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커뮤니티에서 아직 대학에 입학하지 않은 수험생들이 입결과 서열화된 국내 대학 이미지들로 학교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QS나 THE같은 해외 랭킹은 학교와 교수의 실적을 순위에 반영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국내 입시 사정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하고요. 해외에서는 국내 대학 서열은 중요하지 않아 유학이나 입사 준비시에는 QS나 THE랭킹이 높은 학교라면 준비에 좋긴 합니다.
QS랭킹이나 THE랭킹 역시 하나의 비즈니스이고 사업일 뿐 절대적이고 아주 객관적으로 우수한 평가는 아닙니다. 저 역시도 설문 위원으로 참여한 적 있지만 QS같은 경우에는 추천 설문으로 매기다 보니까 이름이 친숙하거나 동료가 근무했던 적 있는 곳이면 자연스럽게 손이 한번 더 가게 됩니다. THE도 주관적이고 꼼수(?) 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유료 세미나나 컨설팅 명목으로 대학들에게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지요. 따라서 이러한 평가들이 국내 입시 실적과 함께 보조하여 대학을 평가하는 잣대로 응용될 수는 있겠지만, 결코 국내 입시 선호가 잘못되었으므로 저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대학을 선택해야된다라고 결론내어서는 안됩니다. 원 작성자께서도 당연히 그런 취지로 말씀하신 것은 아니겠지만 혹시라도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나 학부모가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같아 적어봅니다.
가기어려운 대학 순위 아니라 대학 교수진들의 수준과 인프라 수준을 평가한 지표입니다. 고려대 가기가 연세대보다 훨씬 쉬워졌는데 무슨 1등이냐는 사람이 많은데, 전세계적으로 대학의 수준을 가기 쉬운 대학, 어려운 대학으로만 평가하는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습니다. 그 예시로 갈텍은 소수정예고 NASA 연구소도 있어서 MIT보다 들어가기 어렵지만, MIT는 학생수가 훨씬 많아도 종합적으로 수준이 더 높아서 세계 대학 1위죠. 애초에 우리나라 대학들은 들어 가는건 세계최고로 어렵지만, 막상 대학 들어가고선 놀기만 하니까 노벨상 수상자도 안나오고 학문적으로 약한겁니다. 요구 학력 수준만 만족시키면 대학 입학과 학과 결정은 자유로워야 합니다. 대신 졸업과 학위 획득 난이도를 높여서 고딩때보다 대학교에서 훨씬더 연구와 공부를 많이하게 하고 고등학생들의 입시 경쟁은 줄여야 합니다. 우리나라 대학들의 연구 수준이 얼마나 우스우면 해외에서 최고 엘리트 취급받는 석박사들은 한국에선 되기 어렵지 않은 노예이미지고, QS 대학 순위에서는 서울대가 일본ㆍ중국이나 동남아 대학들보다 낮게 나오겠습니까...
QS 대학평가가 세계적인 기준에서의 평가라 객관적이라는 말이 있던데 사실이 아닙니다. 요약} 우리가 좋은 대학을 생각할 때 기준으로 삼지 않는 것(교수 대 학생 비율, 외국인 교수 비율, 국제학생 비율)이 30%나 차지합니다. 평가 방식 자체가 교수에게 물어본 자기 분야 국내 탑 10대학, 기업에게 물어본 탑 10 출신 대학 이기에 10위권 밖의 대학들은 현저히 낮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한 4위 밖에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 랭킹이니 그냥 재미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Academic Reputation 학업평가 (40%) Employer Reputation 기업평가 (10%) Faculty Student Ratio 교수 학생 비율 (20%) Citations per Faculty 교수 대비 인용 비율 (20%) International Faculty Ratio 외국인 교수 비율 (5%) International Student Ratio 국제학생 비율 (5%) 나머지는 이해가 가는데 교수 대비 학생 비율, 외국인 교수 비율, 국제학생 비율 합쳐서 30%인 것을 보면, 확실히 우리가 생각하는 대학 랭킹과는 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보통 한국에서 좋은 대학이라고 하면 수업의 질이 좋고 졸업생들이나 학부&대학원생들의 성과가 좋은 대학을 생각하지 학생 대비 교수가 많거나 외국인 교수가 많거나 국제학생들이 많은 대학이 좋은 대학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잖아요? 또 가장 중요한 Academic Reputation 항목의 경우 교수들에게 설문지를 돌려 국내 대학 중 자기 분야에서 가장 좋은 대학 10개(자기 학교 제외)를 적고 자기 나라 밖에서 가장 좋은 30개 대학을 적게 합니다. 그래서 수치를 보시면 1. 서울대 100점 만점에 98.6점 2. 카이스트 88.1점 3. 고려대 79.3점 4. 연세대 75.7점 5. 성대 60.2점 6. 포스텍 47.4점 7. 한양대 45점 8. 경희대 24.9점 9. 이화여대 23.4점 10. 부산대 20점 서강대 중앙대 지스트 외대 시립대 등등 다 10점대나 그 이하입니다. 특정 분야 안에 탑 10에 들어가지 못하면 점수조차 받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다음 Employer Reputation의 경우 세계 기업 관계자들에게 설문을 해 국내 대학 중 자신의 회사에 취업하기에 가장 좋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대학 10개, 해외 대학 30개를 적습니다. 1. 서울대 97.8 2. 연세대 95.5 3. 고려대 93.9 4. 카이스트 85.5 5. 한양대 79.1 6. 성균관대 72.7 7. 포항공대 69.4 8. 서강대 44.5 9. 경희대 39 10. 중앙대 35.3 11. 외대 26 12. 이화여대 22.2 13. 경북대 19.2 14. 부산대 17.7 15. 세종대 16.7 16. 인하대 13.7 17. 아주대 12.1 18. 전북대 10.3 19. 동국대 9.9 20. 건국대 9.9 21. 전남대 9.4 22. 영산대 9.4 23. 서울시립대 8.9 이것 역시 10등 안대 들지 못하면 가차엾습니다. 특히 지방 기업들은 지거국을 그래도 선호하기에 순위가 좀 높은거지 상위 몇 대학 말고는 객관적이라 보기 힘듦니다. 중경외시 중 하나인 시립대가 영산대보다 기업 선호도가 낮다는 것도 너무 단순화된 평가방식의 오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0등 안에 한국대학이 많은 이유도 같습니다. 한국은 대학 서열화가 너무 칼같이 되어있기 때문에, 분야에 상관없이 모든 설문자들이 비숫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기에 특정 몇 대학만 좋은 점수를 몰아서 받는 것입니다. QS 대학 안에 미국 외 대학들이 많은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위 랭킹의 경우 한 4등 외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재미로 보시기 바랍니다.
