너무 쌘거도 문제네요 급식의 문제점을 개선하려고 하니 급식 납품하는 업체들이 반발한다니😅

    • @honeykris5113
      @honeykris5113 Рік тому +7

      합법적인 뇌물의 나라다 보니 진짜 기업의 힘이 넘 막강해서 점점 국가 자체가 이상하게 변질되어가는 것 같아요

  • @E도하
    @E도하 Рік тому +17

    전 미국에서 2년동안 초등학교 다닐적에 급식 너무 잘 나와서 한국 돌아와서도 친구들한테 미국 급식 칭찬하고 그랬었는데.. 학교 바이 학교 인듯해요! 제가 다니던 학교에서는 식판밑에 가끔 빨간 스티커 붙여져있었는데 빨간 스티커 붙여진 급식판을 받은 학생에게는 장난감상자에서 장난감을 골라서 가져갈 수 있는 이벤트도 있었어요 ㅎㅎ

  • @howle24
    @howle24 Рік тому +19

    10년 전에 미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녔었습니다. 첫날, 등교는 7시부터여서 배는 고픈데 점심시간에 종이 그릇 위에 나쵸 올려서 주는거 받고 테이블에서 울었습니다 ㅋㅋㅋ 그리고 급식 수준이 정말로 낮아서 집에서 누텔라앤고, 도리토스, 레이즈칩, 웰치스젤리 같이 한국에서는 급식이라고 생각도 못할 간식들 싸와서 점심에 먹는 경우 많았습니다😂

  • @HaYanCatinSummer
    @HaYanCatinSummer Рік тому +8

    사립 예술중고등학교 및 대학교를 나왔는데, 이사장들이 하나같이 먹을거에 진심인 분이었던 사람들인지라 참 다행이었습니다......살은 무지하게 쪘지만, 입과 뇌, 위는 행복했어... 저런 거 안 먹어서 진짜.....초등학생땐 저 정도는 아니지만 그 엇비슷한 급식이 나왔었던지라...

  • @GRIMRIN
    @GRIMRIN Рік тому +15

    기회가 생겨 미국의 자매결연 학교와의 국제교류를 통해 학교로부터 2주간 미국으로 갔고, 그 중 일주일을 결연을 맺은 학교에서 수업을 들었습니다.
    그 때 먹은 점심메뉴는 뭔가 냉동식품이 데워진 느낌이었는데, 한 이틀 먹고 그 다음날 부터는 한국학교 인원들은 따로 점심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맛을 표현하자면... 음식의 간이 센 미국이라지만 맛이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 @groupsleep
    @groupsleep Рік тому +18

    미국이 저렇게 미래를 앞당겨 보여주니 앞으로의 미래가 점점 암울할듯싶네요 채소가 야채가 없어지고 인공육과 소스만 존재하는 미래라니 끔찍쓰.... 지금도 야채 부족이 아닐까해서 자주 먹으려고 노력하는데.. 😢

  • @fun-qi7yn
    @fun-qi7yn Рік тому +34

    내가 진짜 미국 문화 보면서 가장 이해 안됐던게 자잘한 치료에도 과도하게 의료비를 청구하는 것과 구시대적인 민간인 총기소지 였는데, 이런 미국의 이해되지 않는 문화(?)나 정책의 중심에는 항상 거대기업들의 로비가 즐비했었다는 게 문제인거 같음. 국민들을 위해 일하기 위해 선거를 통해 당선된 사람들이 왜 기업들의 의견에 따라 움직이는건지 이해하기 어렵더라. 정치인들이 기업들 말만 들으면 미국이 기업들이 다스리는 왕정 정치국가지 민주주의 국가라고 할 수 있나?
    누가 그러더라. 미국은 돈 가진 사람들에겐 천국이고 돈없는 사람들에겐 지옥이라고.

    • @yikwonjang2978
      @yikwonjang2978 Рік тому +1

      돈 어느정도 있으면 모든게 편함. 자유로움의 끝판왕.

  • @풀닢
    @풀닢 Рік тому +8

    미국 중학교 다니는데
    여기 비닐에 포장된 사과 조각들이 나온단 말이죠
    그런데 가끔 운이 없으면 만들다 만 사과주마냥
    술냄새나는 사과 걸려요..

  • @marue2051
    @marue2051 Рік тому +38

    이게 바로 민영화의 무서움 입니다... 한국정부는 민영화는 절때 따라하지 맙시다...

