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를 더 정확히 보는 눈,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Поділитися
Вставка
  • Опубліковано 15 тра 2024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허블망원경 #나사 #우주 #별 #천문학 #과학 #경제 #투자
    '지식 오마카세'
    주인장이 알려주고 싶은 거 알려드립니다.
    주로 경제를 읽기 위한 금융 지식들
    추가로 과학, 철학, 역사 등등의 모든 지식
    경제적 선택에 금융을 이용하기 위해
    금융(Finance)을
    교육(Education)하고
    개발(Development)합니다.
    ※ 촬영일자 : 2024.05.13 ※
    강의문의: tngurdl9898@naver.com

КОМЕНТАРІ • 15

  • @user-dk6qy6im5z
    @user-dk6qy6im5z 20 днів тому

    어려울 것 같은 우주를 아주 쉽게 재밌게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좋아요, 구독 남깁니다.

  • @user-et7mr4cy1x
    @user-et7mr4cy1x 11 днів тому +1

    최고의 선생님이십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을 정말 쉽고 확실하게 설명하시네요. 게다가 넘치는 열정.. 대단히십니다.

    • @FED_Korea
      @FED_Korea  11 днів тому

      감사합니다! 항상 값진 것들을 전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user-uf9kl7vl7v
    @user-uf9kl7vl7v 25 днів тому +4

    그런 말이 있더라고요! 수많은 행성에서 지적 생명체들이 살아가고 있지만 서로의 과거 모습만 볼 수밖에 없다고…
    지금도 우주 어딘가에선 외계의 생명체가 초기 지구의 모습만 보고는 지적생명체가 없다고 판단하고 망원경을 돌리고 있을지 모르니까요..

  • @user-xg1wt7wn8c
    @user-xg1wt7wn8c 28 днів тому +3

    설명이 최고다 귀에. 쏙들어옴

  • @user-fh6sr3zr3k
    @user-fh6sr3zr3k 29 днів тому +1

    귀에 쏙쏙 들어오는 신난 설멍 감사합니다 ㅎㅎ
    정말 재미있고 신기합니다.

  •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27 днів тому +2

    망원경은 어느 것이나 망원경의 시야에 있는 광경을 편견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단지 최근에 나온 망원경일수록 더 많은 정보를 준다는 것만 다르다. 그렇지만 어느 망원경도 그것을 통해 보이는 그것이 무엇인지 설명해 주지는 않는다. 망원경을 통해 보이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인간이 해야 할 일이다. 우리들 인간이 우주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않다면 보이는 것에 대한 설명에도 하자가 있을 수 있다. 지금까지 우주에 관한 학설이 계속 바뀌고 논쟁이 그치지 않는 이유는 망원경이 보여주는 광경이 아니라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우주관에 있는 것이다.

  • @ULSAN-SSANAI
    @ULSAN-SSANAI 22 дні тому

    천체물리학은 거짓말을 누가 그럴듯하게 잘 하는 사람의 학설이 WIN!

  • @user-su2nj2up9q
    @user-su2nj2up9q 24 дні тому

    우주가 너무 커서 현재가 아닌 수십억년 과거를 보는게 큰 의미가 있는건지..
    만약 외계에서 지구를 관측한다해도 같은 상황 어닐까요. 현재 지구에 공룡이 살고있는..

    • @FED_Korea
      @FED_Korea  24 дні тому

      지당하신 말씀이십니다. 100%라고 단언할 수는 없지만, 아마 외계 문명을 조우하는 일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거라고 생각합니다.

  • @user-uw1py9pu8p
    @user-uw1py9pu8p 21 день тому

    제임스웹은 기본적으로 적외선을봅니다..가시광선이아니고...

    • @FED_Korea
      @FED_Korea  21 день тому

      맞습니다. 그러나 허블 우주 망원경의 차세대라는걸 알리기 위해 (붉은색 일부라도) 가시광선 영역이 관측 가능하다는걸 강조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이야기인지라, 허블 망원경이 일반인들이 대표적으로 아는 우주 망원경이기도 하고... 뒤에 도플러 효과로 인해 '붉게 보인다'는 표현 정도로 에둘러 얘기는 했습니다.

  • @jayk3784
    @jayk3784 20 днів тому

    우주는수축압축폭팔로돌아가는새개갓다나이도크기도업는것갓다

  • @user-cu9ww9tj4i
    @user-cu9ww9tj4i 21 день тому

    주기율표 밖 원소들로 이루어진 세계도 있는듯.

    • @FED_Korea
      @FED_Korea  21 день тому

      뉴턴이 말 한 '진리의 바다 앞에서 조약돌을 가지고 노는 소년'이 떠오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