이건 QS 랭킹이 아니라 QS 아시아 랭킹이라고 쳐야 나오는 순위인데 놀랍게도 세계 QS 랭킹과 다르게 순위가 뒤죽박죽입니다. 실제 QS 랭킹에서 한국 학교들을 보면 서울대가 29위, 카이스트가 42위, 포항공대가 71위, 연세대가 73위, 고려대가 74위, 성균관대가 99위입니다.
@@CH-js4lg 다른 댓글에 썼지만 세계 qs 평가 랭킹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대학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요소들이 높은 비중으로 반영됩니다. 그에 반해 아시아 랭킹에는 이상한 지표들이 많이 들어가죠. 예를 들어 논문 피인용 수의 반영 비율이 줄어들고 단순히 찍어낸 논문의 수나 기업과의 연계 비율 등 세계 대학 랭킹을 매길 때는 사용하지 않는 요소들을 ‘아시아 랭킹’에서만 사용해서 고려대가 한국 1위로 평가되는 등의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김닻별-u2c 아니.. 니혼대학교는 영어로 Japan이 아니자너요 일본어로 번역을해야 니혼이되지. 제 논리가 맞다는게 아니라 외국인 시점으로는 충분히 그럴수도 있다는거고 거기에 더불어 오피셜한 데이터로 봣을때도 고려대가 서울대를 포함한 연세대같은 진보주의 교육사상으로 운영되는 학교들을 연구율으로나 교수진으러나 경영력으러나 모든면에서 최근 몇년간 앞섯다는거고요. Korea University 드립은 그냥.. 그럴수도 있다.. 이런겅. 그리고 해당드립은 언제까지나 구체화시킬수없는 심리를 기반으로한 발언이라 본인 주위에도 외국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방법도 없어서 그렁사람 못봣다하는것도 오류세요..
의미없는 숫자놀이일 뿐이지. 저 순위보고 서울대, 포스텍 거르고 연고대나 성균관대나 한양대 가라고 하면 가겠냐? 전국구도 잘 쳐줘야 성균관, 한양까지지, 그 아래는 그냥 다 로컬들이다. 연구쪽에 관심 있어서 석박사까지 한다면 과기원 가는거고, 그 외 로컬급은 서울유학 가서 돈 낭비하느니 입결 생각말고 그냥 지역국립대 가는게 가성비 최고다. 교수진과 커리큘럼이 특별히 뛰어난것도 아니면서 시설은 대부분 협소하고 구린데 비싸기는 엄청나게 비싼 서울유학 갈 이유가 없다. 서울유학 가느니 돈 있으면 차라리 미국, 영국으로 가고 돈이 많이 없으면 일본 국립대나 유럽으로 유학을 가라.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같은곳은 학비가 거의 공짜다.
정확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QS가 제시한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Academic reputation (30%) Employer reputation (20%) Faculty/student ratio (10%)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10%) Citations per paper 10% & papers per faculty (5%) Staff with a PhD (5%) Proportion of international faculty (2.5%) &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2.5%)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세종대 졸업생인데 수년전에 세종대 부실대학으로 선정되서 정부지원도 다 끊기고 대학 동기랑 쪽팔려서 어떡하냐 이랬었는데... 그 후로 이 악물고 노력했나보네요. 다니는 동안은 참 애정을 많이 가졌던 학교였는데... 여튼 세종대 동문들 화이팅!! 힘든 세상이지만 우리 잘 살아갑시다!!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경북대 재학생인데 걍 다 필요 없고 설카포 항상 상위권에서 자리매김하는 거 넘 멋있고 일단 영상에 나온 20위까지 랭크되어 있는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사람이라면 사회인으로써 자부심 갖고 인생을 살아도 된다 생각함 까내릴 필요도 없이 랭크된 학교 나오면 다들 자부심 가지길..
대학교 랭킹을 매기는 기준이 뭔지 알고 싶습니다. 매년 대학 순위를 매기던데 무엇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는 지도 알고 싶습니다. 예전에 대학순위에 외국인 유치 순위(?)가 있던 걸 본적이 있던 거 같은데 그래서 학교들이 앞다퉈서 중국인 기숙사 우선 입주권을 줘서 한국 학생들만 극한 경쟁률로 짤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Academic reputation (30%) Employer reputation (20%) Faculty/student ratio (10%)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10%) Citations per paper 10% & papers per faculty (5%) Staff with a PhD (5%) Proportion of international faculty (2.5%) &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2.5%)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雲と星と月 연대의 분발이 아쉽네요,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Loosop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인풋은 모르는데 아웃풋은 고대입니다.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대구의 자랑 경북대 ㅠㅠ 호랑이담배피던 시절 왕년에는 한강이남 최고 대학중하나였는데 다서울로 모든게 모이니 이렇게.떨어지다니 그래도 막판에.다시회복하네 경북 하면.경상북도 낙후된 이미지지만 대구경북권 아니 지방사람들은 알지 경북대 하면 브랜드가치가 엄청났었는데 엘리트가 모이는 최고의 지방국립대 넘버1이었지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user-um3di8mu3b 님, 서울대가 입결 최고인것은 천하가 다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입결이 낮은 학생들이 들어가서 아웃풋이 문과의경우 대학평가 3대 지표라할수있는 공식적 , 상징적 3대 지표에서 행시(서울대 압도적우세), 로스쿨 입학생수(고대 근소한 우위), 공인회계사(압도적우위)등 3분야중 2분야에서 우세한것을 객관적 자료로 입증한것이고 달리 말하면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뛰어나면 이런대학이 대학4년간 더 효율적인 아웃풋 창출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윤호님, 이과부분 감으로 이야기 하지마시고 정확한 데이타로 언급해주세요 총론적 대략적 감으로는 누구나 말할수있고 각개전투식 구체적 개별론적으로는 누구나 다하지는 못합니다.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QS아시아 대학 랭킹 순위이기 때문에 향후 진로를 한국 내가 아닌 아시아, 혹은 세계로 생각한다면 그나마 의미 있는 지표라고 봐도 될 것 같아요. 수능 직후라 입결에 민감한 사람들도 많을텐데 국내 입결이 다는 아니더라고요ㅎㅎ
QS 랭킹도 믿을만한가요??
시립대 왜없냐ㅠㅠ
QS, THE 둘 근본
솔직히 저 지표가 기업이 원하는 순위인거 같다. 대학갈땐 저런 지표나 위치, 등록금, 학과 이런거 다 고려해야됨. 입결은 그냥 겉멋임
@@2003년1월생 국내 기업들이 인사과정에서 인용하는 대학평가 지표는 qs가 아니라 중앙일보 대학평가입니다.
우리나라 대학은 졸업정원제 시행해야 함. 들어갈때는 엄청 힘들게 들어가지만 대학에서는 정작 학문연구는 뒷전이고 4년 내내 취업공부만....
QS나 THE 랭킹은 세계적으로 대표적이기 때문에 국내 입시 사정과는 구별지을 필요도 없어요. 학생이나 입결이 아니라 교수의 연구 실적 등 유의미한 결과를 가지고 집계됩니다.