    • @제네시스BBQ
      @제네시스BBQ Рік тому +7

      어떻게 안따라함ㅋㅋㅋㅋㅋ 우리도 서서히 민영화 해야함 저출산 인구절벽 고령화로 어쩔수없이 세금 내줄 세대 사라져서 민영화 안하면 경제 무너질거임… 의료,교통,전기,수도,가스 등등 여러 분야에서 민영화 진행 될거임 의료가 제일 먼저 일듯 고령화 ㄹㅇ 개심각해져서

    • @Eiril_Eingelust
      @Eiril_Eingelust 11 місяців тому +6

      윤...😢

    • @임준영-x6k
      @임준영-x6k 11 місяців тому +2

      죽음의 이지선다임
      민영화 안하면 한세대 뒤 확정된 죽음이고
      민영화 하면 현세대 서민 몰살당함
      정답은 없지
      거시적으로 국가 경제의 생존성을 보면 일정수준의 민영화는 필요하고, 개개인의 삶의 질 관점에서 보면 세금을 들여서라도 하방을 지지해줘야 하는 부분도 필요함 어려운 문제인듯

    • @Destiny-Guardians
      @Destiny-Guardians 10 місяців тому

      노무현정부때 시도하다가 개지랄해서 실패했는데 ㅋㅋㅋ

    • @zrc247
      @zrc247 8 місяців тому

      ​@@임준영-x6k 이미 타국가들이 먼저 경험해놨으니 부작용 철저히 고려해서 정말 적절히 섞어야할텐데

  • @only7peace
    @only7peace Рік тому +28

    그냥 사료네요ㅠㅠ 한국급식은 거기에 비하면 식사 맞아요ㅎㅎ

  • @윰소소
    @윰소소 Рік тому +7

    미국 공립 고등학교에 잠깐 다녔는데, 그때는 15년 전 쯤이라 그런지 아침에 우유 한팩(흰우유나 초코우유중 선택 가능) 사과 하나 였던걸로 기억해요. 점심은 세 메뉴중 하나였는데 기름기 가득한 죽 같은 것에 꽂힌 단단한 빵, 혹은 얇은 피자 한 조각, 이런 느낌이었고 디저트는 미니당근이나 사과, 불량식품같아보이는 푸딩이었죠. 그당시에도 부실했었는데 요즘은 정말 처참한 수준이네요

  • @sleepy_people
    @sleepy_people Рік тому +4

    영양소 섭취를 강요할 수 없다고? 똑같이 가장 균형된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아이들에게 질 낮은 인스턴트.패스트푸드 를 강요할 순 없다.

  • @kimsukyu
    @kimsukyu Рік тому +4

    고소 당하기 때문이라... 확실히 이해가 가네요

  • @배플이
    @배플이 11 місяців тому +4

    오! 감자에 케쳡을 찍어먹으면 나도 비건??!?!?!

    • @sndo1339
      @sndo1339 7 місяців тому

      근데 실제로도 동물성 기름 같은 것만 안 쓰면 비건으로 인정되긴 할 겁니다... 그래서 채식주의자들 중에 초콜릿이나 빵처럼 탄수화물에 오히려 중독되는 경우도 많구요

    •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5 місяців тому

      대단히 논리적이시네요 박사학위가 있으신가요?

  • @bision4611
    @bision4611 Рік тому +9

    미국에서 고등학교 나왔는데 도시락 싸갈때가 많았음. 달걀말이 많이 해와서 친구들이랑 나눠먹거나 감자 옥수수 샐러드 많이 가져와서 친구들 돈받고 샌드위치 해준 적도 있음

  • @하-g8w
    @하-g8w Рік тому +9

    내가 다니던 학교는 동네에 좀 좋은 국제 학교여서 메인디쉬와 사이드 디쉬가 나눠져있었고 메인디쉬는 중식,피자,맥앤치즈 등등 매일 3가지 이상 나오고 항상 비건용 요거트 샐러드와 피넛버터 잼샌드위치가 상비되어있었음 사이드 디쉬는 귤조림같은 달달한 과일이랑 채소 아니면 머쉬드 포테이토에 그레이비 소스 같은 건강한 사이드 디쉬였음 또 우유는 항상 딸기,초코,일반이 무료 제공이었음 그리고 과자랑 아이스크림도 따로 살수있었음 하지만 다 유료인점...그게 아쉬운거지

  • @은하계-v8c
    @은하계-v8c Рік тому +7

    저도 미국 급식에서 피자, 햄버거로 점심먹어서 오히러 좋았던 기억이 있긴 했는데.. 생각하면 영상소 불균형 식사들이긴 했음.
    다행히 저는 저기 영상들 처럼 비위생적 나오지는 않았어요. 아마 그 때 맛도 있고 영양소 있던 메뉴는 나초 + 볼 샐러드 인가 싶었음

  • @sickofit-12
    @sickofit-12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근데 의아한게 미국 학부모들은 이런것에대해 문제의식이 없어??? 만약 문제의식 있었으면 어떤당에서 이거 개선하겠다고 분명 할텐데 미국 부모들도 별로 신경 안쓰나??