흔히 커뮤니티에서 아직 대학에 입학하지 않은 수험생들이 입결과 서열화된 국내 대학 이미지들로 학교를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QS나 THE같은 해외 랭킹은 학교와 교수의 실적을 순위에 반영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국내 입시 사정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하고요. 해외에서는 국내 대학 서열은 중요하지 않아 유학이나 입사 준비시에는 QS나 THE랭킹이 높은 학교라면 준비에 좋긴 합니다.
웅장하다 나의 경희!
@@칠전팔기-w9z 멋있다
정답입니다 저건 연구실적 교수진등 인프라만 자기들 잣대로 매긴겁니다
QS랭킹이나 THE랭킹 역시 하나의 비즈니스이고 사업일 뿐 절대적이고 아주 객관적으로 우수한 평가는 아닙니다. 저 역시도 설문 위원으로 참여한 적 있지만 QS같은 경우에는 추천 설문으로 매기다 보니까 이름이 친숙하거나 동료가 근무했던 적 있는 곳이면 자연스럽게 손이 한번 더 가게 됩니다. THE도 주관적이고 꼼수(?) 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유료 세미나나 컨설팅 명목으로 대학들에게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이고 있지요. 따라서 이러한 평가들이 국내 입시 실적과 함께 보조하여 대학을 평가하는 잣대로 응용될 수는 있겠지만, 결코 국내 입시 선호가 잘못되었으므로 저러한 평가를 기준으로 대학을 선택해야된다라고 결론내어서는 안됩니다. 원 작성자께서도 당연히 그런 취지로 말씀하신 것은 아니겠지만 혹시라도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나 학부모가 오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같아 적어봅니다.
단순히 정시 입결 순이 맞음. 인풋이 좋아지다보면 아웃풋도 따라오는 법
순위권 대학교 가신 분들 부럽네요
이게 세계 대학의 기준. 단순히 국내 고3들 입결이아니라, 시설 인프라 논문 등..이게 세계의 현실
근데 ㅅㅂ 세종대는 쌉에바
이건 ‘아시아’ qs 랭킹이라고 실제 ‘세계 qs 랭킹’과 다른 지표고, 평가 기준이 조금 이상합니다.
실제 세계 대학 순위를 보고 싶으시면 그냥 qs 랭킹을 참고하시면 될 거 같고 그 순위는 고3들 입결이랑 거의 비슷합니다.
@고앵이 서강대는 많이 쳐지네요
90점 이하는 대학으로 치기 민망한 수준이라 순위 의미 없음
@@supermansunny787 의대 없어서 연구실적 딸림
국내 입시 순위는 의미 없습니다. 결국 좋은 학교는 왜 좋은지 세계가 평가하는거죠.
해외로 나가서 살 것도 아니고 국내에서 직장 가지고 살거면 국내 입시 순위가 중요하긴하죠..
연구할것도아니고 유학할것도아니고 석박사딸것도아니고 국내에서 취업하고살거면 입결로 따지는게맞음...
@@shdhdhwhxhxd1269 유학할거면 저게 맞음?
네 다음 고대생 ㅋㅋ
@@user-xd6ms8mm3j님 자식은 그렇게 보내세유.
의대 유무가 큽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같은 공과전문 대학을 제외하곤 거의 대부분 의대가 있어야 랭킹이 높습니다. 인프라점수 뿐만 아니라 의대설립자체가 승인이 쉽지 않가때문입니다
포스텍은 인원차이도 있지.
거기다 카포랑 다른 과기원은 문과가 없기 규모도 그렇지만 난이도 면에서도 때문에 더 불리할지도?
공과전문대학 제외하고 저중에 의대 없는 종합대학은 서강대 외대 세종대 뿐
세종대: ?
가기어려운 대학 순위 아니라 대학 교수진들의 수준과 인프라 수준을 평가한 지표입니다. 고려대 가기가 연세대보다 훨씬 쉬워졌는데 무슨 1등이냐는 사람이 많은데, 전세계적으로 대학의 수준을 가기 쉬운 대학, 어려운 대학으로만 평가하는 곳은 우리나라밖에 없습니다. 그 예시로 갈텍은 소수정예고 NASA 연구소도 있어서 MIT보다 들어가기 어렵지만, MIT는 학생수가 훨씬 많아도 종합적으로 수준이 더 높아서 세계 대학 1위죠. 애초에 우리나라 대학들은 들어 가는건 세계최고로 어렵지만, 막상 대학 들어가고선 놀기만 하니까 노벨상 수상자도 안나오고 학문적으로 약한겁니다. 요구 학력 수준만 만족시키면 대학 입학과 학과 결정은 자유로워야 합니다. 대신 졸업과 학위 획득 난이도를 높여서 고딩때보다 대학교에서 훨씬더 연구와 공부를 많이하게 하고 고등학생들의 입시 경쟁은 줄여야 합니다. 우리나라 대학들의 연구 수준이 얼마나 우스우면 해외에서 최고 엘리트 취급받는 석박사들은 한국에선 되기 어렵지 않은 노예이미지고, QS 대학 순위에서는 서울대가 일본ㆍ중국이나 동남아 대학들보다 낮게 나오겠습니까...
나 의대들어가서 축제 한번도안가고 도서관에서살았다 꼭 지방대 출신들이 대학가서 놀고나서 최고수준학교 학생들도 노는줄 착각 오지게 하더라
팩트폭격
ㅇㄱㄹㅇ
진짜 ㅆㅇㅈ
노벨상같은 연구결과는 우리나라가 기초과학같은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 연구에 대한 지원이 적은것도 한 몫... 랩실 얘기들어보면 단기성과만 ㅈㄴ 닥달한다고...
성균관 대학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든든한 재단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된다.
랩실이 좋아서도 있을듯?
ksky보면 그냥 공부 잘 하는 곳이 얼마나 좋은지 더 느끼게 되더라…
성대재학생으로서 성뽕이 차오르는 순간이네요
인하대도 한진그룹이 꾸준만 했다면.. 지금보다 훨 높았을듯
@@THE블유 ksky가 뭐임?
여기에 본인 학교 있으면 좋은 대학 간거임..
아님ㅋㅋㅋ
과에따라 천자만별임ㅋㅋ
@@hjk2128 그래서 어디나옴?
@@기분좋은개구리 왜 신상을 터노 여기서 ㅋㅋ
@@hjk2128 인정 못하는거같길래 ㅋㅋ
우리학교 있다 그래도ㅋㅋ감사요
So informative!!
그냥 이 중에 하나라도 가면 잘 간거임 물론 스카이는 나머지랑 좀 크게 차이날 수 있지만
이중에 공대를 가야 잘간거지
서>>>>>>>>>연고>>서성한. 입결로 보나 뭐로 보나 서울대랑 연고대 차이가 연고대랑 서성한 차이보다 훨씬 큰데 네이밍 참 잘해서 이미지 장사 잘해먹음.