    • @슈팅스타-d9t
      @슈팅스타-d9t 9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국은 자유방임주의 야경국가체제라서
      사회복지 공공급식 이런데에 딱히 신경안씀.....
      서유럽.북유럽.캐나다.호주같은 복지국가랑 미국은 시스템 자체가다름

    • @jaeholee3816
      @jaeholee3816 7 місяців тому

      @@슈팅스타-d9t 한마디로 쌍놈들이라는 이야기

  • @jaye9298
    @jaye9298 Рік тому +6

    치안이 한국만큼 안전한 곳이 있는가하면 소말리아마냥 개막장인곳도 있고, 2000만명이 무료급식으로 연명하는 가난한사람들이 많은가하면 세계에서 가장많은 부자가 있는 나라고…
    미국만큼 스펙트럼 넓은 나라가 없는거같다

  • @ノチャイナ
    @ノチャイナ 8 місяців тому +3

    다음 달에 미국에 이민을갑니다.
    여러 꿀팁 영상도 보았는데,미국 급식은 부실하여 도시락을 싸는게 좋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저도 한국인인데 미국 급식 수준이라고 나올정도의 미국급식이 부실하더라구요
    쿠팡에서 미치게 좋아하는 고등어,김치찌개 챙기고 이민갈려고 합니다
    궁금하지도 않는 제 긴 tmi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도 감사드립니다.

  • @whojang2000
    @whojang2000 Рік тому +23

    저정도면 중국에서도 대놓고 비웃을수 있을 정도의 수준 같습니다...중국은 위생이나 소송 같은거 신경쓰지 않아서 그렇지 적어도 이것저것 푸짐하게 양은 많이 주거덩요....(중국에서 오랜기간 일한 경험 있어서 잘 압니다)

  • @Nomad-e6i
    @Nomad-e6i Рік тому +21

    미국 교환학생 가서 주립대 군소 캠퍼스 학식 먹었었는데, 거긴 그래도 밥 괜찮았던 기억이 납니다. 적어도 옆에 있던 주유소(편의점)에 음식으로 밀리진 않았던 것 같고, 가격도 한국 대학교 학식이랑 비슷했던거 같네요.(3달러, 당시 환율 1100원, 당시 (한국에 있는 학교) 학식 3200원)

  • @accuresult
    @accuresult Рік тому +2

    동네따라 천차만별입니다. 미국은 지역 주민들이 내는 세금으로 교육구의 공립학교를 운영하고 있는데 저소득 지역은 그야말로 교사 급여도 제대로 줄 수 없어 연방정부에서 지원을 받아서 겨우 운영되는 학교도 많습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공공재에 대한 불신이 상당합니다. 입고 먹고 자는건 개인이 열심히 일해서 스스로 해결해야 하고 정부는 그야말로 최소한의 역활만 해주는 걸로 대부분 인식하고 있어서 정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기대를 거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학생들도 공립학교 다니면서 여러 문제를 보지만 공립이니 다들 그려려니 하고 다닙니다.

  • @냥만페페
    @냥만페페 Рік тому +5

    우리나라는 채소를 많이 먹는편이구나 피자가 채소라고 했다가는 엄마한테 귓방망이 맞을거같은데

  • @jknm1777
    @jknm1777 Рік тому +73

    와... 이거 보고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아서 진짜 다행이란 생각이 처음 들었다...

    • @molileof2636
      @molileof2636 Рік тому

      앰생들이나 헬조선이라고 하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의료보장제도 하나만으로도 세계 탑급에 들어감 미국은 엠뷸비용이 엄청 비싸서 자기가 걸을 수만 있으면 아무리 아파도 걸어가거나 택시타고감

    • @EeeeGggg-w8t
      @EeeeGggg-w8t Рік тому

      병걸리면 걍 죽어야함 ㅋㅋ그리고 밤에 돌아다니다가 이상한 사람만아면 그대로 죽고 그양 내가 초강대국의 국민이다 이거 말고는 우리나라가 더 좋음

    • @Nightmare-vo5fl
      @Nightmare-vo5fl Рік тому +13

      미국은 상류층이거나 좋은학교다니는거 아니면 별 의미없음

    • @subuticho5014
      @subuticho5014 Рік тому

      미국은 중산층 이상이 아니면 그냥 죽어버려 디져 라고 아예 사회적인 시스템이 강요하는 곳임. 없는 사람들은 당연히 마약중독에 안 빠질 수 없게 만드는 곳임. 그 와중에 몸이 아프다? 그냥 가족들 민폐 안 끼칠려면 자살해야 함.