@@통왕키 카이스트 실종
그런데 난 왜 이렇게 사는가?
이 중 하나를 가서 학고 맞았습니다. 잘한거죠?
카이스트는 계속 최상위권을 유지하네 ㄷㄷ
ㅇㅈ
대학랭킹이 연구실적 바탕이니까
영재소굴ㄹㅇ...
공
대
지원 엄청남. 거기다 문과쪽까지 이공계가 침투해서 서울에 캠퍼스 세우고 확장중 ㅋㅋ.
세종대 발전이 압도적이네요
세종대 올해 국내 3위 찍었네요
QS 대학평가가 세계적인 기준에서의 평가라 객관적이라는 말이 있던데 사실이 아닙니다.
요약} 우리가 좋은 대학을 생각할 때 기준으로 삼지 않는 것(교수 대 학생 비율, 외국인 교수 비율, 국제학생 비율)이 30%나 차지합니다.
평가 방식 자체가 교수에게 물어본 자기 분야 국내 탑 10대학, 기업에게 물어본 탑 10 출신 대학 이기에 10위권 밖의 대학들은 현저히 낮은 점수를 받게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한 4위 밖에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모로 문제가 많은 랭킹이니 그냥 재미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Academic Reputation 학업평가 (40%)
Employer Reputation 기업평가 (10%)
Faculty Student Ratio 교수 학생 비율 (20%)
Citations per Faculty 교수 대비 인용 비율 (20%)
International Faculty Ratio 외국인 교수 비율 (5%)
International Student Ratio 국제학생 비율 (5%)
나머지는 이해가 가는데 교수 대비 학생 비율, 외국인 교수 비율, 국제학생 비율 합쳐서 30%인 것을 보면, 확실히 우리가 생각하는 대학 랭킹과는 좀 다르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보통 한국에서 좋은 대학이라고 하면 수업의 질이 좋고 졸업생들이나 학부&대학원생들의 성과가 좋은 대학을 생각하지 학생 대비 교수가 많거나 외국인 교수가 많거나 국제학생들이 많은 대학이 좋은 대학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잖아요?
또 가장 중요한 Academic Reputation 항목의 경우 교수들에게 설문지를 돌려 국내 대학 중 자기 분야에서 가장 좋은 대학 10개(자기 학교 제외)를 적고 자기 나라 밖에서 가장 좋은 30개 대학을 적게 합니다. 그래서 수치를 보시면
1. 서울대 100점 만점에 98.6점
2. 카이스트 88.1점
3. 고려대 79.3점
4. 연세대 75.7점
5. 성대 60.2점
6. 포스텍 47.4점
7. 한양대 45점
8. 경희대 24.9점
9. 이화여대 23.4점
10. 부산대 20점
서강대 중앙대 지스트 외대 시립대 등등 다 10점대나 그 이하입니다.
특정 분야 안에 탑 10에 들어가지 못하면 점수조차 받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다음 Employer Reputation의 경우 세계 기업 관계자들에게 설문을 해 국내 대학 중 자신의 회사에 취업하기에 가장 좋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대학 10개, 해외 대학 30개를 적습니다.
1. 서울대 97.8
2. 연세대 95.5
3. 고려대 93.9
4. 카이스트 85.5
5. 한양대 79.1
6. 성균관대 72.7
7. 포항공대 69.4
8. 서강대 44.5
9. 경희대 39
10. 중앙대 35.3
11. 외대 26
12. 이화여대 22.2
13. 경북대 19.2
14. 부산대 17.7
15. 세종대 16.7
16. 인하대 13.7
17. 아주대 12.1
18. 전북대 10.3
19. 동국대 9.9
20. 건국대 9.9
21. 전남대 9.4
22. 영산대 9.4
23. 서울시립대 8.9
이것 역시 10등 안대 들지 못하면 가차엾습니다. 특히 지방 기업들은 지거국을 그래도 선호하기에 순위가 좀 높은거지 상위 몇 대학 말고는 객관적이라 보기 힘듦니다. 중경외시 중 하나인 시립대가 영산대보다 기업 선호도가 낮다는 것도 너무 단순화된 평가방식의 오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0등 안에 한국대학이 많은 이유도 같습니다. 한국은 대학 서열화가 너무 칼같이 되어있기 때문에, 분야에 상관없이 모든 설문자들이 비숫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기에 특정 몇 대학만 좋은 점수를 몰아서 받는 것입니다. QS 대학 안에 미국 외 대학들이 많은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위 랭킹의 경우 한 4등 외엔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재미로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2023년 기준입니다
QS는 평가 방식이 잘못되었음.
아무 것도 모르는 영국 평가사가 자기들 편리한대로 순서배열함.
게다가 들리는 말로는 QS쪽에 광고 등 협찬하고 국제화 부분 그럴듯하게 자료 마사지하면 순위 급등한다는 소리도 들림.
그냥 뻘 평가.
...................... 음 .. K가 Y를 따라잡아 S까지 역전시키는 모습이 멋지네요 .....
Y는 언제나 K 아래였죠. Y는 학풍도 좋지가 않다고 들었습니다.
@@kmj4819 이상한 소리 하지마세요 ㅋㅋ
요즘 연공 포스텍도 버리고 오는 사람도 심심치 않게 있습니다
@@kmj4819 문과는 언제나 전반적으로 고대가 앞섰지만 이과는 연대였죠.. 의대까지 해서
@@연대생-x2o 이런 글 쓰려고 계정 하나 만들었다니 대단하네..
@@onemoretime4279 어차피 문과는 다같이 폭망임ㅋㅋ 스카이도 취업 잘 안됨
세종대 살벌하게 발전하고 있네요. 축하합니다.
그래봤자 지잡ㅋㅋ 꼼수쓴 자료 믿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서강
건대생인데 마지막에 순위권밖에 나갈까봐 응원하면서 봤습니다👍
동대생인데 영상 내내 건대보다 낮을까봐 응원하면서 봤습니다👍
@@user-ro7pz7nn6d 건'동'홍
@@lopez4521 나도 알앗!!
건대 화이팅 빨리 이대 좀 잡아주세요
건동이 낫나요 부산경북이 낫나요?
말도 안되는 순위를 스스로 증명하는것 같은데요...
이건 QS 랭킹이 아니라 QS 아시아 랭킹이라고 쳐야 나오는 순위인데 놀랍게도 세계 QS 랭킹과 다르게 순위가 뒤죽박죽입니다.
실제 QS 랭킹에서 한국 학교들을 보면 서울대가 29위, 카이스트가 42위, 포항공대가 71위, 연세대가 73위, 고려대가 74위, 성균관대가 99위입니다.
지표가 다르고 지역별 랭킹에 더 다양한 지표가 반영됩니다.
@@CH-js4lg 다른 댓글에 썼지만 세계 qs 평가 랭킹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대학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적합한 요소들이 높은 비중으로 반영됩니다. 그에 반해 아시아 랭킹에는 이상한 지표들이 많이 들어가죠. 예를 들어 논문 피인용 수의 반영 비율이 줄어들고 단순히 찍어낸 논문의 수나 기업과의 연계 비율 등 세계 대학 랭킹을 매길 때는 사용하지 않는 요소들을 ‘아시아 랭킹’에서만 사용해서 고려대가 한국 1위로 평가되는 등의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고려대가.. 한국어로 고려대지 영어론 ㅋㅋㅋ Korea University 임. 외국인 시각으론 이름부터가 서울대랑 연세대 바름..
그렇게 치면 일본 대학을 볼때 외국인들이 니혼대가 도쿄대를 바른다고 보나요? 한명도 그런사람 못봤는데...
@@김닻별-u2c 아니.. 니혼대학교는 영어로 Japan이 아니자너요 일본어로 번역을해야 니혼이되지. 제 논리가 맞다는게 아니라 외국인 시점으로는 충분히 그럴수도 있다는거고 거기에 더불어 오피셜한 데이터로 봣을때도 고려대가 서울대를 포함한 연세대같은 진보주의 교육사상으로 운영되는 학교들을 연구율으로나 교수진으러나 경영력으러나 모든면에서 최근 몇년간 앞섯다는거고요. Korea University 드립은 그냥.. 그럴수도 있다.. 이런겅. 그리고 해당드립은 언제까지나 구체화시킬수없는 심리를 기반으로한 발언이라 본인 주위에도 외국인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방법도 없어서 그렁사람 못봣다하는것도 오류세요..
@@김닻별-u2c 2번이상 읽고 댓글달던가 아님 적지를말든가 말뒤지게 이해못하네
@@김닻별-u2c nihon U
응 조민 대학
우리나라는 수능으로 줄 세워서 그렇지 대학을 입결로만 판단하는 자체가 좀 ㅠ 다방면으로 평가해야 하지 않을까 학술지 평가 시설투자 대학원 규모 사회 평가 등
고려대학교가 논문같은. 부분에서 신경을 많이 쓰는거 같네요. 자랑스럽습니다.
니가 뭔데 자랑스러움 지잡대 다니는거 아님?
세종대 오름 추세가 ㅎㄷㄷ
계속 발전하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대체 어디까지 바라본 겁니까 미미미누 그는 대체
새종대 논문지도 너무 빡세게 시켜 ㅠㅠ
우와 유니스트 급성장 👍
세종대 졸업하고 금융권에 있는데 자랑스럽네요
오~ 저도 세종대 졸업~
전 교직에 있어요.
선배님 저도 따라가겠습니다 -경제학과 복전생-
전 에너지계통에 있습니다 세종대 파이팅!!
세종대 대학원생입니다. ㅎㅎ
세종대 신입생인데 여기 나온거 말이 되는거임?
성대 세종대 시간이 갈수록 좋아진 학교네요
저런거 믿지마셈ㅋㅋ 꼼수쓴 대학들 많아서 의미없음ㅋㅋㅋ..
포스텍 서강대 등 확실히 학생수가 적은 학교들이 발전가능성이 좀 적은거같음ㆍ 졸업하면 사회에 선배들이 적고 잘 알려지지 않아서 실력에 비해 인식이 좀 약해서 손해보는거같음ㆍ입시때 비슷한 성적이라면 학생수가 좀 많고 역사도 좀 오래되고 네임밸류가 높은학교가 좋은거같음
이런 데 나라가 지원해줘야함. 그러기는 커녕 과기원들 더 늘리려하고 있고 한전공대나 짓고 있었으니
포스텍은 연구 목적으로가지 취직하려고 가지 않는것 아닌가
서강대는 재단이 가난한 것도 한 몫하는 듯....
@@kiheitai8385 그리고 가장중요한거 의대가 없잖슴
포스텍을 여기 끼네 ㅋㅋㅋㅋㅋ 포스텍 재학생인데 좀 화나네요… 인식이 좀 약해서 연고대학생들이 서카포 대학원 오려고 기를 쓰나요?
의미없는 숫자놀이일 뿐이지. 저 순위보고 서울대, 포스텍 거르고 연고대나 성균관대나 한양대 가라고 하면 가겠냐?
전국구도 잘 쳐줘야 성균관, 한양까지지, 그 아래는 그냥 다 로컬들이다.
연구쪽에 관심 있어서 석박사까지 한다면 과기원 가는거고, 그 외 로컬급은 서울유학 가서 돈 낭비하느니 입결 생각말고 그냥 지역국립대 가는게 가성비 최고다.
교수진과 커리큘럼이 특별히 뛰어난것도 아니면서 시설은 대부분 협소하고 구린데 비싸기는 엄청나게 비싼 서울유학 갈 이유가 없다.
서울유학 가느니 돈 있으면 차라리 미국, 영국으로 가고 돈이 많이 없으면 일본 국립대나 유럽으로 유학을 가라.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같은곳은 학비가 거의 공짜다.
ㄹㅇㅋㅋ
가고싶으면 가면 되지 못가면서 순위질은 ㄹㅇㅋㅋ
일류 선진국 연구기관의 평가 vs 동양 경제10위권 밖 조그마한 나라의 일개 서민 머릿속
성대 붙고 반수하는데 ㅋㅋㅋㅋㅋ 메디컬 꼭 가야겠다... 서연고 일반과가면 조금 아쉬울거 같으... 물론 붙으면 기어갈거긴함
공학계열? 그럼 반수하시는거 ㅇㅈㅋㅋ
@@huewee1 게이야 ㅎㅇ 공학계열 22학번인데 수시 6지망으로 온거라 학고반수중이다 ㅋㅋㅋㅋㅋ lc몇이냐.... 수원 꼭 탈출한다 진짜
@@kdh9508 ㅇㅇ 연대높공붙고 지금 송도 기숙사에서 잠안와서 이러고있음ㅋㅋ
@@kdh9508 ㅋㅋㅋㅋ 성대 반시공이면 그래도 ㅆㅅㅌㅊ네... 율전 앵간 놀거 있고 감성있으니 너무 낙담하진 말고.... 언제든 떠나고싶으면 반수해라 후회하지말고ㅎㅎ 파이팅!
@@kdh9508 ㅋㅋㅋㅋ 화이팅해! 창융디같은 과목에 발목잡히지말고ㅎㅎ 명륜녀랑 cc도 하고 행복한 대학생활해! 나중에 삼전에서 만날게ㅋㅋ
해방세종 화이팅!
의외로 세종대 엄청높넹(세종대 무시아님)
흥미로운 데이터 시각화 잘봤습니다❤
히히 경희대 자랑스럽다 입학할땐 몰랐는데 qs 순위 항상 은근 높아서 좋음. 교수님들도 베테랑이시고
문가랑 고민녀가 나온 대학.
머싯으시당
부럽다………
70년대 80년대초 따라지 대학 중 하나였는데
갓경희❤️
애국한양 자랑스럽습니다..!