    • @DPRK25
      @DPRK25 Рік тому

      이런것도 낭만이라고 생각하는데? 는 개뿔

  • @tlsdofk007
    @tlsdofk007 Рік тому +13

    나도 엄마가 야채먹으라고 잔소리하면 피자먹으면서 야채라고 해야겠다

  • @또또또또-y3o
    @또또또또-y3o Рік тому +3

    한국도 한때 급식 문제 많았고 최근에도 있었습니다
    그냥 급식 좋은 학교가 있고 안좋은 학교가 있음.

  • @iimiin6240
    @iimiin6240 Рік тому +3

    별 같잖은걸 문제로 삼을 경우 결국 서비스의 질은 책임의 회피를 위해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 @26S-s9w
    @26S-s9w Рік тому +8

    미국 뉴저지에서 1년 동안 살다 왔었는데 제가 다니던 학교에서 실제로 저런식으로 나왔었습니다. 대부분의 야채는 냉동식품이어서 식감이 물에 불린 스폰지를 먹는 기분이었고 인스턴트 식품이나 패스트 푸드가 식단의 70~90%를 차지했었습니다. 맛은 있었으나 썩 건강에 좋지 않은 식품이었기에 도시락을 싸갔었습니다. 금요일마다 치즈피자와 페퍼로니 피자 이 둘중 하나를 골라 먹을 수 있었는데 야채가 전혀 없었습니다. 가끔 사과나 샐러리가 나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만 거의 냉동으로 나왔던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야채가 나오더라도 3~4조각 정도가 끝이었고요. 재미있는 추억을 많이 쌓은 나라였지만 급식만큼은 다시 먹고싶진 않네요... 씹으면 물컹하고 물나오는 냉동당근이란....
    기억하고있는 급식 메뉴들
    1.햄버거
    2.피자
    3.크래커
    4.과자류
    5.냉동식품
    6.샐러리+마요네즈 소스(?)
    7.케찹
    8.감튀
    9.햄버거
    10.마카로니 치즈
    11.기타 등등

  • @anyoon8829
    @anyoon8829 Рік тому +3

    제가 남구로초등학교나 구로중학교 다닐때만해도 급식에 항상 초파리가 빠져잇고 면은 나올때마다 라면이 우동돼있었어요. 국 종류는 항상나왓는데, 미역국은 정말 바닷물을 끓여서 주는줄...
    편의점 도시락이 3배는 맛잇는 수준이었고 급식이 나오는 양도 정말 적엇죠.
    정부지원금이 들어가야하다보니 아까워서 항상 부실하게 나왔던게 기억납니다. 저 바나나우유 1개가 급식1인분 가격이엇으니 언제나 맛이 없던 급식. 대부분 '너가 다른곳가서 사먹어라' 라는 식의 배급이거든요.
    제가 1990년대 생으로 실제 경험한 이야기니까 제 말이 더 사실적이에요

  • @user-kl4li4ot9c
    @user-kl4li4ot9c Рік тому +2

    런처블 식사로 먹기엔 부족하지만 간식으로 먹기엔 맛있고 괜찮음

  • @고영환-y9i
    @고영환-y9i Рік тому +7

    어렸을 때는 ‘미국은 부자나라니까 학생들은 수프, 빵, 샐러드, 스테이크, 우유나 주스 이렇게 점심마다 먹겠지? 부럽다..’ 이렇게 생각했는데…😮

    • @슈팅스타-d9t
      @슈팅스타-d9t 9 місяців тому +1

      부자나라는 맞지만 복지국가는 절대아니죠

  • @fitologykr
    @fitologykr Рік тому +1

    마음이 무거워지네요....😢

  • @yummy8320
    @yummy8320 8 місяців тому +4

    와 애들 무료 급식 없애자고, 무릎까지 꿇고 빌면서 정치 은퇴까지 걸었던 오세훈이 원하는게 진짜 딱 저거지ㅋㅋ

    •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하지만 다시 시장질 하고있죠?ㅎㅎㅎ
      내 집값만 올려준다면 다른 건 아무 의미 없는 나라에요 ㅎㅎㅎ

  • @진정하세요선생님
    @진정하세요선생님 Рік тому +49

    한국 급식도 공짜가 아닙니다. 영양사, 조리급식원 무상급식(세금지원)으로 각 곳의 엄청난 노력으로 만들어진겁니다. 항상 감사하게 생각해야합니다.