애국한냥~~~
세종대생은 웃고있다
갑분 세종대ㅋㅋ 학식 맛있으니 순위 올려도 됨
학교평가 (Academic Reputation) 40%
학생수 교원수 비율 점수 20%
논문 피인용 수 (Citations per Paper) 20%
기업으로부터의 평판 (Employer Reputation) 10%
외국인 교원 비율 5%
유학생 비율 5%
나무위키에서 긁어옴
정확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QS가 제시한 평가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Academic reputation (30%)
Employer reputation (20%)
Faculty/student ratio (10%)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10%)
Citations per paper 10% & papers per faculty (5%)
Staff with a PhD (5%)
Proportion of international faculty (2.5%) &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2.5%)
꺼무위키
유학생은 왜 따지는거임? 그거 걍 취업비자 못 따니 유학비자 따는건데
@@김영재-n6k8d 국제화가 얼마나 잘됐는지 보는 지표로 쓸껄요
@@안유진-o1n 국제화 기준을 왜따짐 국내대학 순위인데
15년 성대 폼 미쳤었구나
고대1위 서울대3 라는게 놀랍내여
고대 대단하네여.
대부분이 인서울이라느게 한국현실에서 당연할수있고 안탁깝고.
더 큰 발전을 하려면 수도권 집중화를 대학도 지방에 분산되야 한다 생각되네요.
설대 5위인데요
고대와 설대 붙으면 어디갈껀가요?
서울대 갈께요
인생예기쓸뻔했네요...
@@vpvkfhclsl 맞춤법.. ㅎㅎ;;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고려대가 1위 되었어요ㅎ
우리 고려대 축하드려요ㅎ
제가 갈 대학들이 가득하네요👍🏻
위에것만 가세요
지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경북대가 자꾸 떨어지다가 막판에 다시금 도약하는군요. 경북대 언제나 홧팅.!!!
아무리 지방에 있어서 과거보다 낮아지긴 했지만 경북대의 네임은ㅋㅋ
대학평가라는 측면에서는 QS나 THE, 중앙일보 평가가 서울에 소재한다는 것만으로 3류대학들이 좋은 대학인 것처럼 포장되는 입결보다는 보다 객관적일 것 같습니다. 좋은 대학이라면 입결도 좋고 세계대학평가 결과도 좋아야 맞겠죠.
요즘 대학순위가 어찌 되는지 모르지만 확실하게 눈에 띄는 대학은 성대, 경희대, 세종대네요. 이 3개 대학은 노력 많이 한 느낌이 난다
세종대 몇년전 부실대학으로 정부 지원도 끊겼었는데 그후로 이 악물고 노력한듯~
성대 경희대는 원래 명문대인데? 근데 둘 다 문과가 강세, 이공계는 수원에 있고. 세종대는 딱히 모르겠다
세종대는.입결보다는 교수들 수준하고 인원수대비 논문작성수 피인용수 이런항목들이 매우 높은것으로 알고있어요. 학부보다는 대학원 레벨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듯
@@빼꼼-d7o하지만 교수님들은 대학원 우리학교 오지마 하는 현실..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세종대는 아웃풋도 의외로 좋고, 교수진이 너무좋음
세종대 박사쪽도 괜찮음
세종대 졸업생인데
수년전에 세종대 부실대학으로 선정되서 정부지원도 다 끊기고 대학 동기랑 쪽팔려서 어떡하냐 이랬었는데... 그 후로 이 악물고 노력했나보네요.
다니는 동안은 참 애정을 많이 가졌던 학교였는데...
여튼 세종대 동문들 화이팅!! 힘든 세상이지만 우리 잘 살아갑시다!!
응애
선배님 사랑합니다!! -응애 새내기가-
잘 살아봐요 세종인들 해방세종!!
12학번인데 왜이리 높나했네요ㅋㅋ 입학후에 부실대학선정됐던 흑역사... 잘이겨내고 교수, 학우분들이 잘하고있나보네요
나도 졸업생. 그냥 우리학교는 어디가서 자랑할 학교는 안되지만.. 그냥 꿀리지도 않을 학교다. 자부심을 가져라 후배들아 ^^
“너의 젊음을 고대에 걸어라 고대는 너에게
세계를 걸겠다.”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우와!! 세종대가 서강대를 앞서다니...감동이네요
확인해보니 SU > KAIST > KU > YU 순이 맞습니다. 이건 늘 변함없습니다.
연 고 순위 바꿔 주시죠 불편합니다
연대 고대 둘 다 됐는데 고민도 안하고 연대 왔습니다
@@연대생-x2o 태극기를 보면 빨강위 위고 파랑이 아래임.
@@tinderkorea 그래서 연의 보내준다하면 안갈거야?? ㅋㅋㅋㅋ
@@연대생-x2o ㅋㅋㅋㅋㅋㅋㅋㅋ아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와...다시봐도 유니스트가 순식간에 치고 올라오는게 소름돋는다;;;
실제로 학부의 경우 포스텍은 많이 떨어진것이 사실입니다. 대학원은 또 다른 이야기 이지만요
경북대 재학생인데 걍 다 필요 없고 설카포 항상 상위권에서 자리매김하는 거 넘 멋있고 일단 영상에 나온 20위까지 랭크되어 있는 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사람이라면 사회인으로써 자부심 갖고 인생을 살아도 된다 생각함 까내릴 필요도 없이 랭크된 학교 나오면 다들 자부심 가지길..
20~25년전만해도 경북대 들어갈려면 전교에서 10등내외 해야했는데 요즘은 어때요?
@@뮤즈-u8h 전교 12등 유지했고 부산대 컴공 19학번입니다.
@@뮤즈-u8h경북대 전공과에 따라 다르지만..전자공, 컴공 24년도 입학기준 내신 2점 극초반까지 합격선인거 같네요~ 2.1에 추가 합격 해서요~ 전교 15등 정도 했내요..참고로 서울과기대 기계공학부, 홍대까지 추합 했네요~
자랑스럽다 카이스트!
@@user-pt2et7oc9k 그러게
@@user-pt2et7oc9k 자랑스럽긴 하지ㅋㅋ
한양대쭉쭉오르는거 멋지네
건국대가 안보이네요
세종대는 국내에서 저평가 되어있는듯
건대는 실상 30~40위권이나 됨
경희대가 10위권에서 확실히 이기고 올라갔네
8위나 10위나 도토리 키재시 ..
@@번개-r9g 8위나 10위나 다 똑같으면 순위 뭐하러 잼?
고뽕 차오른다 캬아ㅎㅎㅎ 기분좋네
시간이 지나면서 좋아지는 대학교들 굿~~
카이스트 멋있다..
전북대 잘 버티는게 멋집니다 전북 도민으로서 기쁩네요 ^^
대학교 랭킹을 매기는 기준이 뭔지 알고 싶습니다.
매년 대학 순위를 매기던데 무엇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는 지도 알고 싶습니다.
예전에 대학순위에 외국인 유치 순위(?)가 있던 걸 본적이 있던 거 같은데
그래서 학교들이 앞다퉈서 중국인 기숙사 우선 입주권을 줘서
한국 학생들만 극한 경쟁률로 짤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조사 기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주로 교육여건, 연구실적, 논문피인용도, 국제화, 산학협력등을 보는걸로 알고있어요
Academic reputation (30%)
Employer reputation (20%)
Faculty/student ratio (10%)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10%)
Citations per paper 10% & papers per faculty (5%)
Staff with a PhD (5%)
Proportion of international faculty (2.5%) & propor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2.5%)
외국인 유치순위요?? 그런거 없습니다. 물론 5%의 평판도를 구성하는 수십개의 항목중 하나가 될수도 있겠지만 그런걸 굳이 평가항목으로 넣지는 않지 않을까요 ?
요즘같은 시국에는 취업률만 보고 해야하는게 맞는듯.
공기업, 공공기관, 공무원, 대기업이랑 예술쪽 성과정도
저런 순위가 객관적일까요? 뻥스탯 급이죠. 회사 KPI에서 뻥스탯으로 점수 높이는 거랑 비슷.
고황 거렁뱅이 재단으로도 믿기힘든 퍼포먼스 보여주는 자주경희 홧팅
그냥 열심히 공부해야겠따
이게 맞지 ㅋㅋㅋ공부 ㅎㅇㅌ
역시 고려대❤️
우리 학교 만세~~
연대 최고
성대 최고
@@돌석-s6s 굿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雲と星と月
연대의 분발이 아쉽네요,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올해 삼성 입사했는데 진짜 대부분이 저 상위 6개 학교 출신임
고려대가 세계적으로는 훌륭한 평가를 받고있네요 !!
역시 고려대 자랑스럽네요 ~~
라고 서울대 프사 쓰시는분이 말하니까 정신이 아찔합니다
@@Loosop ㄹㅇㅋㅋ
어질어질 하긴 해 ㅋㅋ
@@Loosop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재밌당
ㅈㄴ개그인건 저렇게 좋은 대학간 애들이 달에200도 안주는 공무원하겠다고 준비중이다 ㅋㅋㅋㅋㅋㅋ
연고전 아니라 고연전이다.
세종대 가고 싶다
ㅋ
이런거 별 의미가없어.
꾸준히 지속적으로
시대삶에대한 체계와 구도를 번민하고 연구하는.
인생을 개척의 방향성과 좌표를 철학하는.
연구와 철학이 부실하더라구.
ㅋ
졸업학교쯤?
네임벨류?
부질없어.
명문대 졸업생 85%이상.
네임벨류에 의탁한 인생이더라.
40살즈음에야 각성.
ㅋ
3류대 애들은 실력도없고.
개척도 부실.
ㅎㅎ
인생에대한 전략 전술을 연구하는.
가장 중요한 건?
쓰잘데기없는 짓거리를 하지않는거.
ㅡㅡ
농경사회 산업사회는 사회구조가 단순하기에.
명문대 출신쯤으로 그럭저럭 살아가는게 가능하지.
한데
자본주의가 고도화하는 사회에서는.
전략 전술이 긴요하고.
체계와 구도를 연구하며.
방향성과 좌표를 철학해야.
연구와 철학이 부실하여.
허성부성 인생을 찌그러먹는 풍경.
쪼다 찐따 또라이 푼수떼기 맹추바가지 빡대가리
명문대 출신들이 나이먹으면 더 인생이 초라하고 남루하더라구.
ㅎ
명문대 출신이라는것쯤에 의탁한 삶.
쭈구리 인생이 되는건 어쩔수없는.
시대삶을 참혹하게 고뇌해야.
처참하게 비참하게
메롱 메롱
ㅎ
ㅣ
2:09 캬 경북대 역전극 보고 눈물 흘렸다... 재학생이라 그런지 완전 와닿네ㅠㅠㅠ 이건 내가 원하던 거야ㅠ
부스터 뭐야
경대 누나들 짱짱
현 총장님이 매우 잘하신다고 하네요
이순위는 기준에따라 달라지는 순위네요
대전 사는데 카이스트가 자랑스러워요!
저도 대전 살아요!
성균관대 정말 대단합니다~~
어차피 이거봐도 SKY 서성한 중경외시 외칠텐데.
국내입시에선 거의 성문급이라..ㅋㅋ
진짜 그거 20년전 때 기준인데 아직도 저러고 있는거 보면 좀 그렇네;
이과는 서카포.
서강중앙외대이대는 하락세가 맞죠
성균, 연세, KAIST: 상승
이화, 서강, POSTECH: 하락 (서울대: 하락 (의치한약수 선호 현상))
고려: 현상 유지 (법과대 하락&경영대 상승)
상승&하락 여부와 관계없이 1위 학교는 언제나 서울대학교.
말도 안된다
수능 원서 내보면 알아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순서입니다
30년전부터 절대 변함 없었습니다
세계대학순위지 입결순위가 아니니까요...
인풋은 모르는데 아웃풋은
고대입니다.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원파이-y2m 이분 문과신가? 계속 문과 부분 아웃풋만 언급하면서 고대가 최고다 거리시네 ㅋㅋㅋ
이과는 서카포>>연고>한성서입니다~~
@@Leo-dq8he 님, 이과 아웃풋 기준이 무언가요? 근거를 말해주세요
구체적으로
문과의경우, 핸시합격자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로스쿨 입학자등ㄷㅇ인데,
막연하게 두리뭉실 하지마시고 구체적으로 수치적으로 근거는?
참고로 저는 고려대 70년대학번 이과입니다.
@@원파이-y2m 연구실적, 피인용 지수 등 이공계 분야에서의 연구역량을 예로 들 수 있죠. 그리고 그 연구에 관한 지표들을 QS대학 평가에서 사용하고 있고요.
자랑스럽다 고려대
고구려대학 ㅋㅋ
고 구려 대학
구린 대학ㅋㅋ
@@cargm8949 드립 ㅋ
고대 의료진 근데왜오진을 많이할까ㅜㅜㅜ
고대 엄청나네요. 다 제치고 1위 ㄷㄷ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와 전북대가 엄청 높구나
한양대 졸업생인데 사회에서 한양대에 대한 이미지가 어떤가요?
연고대 바로 아래 느낌
대구의 자랑 경북대 ㅠㅠ 호랑이담배피던 시절 왕년에는 한강이남 최고 대학중하나였는데
다서울로 모든게 모이니 이렇게.떨어지다니
그래도 막판에.다시회복하네
경북 하면.경상북도 낙후된 이미지지만
대구경북권 아니 지방사람들은 알지 경북대
하면 브랜드가치가 엄청났었는데
엘리트가 모이는 최고의 지방국립대 넘버1이었지
부산대도 마찬가지..