    • @akwwjwnjwjwjwwjns5868
      @akwwjwnjwjwjwwjns5868 9 місяців тому +1

      어차피 이제 사라짐ㅋ 나라에 인구도 없고 세금도 없고.. 더이상 지속가능한 방법 아님

    • @이수민-j5y
      @이수민-j5y 9 місяців тому +10

      ​@@akwwjwnjwjwjwwjns5868 전혀 아님. 혜택보는 애들이 적어질수록 복지는 더 크게 작용함. 근미래엔 애들한테 아이패드랑 노트북,교복,학비,수학여행비도 무료지원 할거임.

    • @윤셔와민셔
      @윤셔와민셔 8 місяців тому +3

      ​@@이수민-j5y한국은 소득 상위 10%가 전체 소득세의 80%를 부담합니다,부자를 미워해선 안되는 이유죠

    • @양파-d3r
      @양파-d3r 8 місяців тому

      우리때는 급식 개노맛이라 걍 다갖다버렷는데

  • @고라파덕-z7f
    @고라파덕-z7f Рік тому +5

    나 학교다닐땐 외국급식사진 잔뜩 깔아놓고
    우리나라 급식 비교하고 그랬는데😂😂
    우리나라 밥먹는거는 사실 그때도 좋았던거 같은데 말이죠

    • @meow260
      @meow260 Рік тому

      그냥 오늘 밥 맛없는거 나온다고 앞뒤 안가리고 비교하고 짜증냈던거같아요,,,
      지금생각하면 그냥 투정이지 모..
      저거보니까 우리는 천국이었음

  • @호빵왕자-w6l
    @호빵왕자-w6l Рік тому +6

    공립 고등학교와 교도소가 같은 급식 업체 같은 매뉴 공급 받는 것도 유명하기도 하죠..

  • @ster5702
    @ster5702 Рік тому +12

    제가 다닌 학교는 잘 나오는 편이였는데 메인 하나 고르고 사이드도 원하는거 골라 담아주는 방식. 햄버거랑 피자는 매일 고정이고 서너군데 코너가 있는데 메뉴가 매일 달라서 골라먹는 재미도 있었음. 초등학교 한국에서 다닐땐 싫어하는 메뉴 나오면 정말 싫었었는데(사립학교라 무서운 수녀님이 강제로 다 먹게 했음) 이런 미국 급식 시스템 덕에 학교 다니면서 음식 불만 있던적 한번도 없네요.아 그리고 급식 업체가 있어서 업체에서 대량으로 받은 음식 분할해서 데워서 퍼주는 구조였어요.

  • @Henry-KJ17R
    @Henry-KJ17R 10 місяців тому

    진짜 인정, 캐나다에 유학 왔는데 지금 학교 가면 이게 점심이야? 할 정도로 애들이 너무 부실하게 싸오고 점심을 건너뛰는 애들도 많음. 학교 cafeteria에서 음식을 파는데 감튀, 피자, 도넛 같은 것 밖에 안 팔아서 제대로 된 영양소를 섭취하기 어려움...😢

  • @oddie1427
    @oddie1427 Рік тому +3

    어른들이 아이에게 무엇을 먹으라고 강요하지 않는 것은 아이들의 자유 보장이 아닌 어른들의 의무 회피입니다.

  • @Aira890
    @Aira890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미국은 아동학대를 그리도 엄하게 처벌히면서 정부가 나서서 아동학대하네

  • @울림-d2n
    @울림-d2n Рік тому +14

    저런 급식에 길들여진 영향인가.. 본래 문화적 차이인가는 모르겠지만 미국갔을때 친척들(미국인)도 아침은 보통 토스트나 시리얼로 때우고 점심도 배고파지면 대충 빵쪼가리나 과자먹고 때우는 경우가 일상적이었음.
    그냥 배고파지면 뭘 좀 삼킨다는 개념이지 특별히 점심식사라고 생각하지도 않았던거같음.. 배안고프다고 끼니 거르는 사람이 있어도 그런가보다함. 우리집은 밥 안먹는다고하면 큰일난것처럼 밥을 왜안먹냐고 그래도 먹으라고 일단 무조건 차리고보면서 10분은 잔소리를 함..

  • @HelicopterApache
    @HelicopterApache 2 місяці тому +1

    제 학교엔 핫런치 라는게 있는데 돈을 내면 점심을 주는 시스템이에요. 근데 제가 사서 봤더니 음료수1개, 손바닥 만한 과자 1개 그리고 딱딱하게 식어서 돌멩이가 된 피자 꼴랑 1조각....... 실망하고 어쩔수 없이 먹었죠..

  • @아코야-j7g
    @아코야-j7g 3 місяці тому +3

    미국 급식의 질은 정말 낮습니다. 저도 고등학교 4년을 다녔는데 2006년 기준 2달러 10센트인가 그랬어요. 스파게티, 햄버거, 피자, 치킨누들수프, 모닝빵에 너겟, 야채 샐러드 조금. 나름 괜찮게 먹었던거 같은데. 항상 배고팠죠. 한국 급식은 탑급입니다. 전세계에서

  • @Inspne
    @Inspne Рік тому +8

    그냥 급식 없애고 도시락 싸오라고 하는게 더 나을듯 솔직히 뭐만해도 소송걸리는 나라인데 당연히 학교 입장에서도 급식제공하기 싫고 개인도 저딴 급식 먹을바에 그냥 지원금이나 복지카드같은거 받고 그걸로 도시락싸오는게 낫지….

  • @gubbongpeace
    @gubbongpeace Рік тому +29

    의료, 교육 등은 자본주의의 논리로부터 보호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곳곳에서 민영화 이야기가 들려오는 지금 이 시점에서 매우 경계해야 할 지점 같네요😢

  • @daenggle90
    @daenggle90 Рік тому +2

    한국인의 식판 미국편 보면서 궁금했었는데!!! 영상 재밌게 잘봤습니당!!

  • @tkew3831
    @tkew3831 Рік тому +4

    저는 곧 미국으로 이민가는 초,중 아이들 둔 엄마인데 초딩 아들이 패스트푸드 특히 감자튀김에 환장하는데 집에선 거의 못먹게하기 때문에 미국 급식을 엄청 부러워 하네요 ㅎㅎ 저는 물론 도시락을 매일 싸줄 생각이긴 하지만요 ㅎㅎ

  • @User-12100f
    @User-12100f 8 місяців тому +1

    아 저거 진짜 공감합니다. 진짜 편식 없애고 싶으면 미국 오세요. 제일 맛있는 급식이 페퍼로니 피자 1조각이랑 건포도였습니다. 지난 주에는 제 급식 우유가 젤리같이 변해 있었습니다. 이게 말이 돼요?

  • @한태경-p7f
    @한태경-p7f Рік тому +7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청포도젤리-j9b
    @청포도젤리-j9b Рік тому +2

    한국은 저렇게 푸짐하게 공짜로 줘도 고마운 줄도 모르고 정말 별 말도 안되는 학부모민원이 많아서 영양교사들 스트레스 엄청 받음
    천명이 넘는 학생이 있는데 음식이 맵다, 짜다 지 자식 입맛에 맞춰달라고 ㅈㄹ하고
    소매에 국물 묻었으니 세탁비 내놓으라 하고
    애들은 음식귀한줄 모르고 거의 다 버려서 음식 쓰레기가 산을 이룸
    다시 도시락 싸들고 다니게 해야 공짜급식 감사한줄 알지 ㅉ

  • @ryanlee2654
    @ryanlee2654 Рік тому +5

    솔직히 미국에서 학교경험을 해본 사람은 저걸 가지고 미국을 욕하기가 쉽지 않음.
    한국이랑 시스템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은 이해하기가 쉽지 않음.
    어중간하게 급식 시스템보다 차라리 각자 싸들고 가는게 낫기도 하고.
    다인종 다문화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도 하고 그걸로 차별 받는다고 느끼고 학교에 시비 거는 모습은 상상도 하기 싫음.

  • @리아카나
    @리아카나 Рік тому +1

    저거.. 자유로운 것도 아니고 민주주의랑도 상관 없습니다... 이 개념이 깊게 파고들어가면 철학적, 사회적 측면들이 얽혀있어서 굉장히 복잡하고..그렇게 간단히 실현될수 있는 것들이 아니예요

  • @갈비만두먹고십다
    @갈비만두먹고십다 Рік тому +7

    미국 학교 다니는데 저희 학교는 잘 나오는 편... 근데 국제학교라 학비가 한 학기 7천만원이죠....

    • @-mandoo-
      @-mandoo- Рік тому +10

      부모님한테 절하십쇼...

    • @mranderson_2961
      @mranderson_2961 5 місяців тому +1

      밥값 포함 ㅎㅎ

  • @yeahapi
    @yeahapi Рік тому +2

    레이달리오의 책을 얼마 전에 읽었는데, 나라가 무너질땐
    1.관료제가 오래 지속되다보니 너무 복잡하고 이해관계가 다양함
    2.교육 지표가 내려감(내려가기 시작한지 꽤 됨)
    책에는 미국 교육 지표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와 있었는데 에,,?
    급식을 보니 그게 이해되네,,급식 수준이 낮다=공교육 수준이 낮다 라는 연구나 공식이 있진 않겠지만
    저런거 먹으면서 공부 잘하길 바랄 수가 있나
    미국이 어찌될지 확신은 못하겠지만 미국 투자하는 입장에서 미국을 맹신하면 안되겠다 싶음,,