이상하게 요새는 경북이 부산보다 위인느낌도 남
학생들은 엘리트지만 몇년째 교수채용비리 뉴스 접하다보니 속상하더라구요 안그래도 수도권집중화때문에 예전만 못한데ㅠ 정말 교수진들이 반성하고 절치부심했으면 좋겠어요
@@asdasdadraasdsadwqdqwdq1575 응아니야 대구사람아ㅋㅋ
@user-tu7zo2sj2s 전 경대가 부산대위든 상관없는데 부산대가 높다하던데요 도토리키재기지만
일단 과학,기술, 글로벌인문 인재가 많은 학교가 랭킹이 높군요
서울대가 1위가 아니고 고려대가 1위ㄷ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원파이-y2m 잘못나온거임....1 서울대 2 연세대 3 성균관대 4 한양대 5 고려대 (중앙일보 기준)
@@나은우-p2b 님, 잘모 나왓는지모른다고하지만
최근연속 8년간 공인회계사합격자수 1위 고려대
엤날 연상고법은 옛말
경영대의 객관적지표 공인회계사8년째 고대에패
대학평가의 객관적 아웃풋
로스쿨합격생 출신대순위
7년연속 1위 고려대
2위 서울대
3위 연세대
22대까지 역대국회의원수
서울대1위 고려대 2위 연세대3위
반백년간 고착화)
연세대 앞서는것 하나도없음
서울대 버리고 연대고대 택할사람은 없을거임 그냥 아 학교평가는 이러이러하구나 정도로만 보는정도
근데 설대 하위권 갈바에는 연대 상위권 가지 않나? 문과는 모르겠는데 이공은 그 느낌이 확실하게 있음
@@독자적인이름 아님
@@SenA-vo9go 맞음 뭘 아님임 ㅋㅋㅋㅋ
@@독자적인이름 입시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아는척하는 허수의 표본 서울대이과를 가려면 투과목 쳐야되는데 그 투과목까지쳐서 서울대붙고 연대를 간다고?말같지도 않은소리마셈 아무도 안감
@@SenA-vo9go ㄹㅇ인데... 설대 수학과 갈래 아니면 연대 기공 갈래?
**수학과 높은줄 몰랐음. 비유하려고 그냥 든 예니까 대충 서울대 하위과 생각하셈
5년뒤면 지방대들 카이스트빼곤 순위권에서 다 없어지긋다..
오 수능 때문에 만든건가?
고려대 1등? 서울대보다 좋은 건가... ㄷㄷ
경영대도고대, 법분야도 고대, 주요단체장도 고대
대학교 문과의 꽃 공인회계사, 로스쿨 입학은 모든대학생들의 선망의 전문직 분야입니다.
그러나 합격은 너무 어렵습니다.
대학 판단의 결정적인 요소이지요
대학 역량 3대 객관적 요소( 로스쿨 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자수, 고시합격자수)
이중 2개분야(최근 3년간자료입니다.)
1) 로스쿨 입학생수
2020년
고려대 379명, 서울대 333명, 연세대 280명
2019년
고려대 382명, 서울대354명, 연세대 307명
2018년
고려대 322명, 서울대 258명, 연세대 198명
2) 공인회계사 합격자수
2020년
고려대 127명, 서울대 56명, 연세대 106명
2019년
고려대 109명, 서울대 52명, 연세대 88명
2018년
고려대 114명, 서울대 81명, 연세대 86명
최근 3년간 말고 5년간 도 고대압승입니다.
또 올해 선거철이지요
17개시도 광역단체장 출신대학볼까요(2022년 현재)
고려대
서울시장, 부산시장, 울산시장,인천시장,세종시장, 전북도지사,대구시장
총 7명
서울대
충북지사
1명
참고로 연대는 1명도없음.
입결은 근소한차이로 서울대가 약간앞서나
신입생 평균 백분위(96.8 : 95.5)
대학 들어가서 오히려 아웃풋이 인풋에 비해 좋으니
고대가 더 나은것 아닌가요?
아니, 객관적으로볼때
전분야에서 서울대가 앞서나
매우 중요한 2개의 지표에서 고대가 확 앞섭니다.
@@원파이-y2m 고대생인데 너무 뽕차신 거 아닌가요? 입결부분에서도 문과기준 고대 젤 높은 경영,경제,자전,컴퓨터,통계 등이랑 서울대 인문,사범대랑 겹치지도 않는 수준이에요 설대랑 고대,연대 사이엔 벽이 있다고 봅니다
@@user-um3di8mu3b 님, 서울대가 입결 최고인것은 천하가 다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입결이 낮은 학생들이 들어가서 아웃풋이 문과의경우 대학평가 3대 지표라할수있는 공식적 , 상징적 3대 지표에서 행시(서울대 압도적우세), 로스쿨 입학생수(고대 근소한 우위), 공인회계사(압도적우위)등 3분야중 2분야에서 우세한것을 객관적 자료로 입증한것이고
달리 말하면 인풋에 비해 아웃풋이 뛰어나면 이런대학이 대학4년간 더 효율적인 아웃풋 창출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런데 최윤호님, 이과부분 감으로 이야기 하지마시고 정확한 데이타로 언급해주세요
총론적 대략적 감으로는 누구나 말할수있고
각개전투식 구체적 개별론적으로는 누구나 다하지는 못합니다.
성균관대가 엄청 발전하네
오늘 세종대 합격했는데 상승 추세라 너무 뿌듯하네요 ㅎㅎ 애교심을 가지고 열심히 다니겠습니다💖
저도!ㅋㅋ
저도ㅋㅋㅋㅋ!!세종대 화이팅♡
현실은 인서울 최하위권이긴 하죠..
@@akana8572 세종대랑 아무 상관 없는 사람이긴 한데 그건 아님.
물론 국숭세단 좀 아래로 보긴 하지만 입결로만 보면 서울에 있는 4년제 중 반 이상 됨. 들어보지도 못한 남서울대 이런대학 서울에 존나 많아서
@@pudolko 상승세 보면 국숭세단급 딱 그정도같네요
전북대 선방했네....20위권 밖으로 밀려난적이없어... 우리학교 내가 너무 무시했었나봐..
경희🤩
SCI 논문 등제 및 세계권위의 학회에 계제한 논문 만 따로
추리는것도 일반 유튜버로는 힘든 일이죠
평가, 순위? 누가 누굴 평가를
합니까?
고려대가 1위..멋지네요
최근 3년간 로스쿨 입학생수 1위 고려대(서울대 2위, 연대 3위),
최근7년간 공인회계사 합격생수 1위고려대, 2위 연대,...서울대5-6위
사시 폐지후
대학평가 객관적 3대 수치
로스쿨입학생수, 공인회계사합격생수, 행정고시합격생수
3분야에서
고려대 1위2분야, 서울대 1분야(행시)
연대는 2위(행시), 나머지는 3위
전남대 계속 떨어지는거 맴찢..