  • @엘리사구독해주세요
    @엘리사구독해주세요 Рік тому +3

    우리는 밤새도록 학교에 갇혀서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잘 먹어야 합니다

  • @hey__you
    @hey__you Рік тому +30

    해외 국제학교 다녔는데 덜익은 돼지고기를 5천원에 팔았음 맛도 양도 별로... 그래도 우린 뭐라도 주긴 했다

  • @R01112-i
    @R01112-i 11 місяців тому +1

    외국인들은 저렇게 먹는데도 이쁘게 잘 자란다는게.. 참 유전자가 대단하다

    • @MLee-rm3lj
      @MLee-rm3lj 11 місяців тому +3

      전 세계를 식민지화하고 지들 문화로 선빵을 쳤으니까...
      걍 그들이 기준이기에 이뻐보이는거임

    • @user-싱싱한몬텔로
      @user-싱싱한몬텔로 9 місяців тому +2

      ​@@MLee-rm3lj이게 맞지
      이쁘다는 기준 자체가 서양쪽에
      맞춰있어서 그럼

    • @Gutaha
      @Gutaha 9 місяців тому

      @@user-싱싱한몬텔로 너만 그렇게 생각함 ㅋㅋ 너같이 혐오스런거 찌그리면 난 욕박아야함 ㅋㅋ 그리고 니가 뭘 나보다 잘살아야 말투도 ㅈㄴ빈민노숙인인 새기가 ㅈㄴ 웃기다 너

  • @lucas.k.utopian4758
    @lucas.k.utopian4758 Рік тому +4

    한편으론 이 사례로 뭔가 미국 급식에 대해서 "이 미국의 친구들은 저게 자신들만의 문화 혹은 스타일이 있구나"라면서 지금껏 커오며 다르게 바라본 시선이 일그러진 것 같습니다.
    "아, 이건 스타일이 아니라 아이들 미소를 악용한 CF로 간략시켜놓은, 어른들의 아이들을 향한 잘못된 관심이자 부조리다. "
    내심 마음 한 구석에서 이렇게 생각이 들었어요.
    이후 개인적인 관점의 얘기를 좀 더 길게 다뤄 말해본다면 (볼 사람은 보고, 안 볼 사람은 안보셔도 됩니다)───
    물론 어릴 때의 나나 혹은 청소년기의 한국인들이라면 급식제가 보장되는 학교에서 단순히 신선하거나 골고루 영양분이 첨가된 음식이 아니라,
    예를 들어 4~6반의 식판에서 그저 하나라도 소시지나 파스타 혹은 고기나 간식거리들 등등으로 맛있는 음식이라면 물불 가리지 않고 그것만 따로 관심사를 두고 먹거나 고집하곤 했습니다.
    또는 급식시간이 되기 전에 혹은 끝낸 후,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3~5교시 시간표에 영어나 사회, 가정실습 과목같은 시간이 되면 어쩌다가 들여다보는 교재/교과서나 그날의 진도에서 '음식'과 관련된 수업을 듣거나 혹은 딴청 피우다가 보게 되던 첨부된 사진자료 중에는 당시 우리 청소년기 또래의 미국/유럽 청소년들의 급식 자료를 눈 여겨보게 되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때마다 항상 어린 관점에서는 단순히 시각적으로 자극되는 공복감이 앞서서 이런 생각을 가진 기억도 있었어요.
    "와, 저쪽 친구들은 소시지랑 고기, 빵같은 게 주식이구나! 거기다 뭔가 생긴 게 괴상한/이상한 음식도 보이지만, 보기에는 맛있어 보이는 걸 매번 자꾸 먹네. 언젠가 한번 먹고 싶다 ~ (; v ; ). . ."
    단순 입맛이 가는 음식에 꽂혔을 그랬던 어리순한 시절이 점점 지나가고 중등, 고등학교로 진학하거나 20대에 접하면서 나도 성장해갈 무렵.
    혹은 어느 순간부터는 질리게 먹던 그런 자극적인 음식이 점점 입에서 질려가거나 혹은 어쩌다가 뒤늦게 알게 되는 알르레기 그리고 영양분의 필요성을 몸소 알아가는 무렵.
    성장해가면서 알지 못했던 색다르게 맛있는 음식이며, 혹은 요리 방식에 따라서 달리 바뀌는 음식들, 신선한 음식들을 먹어가면서 내가 건강히 성장해올 수 있었다는 것을 체감하며,
    지금껏 거쳐온 학교나 혹은 식단을 생각해주신 부모님이 급식의 식단이나 내 식단에서는 왜 내가 좋아했던 한 '자극적인 음식'만을 챙겨주지 않고
    왜 여러 음식들도 알려주고 챙겨준 것인지 더욱 알게 되는 것 같았습니다.
    (그러다가 때로는 안 맞는 음식이 있어서 체하긴 하더라도)
    여태껏 살면서 삼시세끼를 굶어보고 길거리에 나앉은 궁핍한 경험도 해봤기에 사실상 알르레기가 심한 음식을 제외하면 어지간해서 골고루 먹었습니다만 -
    그러다가 종종 한가지에 편향하거나 혹은 단순히 먹기에 좋았던 기억이 꽂혀있던 한 음식을 입에 담았다가 체하거나 배탈이나 식중독 등등을 겪어서 그 날 그 음식을 뒤로 할 수 밖에 없게 되던 때.
    그리고 다른 음식을 찾아야할 때 몇살 안되는 코흘리개 꼬맹이가 다른 음식을 알고 입에 담는 사소한 것도 떠오르게 되더군요.
    ...
    굳이 이 개인적인 얘기를 꺼내는 이유에서는, 언제 어떤 얘기를 얼핏 듣거나 혹은 직접 듣거나 마주하면서 알게 되던 때가 있었습니다.
    처음에 첫번째로는
    "기름지거나 자극적인 음식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미국인들은 높은 비만율과 마찬가지로 뚱뚱한 사람이 많다"라는 얘기를 접했습니다.
    그러다가 두번째로는
    미국에서는 최근 "신선한 야채나 여러 음식에 비해 기름진 길거리의 음식들이나 혹은 냉동식이라거나 가공육같은 화학식품을 주로 선호하거나 입에 담을 수 밖에 없다"는 얘기를 들었죠.
    거기에 더해 세번째로는
    그로 인해서 "미국 아이들 중 상당 수의 일부는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모르는 아이들도 있다"라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이것들을 처음에 듣게 되었을 때는, 미국의 자본주의 사회가 너무 심화되어 많이 소외되어 생기고 있는 빈곤층의 얘기가 확대된건가 싶었어요.
    그러다가 단순히 빈곤층이라고만 낮잡아보이는 얘기가 아니란 것을 여러모로 알아가게 됬습니다.
    이것처럼 또는 영상 속에서 일부 보여지는 무리하게 미흡히 받아들인 수많은 다양성이나, 정부/기업 간의 이윤 관계, 가식적으로 겉으로만 아이들의 필요 식단과 영양 기준을 저울질 하는 얘기 등등.
    말로는 그런 핑계들을 앞세우고, 정작 무엇보다 아이들로부터 양심에서 도망치는 무관심한 어른들이 많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게 미국의 한 부분으로 지속되어왔다고 하니까,
    중간에 언급되는 '알르레기가 다양히 존재하는 아이들'조차도 그 무책임한 어른들이 지금까지 혹은 지금으로부터 훗날의 아이들까지 계속 망가트려 놓을 셈인 건가 안타까운 생각도 들었습니다.
    (추가+)
    이에 더해서는 개인적인 경험에서도
    어릴 때 급식시간에 교내 영양사 측에서 미처 확인치 않은 유통기한이 지난 상한 음식이나, 급식실에서 시간이 급해 데워 놓은 "냉동음식(ex, 생선까스, 만두...)" 안에 벌레나 쇳조각이 들어있는 것이 씹혀져 맛이 너무 끔찍하거나 혹은 이빨이 부러졌던 경험을 겪었다가, 그 후로 비슷하거나 같은 메뉴가 나오는 경우에는 이후에는 더 이상 입에 대기 어렵게 그때의 느낌이 곱씹어져서 헛구역질이 일어날 때가 있습니다.
    만약 아이들이 알르레기가 아니더라도 끔찍한 위생상태의 음식이나 먹을 수 있는 식재료가 아닌 다른 위험한 쇳조각이나 벌레같은 다른 것이 입안에 씹힌다면, 그 아이들은 훗날 그 날 먹었던 음식과 비슷하거나 혹은 같은 메뉴의 음식을 다음 날에 입에 댈 수 있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하며, 그 아이들에게 빈곤이나 인종 그 어느 환경성을 재치거나 막론하더라도 인간적/정서적으로 너무 가혹하다고 생각합니다.
    훗날 내 아이가 생긴다면 내 아이에게도 그런 걸 먹여야 한다면, 차라리 제가 직접 달리 요리해서 도시락이라도 싸주고 싶을 정도로요.
    긴히 많은 생각에 잠기면서, 깊은 감상을 하게 된 주제의 영상이였습니다.
    또 올게요 - 좋은 하루 되세요. 해빼님
    have a good day. x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